KR20050043252A -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252A
KR20050043252A KR1020030078087A KR20030078087A KR20050043252A KR 20050043252 A KR20050043252 A KR 20050043252A KR 1020030078087 A KR1020030078087 A KR 1020030078087A KR 20030078087 A KR20030078087 A KR 20030078087A KR 20050043252 A KR20050043252 A KR 20050043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lding ba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0845B1 (ko
Inventor
권영호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8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측부에 소정 폭의 개방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토션스프링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제공받고 그 외주면에는 외력에 의해 하우징 외부로 풀려 인출되는 스크린이 감기는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홀딩바의 외주면에 대해 밀착 결합하며, 상기 홀딩바의 외주면에는 홀딩바에 밀착된 스크린의 단부가 홀딩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스크린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는, 그 구조가 간단하며 무게가 가볍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다. 또한 스크린이 홀딩바의 외주면에 대해 완전히 밀착 결합되어 있으므로 감김과 풀림이 원활하고 감기는 동안 스크린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스크린을 빠른 속도로 인출하더라도 소음이 없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Holding bar of cargo screen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왜건형 차량이나 근래 인기를 끌고 있는 스포츠형 다목적 차량(SUV)의 뒷자석 후방에는 각종 짐을 적재할 수 있는 짐칸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짐칸은 차창을 통해 외부에서 들여다보일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외부인에게 보이고 싶지 않은 물건을 적재했을 경우나 또는 짐칸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가릴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신문지나 기타 가릴 것으로 덮거나 경우에 따라 별도의 카고스크린을 설치하기도 한다. 상기 카고스크린(cargo screen)은 짐칸을 깔끔하게 가릴 수 있다는 잇점이 있어서 고급차의 경우 많이 장착한다.
도 1에 상기한 카고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카고스크린(10)은 짐칸의 소정위치에 장착 고정되며 측부에 개방슬릿(19)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제공받는 홀딩바(미도시)와, 상기 홀딩바에 감기며 필요시 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 인출되어 원하는 부위를 가리는 스크린(13)과, 상기 스크린(13)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짐칸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걸이부(미도시)에 그 양단이 걸려 스크린(13)의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서포팅로드(15)와, 상기 서포팅로드(15)에 고정되는 손잡이(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딩바가 제공받는 탄성 회전방향은 스크린(13)을 감는 방향을 의미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 1에는 스크린(13)이 하우징(11)의 양쪽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종류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만 인출되도록 구성된 것도 있다.
또한 상기 홀딩바(미도시)는 스크린(13)을 하우징(11) 내부로 탄성적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손잡이(17)로 스크린(13)을 당기다가 놓으면 스크린(13)은 하우징(11)의 내부로 말려 들어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카고스크린(1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손잡이(17)를 잡아 스크린(13)을 인출하여 스크린(13)으로 가릴 부분을 가린 상태로 서포팅로드(15)를 걸이부에 걸어 고정시킨다. 서포팅로드(15)가 고정되면 스크린(13)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원하는 부위를 가린다.
카고스크린(10)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상기 손잡이(17)를 잡아 서포팅로드(15)를 상기 걸이부로부터 빼낸 상태로 손잡이(17)를 놓는다. 손잡이를 놓으면 홀딩바의 탄성 회전력에 의해 스크린(13)이 하우징(11)의 내부로 감겨 들어간다.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의 내부에 두 개의 수용공간(27)이 마련되어 있고 각 수용공간(27)에는 홀딩바(20)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각 수용공간(27)의 측부에는 수용공간(27)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개방슬릿(19)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홀딩바(20)는, 하우징(11) 내에서 축회전 가능하며 별도의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화살표 t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제공받는 홀딩로드(21)와, 상기 홀딩로드(2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고정로드(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딩바(20)는 전체적으로 봉의 형태를 가지며 그 외주면에 스크린(13)이 감긴다.
상기 스크린(13)을 홀딩바(20)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홀딩로드(21)의 외주면 일측에는 지지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홈(23)의 내부에 고정로드(25)가 스크린(13)의 단부와 결합한 상태로 삽입된다.
상기 지지홈(23)은 홀딩로드(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원통형 내주면을 가지고 홀딩로드(21)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홈(23)은 홀딩로드(21)의 외부로 개방되되 개방구의 폭은 고정로드(25)의 직경보다 작아 고정로드(25)가 지지홈(23)의 외부로 빠지지 않는다.
