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788A - 블럭, 그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 Google Patents

블럭, 그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788A
KR20050041788A KR1020030077061A KR20030077061A KR20050041788A KR 20050041788 A KR20050041788 A KR 20050041788A KR 1020030077061 A KR1020030077061 A KR 1020030077061A KR 20030077061 A KR20030077061 A KR 20030077061A KR 20050041788 A KR20050041788 A KR 2005004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id
protruding member
protrusion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0601B1 (ko
Inventor
홍건영
Original Assignee
홍건영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주)하이텍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영,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주)하이텍이앤씨 filed Critical 홍건영
Priority to KR102003007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6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2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building blocks or similar block-shap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2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some of the cavities forming load-bearing pillars or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04B2002/0234Angular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U-shaped, e.g. 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하층에 설치되는 블럭(100a)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와 그 상층에 설치되는 블럭(100b)의 하면에 형성된 요홈부(2)의 결합에 의해 블럭 구조물의 횡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블럭(100)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재 장착홈(110)과; 하단부가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장착됨으로써 상단부가 상기 돌부(1)를 형성하는 돌출부재(120)를; 포함하는 블럭(100)을 제시함으로써, 성형틀 압착 방식에 의한 제조방식을 취하면서도, 돌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축조된 블럭구조물이 지진 기타 유해한 외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블럭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럭, 그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BLOCK,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VER-TYPE PROTRUSION MEMBER THEREFOR}
본 발명은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하방향으로 축조되는 블럭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블럭에 관한 것이다.
블럭은 축조구조물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건설자재를 일컫는 것으로서, 그 축조된 블럭구조물의 횡방향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럭의 구조에 관하여 여러가지 고안이 제안되고 있다.
도 16은 종래의 블럭의 축조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는 블럭(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부(1)와 요홈부(2)가 형성되고, 하층에 설치되는 블럭(100a)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와 그 상층에 설치되는 블럭(100b)의 하면에 형성된 요홈부(2)의 결합에 의해 블럭 구조물의 횡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17 및 도 18은 이러한 구조의 블럭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건배합에 의해 형성된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거푸집(20)에 삽입하고, 블럭의 돌부(1)를 형성하기 위한 요홈부(11)가 하면에 형성된 압착기(10)에 의해 상부로부터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압착함으로써 설계된 블럭의 형상을 형성하고, 그 블럭의 용도에 따라 소정 시간, 압력, 온도 기타 조건 하에 양생을 함으로써 제품을 완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제조방식은 압착에 의해 견고한 구조의 블럭을 빠른 시간 내에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블럭의 외부에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기(10)의 구조상 블럭의 돌출부분이 타부분에 비해 적은 힘으로 압착을 받게 되는 바, 상대적으로 돌출부분의 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의 상면 구조가 복잡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압착기(10)의 돌출부(12)에 접하게 되는 예비 블럭 성형물(100c)의 상면 요홈부는 강한 힘에 의해 압착을 받게 되나, 상대적으로 예비 블럭 성형물(100c)의 상면 돌부(1)는 보다 적은 힘으로 압착을 받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강도 감소의 문제가 보다 심각하게 제기된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블럭을 상기 제조방식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돌부(1)는 밀실한 구성을 취하기 어려우므로, 밀도 및 강도가 타부분에 비해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구조의 블럭에 의해 형성된 블럭구조물은 상기 돌부(1)에 가장 많은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므로, 돌부(1)의 균열에 의한 파손 우려가 높아지는 바, 지진 기타 유해한 외력에 대항하기 위한 블럭구조물 전체의 강도가 약해진다는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성형틀 압착 방식에 의한 제조방식을 취하면서도, 돌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축조된 블럭구조물이 지진 기타 유해한 외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블럭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층에 설치되는 블럭(100a)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와 그 상층에 설치되는 블럭(100b)의 하면에 형성된 요홈부(2)의 결합에 의해 블럭 구조물의 횡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블럭(100)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재 장착홈(110)과; 하단부가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장착됨으로써 상단부가 상기 돌부(1)를 형성하는 돌출부재(120)를; 포함하는 블럭(100)을 제시한다.
