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412A - 보행기 - Google Patents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412A
KR20050031412A KR1020040076880A KR20040076880A KR20050031412A KR 20050031412 A KR20050031412 A KR 20050031412A KR 1020040076880 A KR1020040076880 A KR 1020040076880A KR 20040076880 A KR20040076880 A KR 20040076880A KR 20050031412 A KR20050031412 A KR 20050031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member
auxiliary frame
auxiliary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키다카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와 프로덕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와 프로덕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와 프로덕츠
Publication of KR2005003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높이 조절 및 접기 가능하고, 상부 프레임 부재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수납성이 우수한 보행기를 제공한다.
차륜(2)에 지지된 링 형상 하부 프레임 부재(3)와, 유아를 받아들이는 개구부(42)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 부재(4)와, 하부 프레임 부재(3)와 상부 프레임 부재(4)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주 프레임(51)과, 주 프레임(51)의 상부에 일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측이 상부 프레임 부재(4)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상측 보조 프레임(53)과, 주 프레임(51)의 하부에 일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측이 하부 프레임 부재(3)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하측 보조 프레임(55)과,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일단측과 하측보조 프레임(55)의 일단측을 연결해서 이것들을 연동시키는 연동 부재(52과)와,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각도변경 또는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각도변경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기구(6)를 갖는 보행기(1)로 한다. 자립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하부 프레임 부재(3)의 후단부에 자립 보조 부재(9)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보행기{WALKING DEVICE}
본 발명은 유아용의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유아의 성장 과정에 있어서, 보행의 연습 등을 위해 종래부터 보행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행기에서는, 유아의 성장 과정에 맞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요망된다.
도 6에 종래의 보행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보행기(100)는, 회전 자유자재인 차륜(111)에 지지된 링(ring) 형상의 하부 프레임 부재(112)와, 하부 프레임 부재(112)의 내측에 수납되고 유아를 받아들이는 개구부가 설치되어서 유아가 앉는 좌석부(113)가 설치된 상부 프레임 부재(114)를 X형의 프레임(115)으로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이 X형 프레임(115)의 교차하는 프레임의 교차 각도를 바꾸고, 바꾼 위치에서 슬라이드 록 기구(116)에 의해 교차 각도가 고정되는 것에 따라 사용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접을 때에는, 슬라이드 록 기구(slide lock mechanism)(116)를 해제하면, 상부 프레임 부재(114)가 사용 위치로부터 자중으로 강하하여, 상부 프레임 부재(114)가 하부 프레임 부재(112) 내에 접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X형 프레임(115)은, 프레임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가 프레임의 중심에 있고, 상부 프레임 부재(114)를 지지하는 상단 가장자리 전후방향의 거리와, 하부 프레임 부재(112)에서 지지되는 전후 방향의 하단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거의 같다. 그 때문에, 상부 프레임 부재(114)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X형 프레임(115)이 접어질 때의 X형 프레임(115)의 접어진 전후의 상단 가장자리의 양쪽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하부 프레임 부재(112)에 가까운 외형으로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X형 프레임(115)을 이용한 보행기(100)는, 상부 프레임 부재(114)의 전후 방향의 외형이 필요 이상으로 커져, 설계상의 자유도가 한정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부 프레임 부재(114)가 커지면, 상부 프레임 부재(114)와 하부 프레임 부재(112)의 크기의 차가 적어지고, 접었을 때에 상부 프레임 부재(114)가 하부 프레임 부재(112) 안에 완전히 수납할 수 없어, 접은 때의 용적이 커져, 수납성이 그만큼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은 때에, 상부 프레임 부재(114)가 하부 프레임 부재(112) 위에 강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동안에 손가락 등을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높이 조절 및 접기가 가능하고, 상부 프레임 부재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수납성이 양호한 보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보행기는, 차륜에 지지된 링 형상 하부 프레임 부재와, 유아를 받아들이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주 프레임과, 상기 주 프레임의 상부에 일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자재로 연결된 상측 보조 프레임과, 상기 주 프레임의 하부에 일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자재로 연결된 하측 보조 프레임과,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과 상기 하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을 연결하여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주 프레임에 대한 교차 각도와 상기 하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주 프레임에 대한 교차 각도를 연동시키는 연동 부재와,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교차 각도 또는 상기 하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교차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기구를 갖는다.