상기 스크린(13)은 PVC원단으로서 그 단부를 접어 포갠 후 포개어진 사이에 고정로드(25)를 위치시킨 상태로 열융착 또는 재봉함으로서 스크린(13)과 고정로드(25)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13)과 결합된 상태의 고정로드(25)는 지지홈(23)의 내부에 삽입되어 홀딩바(20)에 대해 스크린(13)을 연결한다. 지지홈(23)내에 고정로드(25)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로드(25)를 지지홈(23)의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밀어 넣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로드(25)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지지홈(23)의 내주면으로부터 고정로드(25)를 감싼 스크린(13)이 어느 정도 이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홀딩바(20)는, 홀딩로드(21)와 고정로드(25)로 이루어지므로 그 구성이 다소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고정로드(25)가 지지홈(23)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운행시 진동에 의해 고정로드(25)와 홀딩로드(21)가 부딪혀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크린(13)의 단부가 고정로드(25)를 수용한 상태로 겹쳐져 열융착 또는 재봉되므로 그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꺼워 스크린(13)이 홀딩로드(21)의 외주면에 대해 완전히 밀착하지 않고 들뜸부(A)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들뜸 현상은 홀딩로드(21)의 길이가 직경에 비해 짧을 경우에는 잘 나타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홀딩로드의 길이에서는 거의 대부분 나타나는 현상이다.
더욱이 상기 들뜸부(A)는 그 크기나 위치가 불규칙하므로 결국 홀딩로드(21)의 중심축으로부터 스크린(13)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아 스크린(13)을 빠르게 인출할 경우 소위 덜덜거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홀딩로드(21)에 스크린이 감길 때 스크린(13)이 좌우로 뒤틀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며 무게가 가볍고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또한 스크린이 홀딩바의 외주면에 대해 완전히 밀착 결합되어 있으므로 감김과 풀림이 원활하고 감기는 동안 스크린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스크린을 빠른 속도로 인출하더라도 소음이 없는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측부에 소정 폭의 개방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토션스프링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제공받고 그 외주면에는 외력에 의해 하우징 외부로 풀려 인출되는 스크린이 감기는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홀딩바의 외주면에 대해 밀착 결합하며, 상기 홀딩바의 외주면에는 홀딩바에 밀착된 스크린의 단부가 홀딩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스크린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턱은 홀딩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홀딩바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용턱이 제공하는 단차 높이는 스크린의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차 높이는 0.2mm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카고스크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이 제공하는 두 개의 수용공간(27) 내부에 홀딩바(3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홀딩바(31)는 수용공간(27) 내에서 축회전 가능하며 별도의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화살표 z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제공받아 스크린(13)을 하우징(11) 내부로 끌어당긴다.
상기 스크린(13)은 그 단부가 홀딩바(31)의 외주면에 대해 직접 밀착 결합한다. 특히 스크린(13)이 홀딩바(31)의 외주면에 대해 밀착 결합한 상태로 홀딩바(31)와 스크린(13) 사이 및 적층된 스크린 사이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홀딩바(31)의 외주면에는 스크린(13)의 두께에 해당하는 단차를 가져 스크린(13)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턱(도 4의 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턱(33)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후술된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홀딩바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홀딩바(31)의 외주면에 수용턱(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턱(33)은 홀딩바(31)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하며 홀딩바(31)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턱이다.
상기 홀딩바(31)의 반경은 홀딩바(31)의 최대반경(r1)으로부터 출발하여 한바퀴 회전하는 동안 선형적으로 작아져 최소반경(r2)에 이른다.
