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158A -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158A
KR20050031158A KR1020030067360A KR20030067360A KR20050031158A KR 20050031158 A KR20050031158 A KR 20050031158A KR 1020030067360 A KR1020030067360 A KR 1020030067360A KR 20030067360 A KR20030067360 A KR 20030067360A KR 20050031158 A KR20050031158 A KR 2005003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rmwork
soil
construction
compa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36772B1 (en
Inventor
황혜주
정태웅
김선혜
전태현
양진성
박창배
Original Assignee
황혜주
정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주, 정태웅 filed Critical 황혜주
Priority to KR10-2003-006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772B1/en
Publication of KR2005003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1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772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34Horizontally-travelling moulds for making walls blockwise or section-w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A wall body form for an earth compaction method and a wall body construction method thereby are provided to construct the wall continuously by moving unit form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ccording to a construction range of the wall body, and to compact earth sufficiently by moving a tie clip horizontally. A wall body form for an earth compaction method is composed of a form body(10) formed by arranging plural panels opposed to each other in parallel and mounting the form panels vertically according to plane shape of the range of a wall body to be constructed, at least a horizontal rail(20) or more formed by mounting a rod horizontally outside the form body, and plural staple-shaped tie clips(30) having one-sided opening parts and restricting the form panels from being widened in compacting earth by covering the opening part with the form body. The tie clip is moved along a horizontal rail.

Description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Wall formwork for soil compa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흙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건축물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흙건축에 있어 거푸집 내부에 흙을 채우고 다짐 시공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일부 구간 길이에 해당하는 단위 거푸집만을 마련하고 이를 구간별로 이동하면서 벽체를 수직,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시공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제작에 따른 비용의 절감효과와 시공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formwork for the compa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o form a wall by filling and compacting the soil inside the formwork in the soil construction constituting the main part of the building using the soil as a main material, in more detail Since only the unit formwork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some section of the wall to be constructed can be prepared and the wall can be construct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while moving it by section, it can reduce the cost and improve the constructability of the form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formwork for a soil compaction method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흙건축이란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벽체, 기둥과 같은 주요부를 이루는 재료로서 흙을 사용하는 건축 방식을 말한다. 이 흙건축 방식은 주변에서 쉽재 소재를 구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비용이 들지 않고 특별히 숙련된 기술을 요하지 않아도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전통적으로 주거용 건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었으나, 반면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철골이나 시멘트와 같이 공업화된 새로운 자재들이 개발됨에 따라 거의 그 모습을 감추게 되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새로운 주택유형을 찾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대적 미관을 살린 흙 건축물들이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있으며, 특히 원적외선 발산, 우수한 단열효과 등과 같이 흙이 지니는 여러가지 유리한 특성들이 밝혀짐에 따라 최근에는 도시근교의 전원주택 등에서 시공되는 예가 증가하고 있고, 또한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soil construction refers to a construction method that uses soil as a material that forms main parts such as walls and columns in constructing a building. This soil construction method is easily used in the surrounding area,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installed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high-cost and special skills, but it has traditionally been the most widely used in residential construction.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nd it has almost disappeared as new industrialized materials such as steel frame and cement were developed. However, in recent years, as new housing types and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ve increased, the earthen buildings that have been using modern aesthetics are starting to attract attention, and various advantageous properties of the soil such as far-infrared radiation and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are revealed. In recent years, the construction of rural houses in urban suburbs, etc.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research on thi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이러한 현대적인 형태의 흙건축에 있어 흙집을 짓는 방법은 크게 흙으로 만든 벽돌을 쌓아 올려 벽체를 구성하는 흙벽돌 방식과,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안에 흙을 채워 넣은 후 이를 다짐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흙다짐 공법(담틀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상기 흙다짐 공법에 의해 시공된 벽체는 밀실하게 다져진 경우 상당한 강도 및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는 바, 흙집 시공에서 외벽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대부분 이 방식에 의하여 시공하고 있다.In this modern type of soil construction, the method of building a clay house is to build a wall by stacking bricks made of soil and constructing a wall, and to form a wall by installing a wall formwork and filling the soil therein. The compaction method (damping method) is mainly used. Among them, the wall constructed by the compaction method can exhibit considerable strength and durability when compactly compacted, and most of the walls are constructed by this method in forming the outer wall in the construction of the clay house.

