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411A - 증기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증기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411A
KR20050032411A KR1020030068461A KR20030068461A KR20050032411A KR 20050032411 A KR20050032411 A KR 20050032411A KR 1020030068461 A KR1020030068461 A KR 1020030068461A KR 20030068461 A KR20030068461 A KR 20030068461A KR 20050032411 A KR20050032411 A KR 20050032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temperature
generating uni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6210B1 (ko
Inventor
조풍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2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조리장치, 구체적으로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이용하여 증기발생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작은 에너지로 짧은 시간 내에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한 증기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조리장치는 물을 공급받아 가열장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상기 증기발생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기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STEAM COOKING APPARATUS AND ITS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증기조리장치, 구체적으로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이용하여 증기발생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작은 에너지로 짧은 시간 내에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한 증기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법은 음식물을 가스오븐 등의 열기를 이용하여 굽거나, 찜통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찌거나, 물과 함께 조리용기 내에 넣고 삶는 방법이 있다. 또 전자렌지나 원적외선을 이용하는 방법과 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법 등이 있다.
증기를 이용하는 조리는 조리용기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증기를 이용한 조리는 음식물이 타지 않고, 증기의 온도 및 공급량 조절을 통해 조리온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산화현상도 생기지 않기 때문에 풍미가 좋은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증기조리장치는 증기발생장치 내부로 공급된 증기로 변하기 전의 물이 공급되는 물의 온도나 가열장치의 성능에 상관없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제어되었다.
그에 따라 가열장치가 증기발생장치 내의 물을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이러한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열장치의 용량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가열장치에 공급되는 에너지가 증가되고 가열장치가 증기발생장치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늘어 증기조리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급수관이나 유량조절장치의 이상으로 증기발생장치 내의 물이 모두 증발하고 가열장치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에 가열장치의 동작을 종료시키도록 제어되지 않아 지속적인 가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나 에너지 소모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와 수량을 이용하여 증기발생부에 물의 최적양을 공급함으로써 작은 에너지로 짧은 시간 내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증기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급수부의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열장치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에 가열장치의 동작을 종료시키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나 화재의 위험을 예방하도록 한 증기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조리장치는, 물을 공급받아 가열장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 상기 온도감지장치에서 감지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상기 증기발생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을 공급받아 가열장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열용량이 설정된 열용량을 넘지 않도록 상기 증기발생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을 공급 받아 가열장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지 않는 동시에 잔류량이 설정된 양보다 많아지지 않도록 상기 증기발생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을 공급받아 가열장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이 상기 가열장치의 가열에 의해 모두 증발하여 상기 가열장치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가열장치의 동작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열장치는 물을 증발시키는 증기발생용히터와 증발된 증기를 과열시키는 과열증기용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장치는 증기발생용히터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량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보다 높아지지 않도록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조리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조리실(11)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내측 후면부에 설치되어 조리실(11) 내부로 과열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발생부(2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철판으로 된 외부케이스(12)와, 이 외부케이스(12)의 내부에 이격상태로 설치되며 조리실(11)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스(13)를 구비하며, 조리실(11)은 조리물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전면이 개방된다. 또 내부케이스(13)는 조리실(11)이 외부와 단열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내측의 제1케이스(13a)와 외측의 제2케이스(13b)로 구성된다. 즉 조리실(11)의 벽이 상호 이격된 겹층의 패널로 구성된다.
본체(1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조리실(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14)가 설치되고, 도어(14)의 상부 쪽으로 증기조리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5a)와 각종 조작버튼(15b) 및 조작스위치(15c)들을 갖춘 조작부(15)가 마련된다. 한편, 조작부(15)의 내부에는 증기조리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장착된다.
조리실(11)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음식물의 탑재를 위한 선반(16)이 마련되며, 선반(16)은 조리실(11)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스(13) 양측 측면에 형성된 안내레일(17)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어 서랍형태로 착탈된다.
