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584B1 - Molding system of precast clay walls and their preparing method using the system - Google Patents

Molding system of precast clay walls and their preparing method using th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584B1
KR102290584B1 KR1020190074891A KR20190074891A KR102290584B1 KR 102290584 B1 KR102290584 B1 KR 102290584B1 KR 1020190074891 A KR1020190074891 A KR 1020190074891A KR 20190074891 A KR20190074891 A KR 20190074891A KR 102290584 B1 KR102290584 B1 KR 10229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mud
cavity
reinforcing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8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1513A (en
Inventor
정문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흙지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80074044 external-priority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흙지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흙지움
Priority to CN201980047381.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437715B/en
Priority to PCT/KR2019/007628 priority patent/WO2020004889A1/en
Publication of KR2020000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5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5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격자구조로 제작된 보강골조와; 상기 보강골조를 세워둘 수 있는 적재면을 갖는 플랫폼(platform)과; 상기 보강골조를 수용하는 캐비티(cavity)를 갖는 거푸집 모듈과; 상기 플랫폼 위에 세워진 보강골조가 상기 거푸집 모듈의 캐비티 속으로 출입하도록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을 이동시켜 주는 이송수단과; 상기 거푸집 모듈의 캐비티 속으로 진흙반죽을 압입하는 진흙압입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진흙 건축물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흙벽체를 프리캐스트(precast) 형식으로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새로운 흙벽체 성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system for a precast earthen wall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earthen wall using the same. a platform having a loading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frame can be erected; a formwork module having a cavity for accommodating the reinforcing frame; a transfer means for moving the platform or the formwork module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erected on the platform enters and exits the cavity of the formwork module; mud press-in means for press-inserting the mud dough into the cavity of the form module; It relates to a new earth wall molding system that can mass-produce earth walls used for constructing mud buildings in a precast format by including

Figure 112019064318219-pat00004
Figure 112019064318219-pat00004

Description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의 축조방법{Molding system of precast clay walls and their preparing method using the system}Molding system of precast clay walls and their preparing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진흙 건축물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흙벽체를 프리캐스트(precast) 방식으로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새로운 흙벽체 성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system for a precast earthen wall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earthen wall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new earth wall forming system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cast earth wall using the same.

자연에서 얻어지는 진흙은 석재나 목재와 함께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건축재료 중 하나이다. 진흙 건축물은 콘크리트 건축물에 비해 내구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으나, 온도 및 습도 조절능력이 우수하고 인체에 유익한 친환경적인 소재라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특히 가정용 주택이나 팬션, 별장 등 주거용 건축물의 소재로 진흙을 사용하는 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Mud obtained from nature is one of the oldest building materials in human history, along with stone and wood. Mud structures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weaker in durability compared to concrete structures, but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n eco-friendly material that i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and has excelle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capabilities.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use of clay as a material for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residential houses, pensions, and villa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일반적으로 진흙을 이용한 건축물 축조방법은 크게 조적방식과 덧칠방식, 그리고 다짐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조적방식은 미리 성형해둔 흙벽돌을 하나씩 쌓아서 벽체를 축조하는 방식이고, 덧칠방식은 예컨대 수수대나 대나무 등을 엮어서 심재를 제작하고, 그 양면에 진흙반죽을 붙여서 벽체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다짐방식은 거푸집 안에 진흙을 채워 넣고 이를 건조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공법이 용이한 조적방식이나 덧칠방식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높은 다짐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mud can be divided into a masonry method, an overcoat method, and a compaction method. The masonry method is a method of building a wall by stacking pre-formed clay bricks one by one, and the layering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a heartwood by weaving, for example, millet or bamboo, and attaching clay dough on both sides to form a wall. And the compaction method is a method of building a wall by filling the formwork with mud and drying it. In the past, the masonry method or the overcoat method, which is easy to construct, has been widely used, but recently, the compaction method with relatively high economic efficiency is mainly used.

