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403A -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403A
KR20050042403A KR1020030077337A KR20030077337A KR20050042403A KR 20050042403 A KR20050042403 A KR 20050042403A KR 1020030077337 A KR1020030077337 A KR 1020030077337A KR 20030077337 A KR20030077337 A KR 20030077337A KR 20050042403 A KR20050042403 A KR 20050042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voltage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583B1 (ko
Inventor
신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58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내부 전원전압에 오버슈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가 개시된다. 상기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는,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내부 전원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내부 전원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을 때 상기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턴온시켜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 전원전압의 레벨을 유지하는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 및 상기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와 다른 별도의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는 동안에만 상기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턴온시켜 상기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control circuit including over-driving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디램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는 메모리셀 코아 어레이의 전원전압으로서 내부 전원전압이 사용된다. 그런데 반도체 메모리장치 내의 감지증폭기들에 의해 비트라인의 데이터가 센싱되는 시점에는 내부 전원전압의 전하가 많이 소모되어 내부 전원전압의 레벨이 낮아지게 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내부 전원전압의 레벨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비트라인의 데이터가 센싱되는 시점에 소정의 짧은 펄스를 생성하여 이 펄스 구간동안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더 공급하는 스킴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킴은 높은 외부 전원전압(High Vcc)에서 너무 과도한 전류가 내부 전원전압으로 공급됨으로써 내부 전원전압에 오버슈팅(Over-Shooting)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특성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는, 내부 전원전압(VINTA)과 기준전압(VREFA)을 비교하여 내부 전원전압(VINTA)이 기준전압(VREFA)보다 낮을 때 출력신호(VINTAEB)를 활성화시키는 차동증폭 회로(11), 및 차동증폭 회로(11)의 출력신호(VINTAEB)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외부 전원전압(VDDA)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VINTA)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13)를 구비한다.
또한 종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는, 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차동증폭 회로(11)의 출력신호(VINTAEB)를 풀다운 레벨로 더 낮추는 드라이빙 제어회로(15)를 더 구비한다. 제어신호(ACT)는 비트라인의 데이터가 센싱되는 시점에 활성화되는 소정의 짧은 펄스를 갖는 신호이다.
따라서 비트라인의 데이터가 센싱되는 시점에는 드라이빙 제어회로(15)에 의해 차동증폭 회로(11)의 출력신호(VINTAEB)가 풀다운 레벨로 더 낮아짐으로써 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13)가 더 강하게 턴온되어 더 많은 전류가 외부 전원전압(VDDA)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VINTA)으로 공급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의 단점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이다. 도 2에서 WL은 반도체 메모리장치 내의 소정의 메모리셀에 연결되는 워드라인을 나타내고 BL/BLB는 메모리셀에 연결되는 비트라인 및 상보 비트라인을 나타낸다. PS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내의 감지증폭기를 인에이블시키는 인에이블 신호를 나타내고 ACT는 상기 드라이빙 제어회로(15)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VINTAEB는 상기 차동증폭 회로(11)의 출력신호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파형도에서와 같이 상기 종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에서는, 제어신호(ACT)가 논리"로우"로 디스에이블된 후 차동증폭 회로(11)의 출력신호(VINTAEB)가 외부 전원전압(VDDA) 레벨로 다시 올라가게 된다. 그런데 이때 차동증폭 회로(11)의 응답시간이 느리기 때문에 출력신호(VINTAEB)가 느리게 외부 전원전압(VDDA) 레벨로 올라가게 된다. 즉 출력신호(VINTAEB)가 영역(B)에서와 같이 오래동안 낮은 레벨로 유지된다.
이로 인하여 비트라인 센싱이 끝난 뒤에도 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13)를 통해 과도한 전류가 내부 전원전압(VINTA)으로 공급됨으로써 내부 전원전압(VINTA)에 오버슈팅(Over-Shooting)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특성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부 전원전압에 오버슈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는,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내부 전원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내부 전원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을 때 상기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턴온시켜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 전원전압의 레벨을 유지하는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 및 상기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와 다른 별도의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는 동안에만 상기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턴온시켜 상기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 내의 감지증폭기가 인에이블되는 시점과 동기되어 인에이블된다.
상기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는, 상기 내부 전원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내부 전원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을 때 출력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차동증폭 회로, 및 상기 차동증폭 회로의 출력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상기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신호의 활성화 동안 상기 외부 전원전압을 분배(devide)하여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voltage divider);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 및 상기 제어신호의 비활성화 동안 상기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턴오프시키는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 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는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31) 및 오버 드라이빙(Over driving) 제어회로(33)를 구비한다. 특히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31) 및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33)는 각각 별도의 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즉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31)는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13)를 구비하고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33)는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33)를 구비한다.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31)는 내부 전원전압(VINTA)과 기준전압(VREFA)을 비교하여 내부 전원전압(VINTA)이 기준전압(VREFA)보다 낮을 때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13)를 턴온시켜 외부 전원전압(VDDA)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VINTA)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내부 전원전압(VINTA)의 레벨을 유지시킨다.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33)는 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되는 동안에만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33)를 턴온시켜 외부 전원전압(VDDA)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VINTA)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제어신호(ACT)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내의 감지증폭기들이 인에이블되는 시점과 동기되어 인에이블되는 신호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31)는 차동증폭 회로(311)와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13)를 구비한다. 차동증폭 회로(311)는 내부 전원전압(VINTA)과 기준전압(VREFA)을 비교하여 내부 전원전압(VINTA)이 기준전압(VREFA)보다 낮을 때 출력신호(VINTAEB)를 활성화시킨다.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13)는 차동증폭 회로(311)의 출력신호(VINTAEB)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외부 전원전압(VDDA)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VINTA)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차동증폭 회로(311)는 통상적인 회로로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1,P2)과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1-N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13)는 피모스 트랜지스터(P3)로 구성된다.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33)는 전압 분배기(voltage divider)(331),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33), 및 제어회로(335)를 구비한다. 전압 분배기(331)는 제어신호(ACT)의 활성화 동안 외부 전원전압(VDDA)을 분배(devide)하여 구동신호(DRV)를 발생한다.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33)는 구동신호(DRV)에 응답하여 외부 전원전압(VDDA)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VINTA)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제어회로(335)는 제어신호(ACT)의 비활성화 동안 구동신호(DRV)를 외부 전원전압(VDDA) 레벨로 풀업시킴으로써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33)를 턴오프시킨다.
전압 분배기(331)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4-P8)과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4,N5), 및 저항들(R1-R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33)는 피모스 트랜지스터(P10)로 구성되고 제어회로(335)도 피모스 트랜지스터(P9)로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에서는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31)와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33)가 각각 별도의 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어신호(ACT)가 논리"로우"로 디스에이블된 후에는 즉 비트라인 센싱이 끝난 뒤에는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33) 내의 제어회로(335)에 의해 구동신호(DRV)가 빠르게 외부 전원전압(VDDA) 레벨로 올라가게 된다. 즉 구동신호(DRV)가 짧은 시간동안에만 낮은 레벨로 유지된다.
그 결과 비트라인 센싱이 끝난 뒤에는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33)를 통해 과도하지 않은 적절한 전류가 내부 전원전압(VINTA)으로 공급됨으로써 내부 전원전압(VINTA)에 오버슈팅(Over-Shooting)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333)를 통해 외부 전원전압(VDDA)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VINTA)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전압 분배기(331)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는, 내부 전원전압에 오버슈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내부 전원전압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의 단점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Claims (4)