이러한 블럭(100)은 상기 돌출부재(120)의 심부에 형성된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21)과; 그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21)에 고정되는 상하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상하방향 보강부재(200)가 삽입설치되도록,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으로부터 상기 요홈부(2)로 연장형성된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11)을;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20)의 하면에는 고정부(12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부(122)가 삽입고정되는 고정부 장착홈(112)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럭(10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의 양측에 한 쌍의 돌부(1a,1b)가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재(12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123)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럭(100)의 상면 심부에 +자 형상으로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50)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50)의 방사상 외측으로 복수개의 돌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재(12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123)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124)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럭(10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의 양측에 한 쌍의 돌부(1a,1b)가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재 장착홈(110a,1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재(120)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재 장착홈(110a,110b)에 장착되도록 한 쌍의 돌출부재(120a,120b)로 구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럭(100)이 지그재그 방식에 의해 축조된 상태에서, 인접배치된 한 쌍의 블럭(100)의 하면 접합부에 상기 요홈부(2)가 형성되도록, 상기 블럭(100)의 하면 양측에는 한 쌍의 요홈부(2a,2b)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럭(100)이 지그재그 방식에 의해 축조된 상태에서, 인접배치된 한 쌍의 블럭(100)의 하면 접합부에 상기 요홈부(2)가 형성되도록, 상기 블럭(10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측방홈부(140a,140b)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20)는 상기 돌부(1)를 형성하는 뚜껑부(125)와;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장착되도록 상기 뚜껑부(125)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봉부(126)를; 포함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지지봉부(126) 및 돌출부재 장착홈(110)은 복수개인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지지봉부(126)는 상기 뚜껑부(125)의 가장자리부에 방사대칭구조로서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뚜껑부(125)의 심부에는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2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부(126)의 내부에는 상하방향 보강부재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부(12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부(125)의 하측에는 예비 블럭 성형물 유입용 개구부(128)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재질은 강재 또는 플라스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건배합에 의해 형성된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거푸집(20)에 삽입하는 거푸집설치 단계와; 상기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의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장착하는 돌출부재 장착단계와; 상기 블럭(100)의 돌부(1)를 형성하기 위한 요홈부(11)가 하면에 형성된 압착기(10)에 의해 상부로부터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압착함과 아울러,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예비 블럭 성형물 유입용 개구부(128)를 통해 상기 뚜껑부(125)의 내부공간을 충진시키는 압착 및 충진단계와; 소정의 시간, 압력, 온도 조건 하에 양생을 실시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블럭(100)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 즉, 상기 블럭(100)에 장착되는 돌출부재(120)로서, 상기 돌부(1)를 형성하는 뚜껑부(125)와;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장착되도록 상기 뚜껑부(125)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봉부(126)를; 포함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부(126) 및 돌출부재 장착홈(110)은 복수개인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지지봉부(126)는 상기 뚜껑부(125)의 가장자리부에 방사대칭구조로서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부(125)의 심부에는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2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부(126)의 내부에는 상하방향 보강부재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부(12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부(125)의 하측에는 예비 블럭 성형물 유입용 개구부(128)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재질은 강재 또는 플라스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제4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제5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제6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제7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제8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제9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제10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제1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뚜껑형 돌출부재의 횡단면도, 도 15는 블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층에 설치되는 블럭(100a)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와 그 상층에 설치되는 블럭(100b)의 하면에 형성된 요홈부(2)의 결합에 의해 블럭 구조물의 횡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블럭(100)의 