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667A - 공조 덕트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공조 덕트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667A
KR20050035667A KR1020030071384A KR20030071384A KR20050035667A KR 20050035667 A KR20050035667 A KR 20050035667A KR 1020030071384 A KR1020030071384 A KR 1020030071384A KR 20030071384 A KR20030071384 A KR 20030071384A KR 20050035667 A KR20050035667 A KR 2005003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lattice
panel
splitter member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363B1 (ko
Inventor
김유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엔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엔시스
Priority to KR10-2003-007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3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5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using reso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 덕트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덕트(1)의 내부에 장착되며, 양측면에 각각 다수의 미세구멍(12)이 뚫려있고,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공명실(11)이 형성된 스프리터부재(10)와, 판형상으로 상기 스프리터부재(10)의 공명실(11)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이 공명실(11)을 좌, 우 공명실(11a)(11b)로 구획하는 가로판재(20)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공기층을 형성하는 일정한 형상의 격자부(31)가 반복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판재(20)에 의해 구획된 좌, 우 공명실(11a)(11b)에 삽입되어 충전되는 격자판넬(30)로 구성되어, 유리섬유나 암면, 폼(foam)등의 흡음재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형상의 격자부(31)가 반복배열된 격자판넬(30)을 미세구멍(12)이 형성된 스프리터부재(10)에 충전하여 흡음력을 증대시키므로 기존의 흡음재와 같이 비산되어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분진을 발생시키지 않아 특정 상황에 적용할 수 없는 부분들에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프리터부재(10)의 좌, 우 공명실(11a)(11b)에 각각 격자판넬(30)과 이 격자판넬(30) 사이에 삽입되는 다공판넬을 다수로 적층시켜 충전하므로서, 광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격자판넬(30)이 강력한 구조적 힘과 굽힘강도를 가져 스프리터부재(10) 및 덕트(1)의 강성을 보강하여 그 수명과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흡음판넬은 친환경적이고, 상품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공조 덕트용 소음기{Silencer for Air Conditioning Duct}
본 발명은 공조 덕트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흡음재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구멍이 뚫린 다공판넬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복 하여 장착하고, 이 다공판넬의 사이에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자부가 형성된 격자판넬로 덕트내에서 소음을 흡음하여 흡음효과를 증대시키고,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분진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가지도록 한 다음 요구되는 건물의 실내로 공급해 주기 위한 설비이다.
그리고, 상기 공조기에서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가지도록 변화된 외부공기는 덕트를 통해서 건물의 실내로 공급되며, 실내로부터 밀려나가는 공기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별개의 덕트를 통해서 공조기로 되돌아가 외기와 혼합되어 다시 조화공기가 되어 실내로 보내지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덕트는 공조기에서 순환되는 외부공기의 통로 역할을 구조물로서, 그 내부에 공기가 순환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소음기를 장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소음기는 덕트 내부에 스프리터를 삽입하여 제작하고 있으며, 이 스프리터의 내부는 두개의 다공판과 판부재 사이에 흡음재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음재로는 무기질 재료로 연속 기포로 구성된 구조의 다공질성 유리섬유나, 암면, 또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스텔과 같은 유기질 재료로 만들어진 폼 종류의 발포성 흡음재를 사용하여, 소리가 흡음재에 입사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하면서 소멸되어 흡음되는 것이다.
