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859A -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 Google Patents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859A
KR20050032859A KR1020030068840A KR20030068840A KR20050032859A KR 20050032859 A KR20050032859 A KR 20050032859A KR 1020030068840 A KR1020030068840 A KR 1020030068840A KR 20030068840 A KR20030068840 A KR 20030068840A KR 20050032859 A KR20050032859 A KR 20050032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ixed
cylinder
chok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763B1 (ko
Inventor
안춘근
정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6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7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양측면에 대칭되는 형태로 결합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하단에 고정되고, 두개로 분할되며, 그 분할된 부분은 고정블록에 의해 서로 이동가능하게 구속되는 형태로 마련된 롤암과; 상기 롤암의 각 상단에 핀고정되어 분할된 부분을 서로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체결된 암구동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하로 관통하여 배설된 한쌍의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면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판과; 상기 승하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단부에 고정된 작동블록과; 상기 작동블록의 양측면에 결속되고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단면에 가이드롤의 개재하여 마련된 선회레일과; 상기 선회레일을 관통하여 배치된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체결된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용 롤통의 작업시 작업자가 원하는 정확한 쵸크의 회전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회레일을 따라 쵸크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여 롤의 전,후방부에서의 비틀림현상이 없어 롤암에 가해지는 하중을 없앨 수 있어 작업효율 향상, 안정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ROLL TONG'S DEIVCE WITH ROTATABLE ROLL CHOCK}
본 발명은 제철설비에서 사용되는 롤을 안정적으로 취급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전용 천정크레인에 창작되어 사용하는 롤 이송용 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 작업후 롤 정비공장으로 반입된 롤의 피로층을 제거하기 위해 연마기로 이동시 쵸크와 연마기와의 구조적인 차이로 인한 쵸크의 회전작업이 난이한 부분을 단독 작업자가 다양한 종류의 쵸크 및 롤을 간단한 조작으로 운반할 수도 있고, 쵸크나 롤의 비틀림없이 구조적으로도 안전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압연이라 함은 연주공장에서 제조한 슬라브를 가열로에 장입하고 열연공정에서 압연가능한 온도까지 가열 및 균열하여 제품화되기에 최적의 온도가 이루어지면 가열로에서 추출한 후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에 끼우고 롤의 간격을 점차 좁히면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통상, 상기 롤은 복수개의 작업롤과 보강롤을 갖춘 열연 공장의 롤과, 작업롤 및 보강롤과 그 사이에 중간롤을 갖추어 작업하는 냉연공장의 롤 등이 있으며, 이밖에도 여러가지 공정에 사용되는 다수의 롤이 있다.
이러한 롤은 장시간 작업에 따른 피로 및 마모로 인하여 일정시간 압연작업후 롤 정비공장으로 운반하여 롤 표면의 피로층을 제거하기 위해 연마작업을 실시하거나 새로운 롤로 교체를 하여야만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갖는 롤을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전용 천정크레인에 장착되는 통(TONG)의 종류는 빔타입, 와이어로프타입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나 롤을 연마가공하기 위하여 연마기에 셋팅작업시 쵸크의 날개로 인해 연마기와 충돌할 위험이 높아 쵸크를 90°회전시켜 연마작업을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쵸크를 90°회전시키는 작업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쵸크의 일측 날개에 걸어 회전시키는 방법과 상부에서 내려오는 실린더의 힘으로 쵸크의 일면을 눌러 회전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쵸크의 정확한 회전이 되지 못하며 쵸크의 회전시 롤 전체적으로 전,후방이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롤을 잡고 있는 통의 암에 비틀림 하중을 가하는 문제가 있고, 무엇보다도 작업자가 원하는 쵸크의 정확한 회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압연롤 쵸크 회전장치(특허출원 1994-35438)나 도 2와 같은 롤 쵸크 선회장치(특허출원 1997-9636)가 개시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도 실린더와 와이어로프(3)를 이용한 회전상의 문제점을 효과있게 해결하지 못하여 현장 적용시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고, 무엇보다도 쵸크(2)의 회전에 따른 롤(1)의 비틀림현상과 롤(1)을 잡고 있는 롤통의 암에 가해지는 하중을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선회레일과 롤을 파지하기 위한 링크암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실린더와 쵸크를 지지고정한 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정확히 회전 또는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그러한 형태의 롤통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양측면에 대칭되는 형태로 결합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하단에 고정되고, 두개로 분할되며, 그 분할된 부분은 고정블록에 의해 서로 이동가능하게 구속되는 형태로 마련된 롤암과; 상기 롤암의 각 상단에 핀고정되어 분할된 부분을 서로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체결된 암구동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하로 관통하여 배설된 한쌍의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면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판과; 상기 승하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단부에 고정된 작동블록과; 상기 작동블록의 양측면에 결속되고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단면에 가이드롤의 개재하여 마련된 선회레일과; 상기 선회레일을 관통하여 배치된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체결된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장치중 몸체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장치중 회전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9는 본 발명 장치중 몸체부 및 회전부 각각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 장치는 전체적인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몸체부와 롤을 중심으로 쵸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로 대별된다.