종래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6772호(2005년 12월 08일)에는 흙다짐 공법에 사용되는 벽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03371호(2010년 12월 16일)에는 충진 공법으로 축조된 흙벽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격자망 형태의 보강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흙 벽체 축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related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36772 (December 08, 2005) discloses a wall formwork used in a soil compaction method and a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03371 (December 16, 2010) discloses a grid-type reinforcement frame module installed inside a wall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an earthen wall constructed by a filling metho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earthen wall using the same This is disclosed.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54276호(2014년 10월 17일) 및 이에 대응하는 국제공개특허 WO 2013/109058(2013년 7월 25일)에서 새로운 흙반죽 충진방식을 이용한 흙 건조물 축조방법을 소개한 바 있다. 상기 흙 건조물 축조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망체로 이루어진 골격부재에 가설 형틀을 설치하고, 상기 가설형틀 내로 기계적 압출장치에 의해 진흙 반죽을 버텀업(bottom-up) 방식으로 압밀 충진한 다음, 상기 가설형틀을 제거한 후에 흙벽체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54276 (October 17, 2014) and the corresponding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WO 2013/109058 (July 25, 2013) using a new soil dough filling method The construction method has been introduced. Briefly introduc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oil building, a temporary mold is installed on a skeletal member made of a mesh body, and the clay dough is compacted and filled into the temporary mold by a mechanical extrusion device in a bottom-up manner, and then,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il wall is dried after the temporary frame is removed.