또한, 근래에는 유리섬유 재질의 흡음재는 불연재이면서 발포성 흡음재에 비하여 중, 고주파대역에서의 흡음율이 높고 가격도 저렴하여 주로 사용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소음기는 스프리터 내부에 유리섬유나 각종 폼류의 발포성 흡음재를 사용하므로 저주파 대역에서의 흡음율이 낮아 63㎐에서 250㎐까지의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소음 감쇠 효과가 떨어져 흡음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유리섬유나 암면 재질의 흡음재는 덕트 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침식되어 인체에 유해한 분진이 비산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폼류의 발포성 흡음재의 경우에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화학성분에 의해 부식되어 부서지면서, 분진이 발생되고 발생된 분진은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에 의해 비산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 흡음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입자가 실내로 유입되어 호흡을 통해 인체에 누적되어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키고, 청정한 환경을 요하는 반도체 공장이나 설비시스템에서는 흡음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입자가 제품의 생산 및 시스템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어 이러한 청정을 요하는 설비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한 흡음재를 충전하지 않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스프리터를 내부에 삽입하여, 공명원리를 이용하여 흡음효과를 발생시키는 소음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단순히 스프리터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과 스프리터 내부의 단일 공기층을 이용하여 음을 저감하므로 소음기 자체의 흡음율이 크지 않아 흡음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리터의 내부에 다공판넬과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자판넬을 다층으로 적층시켜 충전하여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흡음성능이 우수하며, 인체에 유해한 분진을 발생하지 않아 실내를 청정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덕트용 소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1)의 내부에 장착되며, 양측면에 각각 다수의 미세구멍(12)이 뚫려있고,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공명실(11)이 형성된 스프리터부재(10)와;
판형상으로 상기 스프리터부재(10)의 공명실(11)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이 공명실(11)을 좌, 우 공명실(11a)(11b)로 구획하는 가로판재(20)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공기층을 형성하는 일정한 형상의 격자부(31)가 반복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판재(20)에 의해 구획된 좌, 우 공명실(11a)(11b)에 삽입되어 충전되는 격자판넬(3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양측에 다수의 미세구멍(12)이 형성된 스프리터부재(10) 내부에 가로판재(20)에 의해 구획된 좌, 우 공명실(11a)(11b)에 격자판넬(30)이 삽입 충전되어, 소음을 발생하는 공기가 상기 미세구멍(12)을 통하여 좌, 우 공명실(11a)(11b)로 유입되면 이 좌, 우 공명실(11a)(11b)에 충전된 격자판넬(30)의 격자부(31)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에서 소음이 공명되어 흡음효과를 발생하게 되고, 광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을 흡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인 공조 덕트용 소음기의 스프리터부재 내부에 가로판재로 구획된 좌, 우 공명실 내부에 격자판넬이 다수로 적층되어 충전되고, 이 격자판넬의 사이에는 다공판재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인 공조 덕트용 소음기가 덕트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덕트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2 의 A - A' 단면도로서, 본 발명인 공조 덕트용 소음기가 덕트내에서 장착된 상태에서 그 내부구조를 요부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1) 내부에 장착되어 이 ㅁ덕트(1)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는 스프리터부재(10)는 좌, 우 양측면에는 다수의 미세구멍(12)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스프리터부재(10)의 몸체 내부에는 후술될 가로판재(20)에 의해 좌, 우 공명실(11a)(11b)로 구획되는 공명실(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리터부재(10)는 공기가 유입되는 몸체 전면부를 반원 또는 반타원형으로 형성하고, 공기가 배출되는 몸체 후면부를 V형으로 형성하여 덕트(1)내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한다.
또한, 상기 스프리터부재(10)의 공명실(11)에는 가로판재(20)가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이 공명실(11)을 좌, 우 공명실(11a)(11b)로 구획하고, 좌, 우 공명실(11a)(11b) 사이에서 소음 및 공기가 서로 왕래하지 않도록 차단한다.
한편, 상기 스프리터부재(10)의 좌, 우 공명실(11a)(11b)에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유지하는 일정형상의 격자부(31)가 다수로 반복 배열된 격자판넬(30)이 삽입되어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격자판넬(30)의 격자부(31)는 사각형상 또는 육각형의 벌집형상 중 어느 한가지로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격자판넬(30)은 다수개로 적층되어 좌, 우 공명실(11a)(11b)에 각각 삽입되고, 이 다수로 적층된 각각의 격자판넬(30) 사이에는 다수의 공명구멍(41)이 형성된 다공판재(40)가 삽입된다.