조리실(11) 후면부의 증기발생부(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가 조리실(11) 후면부의 증기공급구(18)에 연결되며 내부에 소정량의 물이 담수되는 증기발생용기(21)를 구비하고, 가열장치(22, 23)을 구비한다. 이 가열장치(22, 23)은 증기발생용기(2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증기발생용히터(22)와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과열증기용히터(23)를 포함한다.
증기발생용기(2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의 공간이 외부와 단열되어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있도록 진공 단열용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증기발생용기(21)는 증기발생용히터(22)와 과열증기용히터(23)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내부용기(21a)와, 이 내부용기(21a)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내부용기(21a)의 외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외부용기(21b)를 구비한다. 그리고 내부용기(21a)와 외부용기(21b) 사이의 공간은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재(21c)로 채워지고, 진공상태로 감압된 후 밀봉된다.
또 증기발생용기(21)는 상부의 출구가 조리실(11)의 후면 쪽으로 휘어지는 벤딩부(21d)를 구비하며, 이 벤딩부(21d)의 선단 즉 증기발생용기(21)의 출구가 조리실(11) 후면의 증기공급구(18)에 결합된다. 이때 증기발생용기(21)의 출구는 그 둘레에 마련되는 상부플랜지(24)와 증기공급구(18) 주위의 내부케이스(13)가 고정나사(25)의 체결을 통해 견고히 결합되고, 상부플랜지(24)와 내부케이스(13) 사이에는 증기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패킹(26)이 개재된다. 그리고 조리실(11)의 내측 후면에는 증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커버(19)가 설치된다.
또 증기발생용기(21)의 하단에는 하부플랜지(27)가 마련되며, 이 하부플랜지(27)에는 증기발생용기(21)의 하단 개방부를 폐쇄하는 하판(28)이 고정나사(29)의 체결을 통해 결합된다. 이때 하판(28)과 하부플랜지(27) 사이에는 증기발생용기(21) 내부에 채워지는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패킹(30)이 개재된다.
증기발생용기(2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증기발생용히터(22)와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과열증기용히터(23)는 전열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도록 각각 나선형상으로 마련되며, 하판(28)에 결합됨으로써 고정이 된다. 이러한 구성은 증기발생용기(21) 내부로 소정량의 물이 공급될 때 하부의 증기발생용히터(22)가 침수된 상태가 되고 상부의 과열증기용히터(23)가 최대수위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하부의 증기발생용히터(22)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출구 쪽으로 상승하면서 과열증기용히터(23)에 의해 재 가열되어 과열증기가 되도록 한 것이다.
또 증기발생용기(21)의 하판(28)에는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32)과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33) 및 증기발생용기(21) 내부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34), 내부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장치(35)가 설치된다. 이때 급수관(32)은 외부의 물 공급원과 연결되도록 하며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는 유량조절장치(37)가 마련된다. 증기발생용기(21) 내부의 수위는 수위감지장치(34)의 감지를 통해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 공급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적정 수위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온도감지장치(35)는 증기발생용기(21)내에 담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작은 에너지로 짧은 시간 내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을 정도의 물이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게 제어되도록 하며 증기발생용히터(22)의 온도를 감지하여 급수부(32, 37)의 오작동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라도 증기발생용히터(22)가 과열되지 않을 수 있게 제어되도록 한다. 배수관(33)에는 개폐밸브(미도시)를 마련하여 조리장치의 동작이 완료된 후 증기발생용기(21) 내부의 잔수를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발생부(20)를 통해 조리실(11) 내부로 공급된 증기가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조리실(11)의 상부에 배기덕트(40)가 설치된다.
이러한 증기조리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조리실(11) 내부의 선반(16)에 음식물을 놓은 후 가동시키면, 증기발생부(20)의 급수관(32)을 통해 증기발생용기(21)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진다. 이때 증기발생용기(21) 내부의 수위와 급수량은 수위감지장치(34)와 온도감지장치(35)의 감지된 후 유량조절장치(37)의 제어동작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된다.