이 보행기는, 주 프레임과 상측 보조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부재가 3각형의 링을 구성하고, 이로써 주 프레임이 하측 보조 프레임을 거쳐 하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보행기의 높이 조절은, 상측 보조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부재에 대한 슬라이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측 보조 프레임의 주 프레임에 대한 교차 각도를 변경시켜, 이 교차 각도의 변경이 연동 부재에 의해서 하측 보조 프레임의 주 프레임에 대한 교차 각도를 연동하여 변경시켜, 이 연동에 의한 교차 각도의 변경이, 하부 프레임 부재에 대한 하측 보조 프레임의 슬라이드 위치의 변경을 발생시킴으로써 주 프레임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키기 때문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접을 때도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또한, 상측 보조 프레임의 주 프레임에 대한 교차 각도 또는 하측 보조 프레임의 주 프레임에 대한 교차 각도를 고정 기구로 고정하는 것에 따라, 상부 프레임 부재의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측 보조 프레임과 하측 보조 프레임의 주 프레임에 대한 장착위치가 주 프레임의 중심보다 각각 주 프레임의 단부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주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부재에 대한 장착 위치와 상측 보조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부재에 대한 장착위치 사이의 거리는, X형 프레임의 상단 가장자리간의 거리보다 꽤 줄어든다. 그 때문에, 상부 프레임 부재의 외형을 X형 프레임의 경우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보행기는 X형 프레임의 경우보다도 수납성이 우수하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보행기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가,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의 회전 중심과 동축으로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에 고정된 제 2 치차와, 상기 하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의 회전 중심과 동축으로 상기 하측 보조 프레임에 고정된 제 3 치차와, 상기 제 2 치차와 제 3 치차를 연동시키는 제 1 치차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보행기는, 주 프레임에 대한 상측 보조 프레임의 교차 각도가 변경되면, 상측 보조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치차가 회전하고, 제 1 치차를 거쳐서 제 3 치차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 회전량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측 보조 프레임의 교차 각도에 대응해서 하측 보조 프레임이 교차 각도가 연동 부재에 의해 연동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보행기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가 중공의 상기 주 프레임 안에 내장되어 있다.
치차 등을 구비하는 연동 부재가 주 프레임 안에 내장되어 있는 것에 따라, 안전성이 높여져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보행기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개의 치를 설치한 래크 부재와,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의 타단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하면에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되고, 상기 치와 맞물리는 손톱을 갖는 손톱 부재를 갖는다.
래크 부재의 여러 개의 치 중의 적당한 치를 선택해서 손톱 부재의 손톱을 맞물리게 하는 것에 따라, 상측 보조 프레임의 주 프레임에 대한 교차 각도를 임의로 선택해서 고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부 프레임 부재의 높이를 조절해서 그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보행기는, 청구항 4에 기재한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손톱 부재의 상기 손톱을 하방으로 강제적으로 압하하여 상기 치와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는 조작부재를 갖는다.
이 보행기는 이러한 조작 부재를 갖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치와 손톱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 조절 조작성이 우수하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보행기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주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의 외주 가장자리와 협동하여 자립 기능을 부여하는 자립 보조 부재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보행기는, 상부 프레임 부재의 높이를 낮게 해 가면, 주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 부재에 대한 연결 위치를 중심으로서 상부 프레임 부재가 점차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 프레임 부재의 전후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는 하부 프레임 부재의 전후방향의 단부 가장자리에 근접한다. 그 때문에, 상부 프레임 부재를 하부 프레임 부재 위에 접은 상태로 상부 프레임 부재의 외주부에 하부 프레임 부재의 외주 가장자리와 거의 동일면이 되는 것과 같은 자립 지원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접은 상태로 세우면, 바닥의 면에 대하여 자립 지원 부재와 하부 프레임 부재의 단부 가장자리가 협동하여 자립 가능할 수 있어, 수납에 편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보행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행기의 일 실시형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으로, 높이 조절을 가장 높은 위치에 설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보행기의 일실시 형태의 프레임 부재의 개략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동 보행기의 프레임 부재의 개략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 도 3에 도시한 보행기의 높이 조절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b는 보행기를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보행기의 일실시 형태의 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보행기의 일실시 형태를 자립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도 4의 좌측을 전방측, 오른쪽을 후방측으로 하고, 이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한다.
이 보행기(1)는, 좌우 방향의 중심을 지나는 전후방향의 도시하지 않는 중심 선을 중심으로 한 거의 좌우 대칭형이다. 그 때문에, 부호는 한쪽 측에만 붙이는 경우가 있다. 보행기(1)는, 여러 개의 차륜(캐스터)(2)에 의해 지지된 링 형상의 하부 프레임 부재(3)와, 하부 프레임 부재(3)에 수납되고, 유아를 받아들이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 부재(4)와, 이들 상부 프레임 부재(3)와 하부 프레임 부재(4)를 연결하여 상부 프레임 부재(4)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 프레임 부재(4)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부재(5)와, 프레임 부재(5)를 고정해서 조절한 높이를 유지하는 고정 기구(6)(도 2, 도 3 참조)를 갖는다.
