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774A -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774A
KR20050041774A KR1020030077042A KR20030077042A KR20050041774A KR 20050041774 A KR20050041774 A KR 20050041774A KR 1020030077042 A KR1020030077042 A KR 1020030077042A KR 20030077042 A KR20030077042 A KR 20030077042A KR 20050041774 A KR20050041774 A KR 20050041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video
vehicle
audio
s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9898B1 (ko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898B1/ko
Publication of KR2005004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Abstract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유아 돌보기 시스템은, 차량 내에서 유아의 존재나 상태 판단하는 감지 장치 및 차량 내의 영상 및 음향 기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받아 영상 및 음향 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별도의 제어 장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를 동반 운전중 운전을 중단하게 됨으로써 겪는 불편을 상당 비율로 줄일 수 있고, 운전자의 주의 분산 및 사고 발생 문제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System for careing for kids i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유아 편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자동차는 생활의 필수적인 도구가 되고 있으며, 가족의 이동 수단으로 보편화되고 있다. 한편, 여성의 사회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유아의 보육을 주로 맡고 있는 여성이 유아를 동반한 채 승용차로 이동하는 일이 빈번해지고, 역으로 남성들도 유아만을 동반한 채 이동하게 되는 경우도 많이 생기고 있다.
유아를 동반하는 이동중에 운전자들을 가장 힘들게 하는 상황중의 하나는 유아가 갑자기 울음을 터트리거나 칭얼거리고 보채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 운전자는 말로 아이들을 달래거나 하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지만 유아가 다시 안정을 찾고 조용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특히, 유아는 뒷자석의 베이비 시트에 앉혀 있으므로 운전자는 유아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고, 운전을 해야하므로 손으로는 간단한 조작도 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
결국, 운전자는 운행을 잠시 중단하고 유아를 달래거나 필요한 조치를 하게 되며, 쉽게 운행을 중단할 수 없는 상황일 경우, 뒷 좌석의 유아에 대해 신경을 쓰게 되어 운행에 지장을 주고 심지어 사고의 위험까지 가지게 된다.
그런데, 유아들이 보채는 것은 상당 경우에 있어서 베이비 시트에 고정된 상태가 지속됨에 대한 지루함 때문이다. 또한, 유아들의 경우 다소 불쾌한 상태에 있더라도 주위를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는 수단이 있다면 불쾌한 감정에서 벗어날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승용차량에는 유아의 지루함을 달래주거나 주의를 환기시켜줄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운행자의 이러한 어려운 상황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아 동반 운전에서의 상술한 운전자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들의 운행중 지루함을 해소시킬 수 있고, 불쾌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주위를 환기시켜줄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아 돌보기 시스템은, 차량 내에서 유아의 존재나 상태 판단하는 감지 장치 및 차량 내의 영상 및 음향 기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감지 장치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받아 영상 및 음향 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별도의 제어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지 장치는 단순히 유아의 존재를 판단하는 감지 장치이거나, 유아의 상태, 가령, 유아의 울음을 감지하는 음향 센서로서 존재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비 시트에 장착되는 유아 탑승 여부 감지 센서일 수도 있으며, 이들이 모두 구비되어 하나의 조합을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차량 내의 영상 및 음향 기기로는 차량내 텔레비젼, 모니터,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CDP), 디지틀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DVDP), 라디오 튜너, 카세트테이프플레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영상 기기로서 레이져 포인터를 이용한 레이져 모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기기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적합한 조합을 이루고, 여러 감지 장치에 각각 대응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 장치가 별도로 구비될 경우, 제어 장치는 감지 장치의 신호를 받아 음향 기기나 영상 기기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제어 장치는 영상 기기나 음향 기기로 재생되는 내용이나 방송되는 채널의 순서를 프로그램하거나 조합을 이루는 영상 기기나 음향 기기 가운데 작동될 기기를 선택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나 펌웨어(firmware)를 가지는 콘트롤 박스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에 대한 운용 방법을 보면,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에 유아의 탑승 여부 및 상태를 각각 판단하는 단계, 유아의 탑승 및 상태 판단의 결과에 따라 차량 내의 음향 및 영상 기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유아의 탑승 여부 및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 이어 그 판단에 따라 기기 작동의 우선 순위 혹은 동시 수행을 결정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고 음향 기기 및 영상 기기는 그 결정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감지 장치로 유아 탑승 유무 감지센서(10) 및 유아의 울음이나 칭얼거리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음향 센서(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음향 및 영상 기기로는 통상의 차량용 음향 및 영상 기기 조합(40)과 레이져 모빌 장치(5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 시스템의 음향 및 영상 기기와 감지 장치를 이어주는 경로상에 제어 장치(30)가 구비된다.