이러한 버텀업 충진방식은 시멘트 반죽에 비해 점성과 가소성이 훨씬 높은 진흙반죽 특유의 물성을 십분 활용한 새로운 공법으로서, 종래의 흙다짐 방식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공정상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버텀업 충진방식은 반드시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시행해야 한다. 따라서 진흙반죽을 압밀 충진할 수 있는 기계적 압출장치를 시공현장까지 이동시켜야 하고, 흙벽체를 건조시키는데 필요한 시간만큼 시공기간이 지연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This bottom-up filling method is a new construction method that fully utilizes the properties of clay dough, which has much higher viscosity and plasticity than cement dough, and is evaluated to be able to effectively solve various process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oil compaction method. are receiving However, the bottom-up filling method must be implemented at the building construction site. Therefore, there were disadvantages such as having to move a mechanical extrusion device capable of compacting and filling the clay dough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delaying the construction period by the time required to dry the soil wal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6772호(2005년 12월 08일)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36772 (December 08, 200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03371호(2010년 12월 16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03371 (December 16, 2010)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54276호(2014년 10월 17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54276 (October 17, 2014) 국제공개특허 WO 2013/109058(2013년 7월 25일)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WO 2013/109058 (July 25, 2013)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현장에서 거푸집 속에 진흙반죽은 다져 넣거나 기계적 압출장치로 진흙반죽을 압밀충진 할 필요 없이, 별도의 장소에서 규격화된 흙벽체를 미리 제작 및 보관해 두고 있다가 필요할 때 시공현장으로 이송하여 미리 성형된 흙벽체를 서로 조립하는 공정만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흙벽체의 축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nd store standardized soil walls in advance at a separate place without the need to compact the clay dough in the formwork or compactly fill the clay dough with a mechanical extrusion device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n construct it when necessa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lding system for a precast earth wall that can construct a building only by a process of assembling pre-formed earth walls together by transporting them to a sit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earth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은, 격자구조로 제작된 보강골조와; 상기 보강골조를 세워둘 수 있는 적재면을 갖는 플랫폼(platform)과; 상기 보강골조를 수용하는 캐비티(cavity)를 갖는 거푸집 모듈과; 상기 플랫폼 위에 세워진 보강골조가 상기 거푸집 모듈의 캐비티 속으로 출입하도록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을 이동시켜 주는 이송수단과; 상기 거푸집 모듈의 캐비티 속으로 진흙반죽을 압입하는 진흙압입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ming system of the precast earthe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inforcing frame manufactured in a lattice structure; a platform having a loading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frame can be erected; a formwork module having a cavity for accommodating the reinforcing frame; a transfer means for moving the platform or the formwork module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erected on the platform enters and exits the cavity of the formwork module; mud press-in means for press-inserting the mud dough into the cavity of the form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거푸집 모듈은, 상기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캐비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캐비티 도어와; 상기 캐비티의 양쪽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골조의 양면을 덮는 한쌍의 골조측판과; 상기 골조측판을 상기 보강골조의 양면에 밀착 또는 이격시켜 주는 측판압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rmwork module, the housing having the cavity; a cavity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trance of the cavity; a pair of frame side plates install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cavity to cover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a side plate pressing unit that closely adheres or separates the frame side plate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축조방법, A) 상기 플랫폼의 적재면 위에 상기 보강골조를 세우는 단계와; B) 상기 플랫폼 위에 세워진 보강골조가 상기 거푸집 모듈의 캐비티 속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C) 상기 거푸집 모듈의 캐비티 내부에 설치된 한쌍의 골조측판을 상기 보강골조의 양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진흙압입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에 진흙반죽을 압입하여 상기 보강골조를 포함하는 흙벽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E) 상기 흙벽체로부터 골조측판을 이격시키고, 상기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을 이동시켜서 상기 거푸집 모듈로부터 상기 흙벽체를 탈형하는 단계와; F) 상기 플랫폼의 적재면 위에서 상기 흙벽체를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cast earthe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e steps of erecting the reinforcing frame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platform; B) moving the platform or the formwork module using the transfer means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erected on the platform enters the cavity of the formwork module; C) adhering a pair of frame side plates installed inside the cavity of the form module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respectively; D) forming a soil wall including the reinforcing frame by press-fitting the clay dough into the cavity using the mud press-in means; E) separating the frame side plate from the earthen wall, and demolding the earthen wall from the formwork module by moving the platform or the formwork module using the transfer means; F) drying the soil wall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platfo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및 이를 흙벽체의 축조방법을 이용하면, 진흙 건축물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흙벽체를 프리캐스트 형식으로 용이하게 대량생산 함으로써, 진흙 건축물의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나아가 그 시공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Using the precast earth wall form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th wall construction method, the earth wall used to construct a mud building can be easily mass-produced in a precast form, thereby remarkab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mud building. This can be done, and furthermore,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성형시스템에서 보강골조(1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플랫폼(20a)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거푸집 모듈(30a)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성형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플랫폼(20b)을 포함하는 성형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플랫폼(20c)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reinforcing frame 10 in the form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fixed platform 2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formwork module 30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ld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lding system including a movable platform 20b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etachable platform 2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n addition, even if it is a configuration essential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tter introduced in the prior art or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known art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은, 격자구조로 제작된 보강골조(10)와, 상기 보강골조(10)를 세워두는 플랫폼(20), 상기 보강골조(10)를 수용하는 거푸집 모듈(30), 상기 플랫폼(20)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30)을 왕복 이동시켜 주는 이송수단, 그리고 상기 거푸집 모듈(30)의 캐비티 속으로 진흙반죽을 압입하는 진흙압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orming system of the precast earthe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frame 10 manufactured in a grid structure, a platform 20 for standing the reinforcing frame 10, and a formwork module for accommodating the reinforcing frame 10 (30), a transfer means for reciprocating the platform 20 or the form module 30, and a mud press-in means for press-inserting the mud dough into the cavity of the form module 30.

먼저 상기 보강골조(10)는 흙벽체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첨부 도 1과 같이 예컨대 직경이 4~5mm 정도인 철선이 격자 구조로 배치된 케이지(cage) 형태의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1)의 사변의 모서리 부위에는 L자형 철제빔(1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철제빔(12)은 상기 프레임(11)에 견고하게 지지하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성형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흙벽체를 이송할 때 크레인의 후크(hook)를 걸 수 있는 걸림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거나, 상기 흙벽체를 시공할 때 상기 철제빔(12)을 이웃한 흙벽체의 철제빔(12)과 맞붙여 용접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First, the reinforcing frame 10 is inserted into the soil wall, and 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 1, for example, it consists of a cage-shaped frame 11 in which iron wir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4 to 5 mm are arranged in a grid structure, An L-shaped iron beam 12 is attach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quadrangle of the frame 11 . The iron beam 12 is firmly supported on the frame 11, and further functions to maintain the overall shape of the precast earth wall mol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transporting the earth wall, a hanging part (not shown) capable of hooking a crane hook is installed, or when the earth wall is constructed, the iron beam 12 is adjacent to the iron beam of the earth wall. (12) can be used for bonding and welding.