하부 프레임 부재(3)는 수지제이고, 전체의 외형은 상부 프레임 부재(4)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링 형상으로 되어 있고, 프레임의 부분의 상면의 형상은 구형을 띤 산(山)형이다. 하부 프레임 부재(3)의 하면에는 여러개의 차륜(2)이 부착되어 있다. 차륜(2)은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서 회전축으로부터 어긋난 수평방향의 차축에 대하여 수지차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어, 회전 자재로 되어 있다.차륜(2)에 하부 프레임 부재(3)가 지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하부 프레임 부재(3)는 바닥면을 자유로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 부재(3)의 전후방향으로 신장하는 프레임체 부분의 각각의 거의 중앙부의 내측에는, 그 벽면을 관통한 전후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라이드 구멍(31)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 부재(4)는 합성 수지제의 각을 둥글게 한 직사각형 판형상이고, 앞 부분 측에 테이블(41)이 형성되고, 뒷 부분 측에 유아를 받아들이는 개구부(42)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42)에 유아가 앉는 좌석부(7)가 장착되어 있다. 좌석부(7)는 등받이부(71)와 개구부(42)로부터 수직 하강하고 있는 유아의 다리를 넣는 구멍을 갖는 기저귀 형상부재(72)를 구비한다. 앞 부분의 테이블(41)에는, 유아가 놀 수 있는 각종의 장난감을 짜 넣은 장난감 보드(board)(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5)는 한 쌍의 주 프레임(51)을 갖는다. 주 프레임(51)은 중공의 직사각형 판 형상이고, 각각 일단측이 하부 프레임 부재(3)의 전단부의 좌우에 설치된 절결부에 수납되어, 하부 프레임 부재(3)의 절결부의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511)으로 전후방향과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주 프레임(51)의 타단측은, 각각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후단부의 좌우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512)으로 전후방향과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주 프레임(51)의 중공부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동 부재(52)로서, 주 프레임(51)의 양단의 회전축(511, 512)의 거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 1 치차(521)가 회전축(522)에서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다. 이 제 1 치차(521)의 양측에는, 제 1 치차(521)와 맞물리는 제 2 치차(523)가 제 1 치차(521)의 상부에, 제 1 치차(521)와 맞물리는 제 3 치차(524)가 제 1 치차(521)의 하부에 각각 회전축(525, 526)을 중심으로서 각각 주 프레임(51)에 내장되어 있다. 제 2 치차(523)와 제 3 치차(524)는 동일한 치차로 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5)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측 보조 프레임(53)은,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이고, 그 길이는 주 프레임(51)의 반보다 약간 짧다.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일단측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의 주 프레임(51)을 관통해서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제 2 치차(523)의 회전축(525)과 일체로 고정하여 연결되고, 또, 회전축(525)은 제 2 치차(523)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 결과,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일단측은, 주 프레임(51)의 상부에 대하여 회전축(525)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회전이 상측 보조 프레임(53)에 직결된 제 2 치차(523)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 쌍의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타단측 끼리는,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하면에서 연결 암(arm)(54)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 부재(5)를 구성하는 한 쌍의 하측 보조 프레임(55)은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이고, 그 길이는 주 프레임의 반보다 약간 짧다.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일단측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의 주 프레임(51)을 관통해서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제 3 치차(524)의 회전축(526)과 일체로 고정되어서 연결되고, 또, 회전축(526)은 제 3 치차(524)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 결과,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일단측은, 주 프레임(51)의 하부에 대하여 회전축(526)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회전이 하측 보조 프레임(55)에 직결된 제 3 치차(524)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 쌍의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타단측은, 하부 프레임 부재(3)의 내측의 슬라이드 구멍(31)과 대향하고, 각각 축 막대(551)의 일단측을 지지하고 있다. 그 축 막대(551)는 슬라이드 구멍(31)을 지나고, 축 막대(551)의 타단측에는 슬라이드 구멍(31)의 폭보다도 직경이 큰 빠짐 방지용의 헤드(552)가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드 구멍(31)을 관통해 있는 축 막대(551)의 일단측의 하측 보조 프레임(55)과 축 막대(551)의 타단측의 빠짐 방지용의 헤드(552)가 슬라이드 구멍(31)을 협지하여, 축 막대(551)는 슬라이드 구멍(31)으로부터 빠지는 일없이 슬라이드 구멍(31)을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타단측은, 하부 프레임 부재(3)의 슬라이드 구멍(31)에 대하여 슬라이드 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고정 기구(6)는, 주로 래크 부재(61), 손톱 부재(62), 조작 부재(63) 및 록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래크 부재(61)는, 도 2에서는 가는 파선으로 표시되고, 한 쌍의 구형 평판상으로,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좌우로 분리되어서 전후방향을 따라서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래크 부재(61)는, 전후방향을 따라서 중앙부가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좌우 방향의 양단부가 상측으로 굴곡되어,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하면에 각각의 양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래크 부재(61) 각각에는, 수직벽과 그 수직벽의 상단으로부터 후부측으로 연결되는 경사 벽을 구비하는 치(611)가 전후방향으로 복수개 한줄로 늘어선 치열이 설치된다. 래크 부재(61)의 좌우 방향 중앙보다 약간 외측으로 전후방향을 따라서 가는 슬라이드 구멍(612)이 래크 부재(61)를 관통해서 설치된다.