이때, 음향 및 영상 기기로는 차량내 텔레비젼, 모니터,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CDP), 디지틀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DVDP), 라디오 튜너, 카세트테이프플레이어 등 현재 사용 가능한 모든 음향 기기 및 영상 기기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유아 탑승 여부 감지센서는 베이비 시트에 장치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베이비 시트 록(lock)에 설치되는 기계적 스위치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공간이 한정된 차량의 특성상 영상 기기의 모니터로는 LCD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아들이 손으로 만지거나 두드림에 의해 모니터면이 오염,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 판넬을 모니터면 위에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의 장착 위치는 베이비 시트가 부착되는 뒷자석에서 보기 편한 앞 좌석의 뒷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져 모빌 장치는 레이져 포인터를 이용하여 간단한 도형을 나타내거나 간단한 선이나 도형의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에 대한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에 시동을 걸거나 차량이 움직이면, 혹은 운전자가 유아 돌보기 시스템을 켜면 시스템이 시작된다(110). 그리고, 본 발명 시스템에서 유아 탑승 여부 감지 센서가 유아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낸다.
그러면, 감지 장치의 신호를 받은 제어 장치가 유아의 탑승 여부를 판단한다(120). 유아가 탑승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음성 및 영상 기기가 작동을 시작한다(130). 따라서, 미리 제어 장치를 통해 프로그램되거나 음성 및 영상 기기 자체에 프로그램된 음성과 영상이 유아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음성이나 영상은 유아가 평소에 좋아하는 교육자료, VTR로 녹화된 자기와 가족들의 모습, 음성, 동물이나 인기있는 캐릭터, 심리적 안정감을 줄수 있는 음악, 음향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아의 이상 징후, 가령, 울음 여부를 판단한다(140). 이때, 판단은 별도의 감지 장치, 즉, 음향 센서의 감지 신호로 판단한다. 음향 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는 한 음성 및 영상 기기의 작동 단계(130)가 계속된다. 이상은 통상적인 유아 탑승 모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유아 탑승 여부 감지센서와 조합을 이루며 구비된 음향 센서가 유아의 울음이나 칭얼거리는 소리가 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켜 유아 탑승 비상 모드를 운용하게 된다. 감지 신호는 제어 장치를 통해 좀더 유아의 주의를 끌수 있는 레이져 모빌 장치가 작동하도록 한다(150).
도3은 레이져 모빌 장치가 차량의 뒷부분에서 앞 좌석의 뒷면으로 레이져를 조사하여 도형을 나타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레이져 모빌 장치(60)가 작동하면 유아의 시선을 끌기 쉽도록 움직이는 레이져 영상을 유아의 앞쪽, 즉, 앞 좌석(80)의 뒷면에 보이도록 한다. 레이져 모빌 장치(60)는 레이져 포인터(63)를 이용하여 간단한 도형을 나타내거나 간단한 선이나 도형의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앞 좌석(80) 뒷면에 모니터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영상 형성이 가능한 것이다.