상면에 돌출부재 장착홈(110)을 형성하고, 하단부가 그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장착됨으로써 상단부가 상기 돌부(1)를 형성하는 돌출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인 제1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0)을 장착홈(110)을 갖는 본체와, 그 장착홈(110)에 장착되는 돌출부재(120)로 구성하고, 시공시 본체의 장착홈(110)에 돌출부재(120)를 장착함으로써 돌부(1)를 형성하여 사용하도록 한다는 점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각 부재는 기본적으로 돌출부분을 갖지 않는 구조가 되므로, 상기 성형틀 압착 방식에 의해 블럭(100)의 본체 및 돌출부재(120)를 각각 제조하더라도 특정부분의 강도가 타부분에 비해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바, 궁극적으로 블럭구조물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이 구현된 것으로서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3은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철근 등의 상하방향 보강부재(200)에 의해 블럭구조물이 보강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재(120)의 심부에 형성된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21)과; 그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21)에 고정되는 상하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상하방향 보강부재(200)가 삽입설치되도록,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으로부터 상기 요홈부(2)로 연장형성된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11)을;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돌출부재(120)의 심부에 상하방향 보강부재(200)를 삽입고정하고, 본체의 돌출부재 장착홈(110) 심부에서 하측으로 형성된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11)에 그 상하방향 보강부재(200)가 삽입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본체와 별도로 제조된 돌출부재(120)가 본체의 장착홈(110)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한다는 본 발명의 기본 취지를 달성하면서도, 상하방향 보강부재(200)에 의해 블럭구조물을 보강한다는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재(120)의 하면에는 고정부(122)가 돌출형성되고, 돌출부재 장착홈(110)의 저면에는 고정부(122)가 삽입고정되는 고정부 장착홈(112)이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돌출부재(120)의 고정부(122)를 장착홈(110)의 고정부 장착홈(112)에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돌출부재(120)의 정착을 이룰 수 있다.
도 5는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보강토 옹벽과 같이 철근 등의 전후방향 보강부재에 의해 블럭구조물이 보강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의 양측에 한 쌍의 돌부(1a,1b)가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재(12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123)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블럭구조물이 전후방향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블럭(100)의 상면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이 형성된 구조를 취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삽입홈부(123)가 형성된 돌출부재(120)가 블럭 본체의 장착홈(110)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0)의 상면에 돌부(1a,1b)와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이 동시에 형성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후방향 보강부재에 의한 보강이 필요한 경우, 블럭(10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의 양측에 한 쌍의 돌부(1a,1b)가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재 장착홈(110a,1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재(120)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재 장착홈(110a,110b)에 장착되도록 한 쌍의 돌출부재(120a,120b)로 구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0) 본체 상면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을 형성한다는 전제하에, 그 삽입홈(130)의 양측에 한 쌍의 돌출부재 장착홈(110a,110b)을 형성하고, 그 장착홈(110a,110b)에 한 쌍의 돌출부재(120a,120b)가 삽입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0)의 상면에 돌부(1a,1b)와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이 동시에 형성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제6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블럭(100)의 상면 심부에 +자 형상으로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50)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50)의 방사상 외측으로 복수개의 돌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재(12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123)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124)가 형성된 구조이다.
즉, 블럭구조물이 전후방향 보강부재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블럭(100)의 상면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50)이 형성된 구조를 취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삽입홈(123,124)이 형성된 돌출부재(120)가 장착홈(110)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삽입홈(130,150) 및 돌부가 모두 형성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제7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100)이 일반정렬방식에 의해 축조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고, 이하에서는 블럭(100)이 지그재그 방식에 의해 축조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배치된 한 쌍의 블럭(100)의 하면 접합부에 상기 요홈부(2)가 형성되도록, 상기 블럭(100)의 하면 양측에는 한 쌍의 요홈부(2a,2b)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블럭(100)이 지그재그 방식에 의해 축조되는 경우, 하층 블럭(100a)의 심부에 형성된 돌부(1)가 상층 블럭(100b)의 접합부와 만나게 될 것인 바, 그 접합부에 요홈부(2)가 형성될 수 있도록, 블럭(100)의 하면 양측에 한 쌍의 요홈부(2a,2b)가 형성된 구조를 취한 것이다.
도 10은 제8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경우도 블럭(100)이 지그재그 방식에 의해 축조되는 경우로서, 인접배치된 한 쌍의 블럭(100)의 하면 접합부에 상기 요홈부(2)가 형성되도록, 상기 블럭(100)의 양측에 한 쌍의 측방홈부(140a,140b)가 형성된 구조를 취한 것이다.