손톱 부재(62)는, 좌우 방향으로 긴 평판형상이고,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타단측 끼리를 접속하고 있는 연결 암(5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덮는 원형 관상부(621)와 일체로 상부 프레임 부재(4)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손톱 부재(62)의 전방측은 만곡하고, 단부 가장자리에 따라 프레임 형상 리브(622)가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손톱 부재(62)의 좌우 방향의 양측의 래크 부재(61)의 슬라이드 구멍(612) 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좌우 방향의 내측이 하측으로 굴곡되어서 손톱 부재(62)의 하면과의 사이에 전후방향에 따른 내측에 공극이 생기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용 부재(65)가, 래크 부재(61)와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하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된 도시하지 않는 보조 판에 손톱 부재(62)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구멍(612)을 지나는 볼트(651)로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용 부재(65)와 손톱 부재(62)가 볼트(651)로 고정되어, 손톱 부재(62)와 보조판이 상하로부터 래크 부재(61)를 협지하여 볼트(651)로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손톱 부재(62)는, 래크 부재(61)의 하면을 슬라이드 구멍(612)을 거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되어 있다. 손톱 부재(62)는 원형 관 형상부(621)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암(54), 즉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타단측은, 원형 관 형상부(62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어, 손톱 부재(62)와 함께 상부 프레임 부재(4) 하면을 슬라이드 자재로 되어 있다.
손톱 부재(62)에는, 전단이 수직벽이 되어 있어서 래크 부재(61)의 치(611)와 맞물리는 손톱(623)이, 래크 부재(61)의 치(612)의 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판 패널 부재(624)의 전단에 일체로 설치되고, 그 판 패널 부재(624)의 후단은 원형 관 형상부(621)에 일체로 결합하고 있다. 판 스프링 부재(624)는 항상 손톱(623)과 치(611)가 맞물리도록 손톱(623)을 상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판 스프링 부재(624)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하는 금속제의 둥근 막대(625)를 지지하고 있다.
조작 부재(63)는, 도 2에서는 점으로 칠해 메워져서 표시되어 있다. 좌우 방향으로 약간 직사각 형상의 상자형의 부재이고, 손톱 부재(62)의 하면의 안에 수납되는 크기로, 상면의 개구단이 손톱 부재(62)의 하면과 접하고 있다. 조작 부재(63)의 전단부에는 손끝을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손잡이(631)가 구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63)의 좌우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용 부재(65)의 굴곡되어서 손톱 부재(62)와의 사이에 전후방향을 따른 공극의 사이에 판 형상의 양단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부재(63)는, 좌우 양단이 슬라이드용 부재(65)에 안내되어서 손톱 부재(62)의 하면에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조작 부재(63)는, 후단이 손톱 부재(62)의 원형 관 형상부(621)의 부분에 맞부딪치는 위치와 핸들 부분(631)의 전단이 손톱 부재(62)의 전단 가장자리의 프레임 형상 리브(622)에 맞부딪치는 범위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되어 있다. 조작 부재(63)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손톱 부재(62)의 둥근 막대(625)의 양단측을 지지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신장하는 한 쌍의 조작 리브(632, 633)와 한쌍의 조작 리브(634, 635)가 돌출해서 설치된다. 이들 조작 리브(632, 633, 634, 635)에는,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후퇴하는 벽면을 갖는 직각 3각형 형상의 조작 구멍(626)이 각각 뚫려 설치되어, 이 조작 구멍(626)을 통하여 조작 리브(622, 633, 634, 635)의 외측으로 손톱 부재(62)의 둥근 막대(625)의 양단 가장자리가 돌출해 있다. 손톱 부재(62)의 손톱(623)이 래크 부재(61)의 치(611)와 맞물리고 있을 때에는, 조작 부재(62)는 후퇴하고 있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구멍(626)의 상단으로부터 손톱 부재(62)의 둥근 막대(625)의 양단 가장자리가 돌출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62)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조작 구멍(626)의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후퇴하는 벽면이 전진하고, 둥근 막대(625)의 양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가해지고, 둥근 막대(625)는 하방으로 강제적으로 밀어 내려진다. 이로써, 둥근 막대(625)를 지지하고 있는 판 스프링 부재(624)의 전단측이 하방으로 만곡하고, 치(611)와 맞물리고 있었던 손톱(623)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치(6)와 손톱(623)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손톱 부재(62)의 슬라이드 위치를 선정해서 조작 부재(62)를 후퇴시키면, 손톱(623)이 판 스프링 부재(624)의 가압력으로 상승하고, 치(611)와의 맞물림이 행하여진다.