상기 보강골조(10)의 형상은 도 1과 같이 앞면과 뒷면이 평면인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앞면과 뒷면이 완만하게 휘어진 원호(arc) 형상(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원호 형상의 보강골조(10)를 사용하면 앞면과 뒷면이 완만하게 휘어진 원호 형상의 흙벽체가 제조된다. 그리고 원호 형상의 흙벽체를 사용하면 벽체 구조가 원형 또는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을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frame 10 is preferably a flat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back surfaces are flat, as shown in FIG. 1, but if necessary, the front and back sides are gently curved in an arc shape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made with When the arc-shaped reinforcing frame 10 is used, an arc-shaped earthen wall with gently curved front and back surfaces is manufactured. In addition, if an arc-shaped earthen wall is used, it is possible to easily construct a building in which the wall structure has a circular or gentle curve.

다음으로 상기 플랫폼(20)은 상기 보강골조(10)를 세워두는 적재면을 갖는 것으로, 고정형 플랫폼(20a)과 이동형 플랫폼(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첨부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플랫폼(20a)을 나타낸 것으로, 다수개의 보강골조(10)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렬로 나란히 세워둘 수 있을 만큼 확장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형 플랫폼(20a)은 지면, 예컨대 공장 바닥에 일체로 형성되며, 지면보다 약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platform 20 has a loading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frame 10 is erected, and may be composed of a fixed platform 20a and a movable platform 20b. Attached Figure 2 shows a fixed platform (2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length extended enough to stand side by side in series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10) at regular intervals . The fixed platform 20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ground, for example, the factory floor, and is preferably slightly higher than the ground.

상기 거푸집 모듈(30)은 상기 보강골조(10)를 수용하는 캐비티(cavity)를 갖는 것으로, 이동형 거푸집 모듈(30a)과 고정형 거푸집 모듈(3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20)이 고정형(20a)일 경우, 상기 거푸집 모듈(30)은 이동형(30a)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랫폼(20)이 이동형(20b)일 경우에는 상기 거푸집 모듈(30)이 고정형(30b)으로 구성된다. The formwork module 30 has a cavity for accommodating the reinforcing frame 10 , and may be composed of a movable formwork module 30a and a fixed formwork module 30b. When the platform 20 is a fixed type 20a, the formwork module 30 is configured as a movable type 30a, and when the platform 20 is a movable type 20b, the formwork module 30 is a fixed type ( 30b).

첨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거푸집 모듈(30a)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첨부 도 4는 고정형 플랫폼(20a) 위에 이동형 거푸집 모듈(30a)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고정형 플랫폼(20a)의 양쪽에는 나란히 거푸집 이송레일(4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형 거푸집 모듈(30a)의 하단에는 상기 거푸집 이송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바퀴(35)가 설치되어 있다.3 shows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formwork module 3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vable formwork module 30a is installed on the fixed platform 20a. On both sides of the fixed platform 20a, form transport rails 41 are installed side by side, an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formwork module 30a, rail wheels 35 that move along the formwork transport rail 41 are installed. have.

그리고 첨부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플랫폼(20b)과 고정형 거푸집 모듈(30b)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이동형 플랫폼(20b)의 하단에는 이송바퀴(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형 거푸집 모듈(30b)은 양쪽 하단부가 지면 위에 고정되어 있다.And attached Figure 5 shows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platform 20b and the fixed formwork module 3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ansfer wheel 2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platform 20b, and , The fixed formwork module 30b has both lower ends fixed on the ground.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플랫폼(20) 위에 세워진 보강골조(10)가 상기 거푸집 모듈(30)의 캐비티 속으로 출입하도록 상기 플랫폼(20)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30)을 일정 구간 내에서 왕복 이동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The transfer means reciprocates the platform 20 or the formwork module 30 within a certain section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10 built on the platform 20 enters and exits the cavity of the formwork module 30. function.