즉, 제7실시예에서는 블럭(100)의 접합부에 요홈부(2)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블럭(100)의 하면에 한 쌍의 요홈부(2a,2b)가 형성된 구조를 취한 것임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H형 블럭의 구조적 특성을 응용하여 그 측방홈부(140a,140b)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하면의 홈구조를 상기 요홈부(2)로 활용하고, 그 요홈부(2)에 하층 블럭(100a)의 돌부(1)가 삽입되는 구조를 취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제9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는 철제와 같이 블럭(10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에 의해 돌출부재(120)를 형성한 실시예로서, 상기 돌부(1)를 형성하는 뚜껑부(125)와;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장착되도록 상기 뚜껑부(125)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봉부(126)를; 포함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가 장착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블럭 구조물에 있어서, 가장 많은 응력이 집중되는 곳은 돌부(1)이므로, 이를 강재(철, 비철금속)나 플라스틱(PVC, FRP 등)과 같은 별도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뚜껑형 돌출부재(120a)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블럭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을 도모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럭구조물이 상하방향 보강부재(200)에 의해 보강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는 그 구조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형 돌출부재(120a)도 그 뚜껑부(125)의 심부에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27)이 형성되고, 지지봉부(126)의 내부에 상하방향 보강부재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상호 이종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블럭 본체와 돌출부재(120)의 상호 정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바, 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가지 수단을 제시한다.
첫째,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봉부(126)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뚜껑형 돌출부재(120a)가 블럭(100)의 장착홈(110)에 나사장착구조에 의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블럭(100)의 장착홈(110) 내주면에도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둘째,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뚜껑부(125) 하측에 예비 블럭 성형물 유입용 개구부(128)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0)의 제조과정에서 예비 블럭 성형물(100c)의 일부가 뚜껑부(125)의 내부공간을 충진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된 정착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셋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지지봉부(126) 및 돌출부재 장착홈(110)이 복수개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지지봉부(126)는 뚜껑부(125)의 가장자리부에 방사대칭구조로서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블럭(100)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두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첫째, 예비 블럭 형성물(100c)에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먼저 설치한 후, 압착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건배합에 의해 형성된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거푸집(20)에 삽입하고,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의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장착한다.
블럭(100)의 돌부(1)를 형성하기 위한 요홈부(11)가 하면에 형성된 압착기(10)에 의해 상부로부터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압착하는데, 이 과정에서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의 일부가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예비 블럭 성형물 유입용 개구부(128)를 통해 유입되므로, 자연스럽게 뚜껑부(125)의 내부공간이 충진된다.
이후, 소정의 시간, 압력, 온도 기타 조건 하에 양생을 실시함으로써, 안정된 정착구조의 블럭(100)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압착기(10)에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임시로 부착하고, 이를 일체로 하여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압착하는 방법이다.
건배합에 의해 형성된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거푸집(20)에 삽입하고, 블럭(100)의 돌부(1)를 형성하기 위한 요홈부(11)가 하면에 형성된 압착기(10)를 그 거푸집(20)의 상측에 설치한다.
압착기(10)의 요홈부(11)에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장착하고, 뚜껑형 돌출부재(120a)가 장착된 압착기(10)에 의해 상부로부터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압착함으로써,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예비 블럭 형성물(100c)에 정착함과 아울러,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예비 블럭 성형물 유입용 개구부(128)를 통해 상기 뚜껑부(125)의 내부공간을 충진시킨다.