록 부재(64)는, 안전 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조작 부재(62)의 중앙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레버(lever)(641)의 회전축이 조작 부재(62)의 바닥 벽을 관통해서 조작 부재(6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판 형상의 록 판(642)의 중앙에 결합되어, 레버(641)의 회전에 응하여 록 판(642)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부재(62)가 가장 후퇴하고 있는 위치에서 핸들 부분(621)의 후측의 수직방향의 벽의 내면에 매우 근접해서 좌우 방향으로 신장하는 로크용 리브(636)가 손톱 부재(6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 로크 판(642)이 전후 방향과 평행한 위치로 회전했을 때에 로크 판(642)은 조작 부재(62)의 후단벽의 내면과 로크용 리브(626)의 후면에 로크 판(642)의 양단이 접촉하는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다. 레버(641)를 회전시켜서 로크 판(642)을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면, 로크 판(642)이 조작 부재(62)의 후단의 내면과 로크용 리브(626)의 사이에 개재하고, 조작 부재(62)의 전진을 방지하여, 손톱(623)과 치(611)의 맞물림을 유지할 수 있다. 레버(641)를 회전시켜서 로크 판(642)을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시키면, 로크 판(642)과 로크용 리브(626)의 사이에 거리가 생기기 때문에, 조작 부재(62)를 전진시켜, 둥근 막대(625)를 강제적으로 강하시킴으로써, 손톱(623)을 강하시켜서 손톱(623)과 치(611)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보행기(1)의 상부 프레임 부재(4)의 외주부의 후단 중앙부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자립 보조 부재(9)가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자립 보조 부재(9)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 부재(4)를 하부 프레임 부재(3) 위에 접은 상태에서 자립 보조 부재(9)의 후면과 하부 프레임 부재(3)의 외주 가장자리의 후단이 거의 동일면이 되고, 하부 프레임 부재(3)의 외주 가장자리와 협동하여 바닥 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보행기(1)를 자립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보행기(1)에서는, 하부 프레임 부재(3)의 후단은 만곡이 적고, 자립 보조 부재(9)와 협동해서 자립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행기(1)에 있어서는, 상부 프레임 부재(4)와 하부 프레임 부재(3)를 연결하고 있는 주 프레임(51)의 일단측이 하부 프레임 부재(3)의 전단측에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프레임 부재(4)를 접을 때에 상부 프레임 부재(4)가 후측으로 점차 후퇴하면서 강하한다. 최종적으로 상부 프레임 부재(4)가 하부 프레임 부재(3)에 접어진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후단 가장자리와 하부 프레임 부재(3)의 후단 가장자리는 근접하는 것으로 되고,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후단부에 자립 보조 부재(9)를 붙이는 것에 의해, 상부 프레임 부재(4)를 하부 프레임 부재(3) 위에 접은 상태에서 자립 보조 부재(9)의 후면과 하부 프레임 부재(3)의 후단 가장자리를 거의 동일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보행기(1)의 높이 조절의 동작에 대해서, 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부 프레임 부재(4)는 자중으로 강하할 수 있는 힘을 주 프레임(51)에 부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타단측, 즉, 연결 암(54)은, 항상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하면을 전진하도록 슬라이드하고, 주 프레임(51)은 하부 프레임 부재(3)에 대한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하는 힘이 부여되어, 하측 보조 프레임(55)이 주 프레임(51)을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상부 프레임 부재(4)를 가장 높은 위치에 설정했을 때에는, 손톱 부재(62)의 손톱(623)은 래크 부재(61)의 가장 후측의 치(611)와 맞물리고, 연결 암(54)의 전진을 정지시키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주 프레임(51)에 대한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교차 각도(α)는 고정되어,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일단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치차(523)가 고정되어, 고정된 제 2 치차(523)가, 제 1 치차(521)를 거쳐서 제 3 치차(524)를 고정하는 결과,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주 프레임(51)에 대한 교차 각도(β)도 고정되어,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타단측의 