  1.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에 있어서,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내부 전원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내부 전원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을 때 상기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턴온시켜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 전원전압의 레벨을 유지하는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 및
    상기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와 다른 별도의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는 동안에만 상기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턴온시켜 상기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 내의 감지증폭기가 인에이블되는 시점과 동기되어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원전압 구동회로는,
    상기 내부 전원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내부 전원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을 때 출력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차동증폭 회로; 및
    상기 차동증폭 회로의 출력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1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신호의 활성화 동안 상기 외부 전원전압을 분배(devide)하여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전압 분배기(voltage divider);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원전압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전압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 및
    상기 제어신호의 비활성화 동안 상기 제2내부 전원전압 드라이버를 턴오프시키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KR1020030077337A 2003-11-03 2003-11-03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KR10056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37A KR100564583B1 (ko) 2003-11-03 2003-11-03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37A KR100564583B1 (ko) 2003-11-03 2003-11-03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403A true KR20050042403A (ko) 2005-05-09
KR100564583B1 KR100564583B1 (ko) 2006-03-29

Family

ID=3724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337A KR100564583B1 (ko) 2003-11-03 2003-11-03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5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29B1 (ko) * 2004-07-26 2006-07-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원 공급장치
KR100714897B1 (ko) * 2004-06-22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어레이 내부 전원 전압발생 방법
KR101442174B1 (ko) * 2008-02-15 201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발생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897B1 (ko) * 2004-06-22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어레이 내부 전원 전압발생 방법
KR100596429B1 (ko) * 2004-07-26 2006-07-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원 공급장치
KR101442174B1 (ko) * 2008-02-15 201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발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583B1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9463B2 (en) Adaptive write bit line and word line adjusting mechanism for memory
US7567469B2 (en) Over driving pulse generator
JP2006309916A (ja) 半導体メモリ素子及び半導体メモリ素子のビットライン感知増幅器の駆動方法
US6985399B2 (en) Main word line driver circuit receiving negative voltag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67916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US9373364B2 (en) Semiconductor memory and method of operating semiconductor memory
KR015811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앰프 제어회로
KR20150137250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20040013024A1 (en) Circuits for controlling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s provided to memory arrays based on requested operations and methods of operating
KR10094580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110241769A1 (en) Internal voltage generator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564583B1 (ko)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내부 전원전압 제어회로
JP3869690B2 (ja) 内部電圧レベル制御回路および半導体記憶装置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US7876635B2 (en) Sense amplifier driving control circuit and method
KR100518230B1 (ko)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용 구동전압 드라이버
KR20150072041A (ko) 워드라인 구동 회로
US7583547B2 (en) Over-driving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762881B1 (ko) 센스앰프 회로
KR100733473B1 (ko) 비트라인 오버 드라이빙 구조를 가진 반도체 메모리 소자및 그 구동방법
KR20070097804A (ko) 센스앰프 회로
KR20160115484A (ko) 전원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701284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voltage driving circuit
US9508406B2 (en) Driving apparatus and selection of a dead zone of an internal voltage
KR100668497B1 (ko) 비트라인 센스앰프 드라이버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50059790A (ko) 감지증폭기의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