이후, 소정의 시간, 압력, 온도 조건 하에 양생을 실시함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즉, 두번째 실시예는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의 상면에 별다른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압착함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려나게 되는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이 그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여분공간을 채움으로써 보다 안정된 정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틀 압착 방식에 의한 제조방식을 취하면서도, 돌부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축조된 블럭구조물이 지진 기타 유해한 외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블럭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제4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제5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제6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제7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제8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제9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제10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제1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뚜껑형 돌출부재의 횡단면도
도 15는 블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종래의 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6는 블럭의 축조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는 블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18은 블럭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돌부 2 : 요홈부
100 : 블럭 110 : 돌출부재 장착홈
111 :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 112 : 고정부 장착홈
120 : 돌출부재 120a : 뚜껑형 돌출부재
121 :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 122 : 고정부
123 :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 124 :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
125 : 뚜껑부 126 : 지지관부
127 :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홈 130 :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
140 : 측방홈부 150 :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
200 : 상하방향 보강부재

Claims (24)

  1. 하층에 설치되는 블럭(100a)의 상면에 형성된 돌부(1)와 그 상층에 설치되는 블럭(100b)의 하면에 형성된 요홈부(2)의 결합에 의해 블럭 구조물의 횡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블럭(100)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재 장착홈(110)과;
    하단부가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장착됨으로써 상단부가 상기 돌부(1)를 형성하는 돌출부재(120)를; 포함하는 블럭(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120)의 심부에 형성된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21)과;
    그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21)에 고정되는 상하방향 보강부재(200)와;
    상기 상하방향 보강부재(200)가 삽입설치되도록,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으로부터 상기 요홈부(2)로 연장형성된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1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120)의 하면에는 고정부(12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부(122)가 삽입고정되는 고정부 장착홈(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10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의 양측에 한 쌍의 돌부(1a,1b)가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재(12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100)의 상면 심부에 +자 형상으로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50)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50)의 방사상 외측으로 복수개의 돌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재(12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123) 및 좌우방향 보강부재 삽입홈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100)의 상면 심부에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의 양측에 한 쌍의 돌부(1a,1b)가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은 상기 전후방향 보강부재 삽입홈(13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재 장착홈(110a,1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재(120)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재 장착홈(110a,110b)에 장착되도록 한 쌍의 돌출부재(120a,12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100)이 지그재그 방식에 의해 축조된 상태에서, 인접배치된 한 쌍의 블럭(100)의 하면 접합부에 상기 요홈부(2)가 형성되도록, 상기 블럭(100)의 하면 양측에는 한 쌍의 요홈부(2a,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100)이 지그재그 방식에 의해 축조된 상태에서, 인접배치된 한 쌍의 블럭(100)의 하면 접합부에 상기 요홈부(2)가 형성되도록, 상기 블럭(10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측방홈부(140a,14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120)는
    상기 돌부(1)를 형성하는 뚜껑부(125)와;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장착되도록 상기 뚜껑부(125)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봉부(126)를; 포함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지지봉부(126) 및 돌출부재 장착홈(110)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지지봉부(126)는 상기 뚜껑부(125)의 가장자리부에 방사대칭구조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뚜껑부(125)의 심부에는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2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부(126)의 내부에는 상하방향 보강부재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부(12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25)의 하측에는 예비 블럭 성형물 유입용 개구부(1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재질은 강재 또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100).
  16. 제14항의 블럭(100)의 제조방법으로서,
    건배합에 의해 형성된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거푸집(20)에 삽입하는 거푸집설치 단계와;
    상기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의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장착하는 돌출부재 장착단계와;
    상기 블럭(100)의 돌부(1)를 형성하기 위한 요홈부(11)가 하면에 형성된 압착기(10)에 의해 상부로부터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압착함과 아울러,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예비 블럭 성형물 유입용 개구부(128)를 통해 상기 뚜껑부(125)의 내부공간을 충진시키는 압착 및 충진단계와;
    소정의 시간, 압력, 온도 조건 하에 양생을 실시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블럭(100)의 제조방법.
