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306A -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306A
KR20050036306A KR1020030071940A KR20030071940A KR20050036306A KR 20050036306 A KR20050036306 A KR 20050036306A KR 1020030071940 A KR1020030071940 A KR 1020030071940A KR 20030071940 A KR20030071940 A KR 20030071940A KR 20050036306 A KR20050036306 A KR 20050036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ller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elast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6306A/ko
Publication of KR2005003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30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이미지형성장치용 롤러는 그 내부가 중공의 상태를 이루는 축과; 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층을 포함하며, 축은 원통형의 파이프 또는 다각형 파이프로 구성된다. 축의 연결은 축연결부가 마련된 캡이 축의 양단에 삽입되거나 또는 탄성층이 축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그 양단에 축지지부재가 직접 지지되는 것에 의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롤러{ROLL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의 축을 개선하여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꾀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전사방식의 화상형성장치(1)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에 사용된다. 그 화상형성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10)을 구비하고, 그 감광드럼(10)의 외주에 일정전위로 대전되는 대전롤러(11)와,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12)과, 토너를 부착시켜서 가시상을 얻는 현상롤러(13)와, 감광체의 토너상을 기록지에 찍는 전사롤러(15) 및 클리닝롤러(16)등이 배설된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1)는 현상롤러(13)의 외주면에 마찰대전토너를 박층형태로 담지해서 그곳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가시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에서는 복수개의 롤러(부호30으로 통칭함) 등이 채용된다. 그 구체적 구성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31)과, 그 외주면에 설치된 탄성체(33)로 구성된다. 상기 축(31)은 통형의 심체로서 양단에 결합을 위한 축연결부(31a)가 단 가공되어 형성된다.
최근 롤러(30)의 사이즈가 확대되는 추세로 가는데 이때, 상기 탄성체(33)의 가격이 높으므로 축(31)의 직경을 확대시키고 축(3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탄성체(33)의 두께는 소정의 두께를 유지시키며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축(31)은 그 내부가 꽉 착 통형체로 제작됨에 따라 재료비가 많이 들고 롤러(30)의 무게를 무겁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축(31)의 양단에 축연결부(31a)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절삭 가공 등을 통하여 단 가공을 실시함에 따라 가공작업이 번거롭고 가공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의 축을 개선하여 재료비를 절감시키고 롤러를 경량화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내부가 중공의 상태를 이루는 축과; 상기 축의 양단을 커버하는 캡과; 상기 축의 외주에 형성된 탄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롤러를 제공한다.
상기 축은 원형파이프 또는 다각형파이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축의 외주에는 탄성층의 접촉력을 증대시키도록 홈부를 추가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에는 고정키가 형성되고, 상기 축에는 상기 고정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 4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50)는 그 내부가 중공의 상태를 이루는 원통형의 축(51)을 이루며 축(51)의 양단에는 축연결부(53a)가 마련된 캡(53)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캡(53)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경이 상기 축(51)의 외경과 적어도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그 내면에는 상기 축(51)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53b)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캡(53)이 축(51)으로부터 회전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캡(53)의 일측에 고정키(53)를 마련하고, 상기 축(51)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키(53d)가 삽입되는 키홈(51a)을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53)은 몰드(Mold) 제작되어 그 전체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캡(53)에 의해 양단이 마감된 축(51)의 외주에는 탄성층(55)이 마련된다. 상기 탄성층(55)은 캡(53)으로 마감된 축(51)을 소정의 금형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유동체의 탄성재료를 주입시켜 고형화시켜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따라 상기 탄성층(55)이 축(51)과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축(51)의 외주면에는 홈부(51b)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홈부(51b)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축(5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예로 도시하였다.
다음 도 8 및 도 9는 상기 축(51)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그 제작은 평판 형태의 부재를 프레스 가공(PRESS WORKING)하는 것에 의한다.(도8,9에서 축은 각각 51′,51″로 탄성층은 55′,55″로 각각 명기함.)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에서는 캡(53)에 형성된 축연결부(53a)를 통해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을 달리하여 축(51)의 양단이 직접 축지지부재(60)에 의해 접촉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그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축(51)의 외주면에 형성된 탄성층(55)이 상기 축(51)의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d) 떨어진 거리만큼 형성된다. 그 후 상기 탄성층(55)이 형성되지 않은 축(51)의 양단은 축지지부재(60)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 회전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축지지부재(60)는 U자형상으로 한정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축(51)을 관통시켜 지지하도록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축(51)형상이 다각형인 경우 그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롤러의 축을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롤러의 무게를 줄임과 아울러 제작단가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용 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A-A를 따른 단면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축을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의 B-B를 따른 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4의 C-C를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의한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롤러 51 : 축
51a : 키홈 51b : 홈
53 : 캡 53a : 축연결부
53b : 삽입부 53d : 고정키
55: 탄성층 60 : 축지지부재

Claims (5)

  1. 그 내부가 중공의 상태를 이루는 축;
    상기 축의 외주에 형성된 탄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양단에는 상기 축의 양단을 커버함과 아울러 축연결부가 마련된 캡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은 상기 축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축의 양단이 축지지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원형파이프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외주에는 탄성측의 접촉력을 증대시키도록 홈부가 추가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KR1020030071940A 2003-10-15 2003-10-15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KR20050036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940A KR20050036306A (ko) 2003-10-15 2003-10-15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940A KR20050036306A (ko) 2003-10-15 2003-10-15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306A true KR20050036306A (ko) 2005-04-20

Family

ID=3723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940A KR20050036306A (ko) 2003-10-15 2003-10-15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63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753B1 (ko) * 2005-06-29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롤러 및 이를 구비한 현상 카트리지
KR101070330B1 (ko) * 2010-05-06 2011-10-06 자화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의 롤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753B1 (ko) * 2005-06-29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롤러 및 이를 구비한 현상 카트리지
KR101070330B1 (ko) * 2010-05-06 2011-10-06 자화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용 현상기의 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85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roximity charger roller
JPH08328280A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の円筒状支持体
JP2012088687A (ja) 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20050036306A (ko) 화상형성장치의 롤러
US8311450B2 (en) End cover part,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image carrier, image forming assemb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691588B1 (en) Magnet roller and developing device
JPH06348121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0196637A (ja) 導電性ローラ
JPH0443900Y2 (ko)
US20030108363A1 (en) Developing roll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1184879A (ja) マグネッ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67374A (ja) 感光体ドラムのための駆動装置
JP4000204B2 (ja) 歯車及び歯車支持機構
JP3268519B2 (ja) 感光体ドラムの装着機構
JP3440440B2 (ja) 感光体ドラム
JPS609799Y2 (ja) 静電記録用磁石ロ−ル
JPH03265878A (ja) 画像形成装置の円筒組立体
JPH0543175U (ja) 電子写真感光体
JPH0443899Y2 (ko)
JPH06332317A (ja) 現像装置
JPH0772641A (ja) 像担持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71674A (ja) プロセスユニット
JP2543658Y2 (ja) 画像形成装置の像担持回転体
JPH02753Y2 (ko)
JPS62394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