몸체부에는 도 3 내지 도 6의 도시와 같이, 베이스블록(100)이 구비되고, 이 베이스블록(100)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한쌍의 고정프레임(110)이 부착된다.
고정프레임(110)의 상단면 일부에는 이를 상하로 관통하여 배설되는 승하강실린더(120)가 고정되며, 베이스블록(100)의 하단면에는 링크암(130)에 의해 구속되며 상호 슬라이딩가능한 형태로 롤암(140)이 구비된다.
상기 롤암(140)은 집게형태의 것으로 그 하단 내면 즉,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롤죠(142)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롤암(140)의 각 상단에는 힌지축(144,146)이 돌설되고, 이들에는 각각 암구동실린더(150)의 몸체 및 실린더로드 단부가 핀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롤암(140)의 길이 일부에는 그 양측면을 관통하여 관통공(148)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48)에 고정블록(160)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블록(160)은 고정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양측면에는 각각 그 직하방을 향해 쵸크지지실린더(170)가 배설된다.
따라서, 상기 롤구동실린더(150)의 전후진동작에 의해 롤암(140)이 고정블록(160)을 기준으로 좌우이동, 즉 서로 좁혀지거나 펼쳐지면서 롤죠(142)를 통해 롤(ROLL)을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회전부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승하강실린더(120)의 실린더로드에는 작동블록(210)이 고정되고, 이 작동블록(210)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지지플레이트(200)가 고정되는데 이 지지플레이트(200)는 고정프레임(110)의 하단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가이드판(220)을 관통한 고정축(230)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가이드판(220)에는 종방향으로 긴 다수의 가이드홈(222)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축(230)은 이 가이드홈(222)을 따라 승하강가능한 형태를 취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작동블록(2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축(230)은 일단에 머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볼트공이 마련된 다소 긴 길이의 부재로서 고정원판(232)이 개재된 상태로 볼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고정구조를 이룰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하단 양측에는 다수의 가이드롤(24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240)은 선회레일(250)의 롤홈(252)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으면서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선회레일(250)은 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외주면 일측단에는 일정길이의 래크(254)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래크(254)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하단 일측에 고정된 구동모터(260)의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262)과 치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회레일(250)을 관통하여 대략 90도를 두고 한쌍의 회전실린더(270)가 고정되는데 이 회전실린더(270)는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실린더(270)의 실린더로드는 상기 선회레일(250)을 관통한 후 그 단부에 지지판(280)이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압연 작업후 교체된 롤(1) 및 연마를 위해 냉각 대기하고 있는 롤, 기타 롤을 이동시키는 일과 관련된 작업에 사용되는 본 발명 롤통 장치는 롤(1)을 이동시키기 위해 우선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롤(1)의 상부로 위치시키고, 크레인을 천천히 하강시키면서 롤암(140)과 롤(1)이 충돌하는지 유심히 관찰하면서 작업하고, 롤(1)의 단면과 접촉하는 롤암(140)의 각진 부분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면 크레인 하강작업을 멈추며 암구동실린더(150)를 인입시킨다.
암구동실린더(150)를 인입시키게 되면 롤암(140)이 롤(1)에 근접하는 작용을 하게 되고, 상기 작업은 고정프레임(110)과 롤암(140)을 연결시켜주는 고정블록(160)에 의해 고정프레임(110)의 고정블록(160)에서 롤암(140)이 이탈하지 않고 원활히 작동하게 되며, 상기 롤암(140)이 롤(1)의 표면에 닿아 롤(1)을 잡게 되면 작업자는 암구동실린더(150)의 작동을 멈추고 상기 롤(1)을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롤(1)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롤(1)이 연마기로 셋팅되어야 하는 경우 쵸크(2)의 형상에 따른 연마기의 파손이 우려되므로 롤(1)을 연마기로 이동시킬 때 상기 쵸크(2)가 연마기와 충돌되지 않도록 회전시켜줘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승하강실린더(120)를 인출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도 9에서와 같이, 승하강실린더(120)의 실린더로드 끝단과 조립된 작동블록(210)이 하강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작동블록(210)에 결합된 지지플레이트(200)가 고정축(230)이 중심이 되어 가이드판(220)의 가이드홈(222)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선회레일(250)도 동시이동하여 롤(1) 및 쵸크(2)의 인접 상방에 위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260)를 구동시키게 되면 피니언(262)에 치합된 래크(254)가 회전되면서 상기 선회레일(250)이 도 9의 3번째 도면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어, 회전실린더(270)가 인출되면서 그 단부에 고정된 지지판(280)이 쵸크(2)에 접촉되면서 밀착지지하게 된다.