한편, 상기와 같은 흙다짐 공법에 의해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흙을 채워 넣을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기존에 이러한 흙건축에 사용되는 거푸집으로는 특별한 흙건축 전용의 거푸집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공사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최근에는 채움된 흙을 다짐함에 있어 더욱 효율적인 작업을 위하여 전동 다짐기(rammer)가 사용됨에 따라 다짐시의 측압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으면서 거푸집 시공이 용이한 유로폼을 조립하여 흙건축용 거푸집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struct the wall by the soil compa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formwork to fill the soil should be installed, the existing formwork used for such soil construction is not a special form of dedicated soil construction, but concrete pouring construction The general formwork used in the work was used, and in recent years, as the electric rammer is used for more efficient work in compacting the filled soil,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upport the side pressure during compaction and to easily form the Euroform. It is common to assemble the formwork for soil construction.

그런데, 상기와 같이 유로폼 등을 이용한 흙다짐 공법용 거푸집을 만들어 흙 벽체를 시공하는 종래의 방식을 보게 되면, 콘크리트 타설 공사에서와 같이 구축하고자 하는 벽체 전체에 대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흙을 채운 후 전동 다짐기로 다져 가면서 흙벽체를 형성하여 나갔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 설치 및 시공 방식에 따를 경우 벽면 전체에 대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흙다짐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이를 다시 해체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이같은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따라 공사 기간이 증가함과 함께 인건비 및 거푸집 자재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었는 바 흙건축은 저비용의 건축 방식이라는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일반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오히려 비용 및 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if you see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the soil wall by forming the formwork for the soil compaction method using the euro-foam as described above, install the formwork for the entire wall to be built, such as in the concrete pour construction and fill the soil Going to form the earthen wall while compacting with a compactor.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al formwork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 formwork for the entire wall surface must be installed and dismantled after the compaction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refore, the construction period increases with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ement of such formwork and the labor cost. And since the cost of the formwork material was additionally added, the soil construction has a problem that it takes more cost and time than the general concrete structure, unlike the conventional belief that low-cost construction method.