상기 플랫폼(20)이 고정형(20a)일 경우,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고정형 플랫폼(20a)의 양쪽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나란히 이송레일(41)과, 상기 이동형 거푸집 모듈(30a)의 하단에 설치된 레일바퀴(3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모듈(30)이 고정형(30b)일 경우,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이동형 플랫폼(20b)의 하단 설치된 이송바퀴(21)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바퀴(21)에는 상기 레일바퀴(35)와 달리 이송레일(41)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When the platform 20 is a fixed type 20a, the conveying means 30 includes a conveying rail 41 on both sides of the fixed platform 20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formwork module 30a. It consists of a rail wheel (35) installed on the. And when the formwork module 30 is a fixed type 30b, the conveying means 30 is composed of a conveying wheel 21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platform 20b. Unlike the rail wheel 35 , there is no need to install the transfer rail 41 on the transfer wheel 21 .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상기 이동형 거푸집 모듈(30a)의 하단에는 레일바퀴(35)가 설치되고, 이동형 플랫폼(20b)의 하단에는 이송바퀴(21)가 설치된 경우만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이동형 거푸집 모듈(30a)의 하단에 이송바퀴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형 플랫폼(20b)의 하단에는 이송레일과 레일바퀴를 설치해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rail wheel 35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formwork module 30a, and the transfer wheel 2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platform 20b. However, on the contrary, the movable formwork module ( A transfer wheel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30a), and a transfer rail and a rail wheel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platform 20b.

한편,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플랫폼(20)을 적재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플랫폼 운반차량(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일 수도 있다. 이러한 플랫폼 운반차량을 이용하면, 성형된 흙벽체를 신속하게 넓은 장소로 이동, 확산시켜서 용이하게 건조 및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플랫폼 운반차량에는 흙벽체가 적재되어 있는 플랫폼(20)을 하차할 수 있는 크레인이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ransport means 30 may be a platform transport vehicle (not shown in the drawings) specially manufactured to load the platform 20 . By using such a platform transport vehicle, the molded soil wall can be quickly moved and spread to a wide place, so that it can be easily dried and stored. To this end, a crane capable of dismounting the platform 20 on which the earth wall is loaded may be installed in the platform transport vehicle.

다음으로 상기 거푸집 모듈(30)은, 하우징(31)과, 캐비티 도어(32), 골조측판(33), 그리고 측판압박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거푸집 모듈(30a)에는 상기 하우징(31)의 하부에 레일바퀴(35)가 설치되어 있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거푸집 모듈(30b)은 상기 하우징(31)의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있다.Next, the formwork module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using 31 , a cavity door 32 , a frame side plate 33 , and a side plate pressing part 34 . And in the movable formwork module 3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wheel 35 is installed under the housing 31, and the fixed formwork module 3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31 is fixed to the ground.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플랫폼(20)의 적재면 위에 세워진 보강골조(10)를 길이방향으로 수용하는 내부공간, 즉 캐비티를 가지며, 상기 캐비티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보강골조(10)를 출입시키는 출입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플랫폼(20) 위에 보강골조(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이송레일(41)을 따라 이동식 거푸집 모듈(30a)을 이동시키면, 상기 보강골조(10)가 상기 하우징(31)의 전방 출입구를 통해 캐비티 안으로 진입한 다음, 후방 출입구를 통해 캐비티 밖으로 이탈한다. The housing 31 has an internal space, that is, a cavity for accommodating the reinforcing frame 10 erect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platform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frame 10 is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avity, respectively. There is an entrance for entry and exit. So, when the movable formwork module 30a is moved along the transfer rail 41 in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frame 10 is erected on the platform 20, the reinforcing frame 10 is the front entrance of the housing 31. It enters the cavity through the doorway, and then exits the cavity through the rear doorway.

상기 하우징(31) 내부에는 상기 플랫폼(20)의 적재면 위에 병렬로 배치된 2~4개의 보강골조(10)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 2~4개의 캐비티가 나란히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캐비티의 개수는 상기 플랫폼(20) 위에 세워지는 보강골조(10)의 수에 대응한다. 첨부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하우징(31)에 2개의 캐비티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Two to four cavities separated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side by side in the housing 31 so as to simultaneously accommodate two to four reinforcing frames 10 arranged in parallel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platform 20 . The number of cavities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reinforcing frames (10) erected on the platform (20). 3 to 5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two caviti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housing 31 .