레이져 모빌 장치(60)가 구동될 때에는 제어 장치는 레이져를 이용하여 형성된 모빌에 유아가 집중할 수 있도록 통상의 영상 기기용 모니터는 꺼진 상태로 운용될 수 있다. 한편, 이때에도 음향 기기(70)는 유아가 좋아하는 음악을 계속 틀거나, 특이하고 재미있는 소리를 내도록 운용되면 레이져 모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유아 돌보기 시스템은 제어 장치에 프로그램된 선택사항을 통해 유아 탑승 비상 모드를 일정 시간 운영하면 타이머와 비교기를 이용하여 유아 탑승 일반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혹은, 유아의 선호에 따라 프로그램된 선택사항을 달리하여 유아 탑승 비상 모드를 계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아 돌보기 시스템에 따르면, 유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음향이나 영상을 제공하여 유아가 운행중 좋은 기분을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유아를 동반한 모든 운전자들이 운전중 유아의 울음이나 기타 불쾌감의 표시에 의해 운전을 여러 차례 중단하게 됨으로써 겪는 불편을 상당 비율로 줄일 수 있게 되며, 무엇보다도 유아의 울음 등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주의가 분산되고,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은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아 탑승 유무 감지 센서 20: 음향 센서
30: 제어 장치 40: 차량용 음향 및 영상 기기 조합
50,60: 레이져 모빌 장치 63: 레이져 포인터
70: 음향 기기 80: 앞 좌석

Claims (5)

  1. 차량 내에서 유아의 존재나 상태 판단하는 감지 장치; 및
    상기 감지 장치에서 발생된 신호를 직간접으로 받아 동작하는 차량 내의 영상 및 음향 기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에서 발생된 신호를 받아 상기 영상 및 음향 기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 장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감지 장치의 신호를 받아 상기 영상 및 음향 기기로 신호를 보내어 상기 영상 및 음향 기기로 재생되는 대상, 방송되는 채널의 순서 및 상기 영상 및 음향 기기 가운데 작동될 기기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혹은 펌웨어(firmwar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유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와 유아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및 영상 기기에는 레이져 포인터를 이용한 레이져 모빌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감지 장치에는 유아의 울음 감지를 위한 음향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레이져 모빌 장치는 상기 음향 센서가 감지 신호를 냄에 의해서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KR1020030077042A 2003-10-31 2003-10-31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KR10056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042A KR100569898B1 (ko) 2003-10-31 2003-10-31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042A KR100569898B1 (ko) 2003-10-31 2003-10-31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774A true KR20050041774A (ko) 2005-05-04
KR100569898B1 KR100569898B1 (ko) 2006-04-10

Family

ID=3724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042A KR100569898B1 (ko) 2003-10-31 2003-10-31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9136A2 (en) * 2007-07-12 2009-01-15 Leeds Marshall T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playback of personalized and non-personalized audio messag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9136A2 (en) * 2007-07-12 2009-01-15 Leeds Marshall T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playback of personalized and non-personalized audio messages
WO2009009136A3 (en) * 2007-07-12 2009-03-05 Marshall T Leeds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playback of personalized and non-personalized audio mess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898B1 (ko) 200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9207B1 (en) Entertainment and pacification system for car seat
US10532709B2 (en) Safety control system for vehicles
US6696943B1 (en) Video monitoring system for car seat
US7348889B2 (en) Baby car seat alarm system
US6809643B1 (en)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car seat
KR100291378B1 (ko) 졸음운전방지장치
US6310541B1 (en) Motor vehicle recorder system
US20070057780A1 (en) Apparatus for alerting a driver preparing to exit a mot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2003312342A (ja) 乗客モニタリング車両安全シート及びモニタリング装置
JP2006036012A (ja) 車酔い対策装置
JP2003025911A (ja) 車載用映像表示装置
KR100569898B1 (ko) 차량용 유아 돌보기 시스템
US20030194096A1 (en)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for an urban transit vehicle
JP2006295443A (ja) 音声出力制御装置および音声出力制御プログラム
JPH082321A (ja) 車両後退警報装置
WO2006109390A1 (ja) 覚醒度低下防止装置、覚醒度低下防止方法、覚醒度低下防止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10226314A (ja) シートベルト着用促進装置
JPH1133121A (ja) 脳波誘導持続装置
JP2005044060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US20060018489A1 (en) Advanced digital vehicle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having stop request chime capabilities
JPH08188124A (ja) 覚醒維持装置及び覚醒維持用記録媒体
EP0837619B1 (en) Sound transmission system
DE102019217594B4 (de) Kommunikations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JP2004123002A (ja) 画像表示装置
JPH01412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