또한, 거푸집을 고정하는 방식 면에서 볼 때,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흙다짐 공법용 거푸집의 경우, 흙다짐 시공시의 측압에 의해 거푸집이 전도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거푸집의 외부측에는 사선 방향으로 버팀목을 덧대어 설치하고 있는 바 이에 따라 거푸집의 설치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이 버팀목의 설치로 인하여 작업자의 이동 및 원활한 작업이 방해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흙다짐 공법용 거푸집에서는 양측에 설치된 거푸집판이 벌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향된 거푸집판들 상부측 사이에 걸쳐 간격 유지용으로 각목이나 철재 파이프 등을 설치하고 있었는데, 전동 다짐기를 사용하여 다짐 작업을 하는 때에 있어서 이러한 각목이나 철재 파이프 등이 설치된 부근은 다질 수 없거나 충분한 다짐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는 바 시공된 벽체의 품질 면에서도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In addition, in terms of the method of fixing the formwork,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ormwork for the compa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side of the formwork to prevent the formwork to fall or deform due to the side pressure at the time of compaction construction diagonally As a result of the installation of the shoring in the direction,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formwork is increased, and the movement of the worker and the smooth work are hinder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shoring. In addition, in the formwork for the conventional soil compaction method, in order to maintain the constant gap without forming the mold plate installed on both sides, the wood or steel pipes, etc. were installed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opposing form plates. In the compaction operation using a compactor, the area in which such wood or steel pipes were installed could not be compacted or could not be sufficiently compacted. Therefore,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constructed wall.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 흙다짐 공법용 거푸집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일부 구간 길이에 해당하는 단위 거푸집만을 마련하고 이를 구간별로 이동하면서 벽체를 수직,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시공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거푸집의 제작에 따른 비용의 절감효과와 시공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의 하나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ormwork for the compa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ly the unit formwork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some section of the wall to be constructed and move the wall by section Can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the cost and improving the construction performance due to the production of formwork. It is 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흙다짐 시공시의 측압에 의해 거푸집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의 타이클립을 제공하되, 상기 타이클립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타이클립의 설치로 인하여 흙 다짐 시공에 있어 불충분하게 다짐되는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품질 향상면에서도 유리한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shaped tie clip as a whole as a means used to prevent the formwork plate is opened by the lateral pressure during the compaction construction, the tie clip is install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of the tie clip It is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wall formwork for the soil compaction method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quality improvement,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sufficient compaction in the compaction construction due to the install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흙다짐 공법에 의해 일정한 두께의 벽체를 구간별로 이동하면서 연이어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서,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 구간의 평면 형상에 따라 복수개의 거푸집판을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수직 입설하여 된 거푸집 본체와; 상기 거푸집 본체의 외측면에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봉재를 수평방향으로 장착하여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레일; 및,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의 형태를 가지면서 이 개방된 부위가 상기 거푸집 본체에 씌워져 흙다짐 시공시 거푸집판이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타이클립은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레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work for successively forming while moving the wall of a certain thickness by section by the soil compaction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ormwork plate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lanar shape of the wall section to be constructed A formwork body vertically placed side by side to face each other; At least one horizontal rail mounted horizontally with a rod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on an outer surface of the formwork body; And a tie clip having an open-sided c-shape on one side as a whole, so that the open portion is covered with the form body to prevent the form plate from spreading to both sides during the compaction construction. It provides a wall formwork for soil compa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horizontal rail to be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rail.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 구간의 평면 형상에 따라 소정 길이 및 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거푸집판을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입설함에 의해 거푸집 본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흙다짐 공법용 거푸집이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 전체에 대하여 설치되었던 것과는 달리, 단지 벽체의 일부 구간 길이 및 일부 높이에 해당하는 소수의 단위 거푸집만을 마련하고 이를 구간별로 이동하면서 벽체를 수직,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시공해 나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거푸집을 사용하여 흙벽체를 시공하게 되면 시공에 적은 노력을 들이면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경제적인 면에서도 단위 거푸집의 반복 사용에 따라 거푸집의 설치, 해체에 소요되는 인건비 및 자재비를 대폭 절약할 수 있게 되는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form body by placing a plurality of formwork plat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eight side by side to face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lanar shape of the wall section to b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hus Unlike the existing formwork for the compaction method was installed for the entire wall to be constructed, only a few unit formwork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nd part of the height of some sections of the wall is provided, and the walls are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hile moving them by section. In order to continue the construction as follows, when using the wall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a soil wall can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with less effort in construction, as well as economical unit of formwork Labor costs and materials for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formwork due to repeated use The bar being able to greatly saving,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by this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은 흙다짐 시공시의 측압에 의해 거푸집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거푸집판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 수평레일의 구성과 상기 수평레일에 고정됨으로써 측압으로 인해 거푸집판의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한 ㄷ자 형상의 타이클립을 제공하며, 이 때, 상기 타이클립은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함으로써, 흙 다짐 공정에 있어 상기 타이클립이 다짐에 방해가 되는 경우 이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양호한 다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cal means for preventing the form plate is opened by the side pressure during the compaction construction construction of the horizontal plate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form plate and fixed to the horizontal rail by the side pressure of the form plate It provides a U-shaped tie clip to prevent gaping, wherein the tie clip is fixed so as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horizontal rail, if the tie clip interferes with the compaction in the soil compaction process Since it is possible to move as a whole a good compac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configuration.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발명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intended to enab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more clearly understand and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technic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foregoing are described below. It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흙다짐 공법용 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들로서, 도1은 벽체의 직선 부위를 시공하기 위한 것이고, 도2는 코너 부분을 위한 것이며, 도3은 외벽과 내벽이 만나는 부분과 같이 2벽체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을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의 구성은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 구간의 평면 형상에 따라 복수개의 거푸집판(10a,10b,10c)을 서로 대향하도록 수직 입설하여 된 거푸집 본체(10)와; 상기 거푸집 본체(10)의 외부측에 봉재를 수평방향으로 장착하여 된 하나 이상의 수평레일(20) 및; 상기 수평레일(20)에 안내되어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기 거푸집 본체(10)에 씌워져 거푸집판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타이클립(30)을 포함하여 개략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1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ormwork for the comp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for the construction of a straight portion of the wall, Figure 2 is for the corner portion, Figure 3 is the outer wall It is to construct a part where two walls are joined to each other, such as a part where the inner wall meets.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ructure of the wall formwork for the soil comp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vertically placing the plurality of formwork plates (10a, 10b, 10c) to face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lanar shape of the wall section to be constructed 10; One or more horizontal rails 20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formwork body 10 in a horizontal direction; Guided to the horizontal rail 20 is installed so as to move horizontally and has a shape of the letter U as a whole, the configuration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tie clips 30 to cover the formwork body 10 to prevent spreading It can be seen that.