또, 상기 다공판재(40)는 두께 0.3 ∼ 1mm 의 강판을 사용하고, 이 다공판재(40)에 형성된 공명구멍(41)은 직경을 1 ∼ 2.5mm로 형성하고, 기공율을 2.5% 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덕트(1) 내부에 공기가 흐르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스프리터부재(10) 내부의 좌, 우 공명실(11a)(11b)로 미세구멍(12)을 통하여 유입되면, 이 좌, 우 공명실(11a)(11b)에 삽입된 격자판넬(30)의 격자부(31)에 형성된 각각의 공기층에서 헬멀츠 공명기(Helmholz Resonator)의 원리를 이용하여 음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정형태의 격자부(31)가 반복 배열된 격자구조의 격자판넬(30)에 격자부(31)내의 공간은 격자가 없는 큰 공기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것보다 공명현상이 잘 이루어져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흡음력을 높여주고, 전체적인 흠음력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리터부재(10)의 좌, 우 공명실(11a)(11b)에 상기 격자판넬(30)과 다공판재(40)를 다수로 적층하여 충전시키므로, 광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광대역 주파수 범위에서 흡음률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격자판넬(30)과 다공판재(40)를 다수로 적층하는 적층수는 가변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비의 발생소음 주파수 특성에 부합되도록 설계하여 공정이나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격자판넬(30)은 일정형상의 격자부(31)가 반복배열로 이루어져 초경량이면서 강력한 구조적 힘과 굽힘강도를 가져 스프리터부재(10)의 강성을 보강하며, 유리섬유나 암면등의 흡음재를 사용할 경우 발생되는 분진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자판넬(30)은 특수 불연 코팅된 종이 재질을 사용하여 화재가 발생 될 경우 화염과 특수 불연 코팅된 종이의 화학반응에 의해 격자부(31)가 막히면서 화염을 억제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유리섬유나 암면, 폼(foam)등의 흡음재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형상의 격자부가 반복배열된 격자판넬을 미세구멍이 형성된 스프리터부재에 충전하여 흡음력을 증대시키므로 기존의 흡음재와 같이 비산되어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분진을 발생시키지 않아 특정 상황에 적용할 수 없는 부분들에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프리터부재의 좌, 우 공명실에 각각 격자판넬과 이 격자판넬 사이에 삽입되는 다공판넬을 다수로 적층시켜 충전하므로서, 광대역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격자판넬이 강력한 구조적 힘과 굽힘강도를 가져 스프리터부재 및 덕트의 강성을 보강하여 그 수명과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흡음판넬은 친환경적이고, 상품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인 공조 덕트용 소음기가 덕트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 - A'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덕트 10 - 스프리터부재
11 - 공명실 12 - 미세구멍
20 - 가로판재 30 - 격자판넬
31 - 격자부 40 - 다공판재
41 - 공명구멍

Claims (3)

  1. 덕트(1)의 내부에 장착되며, 양측면에 각각 다수의 미세구멍(12)이 뚫려있고,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공명실(11)이 형성된 스프리터부재(10)와;
    판형상으로 상기 스프리터부재(10)의 공명실(11)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이 공명실(11)을 좌, 우 공명실(11a)(11b)로 구획하는 가로판재(20)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공기층을 형성하는 일정한 형상의 격자부(31)가 반복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판재(20)에 의해 구획된 좌, 우 공명실(11a)(11b)에 삽입되어 충전되는 격자판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덕트용 소음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리터부재(10)는 공기가 유입되는 몸체 전면부를 반원 또는 반타원형으로 형성하고, 공기가 배출되는 몸체 후면부를 V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덕트용 소음기.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넬(30)은 다수개로 적층되어 좌, 우 공명실(11a)(11b)에 각각 삽입되고, 이 다수로 적층된 각각의 격자판넬(30) 사이에는 다수의 공명구멍(41)이 형성된 다공판재(40)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덕트용 소음기.