슬라이드 구멍(31)에 있어서의 축 막대(551)의 위치도 고정되어, 프레임 부재(5) 전체가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상부 프레임 부재(4)는 주 프레임(51)의 상부, 상측 보조 프레임(53)과 함께 고정된 3각형의 링크를 구성하고, 상부 프레임 부재(4)는 주 프레임(51)과 상측 보조 프레임(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주 프레임(51)은, 하측 보조 프레임(55)에 의해 하측 프레임 부재(3)에 대한 경사 각도가 고정되어서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 부재(4)의 높이를 변경할 때는, 록 부재(64)의 레버(641)를 90°회전하여 로크 판(642)을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로크를 해제한다. 조작 부재(62)의 손잡이(63)에 손을 대고 조작부재(63)를 전방으로 끌어당겨 슬라이드시킨다. 조작부재(63)와 함께 조작 구멍(636)이 전진하여 둥근 막대(625)를 가압함으로써, 판 패널 부재(624)를 가압하여 손톱(623)과 치(611)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이로써, 손톱 부재(62)는 래크 부재(61)의 하면을 슬라이드 자재로 되고, 조작 부재(62)의 손잡이(631)를 유지한 채 손톱 부재(62)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이동시키고, 적당한 높이가 되는 위치의 래크 부재(61)의 치(611)를 선택하고, 손잡이(631)를 후측으로 후퇴하도록 조작하면, 손톱(623)이 판 스프링 부재(624)의 가압력으로 상승하고, 손톱(623)이 치(611)와 맞물린다. 그리고, 로크 부재(64)의 레버(641)를 90°회전시켜서 로크 판(642)을 전후방향과 평행에 배치하여 조작 부재(62)의 움직임을 로크하고, 손톱(623)과 치(611)의 맞물림을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손톱 부재(62)를, 예를 들면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주 프레임(51)에 대한 교차 각도(α)가 커지고, 제 2 치차(523)가 도면에서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 1 치차(5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3 치차(524)는 제 1 치차(521)의 회전에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제 2 치차(523)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고, 하측 보조 프레임(55)이 회전축(526)을 중심으로해서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주 프레임(61)에 대한 경사각도(α)와 동일한 경사각도(β)로 되도록 회전하고,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타단측의 축 막대(551)가 슬라이드 구멍(31)을 후방측으로 슬라이드하고, 주 프레임(51)의 수평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작게 되어 상부 프레임 부재(4)의 높이가 감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기(1)에 있어서는, 상측 보조 프레임(53)과 상부 프레임 부재(4)와 주 프레임(51)으로 구성되는 3각형의 링크에 있어서의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주 프레임(51)에 대한 교차 각도(α)의 변경은, 그대로 하측 보조 레임(55)과 주 프레임(51)과 하부 프레임 부재(3)로 구성되는 3각형의 링크에 있어서의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주 프레임(51)에 대한 교차 각도(β)로 연동하고, 상측 보조 프레임(53)과 하측 보조 프레임(55)은 기어 열로 구성되는 연동 부재(52)를 거쳐서 연동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보행기(1)를 접을 때는, 로크 부재(64)의 로크를 해제한 후, 조작 부재(62)의 손잡이(631)에 손가락을 걸어서 조작 부재(63)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손톱(623)과 치(611)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그 후, 손톱 부재(62)의 손톱(623)을 래크 부재(61)보다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손톱 부재(62)의 손톱(623)이 래크 부재(61)의 치(611)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로써, 상부 프레임 부재(4)의 자중으로 손톱 부재(62)는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하면을 최 전단측으로 슬라이드한다. 손톱 부재(62)의 전단측으로의 슬라이드에서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교차 각도(α)가 커지고, 교차 각도(α)와 연동하는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교차 각도(β)도 커지고, 하측 보조 프레임(55)의 타단측의 축 막대(551)가 슬라이드 구멍(31)을 후측으로 슬라이드하고, 주 프레임(51)은 하부 프레임 부재(3) 위에 하강하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후단부가 하부 프레임 부재(3)상에 탑재되어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하강이 정지하고, 접기 상태가 된다.