먼저, 상기한 구성요소 중 거푸집 본체(10)는 시공하고자 하는 흙벽체의 형태에 맞도록 복수개의 거푸집판(10a 10b,10c)을 벽체의 두께만큼 소정거리 상호 이격시킨 상태로 나란하게 입설하여 구성한 것으로, 그 내부에 흙을 채워 다짐함으로써 벽체의 일부 구간을 일정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형틀(mold)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푸집 본체(10)를 이루는 거푸집판은 종래의 거푸집에서와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전체 벽면의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벽체의 일부 구간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 및 1회 흙다짐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도록 제작된 것이며, 이를 이동해 가면서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First, among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the form body 10 includes a plurality of formwork plates 10a 10b and 10c placed side by side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it the shape of the soil wall to be constructed. It is to serve as a mold (mold) to form a certain section of the wall by filling the soil therein to compact. Formwork plate constituting the formwork body 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anufactured to the size of the entire wall to be constructed, as in the conventional formwork, but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nd one-time compaction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some sections of the wall It is manufactured to have a height, and by repeatedly using it while moving 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economic burden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formwork as much as possible.

이 때, 상기 거푸집 본체(10)의 평면형태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형으로 하고, 이의 변형된 형태로서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L자형 또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은 T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L자형의 경우 벽체의 코너 부위의 시공을 위한 것이고 T자형의 경우 외벽체와 내벽체가 만나는 부위의 시공을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것과 같은 3가지 타입의 거푸집만을 마련하고 이들을 시공 부위에 따라 적절히 선별하여 사용하면 어떠한 형태의 벽체라 하더라도 능히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lanar form of the form body 10 is made of a straight form as shown in Figure 1 as a basic type, as a modified form thereof as shown in Figure 2 or as shown in Figure 3 as shown in Figure 2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of any one of the T-shape, where the L-shap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and the T-shap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ite where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meet, as described above If only three types of formwork are provided and these are properly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ite, it will be possible to construct any type of wall.

그리고, 상기 거푸집판(10a 10b,10c)은 통상의 합판이나 철판 등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나,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규격화된 유로폼을 횡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게 되면 더욱 간단하게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유로폼의 규격으로는 도1에 도시된 예의 경우, 길이 2,100mm, 높이 450mm의 것을 2장 횡으로 용접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In addition, the formwork plate (10a 10b, 10c) may be manufactured using a conventional plywood or iron plate, etc., if configured to laterally connect the standardized Euroform as shown in Figures 1 to 3 It is possible to simply manufacture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example shown in Figure 1, the length of the flow path, 2100mm in length, 450mm in height were used by welding two pieces laterally.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푸집 본체(10)만으로는 흙다짐 시공시의 측압에 대한 저항력이 부족하여 시공시 거푸집판이 벌어지게 되므로 양호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없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개의 타이클립(30)을 특징적인 구성요소로서 제공한다. 물론 종래에도 콘크리트 혹은 흙건축 공사시에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타이볼트(tie bolt), 폼타이(form tie)와 같은 철물이나 간격유지용 각목 등을 설치하고 이 부재들에 의해 벽체 양측에 설치된 거푸집판들이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존재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 타이볼트나 폼타이의 경우 벽체내에 여러 개를 매립하여 설치하는 것이므로 시공이 번거로울 뿐더러 그 재질상 콘크리트가 아닌 흙벽체에서는 부식의 염려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던 것이며, 거푸집 상부측에 간격유지용 각목을 덧대는 경우, 전동 다짐기 등을 이용하여 다짐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이 각목과 가급적 접촉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각목이 설치된 부근의 다짐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formwork body 10 is configured only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lack of resistance to the side pressur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ompaction is not possible to achieve a good construction because the form plate is opened during the constru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eans as a means for preventing this The tie clip 30 is provided as a characteristic component. Of course, in the past, in order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formwork in concrete or earth construction work, such as a tie bolt, form tie (hard tie) or a piece of wood for maintaining the spacing, etc. It is well known that there existed technologies for allowing the formwork plates mounted on both sides to bind with each other. However, in the case of the tie bolt or form tie is installed by embedding several in the wall, the construction is cumbersome and because of its material, it was not practical to use the soil wall because of the corrosion concerns, and the gap is maintai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ormwork. In the case of adding the wood block, it is necessary to avoid contact with the wood block as much as possible when carrying out the compaction operation using an electric compactor, etc., thereby reducing the work efficiency and causing insufficient compaction in the vicinity.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타이클립(30)의 경우,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ㄷ자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개방된 부위가 거푸집 본체(10)의 상부로부터 씌워지도록 하여 거푸집 본체(10)의 양측면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시의 측압에 의한 거푸집의 벌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이 타이클립(30)은 거푸집 본체(10)에 장착된 수평레일(20)을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전동 다짐기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 내부에 채워진 흙을 다짐시공하는 때에 있어 타이클립(30)의 설치로 인하여 다짐 작업에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이를 좌우로 이동하여 두고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타이클립(30)을 이용하면 불충분하게 다져지는 부분이 발생함이 없이 전체적으로 양호한 흙다짐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된 흙벽체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tie clip 3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tie clip 30 has an open shape as a whole and the open portion is covered from the top of the formwork body 10 so that both sides of the formwork body 10 are provided. The cover has a function to effectively prevent the opening of the formwork due to the side pressure during construction, and the tie clip 30 is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rail 20 mounted on the formwork body 10. When the compaction work is prevent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tie clip 30 when compacting the soil inside the formwork by using an electric compactor, it is possible to move it to the left and right to continue the work. By using the tie clip 3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bar can be used as a whole without causing insufficient chipping. As a good soil compaction construction can be ma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nstructed soil wall.

