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9418A -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9418A
KR20050039418A KR1020030074885A KR20030074885A KR20050039418A KR 20050039418 A KR20050039418 A KR 20050039418A KR 1020030074885 A KR1020030074885 A KR 1020030074885A KR 20030074885 A KR20030074885 A KR 20030074885A KR 20050039418 A KR20050039418 A KR 2005003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ain bod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74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9418A/ko
Publication of KR2005003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4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폴더부에 설치된 LCD를 본체에 대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게 구성된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LCD(121)가 장착된 폴더부(120)와 키패드(131)가 장착된 본체(130)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본체(130)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본체(130)의 측방향으로 선회하며, 상기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의 중간에 폴더부(120)가 힌지결합되어 선회하는 2축 힌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폴더부를 본체의 상부방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어 LCD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위치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넓게 또는 길게 볼 수 있고, 또한 하나의 힌지를 중심으로 폴더부를 본체에 대해 상부방향 및 측부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A Folder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Axis Hinge}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부에 설치된 LCD를 본체에 대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게 구성된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10)는 LCD(21)가 장착된 폴더부(20)와, 키패드(31)가 장착된 본체(30)를 포함하며, 이런 폴더부(20)와 본체(30)는 힌지(4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폴더부(20)가 본체(30)를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작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음성 및 영상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 이외에, 금융거래, TV시청, 영상 정보서비스(VOD), 사진촬영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에 따른 영상을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10)의 LCD(21)를 통해서도 출력 가능하지만, 폴더부(20)가 힌지(40)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만 선회하면서 펼쳐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세로방향의 LCD(21)만을 보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를 바닥에 위치하고 폴더부(20)를 세운 상태에서 사용자는 세로로 위치한 LCD(21)를 통해 세로방향의 영상만을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폭이 넓은 와이드 영상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LCD를 통해 영상을 봄에 있어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폴더부에 장착된 LCD가 본체에 대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게 구성하여 세로방향의 일반적인 영상 및 가로방향으로 넓은 와이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LCD가 장착된 폴더부와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측방향으로 선회하며, 상기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의 중간에 상기 폴더부가 힌지결합되어 선회하는 2축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2축 힌지는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로서, 절곡된 지점에서 일단까지의 제1 힌지부와 절곡된 지점에서 타단까지의 제2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힌지부의 길이방향 중간에 상기 폴더부가 힌지결합되고, 제2 힌지부가 상기 상기 본체의 측부에 힌지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힌지의 타단부 한 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한 지점 중에 어느 한 지점에는 압력감지부가 설치되고, 다른 한 지점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가 선회하면서 상기 압력감지부를 가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힌지의 타단부 한 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한 지점 중에 어느 한 곳에는 자기감지부가 설치되고, 다른 한 지점에는 자석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에는 래치가 상기 힌지의 타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래치가 삽입되는 홈이 상기 힌지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홈의 내부에는 상기 래치와 체결 및 분리되는 락커가 위치하며, 상기 락커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와의 체결을 분리하는 버튼이 상기 힌지의 타단을 관통해 상기 힌지의 외측에 돌출되며, 상기 홈의 안쪽에는 상기 락커를 상기 래치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설치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부가 제1 힌지부를 중심으로 선회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가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선회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2축 힌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안쪽면에 LCD(121)가 위치하고 안쪽면 상단부에는 스피커(123)가 위치한 폴더부(120)와, 안쪽면에 키패드(131)가 위치하고 하단부에 마이크로폰(133)이 위치한 본체(130)와, 본체(130)의 상단과 측면을 따라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폴더부(120)가 상부방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폴더부(120)와 본체(130)를 연결하는 2축 힌지(2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2에 보이듯이, 폴더부(120)를 상부방향으로 선회하여 펼치면 LCD(121)는 본체(130)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위치하고, 도 3에 보이듯이, 폴더부(120)를 측방향으로 선회하여 펼치면 LCD(121)는 본체(13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30)를 바닥에 위치한 상태에서 폴더부(120)가 본체(130)에 대해 측방향으로 선회하여 세워져 위치하면 LCD(121)는 본체(13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위치하여 넓은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2축 힌지(20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축 힌지(200)는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의 힌지몸체(201)를 가지며, 힌지몸체(201)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본체(130) 상단의 길이방향과 측면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아래에서는 힌지몸체(201)에 있어서, 본체(130) 상단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부위를 '제1 힌지부(210)'라 하고, 본체(130)의 측면방향에 대응하는 부위를 '제2 힌지부(220)'라 한다.