증기발생용기(21)에 물 공급이 된 후에는 증기발생용히터(22)와 과열증기용히터(23)의 가열에 의해 증기발생용기(21) 내에 채워진 물이 가열되면서 증기가 생성된다. 즉 이때는 침수된 증기발생용히터(22)를 통해 하부의 물이 가열되면서 증기가 생성되고, 이 증기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과열증기용히터(23)에 의해 재 가열되면서 과열증기가 된다. 이 과열증기는 증기발생용기(21)의 출구를 통해 조리실(11) 내부로 공급되고, 조리실(11) 내부의 음식물은 과열증기의 가열에 의해 조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리가 완료된 후 조리실(11) 내부의 증기는 상부의 배기덕트(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증기조리장치의 급수제어과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5)의 조리버튼을 누름으로서 개시된다. 먼저 증기발생용기(21) 내부의 수위감지장치(34)를 통하여 증기발생용기(21) 내부의 수위를 감지한다. 감지된 수위가 설정된 초기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설정된 초기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물을 공급한다. 이는 물이 공급되지 않았음에도 미리 가열장치(22, 23)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수위가 설정된 초기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온도감지장치(35)를 통하여 수온을 감지한다. 수온을 감지하여 감지된 수온이 설정수온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열장치(22, 23)를 동작시킨다. 감지된 수온이 설정수온보다 높은 경우에는 다시 수위감지장치(34)를 통하여 수위를 감지한다. 감지된 수위가 설정수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계속 가열장치를 가동시키며 수온감지 과정을 되풀이 한다. 가열장치가 동작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물이 증발하게 되므로 수위가 감소하게 된다. 그에 따라 수위가 설정수위보다 낮아지게 되면 제어부는 감지된 수온과 수위를 이용하여 증기발생부(20)에 공급할 최적의 물공급량을 계산한다. 작은 에너지로 짧은 시간 안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많은 물을 일시에 공급함으로 인하여 열용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과 수온이 지나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물을 지나치게 적게 공급할 경우에는 필요한 양만큼의 증기를 공급하는 것이 어려워지며 가열장치(22, 23)가 과열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장치(22, 23)가 과열되는 것을 피하는 동시에 필요한 양만큼의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최소한의 물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며 증기공급부(20)에 공급된 물이 일정한 수온 이상이고 일정한 수위 이하 인 경우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최적의 양은 가열장치(22, 23)의 성능, 용량, 형상등과 조리실(11)의 크기, 형상등과 조리될 음식물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최적의 양은 실험을 반복하여 구한다. 이렇게 계산된 최적의 공급량에 따라 급수관(32)에 설치된 유량조절장치(37)의 개폐량을 조절함으로써 증기공급부(20)에 필요한 만큼의 급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급수부(32, 37)의 이상동작으로 인하여 급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가열장치(22, 23)의 동작을 종료시킬 필요가 있다. 가열장치가 계속 하여 동작하고 있음에도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결국 수위가 0이 될 것이며, 증기발생용히터측이 100도를 넘어 계속적으로 과열될 것이다. 따라서 수위감지장치(34)와 온도감지장치(35)를 이용하여 수위가 '0'이고 증기발생용히터(22)측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에는 일단 가열장치(22, 23)의 동작을 종료시킨다. 가열장치(22, 23)의 동작을 종료시킨 후에는 재차 수위가 초기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물공급을 시도한다. 물공급이 재개되어 수위가 설정된 초기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수온 감지 단계로 돌아간다. 한편, 수위가 '0'이 아니거나 증기발생용히터(22) 측의 온도가 과열되지 않은 경우에도 수온감지 단계로 돌아간다. 이 경우 가열장치(22, 23)중 과열증기용히터(23)가 아닌 증기발생용히터(22)측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은 과열증기용히터(23)는 본래 물과 접촉하지 않으며 정상작동 상태에서 과열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과열증기용히터(23) 측에 온도감지장치(35)를 설치하여도 물공급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기조리장치는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와 수량을 이용하여 증기발생부에 물의 최적양을 공급함으로써 작은 에너지로 짧은 시간 내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물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열장치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에 가열장치의 동작을 종료시키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나 화재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에너지가 요구되는 가열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가열장치 부피 감소등의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조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조리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조리장치의 증기발생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조리장치의 제어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조리실,
14: 도어, 15: 조작패널,
20: 증기발생부, 21: 증기발생용기,
22: 증기발생용히터, 23: 과열증기용히터,
34: 수위감지장치, 35: 온도감지장치,
32: 급수관, 37: 유량조절장치

Claims (9)

  1. 물을 공급받아 가열장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
    상기 온도감지장치에서 감지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상기 증기발생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
  2. 물을 공급받아 가열장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열용량이 설정된 열용량을 넘지 않도록 상기 증기발생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
  3. 물을 공급 받아 가열장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지 않는 동시에 잔류량이 설정된 양보다 많아지지 않도록 상기 증기발생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물을 증발시키는 증기발생용히터와
    증발된 증기를 과열시키는 과열증기용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장치.