도4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타이클립(30)에 대한 바람직한 일 구체예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이 타이클립(30)은 도시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자형의 형태로 가공된 바아로서, 일측면에 나사공(32')이 형성된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에 장착되는 가동조임구(34) 및 고정조임편(36)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가동조임구(34)와 고정조임편(36)은 서로 쌍을 이루어 거푸집 본체(10)에 고정된 수평레일(20)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프레임(32)을 일정 위치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레일(20)을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한다. Figure 4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ie clip 3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tie clip 30 is processed in the form of the U-shape as a whole as shown As a bar, the frame 32 is formed with a screw hole 32 'on one side; And a movable fastener 34 and a fixed fastener piece 36 mounted to the frame 32, wherein the movable fastener 34 and the fixed fastener piece 36 are pair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body 10. By holding the horizontal rail 20 fixed to the fixed to the frame 32 at a certain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o be movable horizontally sliding along the horizontal rail (20).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4 및 도5에 더욱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조임구(34)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프레임(32)의 나사공(32')에 나합되는 스크류몸체부(34-1)와; 상기 스크류몸체부(34-1)의 일단에 상기 수평레일(20)을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요홈이 형성된 레일파지부(34-2) 및; 상기 스크류몸체부(34-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반대측 단부에 일체 성형된 회전손잡이(3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조임편(36)은 상기 수평레일(20)을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요홈이 형성된 철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정조임편(36)과 가동조임구(34)에 마련된 요홈에 수평레일이 대략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조임구(34)를 회전시킴으로써 거푸집판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수평레일(20)은 단순히 파지된 상태를 이루므로 결합을 약간 느슨하게 하는 것만으로 타이클립(30)을 좌우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4 and 5, the movable fastener 34 is a member of a round bar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screw hole 32 ′ of the frame 32. Screw body portion 34-1 to be screwed; A rail gripping portion 34-2 having a groove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hold the horizontal rail 20 at one end of the screw body portion 34-1; Rotating knob 34-3 integrally formed at the opposite end to easily rotate the screw body 34-1, the fixing fastening piece 36 is the horizontal rail (20)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in a groove that can form a groove. Therefore, by rotating the movable fastener 34 in a state where the horizontal rail is roughly held in the groove provided in the fixed fastening piece 36 and the movable fastener 34 as described above, the spacing of the formwork plate can be freely adjusted. At this time, since the horizontal rail 20 is simply a gripped state, the tie clip 30 can be easily moved left and right simply by loosening the coupling slightly.

여기서, 상기 수평레일(20)은 상기 거푸집 본체(10)의 측면에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봉재를 수평방향으로 장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이는 주로 상기 타이클립(30)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가이드 레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거푸집판(10a,10b,10c)의 강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이를 보강하는 기능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수평레일(20)의 갯수로는 최소한 하나 이상이면 그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나,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2개를 설치하는 것이 타이클립(30)의 안정된 고정을 이룰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레일(20)의 재질은 강재 파이프로 하고 거푸집 본체(10)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권장되며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하는 것이 타이클립(30)을 이동시킴에 있어 가장 유리할 것이다. Here, the horizontal rail 20 is configured by mounting a rod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 on the side of the formwork body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mainly as a guide rail that the tie clip 30 can move horizontally It also plays a role and also has the function of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formwork plates (10a, 10b, 10c). The number of the horizontal rails 20 a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at least one basic function, but as installing the two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 can achieve a stable fixing of the tie clip 30 More preferred.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horizontal rail 20 is made of steel pipe and fixed to the formwork body 10 by welding is recommende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ircular shape will be most advantageous in moving the tie clip (30).