제1 힌지부(210)의 길이방향 중간에는 홈(213)이 형성되는데, 이 홈(213)에는 폴더부(120)의 하단에 형성된 제1 힌지케이스(125)가 삽입되며, 제1 힌지케이스(125)가 홈(213)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힌지홀더(215L, 215R)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제2 힌지부(220)의 제2 힌지케이스(225)는 본체(130)의 측면에 형성된 두 힌지홀더(135L, 135R)의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된다.
제1 힌지케이스(125)와 제2 힌지케이스(225)는 그 일단에 타원형의 홈(125H, 225H)이 형성되고, 제1 힌지케이스(125)와 제2 힌지케이스(225)의 홈(125H, 225H)에 제1 힌지축(211)과 제2 힌지축(221)이 각각 삽입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제1, 제2 힌지축(211, 221)의 양단 중에 일단은 마주하는 한 힌지홀더(135L, 215R)에 삽입되고, 다른 한 힌지홀더(135R, 215L)에 형성된 돌출부(137, 217)는 제1 힌지케이스와 제2 힌지케이스(125, 225)의 타단에 형성된 원형 홈에 삽입된다.
이런 제1, 제2 힌지축(211, 221)은 횡단면이 타원형태의 하우징(231)과, 하우징(231)의 개방부에 위치하여 하우징(231)의 내부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슬라이더(233)와, 하우징(231) 내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더(233)를 하우징(231)의 개방부 밖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스프링(도면에 도시안됨)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제2 힌지축(211, 221)은 그 길이가 슬라이더(233)의 이동에 따라 신축되며, 슬라이더(233)는 상기 힌지홀더(135L, 215R)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2축 힌지(200)에 의해 폴더부(120)는 제1 힌지축(211)을 중심으로 본체(130)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고, 제2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본체(130)에 대해 측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다.
한편, 제1 힌지부(210)의 저면에는 폴더부(120)가 본체(130)의 측방향으로 선회하지 못하도록 잠금하는 잠금부(250)가 설치된다.
잠금부(250)는 제1 힌지부(210)의 저면에 형성된 홈(251)과, 상기 홈(251)에 대응하여 본체(130)의 상면에서 돌출된 래치(252)와, 상기 홈(251)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25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래치(252)와 체결 및 분리되는 락커(253)와, 이런 락커(253)가 래치(252)에 체결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254) 및, 상기 코일스프링(254)의 탄성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락커(253)를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버튼(256)을 포함한다.
이런 잠금부(250)는 제1 힌지부(210)의 두 힌지홀더(215L, 215R) 중에서 자유단부 쪽에 위치한 힌지홀더(215R)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보이듯이, 자유단부 쪽의 힌지홀더(215R) 저면에 홈(도 3의 251)이 형성되고, 홈(251)의 내부에 락커(253)가 위치하며, 힌지홀더(215R)의 외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버튼(256)이 삽입되어 락커(253)와 접해 위치한다. 그리고 락커(253)를 기준으로 버튼(256)의 반대쪽에 코일스프링(254)이 위치하여 락커(253)를 버튼(256) 쪽으로 가압한다. 이런 락커(253)에는 관통공(252H)이 형성되어 래치(252)가 관통한다.
한편, 제1 힌지부(210)의 저면에는 스위치용 돌기(261)가 형성되고, 본체(130)에는 스위치용 돌기(261)에 대응하는 지점에 홈(262)이 형성되며 홈(262)의 내부에 압전체(263)가 위치하며, 이런 압전체(263)는 홈(262)에 스위치용 돌기(261)가 삽입되는지 또는 인출되는지를 감지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도면에 도시안됨)에 신호를 입력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작동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폴더부(120)가 상부방향으로 선회하여 LCD(121)를 세로방향으로 위치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폴더부(120)를 파지하고 상부방향으로 올려 선회한다. 그러면 폴더부(120)는 제1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선회하여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도 1의 10)와 같이 사용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LCD(121)를 가로방향으로 위치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버튼(256)을 누른 후에 잠금을 해제하고 폴더부(120)를 본체(130)의 측방향으로 선회한다.