상기 캐비티 도어(32)는 상기 캐비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그 개폐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힌지와 시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캐비티 도어(32)를 닫으면, 상기 캐비티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The cavity door 32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avity,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opening and closing form thereof, and a conventional hinge and a locking device (not shown) are installed. When the cavity door 32 is closed, the cavity forms an internal space sealed from the outside.

상기 골조측판(33)은 상기 캐비티의 양쪽 내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골조(10)의 양면을 덮어서 진흙반죽이 보강골조(10)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골조측판(33)의 형상은 상기 보강골조(10)의 형상에 대응한다. 즉 상기 보강골조(10)의 형상이 완만한 원호 형상이면, 상기 골조측판(33) 역시 완만한 원호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골조측판(33)의 내면, 즉 상기 보강골조(10)와 대향하는 면에는 진흙반죽이 들러붙지 않도록 천이나 부직포와 같은 격리막이 도포 될 수도 있고, 또는 흙벽체의 표면으로 전사되는 문양이 음각 또는 양각 될 수도 있다. The frame side plate 33 is install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cavity, and serves to cover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10 to prevent the mud dough from flowing out of the reinforcing frame 10 . The shape of the frame side plate 33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reinforcement frame 10 . That is, if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frame 10 is a gentle arc shape, the frame side plate 33 also has a gentle arc shape. 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side plate 33,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reinforcement frame 10, a separator such as cloth or non-woven fabric may be applied to prevent the mud dough from sticking, or the pattern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earth wall It may be engraved or embossed.

상기 측판압박부(34)는 상기 골조측판(33)을 상기 보강골조(10)의 양면에 밀착하거나 또는 이격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측판압박부(34)는 상기 하우징(31)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 공압이나 유압, 또는 다른 기계적 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압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골조측판(33)은 상기 측판압박부(34)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고. 별도의 지지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side plate pressing part 34 functions to closely contact or separate the frame side plate 33 from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10 . The side plate pressing part 34 is installed in the housing 31 and may be configured as a compression cylinder operated by pneumatic, hydraulic, or other mechanical devices, respectively. The frame side plate 33 may be supported by the side plate pressing part 34 . A separate support means may be provided.

상기 거푸집 모듈(30)은 하나의 하우징(31) 내에 다수개, 예컨대 5~10개 정도의 보강골조(10)를 나란히 병렬로 수용하여 각 보강골조(10)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흙벽체를 동시에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31)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각 보강골조(10)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다수개의 분리형 캐비티를 가질 수도 있고, 하나의 캐비티 내에 다수개의 보강골조(10)를 함께 수용하는 통합형 캐비티(도시하지 않음)를 가질 수도 있다. The formwork module 30 accommodates a plurality of, for example, about 5 to 10 reinforcement frames 10 side by side and in parallel in one housing 31 to simultaneously accommodate a plurality of soil walls corresponding to each reinforcement frame 10 . can be configured to mold. At this time, the housing 31 may have a plurality of separate cavities for accommodating each reinforcing frame 10 independently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10 together in one cavity. It may have an integrated cavity (not shown).

상기 캐비티가 통합형인 경우, 상기 하우징(31)에는 한 개의 캐비티만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개의 보강골조(10)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다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하우징(31) 내부에 4개의 보강골조(10)를 수용하는 통합형 캐비티 2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3개의 보강골조(10)를 수용하는 통합형 캐비티 3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통합형 캐비티 내에서는 성형된 흙벽체가 서로 들러붙지 않도록 각 보강골조(10)들 사이에 분리판이나 분리막(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한 상태에서 진흙반죽을 압입한다.When the cavity is an integrated type, only one cavity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31 , or a plurality of cavities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1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two integrated cavities accommodating four reinforcing frames 10 may be installed in one housing 31, or three integrated cavities accommodating three reinforcing frames 10 may be installed. . In such an integrated cavity, the clay dough is press-fitted with a separator plate or a separator (not shown) inserted between each reinforcing frame 10 so that the molded earth walls do not stick to each other.