한편, 상기 타이클립(30)은 거푸집 본체(10)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를 설치하며, 도1에 도시된 거푸집을 예로 들면 중앙부에는 3개의 타이클립(30)을 상부로부터 세워 설치하고, 양 끝단에는 각각 2개씩의 타이클립(30)을 측면으로부터 눕혀진 채로 설치하는데, 이와 같이 끝단에 눕혀 설치된 타이클립(30)의 경우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거푸집의 단부를 막기 위한 마구리판(10')을 지지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타이클립(30)을 눕혀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정조임편(36)이 상기 프레임(32)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가동조임구(34)에 있어 스크류몸체부(34-1)과 레일파지부(34-2)의 결합에서도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tie clip 30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ormwork main body 10, the form shown in Figure 1, for example, in the center three tie clips 30 are installed from the top, both At the end, each two tie clips 30 are laid down from the side, and in the case of the tie clips 30 laid down at the ends, as well as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formwork, the end of the formwork is blocked. It also serves as a support for the copper plate 10 '. At this time, in order to install the tie clip 30 lying dow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fastening piece 36 is hinged to the frame 32 to be rotatable, and this is possible to the movable fastener 34 The same applies to the combination of the screw body portion 34-1 and the rail holding portion 34-2.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이 눕혀 설치된 타이클립은 단을 높여가며 흙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거푸집 본체(10)를 받쳐 주는 걸림턱의 역할까지도 하게 되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사용하여 흙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별도의 받침대나 서포트와 같은 가설 구조물의 설치가 필요 없이 단지 기시공된 흙벽체의 상부에 본 발명의 거푸집을 걸쳐 놓고 이를 이동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시공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나타난다. 이를 첨부한 도6을 참고하여 보게 되면, 상기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용 거푸집(1)은 수평으로 눕혀 설치된 타이클립(30)이 기시공된 흙 벽체(W) 상부에 걸쳐지도록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받침목과 같은 지지 수단의 설치 없이도 자체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타이클립(30)은 거푸집의 간격 유지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거푸집의 지지 수단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Furthermore, the tie clip lying down as described above also serves as a locking jaw supporting the formwork body 10 in constructing the soil wall while raising the stage. Thus, in constructing the soil wall using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easily proceeded simply by placing th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constructed earth wall without the need for installation of a temporary structure such as a separate pedestal or support. Referring to Figure 6 attached to this, as can be easily seen from what is shown in the figure, the formwork for the wal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il on which the tie clip 30 laid horizontally installed By being installed so as to span the upper wall (W) can be supported by itself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support means such as a separate support, therefore, the tie clip 3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formwork It also functions as a support means for the formwork.

다음으로는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흙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a process of constructing an earth wall using th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거푸집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초(도시되지 않음) 위에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그 내부에 흙을 채운 후 다짐하여 소정 높이로 벽체의 일부 구간을 형성한다. 이 때, 도시된 것과 같이 L자형 거푸집을 사용하여 코너 부위를 먼저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constructing the wall using the wall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stall the wall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foundation (not shown) as shown in FIG. To form a section of the wall to a predetermined heigh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the corner portion first using the L-shaped formwork as shown.

상기와 같이 일부 벽체(W)가 형성되면 이 벽체(W)에 연이어 흙 벽체를 시공해 나가게 되며, 이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거푸집을 기시공된 벽체(W)의 일측에 이어 설치하고 그 내부에 흙을 채워 넣은 후 전동 다짐기 등으로 다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전체 벽체에 대한 거푸집을 모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구간의 시공이 끝나면 거푸집을 인접 구간으로 이동해 가면서 반복 사용하는 것이므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벽체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벽체 구간의 형상에 따라 상기한 직선형, L자형, T자형 거푸집을 적절하게 선별하여 시공한다.When the wall (W)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oil wall is constructed in succession to the wall (W), which is shown on one side of the wall (W), the wall formwork as shown in Figure 7 (b) It is then installed and filled with soil inside, and then compacted with an electric compactor.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formwork for the entire wall as in the prior art, since the construction is used repeatedly while moving the formwork to the adjacent sec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some sections can proceed very quickly and simply wall construction.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all section, the above-described straight, L-shaped, T-shaped formwork is appropriately selected and constructed.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 시공하고자 하는 흙 벽체 1단의 시공이 완료되면(도7(c)), 시공된 벽체의 상부에 다시 다음 단의 형성을 진행해 간다. 이는 앞서 설명한 1단째의 시공과 대략 유사한 방식으로 시공되는 것으로, 기시공된 벽체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설치하고 흙 채움 및 다짐을 시행하여 일부 구간을 형성한 다음, 인접 구간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흙 벽체의 길이 및 높이를 증가시켜 나가게 된다.(도7(d) 및 도7(e) 참조) 이 때, 본발명의 거푸집을 기시공 벽체 위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클립(3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 별도의 받침대나 버팀목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더욱 간편하게 벽체 시공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도7(f))When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stage of the soil wall to be construc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completed (Fig. 7 (c)), the next stage is formed again on the upper part of the constructed wall. This is to be constructed in a manner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stage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top of the pre-installed wall and forming some sections by filling and compacting the soil, then install the formwork in adjacent sections In this case,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soil wall are increased. (See FIGS. 7 (d) and 7 (e).) In this case, in the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ore wall, the tie clip 30 is described. If it is supported by),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pedestal or shoring,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wall construction more easily (Fig. 7 (f)).