  5. 물을 공급받아 가열장치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이 상기 가열장치의 가열에 의해 모두 증발하여 상기 가열장치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가열장치의 동작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물을 증발시키는 증기발생용히터와
    증발된 증기를 과열시키는 과열증기용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장치는 증기발생용히터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장치.
  8.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
    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물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의 제어방법.
  9.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로 공급하는 증기발생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
    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량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증기발생부에 잔류하는 물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보다 높아지지 않도록 물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3-0068461A 2003-10-01 2003-10-01 증기조리장치 KR100526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461A KR100526210B1 (ko) 2003-10-01 2003-10-01 증기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461A KR100526210B1 (ko) 2003-10-01 2003-10-01 증기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411A true KR20050032411A (ko) 2005-04-07
KR100526210B1 KR100526210B1 (ko) 2005-11-08

Family

ID=3723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461A KR100526210B1 (ko) 2003-10-01 2003-10-01 증기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2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925B1 (ko) * 2005-11-24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960073A (zh) * 2019-11-26 2020-04-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的蒸汽输出控制方法及食品加工机
CN113940553A (zh) * 2020-07-16 2022-01-18 九阳股份有限公司 蒸汽饭煲的低温烹饪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107B1 (ko) 2009-04-06 201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제어방법
CN104083074A (zh) * 2014-07-08 2014-10-0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蒸汽烹饪设备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20170009013A (ko) 2015-07-15 2017-01-25 박정연 증기 조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925B1 (ko) * 2005-11-24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960073A (zh) * 2019-11-26 2020-04-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的蒸汽输出控制方法及食品加工机
CN110960073B (zh) * 2019-11-26 2021-05-1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的蒸汽输出控制方法及食品加工机
CN113940553A (zh) * 2020-07-16 2022-01-18 九阳股份有限公司 蒸汽饭煲的低温烹饪方法
CN113940553B (zh) * 2020-07-16 2023-08-04 九阳股份有限公司 蒸汽饭煲的低温烹饪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6210B1 (ko)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9550B2 (en) Overheated steam oven
US6911626B2 (en) Overheated steam oven
US7669591B2 (en) Steam generator for cooking apparatus
JP4040590B2 (ja) 過熱蒸気調理装置
KR100629336B1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KR20050027460A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535549B1 (en) Overheated steam oven
EP1541025A1 (en) Overheated steam oven
KR100526210B1 (ko) 증기조리장치
KR100538173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0538172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0735697B1 (ko)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KR100745585B1 (ko)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조리기의 온도제어방법
KR20060123902A (ko)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조리기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38174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JP2007240119A (ja) 食品調理装置
KR20060014286A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KR100783242B1 (ko) 조리기기
KR19990005368A (ko) 전기 보온 밭솥의 현미 조리를 위한 제어 방법
KR20060122122A (ko)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조리기의 온도제어장치
KR100688938B1 (ko)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조리기의 배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16917A (ko)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조리기의 수위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