KR10-2003-0071384A 2003-10-14 2003-10-14 공조 덕트용 소음기 KR10053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384A KR100530363B1 (ko) 2003-10-14 2003-10-14 공조 덕트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384A KR100530363B1 (ko) 2003-10-14 2003-10-14 공조 덕트용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667A true KR20050035667A (ko) 2005-04-19
KR100530363B1 KR100530363B1 (ko) 2005-11-22

Family

ID=3723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384A KR100530363B1 (ko) 2003-10-14 2003-10-14 공조 덕트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3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689B1 (ko) * 2005-12-08 2007-07-04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공조 덕트용 소음기
KR100746078B1 (ko) * 2005-11-22 2007-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의 덕트
KR100924372B1 (ko) * 2009-07-16 2009-10-30 유노빅스이엔씨(주) 광대역 소음기
CN103453649A (zh) * 2013-09-06 2013-12-18 苏州岸肯电子科技有限公司 消声室隔音通风机构
KR20180095475A (ko) * 2018-06-19 2018-08-27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스플리터 및 이를 포함하는 소음기
CN108458467A (zh) * 2017-02-17 2018-08-28 S.I.Pan公司 分离器以及包括该分离器的消声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72B1 (ko) 2008-12-02 2011-03-23 (주)엔에스브이 음파의 간섭과 팽창 현상을 이용한 환기용 소음기
KR101016601B1 (ko) 2008-12-02 2011-02-22 (주)엔에스브이 음파의 공명과 팽창 현상을 이용한 환기용 소음기
KR100924958B1 (ko) * 2009-06-04 2009-11-06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공명형 스플릿터를 구비한 공조용 덕트 소음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078B1 (ko) * 2005-11-22 2007-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의 덕트
KR100735689B1 (ko) * 2005-12-08 2007-07-04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공조 덕트용 소음기
KR100924372B1 (ko) * 2009-07-16 2009-10-30 유노빅스이엔씨(주) 광대역 소음기
CN103453649A (zh) * 2013-09-06 2013-12-18 苏州岸肯电子科技有限公司 消声室隔音通风机构
CN103453649B (zh) * 2013-09-06 2016-06-29 苏州岸肯电子科技有限公司 消声室隔音通风机构
CN108458467A (zh) * 2017-02-17 2018-08-28 S.I.Pan公司 分离器以及包括该分离器的消声器
US10508828B2 (en) 2017-02-17 2019-12-17 S.I.Pan Splitter and sound attenuator including the same
CN108458467B (zh) * 2017-02-17 2020-11-10 S.I.Pan公司 分离器以及包括该分离器的消声器
KR20180095475A (ko) * 2018-06-19 2018-08-27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스플리터 및 이를 포함하는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363B1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5859B2 (ja) 車体パネル構造体
CN108458467B (zh) 分离器以及包括该分离器的消声器
JP5237583B2 (ja) 熱音響エンクロージャ及び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組立体
KR100530363B1 (ko) 공조 덕트용 소음기
ES2781870T3 (es) Campana extractora de vapores
RU2639759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я панель
BRPI0910982B1 (pt) Painel de isolamento acústico
EP0697051A1 (de) Unterdecke
KR20040063015A (ko) 흡음 판넬
JP2015187632A (ja) 吸音材
RU2715727C1 (ru) Низкошумное техническое помещение
JP2010085818A (ja) 吸音材
KR200418061Y1 (ko) 친환경 저소음 환기장치
JP2010111347A (ja) 吸音構造体及び音響室
JP2008076870A (ja) 吸音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音構造
WO1994024382A1 (de) Unterdecke
RU2716043C1 (ru) Низкошумное техническое помещение
KR100960712B1 (ko) 덕트형 소음기
JP6635836B2 (ja) 圧力変動低減構造
WO2018179485A1 (ja) 防音パネル
JP6635837B2 (ja) 立坑構造
KR101458116B1 (ko) 연질 막형 흡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설
JP2007198679A (ja) ダクト部品及びダクト構造
KR100392426B1 (ko) 덕트용 흡음형 소음 감쇠장치
RU2599214C1 (ru) Пластинчатый глушитель шума с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ми пластин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