상기 수용턱(33)이 제공하는 단차 높이(h)는 홀딩바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의 차이값으로서 스크린(13)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 0.2mm 내지 1.5mm정도가 되도록 함이 좋다. 또한 이 때 홀딩바(31)의 직경은 14mm정도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홀딩바(31)의 외주면에 대해 스크린(13)을 밀착 결합하기 위하여 홀딩바(31)의 외주면에 먼저 접착층(35)을 적층하고 그 위에 스크린(13)을 밀착시킨다. 상기 접착층(35)으로서는 양면테입이나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여타의 접착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여하튼 상기 접착층(35)이 적층된 상태로 상기 수용턱(33)에 대해 스크린(13) 단부의 두께면을 대응시킨 상태로 스크린(13)을 홀딩바(31)의 외주면에 대해 한바퀴 돌려 감싸면 홀딩바(31)에 대한 스크린(13)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스크린(13)은 홀딩바(31)를 두 번째 바퀴 돌면서는 수용턱(33)을 지나치면서 먼저 번 감긴 스크린(13)의 외측면에 밀착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같이, 수용턱(33)의 단차 높이(h)가 스크린(13)의 두께에 대응하므로 스크린(13)이 수용턱(33)의 상부를 지나는 동안 위 또는 아래로 굴곡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외곽 스크린(13)을 외주면으로 하는 전체적인 원통에 편심이 없어 예컨대 스크린을 매우 빠르게 당기더라도 홀딩바(31)의 회전축이 튀지 않아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한 들뜸현상도 없으므로 스크린이 뒤틀리지 않고 원활한 감김과 풀림 동작을 반복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는, 그 구조가 간단하며 무게가 가볍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다. 또한 스크린이 홀딩바의 외주면에 대해 완전히 밀착 결합되어 있으므로 감김과 풀림이 원활하고 감기는 동안 스크린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스크린을 빠른 속도로 인출하더라도 소음이 없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카고스크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홀딩바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카고스크린 11:하우징
13:스크린 15:서포팅로드
17:손잡이 19:개방슬릿
20,31:홀딩바 21:홀딩로드
23:지지홈 25:고정로드
27:수용공간 33:수용턱
35:접착층
A:들뜸부

Claims (4)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측부에 소정 폭의 개방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내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토션스프링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제공받고 그 외주면에는 외력에 의해 하우징 외부로 풀려 인출되는 스크린이 감기는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홀딩바의 외주면에 대해 밀착 결합하며, 상기 홀딩바의 외주면에는 홀딩바에 밀착된 스크린의 단부가 홀딩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스크린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턱은 홀딩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홀딩바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턱이 제공하는 단차 높이는 스크린의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높이는 0.2mm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KR10-2003-0078087A 2003-11-05 2003-11-05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KR10052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087A KR100520845B1 (ko) 2003-11-05 2003-11-05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087A KR100520845B1 (ko) 2003-11-05 2003-11-05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252A true KR20050043252A (ko) 2005-05-11
KR100520845B1 KR100520845B1 (ko) 2005-10-11

Family

ID=3724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087A KR100520845B1 (ko) 2003-11-05 2003-11-05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8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103B1 (ko) * 2006-07-06 2007-11-06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스크린 조립체
KR100783865B1 (ko) * 2006-07-28 2007-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9231A (en) * 1978-05-08 1979-02-13 Irvin Industries Inc. Automobile rear compartment cover
US4480675A (en) * 1982-09-29 1984-11-06 Lof Plastics Inc. Security cover for an automobile storage compartment
US4728141A (en) * 1985-05-31 1988-03-0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utomotive rear shelf structure
KR970000440B1 (en) * 1993-12-03 1997-01-11 Sungwoo Co Ltd Device of reducing the tension for a safety bel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103B1 (ko) * 2006-07-06 2007-11-06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스크린 조립체
KR100783865B1 (ko) * 2006-07-28 2007-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0845B1 (ko) 200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7893B2 (ja) 予備組立されたウィンドウシェード部品群
JP2008081111A (ja) 手動により駆動される巻上げウィンドウシェード
GB2036146A (en) Roller cover for an automobile compartment
US10077585B2 (en) Tailgate inner handle assembly and method of moving grip member of the same
US9702188B2 (en) Fixed motor spring shade
JP4811937B2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US8770256B2 (en) Fixed motor spring shade
KR100520845B1 (ko)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의 홀딩바
JP5769049B2 (ja) 巻取り機能を有する窓カバー
US20180339577A1 (en) Roof roller blind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mounting a roof roller blind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16985610A (zh) 遮阳装置、天窗装置及车辆
JP3749973B2 (ja) 自動車用ブラインド巻取り装置
US7597132B2 (en) Window shade
JP4573768B2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JP3558566B2 (ja) 配索済みワイヤハーネス巻取方法および巻取装置
JP3650838B2 (ja) 自動車用ブラインド巻取り装置
JP2009153260A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巻取装置
JP3667467B2 (ja) 車両用巻取式荷崩れ防止装置
CN212889978U (zh) 汽车座椅侧滑用的滑轨遮挡结构
KR102596281B1 (ko) 차량의 카고 스크린
JPH0114528Y2 (ko)
KR100950605B1 (ko) 카고스크린
JP3200944U (ja) 自動車用シェード
JP7130808B1 (ja) 荷台のシート部および荷台シート装置
JP4208091B2 (ja) 自動車用カバーおよび巻き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