도 5a의 접기 상태에 있어서의 보행기(1)의 후단부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후단 가장자리가 하부 프레임 부재(3)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약간 전방에 있고,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후단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상의 자립 보조 부재(9)의 후면과 하부 프레임 부재(3)의 후단 가장자리가 거의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행기(1)를 접은 상태에서 후단측을 아래로 해서 보행기(1)를 바닥의 면에 세우면, 자립 보조 부재(9)와 하부 프레임 부재(3)의 후단 가장자리가 바닥의 면에 접해서 자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립시킴으로써, 가로로 하여 수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훨씬 적은 면적 안에 수납 가능해지고, 좁은 간극에도 수납가능해서, 수납성이 극히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보행기(1)는, 주 프레임(51)에 대하여 서로 연동하는 상측 보조 프레임(53)과 하측 보조 프레임(55)을 설치한 것에 의해, 종래의 X형 프레임과 같은 기능을 갖지만, X 형 프레임의 쌍방의 프레임은 거의 중심에서 것에 대해, 상측 보조 프레임(53)은 주 프레임(51)의 중심보다 조금 위에서 교차하고, 하측 보조 프레임(55)은 주 프레임(51)의 중심보다 조금 아래에서 교차한다. 그 때문에, X형 프레임과 동일한 교차각도인 경우에도, 상측 보조 프레임(53)은 X형 프레임보다도 위에, 하측 보조 프레임(55)은 X형 프레임보다도 아래에 위치한다. 그 결과,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상부 프레임 부재(4)에 대한 장착위치에 있는 연결 암(54)은, X형 프레임의 경우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더구나, 상측 프레임(53)은 X형 프레임의 교점보다 위의 부분의 길이보다 약간 짧고, 하측 보조 프레임(55)은 X형 프레임의 교점보다 아래의 부분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상부 프레임 부재(4)에 대한 장착위치가 X형 프레임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길이가 X형 프레임의 반보다도 짧으므로,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장착 위치의 슬라이드 양도 X형 프레임보다 줄어든다. 그 때문에, 주 프레임(51)의 상부 프레임 부재(4)에 대한 장착위치(512)와 상측 보조 프레임(53)의 상부 프레임 부재(4)에 대한 장착위치(54)의 사이의 거리는, X형 프레임의 상단 가장자리간의 거리보다 꽤 줄어든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 부재(4)의 프레임 부재(5)를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는 길이는, 종래의 X형 프레임보다 짧게 끝나고, 상부 프레임 부재(4)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프레임 부재(4)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부 프레임 부재(4)의 설계의 자유도가 크고, 의장적으로 뛰어난 보행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은 때에 상부 프레임 부재(4)를 하부 프레임 부재(3)의 안에,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 부재(4)의 전단측을 하부 프레임 부재(4)의 안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수납성이 향상한다. 또, 접을 때에, 손가락 등을 강하하는 상부 프레임 부재(4)와 하부 프레임 부재(3)의 사이에 끼어, 상처를 입는 가능성도 낮아져, 안전성이 향상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연동 부재로서, 3개의 기어 열을 사용한 예를 게시했지만, 상측 보조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을 연동시키면 무방하고, 그 밖의 기구라도 무방하다. 또한, 고정 기구는, 후크 부재의 치와 손톱 부재의 손톱의 계합으로 실행하는 기구로 하였지만, 상측 보조 프레임의 각도 변경 또는 하측 보조 프레임의 각도 변경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은 없다.