쵸크(2)가 지지되면 상기 구동모터(260)를 회전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 상기 쵸크(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마기와 쵸크(2)의 충돌을 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상술한 역순으로 하여 롤(1) 및 쵸크(2)를 원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용이한 후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용 롤통의 작업시 작업자가 원하는 정확한 쵸크의 회전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회레일을 따라 쵸크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여 롤의 전,후방부에서의 비틀림현상이 없어 롤암에 가해지는 하중을 없앨 수 있어 작업효율 향상, 안정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롤통 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중 몸체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장치중 회전부의 분해사시도,
도 8,9는 본 발명 장치중 몸체부 및 회전부 각각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롤 2....쵸크
100....베이스블록 110....고정프레임
120....승하강실린더 130....링크암
140....롤암 150....암구동실린더
160....고정블록 200....지지플레이트
210....작동블록 220....가이드판
230....고정축 240....가이드롤
250....선회레일 260....구동모터
270....회전실린더 280....지지판

Claims (4)

  1.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양측면에 대칭되는 형태로 결합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하단에 고정되고, 두개로 분할되며, 그 분할된 부분은 고정블록에 의해 서로 이동가능하게 구속되는 형태로 마련된 롤암과;
    상기 롤암의 각 상단에 핀고정되어 분할된 부분을 서로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체결된 암구동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하로 관통하여 배설된 한쌍의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면에 각각 고정된 가이드판과;
    상기 승하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단부에 고정된 작동블록과;
    상기 작동블록의 양측면에 결속되고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단면에 가이드롤의 개재하여 마련된 선회레일과;
    상기 선회레일을 관통하여 배치된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체결된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판의 가이드홈 및 작동블록을 관통하여 배설되는 길이가 긴 형태의 고정축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회레일은 그 양측면에 롤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롤이 끼워지고, 그 외주면 일측단에는 래크가 형성되며, 상기 래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단에 고정된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과 치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실린더는 서로 90°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KR1020030068840A 2003-10-02 2003-10-02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KR10104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840A KR101044763B1 (ko) 2003-10-02 2003-10-02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840A KR101044763B1 (ko) 2003-10-02 2003-10-02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859A true KR20050032859A (ko) 2005-04-08
KR101044763B1 KR101044763B1 (ko) 2011-06-27

Family

ID=37237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840A KR101044763B1 (ko) 2003-10-02 2003-10-02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7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06B1 (ko) * 2007-12-14 2009-02-03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지지 장치
KR100912499B1 (ko) * 2009-02-26 2009-08-17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롤 쵸크 선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9758B2 (ja) * 1992-08-11 1997-09-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圧延ロールのチョック回転装置
JP2001261280A (ja) 2000-03-16 2001-09-26 Sankyu Inc チョック転向装置
JP2002173289A (ja) 2000-12-11 2002-06-21 Komai Technos:Kk 圧延ロールの吊り上げ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06B1 (ko) * 2007-12-14 2009-02-03 주식회사 포스코 슈트 지지 장치
KR100912499B1 (ko) * 2009-02-26 2009-08-17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롤 쵸크 선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763B1 (ko) 201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2681B2 (ja) マンドレル上でパイプを圧延するユニット
CN109333284B (zh) 差速器十字轴轴颈自动磨床
JPH0639411A (ja) 圧延スタンド及びこれを複数使用した管圧延機
CN109986434B (zh) 手机用玻璃边框抛光系统
US2807123A (en) Grinding machines and the like
KR101044763B1 (ko) 롤 이동시 쵸크의 회전이 가능한 롤통 장치
US2752804A (en) Metal rolling mills
US8276421B2 (en) Re-turning plant for rollers of a rolling mill
US5035086A (en) Cylindrical grinding machine suitable for use on the rolls of a rolling mill or the like
KR100946103B1 (ko) 슬래브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압연방법
CN103781563B (zh) 用于轧机设备的驱动器的驱动辊更换设备
CN114654374A (zh) 一种环形锻件外表面快速抛光装置
CN211193202U (zh) 一种毛坯钢锭表面磨抛装置
KR100513593B1 (ko) 나이프 형상에 따른 자동형 크롭셔 나이프 정비장치
JPH0618646B2 (ja) ロ−ルクロス式圧延機
CN220311357U (zh) 一种便于移动的热轧线助卷辊台架
JPS62203614A (ja) 圧延材の方向転換方法
KR100775229B1 (ko) 압연롤 시프팅장치
EP1062073B1 (en) A machine for grinding semi-finished products, particularly billets
CN117416872B (zh) 一种柱类锻件吊运装置
CN217798765U (zh) 一种金属加工锻压用辅助装置
CN218747083U (zh) 一种便捷式砂轮机磨盘安装组件
CN118106409A (zh) 辊式矫直机工作辊换辊托架
US202202419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uniform texture to an aggregate surface
KR200260908Y1 (ko) 슬라브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