사용자가 버튼(256)을 누르면 락커(253)는 코일스프링(25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락커(253)와 래치(252)의 체결은 해제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던 폴더부(120)를 본체(130)의 측방향으로 선회하면 폴더부(120)는 제2 힌지부(220)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런 폴더부(120)의 선회과정 중에 스위치용 돌기(261)는 홈(262)에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용 돌기(261)가 홈(262)에서 인출되면 압전체(263)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도면에서 도시안됨)로 전기적신호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압전체(263)에서 전기적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에서는 피봇기능을 구현하여 가로방향의 LCD(121)에 맞는 크기의 영상을 LCD(121)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본체(130)의 측방향으로 세워진 폴더부(120)에서는 와이드 영상이 출력된다. 여기에서 피봇기능이란, LCD를 90°회전함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이미지의 방향을 90°회전하여 출력하는 기술로서, 이런 피봇기능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며 상용화되고 있다. 따라서 피봇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펼쳐진 폴더부(120)를 사용자가 접을 경우에 스위치용 돌기(261)가 압전체(263)를 가압하게 되고, 제어부는 세로방향의 LCD(121)에 맞는 크기의 영상을 출력한다. 그리고 래치(252)는 락커(253)의 관통공(253H)에 삽입되어 위치함으로써, 힌지몸체(201)는 래치(252)에 체결 고정된다.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120)가 제1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경우와 제2 힌지부(220)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경우만을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폴더부(120)는 제1, 제2 힌지부(210, 220)를 중심으로 동시에 선회하는 2자유도를 갖는다.
한편 앞에서는 폴더부의 측방향으로 선회를 감지하기 위해 스위치용 돌기와 압전체를 구성하였으나, 압전체를 대신하여 온/오프스위치를 대신하거나 영구자석과 자기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폴더부의 측방향 선회를 감지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LCD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위치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넓게 또는 길게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하나의 힌지를 중심으로 폴더부를 본체에 대해 상부방향 및 측부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부가 제1 힌지부를 중심으로 선회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가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선회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2축 힌지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 이동통신단말기 20, 120 : 폴더부
21, 121 : LCD 30, 130 : 본체
200 : 2축 힌지 210 : 제1 힌지부
211 : 제1 힌지축 220 : 제2 힌지부
221 : 제2 힌지축 250 : 잠금부
252 : 래치 256 : 버튼
261 : 스위치용 돌기 263 : 압전체

Claims (5)

  1. LCD가 장착된 폴더부와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측방향으로 선회하며, 상기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의 중간에 상기 폴더부가 힌지결합되어 선회하는 2축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축 힌지는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로서, 절곡된 지점에서 일단까지의 제1 힌지부와 절곡된 지점에서 타단까지의 제2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힌지부의 길이방향 중간에 상기 폴더부가 힌지결합되고, 제2 힌지부가 상기 상기 본체의 측부에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타단부 한 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한 지점 중에 어느 한 지점에는 압력감지부가 설치되고, 다른 한 지점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가 선회하면서 상기 압력감지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타단부 한 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한 지점 중에 어느 한 곳에는 자기감지부가 설치되고, 다른 한 지점에는 자석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래치가 상기 힌지의 타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래치가 삽입되는 홈이 상기 힌지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홈의 내부에는 상기 래치와 체결 및 분리되는 락커가 위치하며, 상기 락커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와의 체결을 분리하는 버튼이 상기 힌지의 타단을 관통해 상기 힌지의 외측에 돌출되며, 상기 홈의 안쪽에는 상기 락커를 상기 래치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30074885A 2003-10-25 2003-10-25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39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885A KR20050039418A (ko) 2003-10-25 2003-10-25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885A KR20050039418A (ko) 2003-10-25 2003-10-25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418A true KR20050039418A (ko) 2005-04-29

Family

ID=3724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885A KR20050039418A (ko) 2003-10-25 2003-10-25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94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823B1 (ko) * 2003-08-14 2006-08-21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직교하는 두 회전축을 구비하는 힌지장치 및 휴대장치
KR100664174B1 (ko) * 2004-11-0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77381B1 (ko) * 2004-11-0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14512B1 (ko) * 2005-07-25 2007-05-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823B1 (ko) * 2003-08-14 2006-08-21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직교하는 두 회전축을 구비하는 힌지장치 및 휴대장치
KR100664174B1 (ko) * 2004-11-0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77381B1 (ko) * 2004-11-0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14512B1 (ko) * 2005-07-25 2007-05-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1715B1 (ko)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
JP3796222B2 (ja) 携帯型無線端末機
JP4883369B2 (ja) 携帯端末
US8725221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projection function
US76320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US8396520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with a tilting unit
WO2006030607A1 (ja) 携帯機器
US20060160582A1 (en)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EP175531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345703Y1 (ko)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64184B1 (ko) 듀얼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210288B2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20050039418A (ko)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4043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유동방지장치
KR1013280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419957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1012186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JP2003018261A (ja) 携帯型端末機
KR101404739B1 (ko) 폴더타입 휴대 단말기
US7557856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hooting device and manual focus switch ring that is engaged with shooting device holder in housing
KR100572105B1 (ko)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KR101595358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2594B1 (ko) 휴대 단말기
KR101354399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