또한, 자립 보조 부재(9)로서 플레이트 형상의 것을 예시했지만, 하부 프레임 부재(3)의 후단 가장자리와 협동해서 보행기의 자립을 보조할 수 있으면 형상에 제한은 없고, 예컨대, 스페어타이어(타이어 캐리어, 타이어 커버류) 윙, 범퍼(에어로파트), 후부 라이트류(윙커, 백라이트, 브레이크 램프 등), 절첩 루프(후드), 트렁크(트렁크 박스), 머플러(배기구), 서스펜션, 사가히(래더 캐리어), 캐리어류(스키, 보드 등), 와이퍼, 리어 카메라, 엠블럼, 안테나 등의 자동차의 후측에 있는 부재의 형상을 모방한 것이어도 무방하고, 혹은 이것들과 전혀 별개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보행기는, 유아의 성장 과정에 있어서, 보행의 연습 등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기는, 높이 조절 및 접기 가능한 동시에, 상부 프레임 부재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수납에 편리한 자립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행기의 일실시 형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장 높은 위치에 높이 조절을 설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임,
도 2는 본 발명의 보행기의 일 실시형태의 프레임 부재의 개략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행기의 일 실시형태의 플레이트 부재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a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보행기의 높이 조절 중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보행기를 접은 상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보행기를 접은 상태에 있어서의 후단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보행기를 접은 상태에서 후단측을 아래로 하여 바닥 면에 세운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X형 프레임의 보행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행기 2 : 치차
3 : 하부 프레임 부재 31 : 슬라이드 구멍
4 : 상부 프레임 부재 42 : 개구부
5 : 프레임 부재 51 : 주 프레임
52 : 연동부재 521 : 제 1 치차
523 : 제 2 치차 524 : 제 3 치차
53 : 상측 보조 프레임 54 : 연동 암
55 : 하측 보조 프레임 551 : 축 막대
6 : 고정기구 61 : 로크 부재
611 : 치 62 : 손톱 부재
623 : 손톱 624 : 판 패널 부재
625 : 둥근 막대 626 : 로크용 리브
63 : 조작부재 631 : 손잡이
636 : 조작 구멍 64 : 로크 부재
641 : 레버 642 : 로크 판
7 : 좌석부 9 : 자립 보조 부재

Claims (6)

  1. 차륜에 지지된 링 형상의 하부 프레임 부재와, 유아를 받아들이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주 프레임과, 상기 주 프레임의 상부에 일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상측 보조 프레임과, 상기 주 프레임의 하부에 일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 하측 보조 프레임과,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과 상기 하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을 연결해서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주 프레임에 대한 교차 각도와 상기 하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주 프레임에 대한 교차 각도를 연동시키는 연동 부재와,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교차 각도 또는 상기 하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교차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가,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의 회전 중심과 동축으로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에 고정된 제 2 치차와, 상기 하측 보조 프레임의 상기 일단측의 회전 중심과 동축으로 상기 하측 보조 프레임에 고정된 제 3 치차와, 상기 제 2 치차와 제 3 치차를 연동시키는 제 1 치차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가 중공의 상기 주 프레임 안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의 하면에 설치되는 여러 개의 치를 설치한 래크 부재와, 상기 상측 보조 프레임의 타단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하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치와 맞물리는 손톱을 갖는 손톱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톱 부재의 상기 손톱을 하방으로 강제적으로 밀어 내려서 상기 치와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는 조작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외주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의 외주 둘레와 협동하여 자립 기능을 부여하는 자립 보조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KR1020040076880A 2003-09-29 2004-09-24 보행기 KR20050031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8175 2003-09-29
JPJP-P-2003-00338175 2003-09-29
JPJP-P-2004-00261019 2004-09-08
JP2004261019A JP2005125083A (ja) 2003-09-29 2004-09-08 歩行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412A true KR20050031412A (ko) 2005-04-06

Family

ID=3465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880A KR20050031412A (ko) 2003-09-29 2004-09-24 보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125083A (ko)
KR (1) KR20050031412A (ko)
CN (1) CN16027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61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테스크 접이형 보행 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6547A (zh) * 2018-06-25 2018-10-02 福建欧仕儿童用品股份有限公司 儿童学步车
CN108703586A (zh) * 2018-07-27 2018-10-26 浙江凯儿宝安全科技有限公司 可调角度的减重婴儿提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61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테스크 접이형 보행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25083A (ja) 2005-05-19
CN1602780A (zh)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286B2 (en) Stroller
US9067612B2 (en) Carrier and stroller
US8733784B2 (en) Stroller
EP2616311B1 (en) A children's push chair frame assembly
CN1158204C (zh) 多性能童车和婴儿车座
TWI636910B (zh) Baby carriage
JPH0329625B2 (ko)
EP2719604B1 (en) Security arrangement in a multi-function passenger carrier
CN1173442A (zh) 折叠式座椅装置
KR20050031412A (ko) 보행기
CN106428181B (zh) 一种儿童手推车
JP3208975U (ja) 幼児用三輪車の折畳構造
CN205706818U (zh) 儿童手推车及其收车机构
EP2684765A1 (en) Passenger carrier front wheel arrangement
JP2017214045A (ja) 自転車用前側子供乗せ
CN106428179B (zh) 儿童手推车及其收车机构、收车折叠方法
CN101786462A (zh) 婴儿推车
JP5422031B2 (ja) 農作業機
JP3988059B2 (ja) ベビーカー用セイフティーロック装置
JPH0122661Y2 (ko)
JP2013031764A (ja) バッグのキャスター
CN104108328A (zh) 车辆内装构造
JP2013013423A5 (ko)
JP4562255B2 (ja) 歩行器
JP2007143575A (ja) 転輪付き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