  17. 제14항의 블럭(100)의 제조방법으로서,
    건배합에 의해 형성된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거푸집(20)에 삽입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블럭(100)의 돌부(1)를 형성하기 위한 요홈부(11)가 하면에 형성된 압착기(10)를 설치하는 압착기 설치단계와;
    상기 압착기(10)의 요홈부(11)에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장착하는 돌출부재 장착단계와;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가 장착된 상기 압착기(10)에 의해 상부로부터 예비 블럭 형성물(100c)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를 예비 블럭 형성물(100c)에 정착함과 아울러, 상기 뚜껑형 돌출부재(120a)의 예비 블럭 성형물 유입용 개구부(128)를 통해 상기 뚜껑부(125)의 내부공간을 충진시키는 압착 및 충진단계와;
    소정의 시간, 압력, 온도 조건 하에 양생을 실시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블럭(100)의 제조방법.
  18. 제1항의 블럭(100)에 장착되는 돌출부재(120)로서,
    상기 돌부(1)를 형성하는 뚜껑부(125)와;
    상기 돌출부재 장착홈(110)에 장착되도록 상기 뚜껑부(125)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봉부(126)를; 포함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부(126) 및 돌출부재 장착홈(110)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부(126)는 상기 뚜껑부(125)의 가장자리부에 방사대칭구조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25)의 심부에는 상하방향 보강부재 삽입공(12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부(126)의 내부에는 상하방향 보강부재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부(12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25)의 하측에는 예비 블럭 성형물 유입용 개구부(1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
  24. 제18항에 있어서,
    재질은 강재 또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형 돌출부재(120a).
KR1020030077061A 2003-10-31 2003-10-31 블럭, 그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KR10059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061A KR100590601B1 (ko) 2003-10-31 2003-10-31 블럭, 그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061A KR100590601B1 (ko) 2003-10-31 2003-10-31 블럭, 그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231U Division KR200338696Y1 (ko) 2003-10-31 2003-10-31 블럭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788A true KR20050041788A (ko) 2005-05-04
KR100590601B1 KR100590601B1 (ko) 2006-06-20

Family

ID=3724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061A KR100590601B1 (ko) 2003-10-31 2003-10-31 블럭, 그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6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009A (ko) * 2006-09-06 2007-08-20 (주)관영이엔지 건축용 블럭 조립체
KR101410240B1 (ko) * 2014-04-09 2014-06-20 대흥우드산업(주) 폐목재를 활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제조 방법 및 원목 결합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009A (ko) * 2006-09-06 2007-08-20 (주)관영이엔지 건축용 블럭 조립체
KR101410240B1 (ko) * 2014-04-09 2014-06-20 대흥우드산업(주) 폐목재를 활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제조 방법 및 원목 결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0601B1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018B1 (ko)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연결시스템
KR100839602B1 (ko) 거푸집 패널용 스페이서
IT9015164U1 (it) Travetto modulare, componibile, in materia plastica ad elevata resiste nza, particolarmente per la realizzazione di griglie e tamponamenti pe donabili e carrabili.
KR100590601B1 (ko) 블럭, 그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KR200338696Y1 (ko) 블럭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KR100860064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20000067960A (ko) 분할가능한 스페이서 부재를 사용한 성형체 이어맞춤식 콘크리트
CN211058129U (zh) 一种装配式建筑钢筋砼构件
KR100626718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KR100469849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0545398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KR200450841Y1 (ko) 연결 앵커바의 양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유닛 삽입을 통한 부등침하 방지 구성의 프리캐스트 박스 암거 유닛의 접합구조
CN111119481A (zh) 3d打印构件的配筋结构及方法
JP3706476B2 (ja) 間隔保持用部材及びそれを含む型枠形成用部材
KR20080035787A (ko)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보강구
CN217949360U (zh) 一种装配式建筑可注浆拼接结构
KR200496776Y1 (ko) 콘크리트벽 층간 지수판
KR20050041773A (ko) 보강토 옹벽
KR20050041796A (ko) 보강토 옹벽
CN217897285U (zh) 一种抗压的路桥钢模板结构
KR200169443Y1 (ko) 콘크리트 폼 패널
KR200412746Y1 (ko) 거푸집 패널용 스페이서
CN208633243U (zh) 一种树脂混凝土u型排水沟
JP4587714B2 (ja) 住宅用残存化粧型枠及び住宅の基礎の施工方法
KR200339474Y1 (ko) 보강토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