이후로는 전술한 것과 같은 공정을 되풀이하여 시행함으로써 벽체의 높이 및 길이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나가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적으로 진행해 나가면 최종적으로 전체 벽체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흙 벽체 시공방법에 의하면, 단지 몇 개만의 단위 거푸집만을 활용하여 이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전체 벽체를 손쉽게 완성할 수 있게 되므로 거푸집의 제작에 드는 자재 및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소수의 작업 인원만을 투입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흙벽 시공 작업을 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 공사 기간 단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that,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ly performed to increase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wall step by step, and if such a process is continued, the entire wall can be finally comple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soil wall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complete the entire wall by repeatedly moving it by using only a few unit formwork,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material and cost for the production of formwork. Of course, only a small number of workers can be put in place to quickly and easily perform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 wall, so that the effect of reducing labor costs and construction periods can be expected.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일부 구간 길이에 해당하는 단위 거푸집만을 마련하고 이를 구간별로 이동하면서 벽체를 수직,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시공할 수 있으므로 소수의 인원만으로 별다른 재료비의 증가 없이 간편하게 벽체 공사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타이클립의 경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흙 다짐 시공에 있어 불충분하게 다짐되는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벽 전체의 고른 다짐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above, only the unit formwork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some sections of the wall to be constructed can be provided, and the walls can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hile moving the sections, thereby increasing the material costs with only a few people.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wall construction easily. In addition, since the tie clip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sufficiently compacted part in the compaction construction, the effect that the even compaction of the entire wall is possibl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타이클립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ie cli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타이클립과 수평레일이 결합되는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portion where the tie clip and the horizontal rail is coupled.

도6은 본 발명의 벽체 거푸집이 기시공된 흙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이의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l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earth wall construction.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거푸집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wall using the wall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 발명에 따른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1: wall formwork for the comp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10: 거푸집 본체 20: 수평레일10: formwork body 20: horizontal rail

30: 타이클립 32: 프레임30: Tie clip 32: Frame

34: 가동조임구 36: 고정조임편34: movable fastener 36: fixed fastener

Claims (5)

흙다짐 공법에 의해 일정한 두께의 벽체를 구간별로 이동하면서 연이어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서, As the formwork for forming successively while moving the wall of a certain thickness by section by the compaction method,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 구간의 평면 형상에 따라 복수개의 거푸집판을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수직 입설하여 된 거푸집 본체;A formwork body vertically placed side by side so as to face each other according to a planar shape of a wall section to be constructed; 상기 거푸집 본체의 외측면에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봉재를 수평방향으로 장착하여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레일; 및,At least one horizontal rail mounted horizontally with a rod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on an outer surface of the formwork body; And,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의 형태를 가지면서 이 개방된 부위가 상기 거푸집 본체에 씌워져 흙다짐 시공시 거푸집판이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타이클립;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plurality of tie clips having a form of a c-shaped open on one side as a whole, the open portion is covered to the form body to prevent the form plate from spreading to both sides during the compaction construction; 상기 타이클립은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The tie clip is a wall formwork for soil compa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rail. 제1항에서, 상기 거푸집 본체의 평면형상은 직선형, L자형 또는 T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The formwork wall formwor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ar shape of the form body has any one of a straight line, an L shape, and a T shape. 제1항에서, 상기 타이클립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ie clip, 전체적으로 ㄷ자형의 형태로 가공된 바아로서, 일측면에 나사공이 형성된 프레임;과As a whole bar is processed in the form of the c-shape, the frame formed with a screw hole on one side; And 상기 프레임의 나사공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 형태의 스크류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수평레일을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요홈이 형성된 레일파지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회전손잡이가 마련된 가동조임구; 및,Movable fasteners are provided with a rail holding part formed with a groove in the form that can hold the horizontal rail at one end of the screw body of the round rod-shaped screw bod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screw hole of the frame,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rotary handle ; And, 상기 프레임의 나사공이 형성된 측면의 타측면 대응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수평레일을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요홈이 형성된 고정조임편;Fixing fastening piece is mount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of the frame hole formed in the frame and the groove is formed in the form that can hold the horizontal rail;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Wall formwork for the compa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거푸집 본체를 이루는 거푸집판은 통상의 유로폼을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The wall formwork for the soil compa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ormwork plate constituting the formwork body is configured using a conventional euroform. 흙다짐 공법에 의해 일정한 두께의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of forming a wall of a constant thickness by the compaction method, (a)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의 내부에 흙을 채운 후 다짐하여 소정높이로 벽체의 일부 구간을 형성하는 단계;(a) filling a portion of the wall formwork for soil compa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ith soil after compacting to form a section of the wall at a predetermined height; (b) 기시공된 벽체 구간의 일측에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을 이어 설치하고 내부에 흙을 채운 후 다짐하여 벽체를 연이어 형성시키는 단계;(b) installing the wall formwork for the soil compaction method of claim 1 or 2 on one side of the wall section previously constructed, and filling the soil therein and then compacting to form walls in succession; (c) 상기 (b)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벽체 전구간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c) repeatedly performing step (b) to form a wall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whole wall; (d) 기시공된 벽체의 상부에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내부에 흙을 채운 후 다짐하여 벽체를 높이를 상승시키는 단계;(d) installing the wall formwork for the soil compa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bove the pre-installed wall, filling the soil therein and then compacting to raise the height of the wall; (e) 소정높이로 기시공된 벽체의 상부 및 기시공된 벽체 구간의 일측에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을 이어 설치하고 내부에 흙을 채운 후 다짐하여 벽체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e) The wall formwork for soil compa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ll and the wall section of the constructed wall at a predetermined height. Raising the height; And, (f) 상기 (d)와 (e)단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전체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f) repeating steps (d) and (e) to complete the entire wall;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흙다짐 공법용 벽체 거푸집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wall formwork for soil compac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03-0067360A 2003-09-29 2003-09-29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536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360A KR100536772B1 (en) 2003-09-29 2003-09-29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360A KR100536772B1 (en) 2003-09-29 2003-09-29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158A true KR20050031158A (en) 2005-04-06
KR100536772B1 KR100536772B1 (en) 2005-12-14

Family

ID=3723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360A KR100536772B1 (en) 2003-09-29 2003-09-29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7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77554B2 (en) * 2015-12-18 2022-10-20 Formulater Pty. Ltd. Rammed earth form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584B1 (en) 2018-06-27 2021-08-19 주식회사 흙지움 Molding system of precast clay walls and their preparing method using the system
KR102089240B1 (en) 2019-08-05 2020-03-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nomous equipment for seamless rammed earth construction
KR102309917B1 (en) 2020-10-28 2021-10-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construction system for seamless rammed earth construction
KR102256813B1 (en) * 2020-12-15 2021-05-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onstruction equipment for structures with curvature
KR102309914B1 (en) 2021-03-02 2021-10-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nomous Rammed Earth Wall Construction and Self Climbing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77554B2 (en) * 2015-12-18 2022-10-20 Formulater Pty. Ltd. Rammed earth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6772B1 (en)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687B2 (en) Concrete panel construction system
WO2016062224A1 (en) Integrated column-equipped heat insulation wallboard, manufacturing and building processes and corollary equipment thereof
BG61821B1 (en) Modular wall structure made of concrete and foam plastic, and a method and device for building it
US20040216415A1 (en) Welded wire reinforcement for modular concrete forms
KR19980035620A (en) Prefabricated stee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060174569A1 (en) Apparatus for pre-casting concrete structures
KR100536772B1 (en)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7061841A (en) Concrete form structure
KR20050021771A (en) A Dismonuting Structure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4364434U (en) Assembled constructional column suitable for prefabricated wallboard of frame construction
JP2011069151A (en) Concrete panel form
US20080236083A1 (en) Modular Concrete Wall System
KR101898158B1 (en) Cast Frame Using Steel production side gutter
JP2002227220A (en) Foundation for dwelling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CN214007038U (en) Building site is with dismantled and assembled gatepost
CN217581210U (en) Frame post is embraced to prefabricated doorjamb and fixing device
KR102561363B1 (en) 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
CN210659245U (en) Non-dismantling forming column template containing reinforcement cage and template structure
CN113700037B (en) Reverse construction method underground super-thick side wall pouring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KR20030034379A (en) A Wall Fram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s Using the Same
CN210659251U (en) Non-dismantling formed beam template containing reinforcement cage and template structure
AU647783B2 (en) Improved building techniques
KR200398402Y1 (en) A cast of concret block for shoe
KR20120102457A (en) Construction method for boundary stone on road
KR100468523B1 (en) Glass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lass block structur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