마지막으로 상기 진흙압입수단은 거푸집 모듈(30)의 캐비티 속으로 미리 준비된 진흙반죽을 압입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스크루우 방식이나 피스톤 방식 등의 기계적 압출장치(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한다. Finally, the mud press-in means press-in the prepared mud dough into the cavity of the form module 30, and includes a mechanical extrusion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 such as a conventional screw method or a piston method.

상기 거푸집 모듈(30)이 이동형(30a)인 경우, 상기 진흙압입수단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고정형 플랫폼(20a)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진흙주입관(51)을 통해서 버텀업(bottom-up) 방식으로 진흙반죽을 충진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흙주입관(51)은 고정형 플랫폼(20a)의 측면에서 진입하여 고정형 플랫폼(20a)의 상면, 즉 상기 보강골조(10)를 세워두는 적재면에서는 다수개로 나란히 분기될 수 있다.When the formwork module 30 is of the movable type 30a, the mud press-in means is bottom-up through the mud injection pipe 51 installed side by side on the fixed platform 20a as shown in FIGS. 2 and 4 . ),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fills the clay dough in the method. The mud injection pipe 51 enters from the side of the fixed platform 20a and may be branched side by side in pluralit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20a, that is, the loading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frame 10 is erected.

그리고 상기 거푸집 모듈(30)이 고정형(30b)인 경우, 상기 진흙압입수단은 도 5와 같이 고정형 플랫폼(20a)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진흙주입관(52)을 통해서 사이드업(side-up) 방식으로 진흙반죽을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흙공급관(51,52)에는 추가적으로 진흙의 건조를 방지하는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And when the formwork module 30 is of the fixed type 30b, the mud press-in means is side-up through the mud injection pipe 52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xed platform 20a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fill the clay dough in this way. Means for preventing drying of the mud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mud supply pipes 51 and 52 .

한편, 첨부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상기 플랫폼(20)이 분리형 플랫폼(20c)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은 적재면 위에 성형된 다수개의 흙벽체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면이 다수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accompanying Figure 6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platform 20 is a detachable platform 20c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platform (20c)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ading surface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so that a plurality of soil walls formed on the loading surface can be separated and transporte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의 하단에는 상기 플랫폼(20c) 사이의 간격을 옆으로 벌려서 전개 시킬 수 있는 플랫폼 전개레일(4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랫폼(20c)의 저면에는 상기 플랫폼 전개레일(42)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바퀴(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에는 이동형 거푸집 모듈(30b)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은 상기 캐비티 내에서 성형된 흙벽체를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분리되어 있다. In addition, a platform deployment rail 42 that can be deployed by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platforms 20c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detachable platform 20c, and the platform deployment rail 42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latform 20c. Rail wheels 22 moving along 42 are installe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movable formwork module 30b on the detachable platform 20c. And the detachable platform (20c) is sepa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molded soil wall in the cavity can be transported independently, respectively.

첨부 도 6은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이 각각 6개의 병렬구조로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분리형 플랫폼(20a)의 하단에는 상기 거푸집 이송레일(4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랫폼(20c)을 하나씩 전개 시킬 수 있는 플랫폼 전개레일(4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의 저면에는 각각 상기 플랫폼 전개레일(42)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바퀴(22)가 설치되어 있다. Attached Fig. 6 shows a case in which the separate platform 20c is separated into six parallel structures, respectively. A platform deployment rail 42 capable of deploying the platforms 20c one by on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orm transfer rail 4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plit platform 20a, and the detachable platform 20c Rail wheels 22 that move along the platform deployment rail 42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상기 거푸집 이송레일(41)은 상기 플랫폼 전개레일(42)을 따라 이동하는 분리형 플랫폼(20c)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고, 상기 플랫폼 전개레일(42)은 상기 거푸집 이송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거푸집 모듈(30a)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 플랫폼 전개레일(42)은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의 좌우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고, 좌우측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은 좌우측 양쪽 방향으로 전개될 수도 있고, 좌우측 중 한쪽 방향으로만 전개될 수도 있다.The form transport rail 41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detachable platform 20c moving along the platform deployment rail 42 , and the platform deployment rail 42 moves along the form transport rail 41 . It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formwork module (30a). The platform deployment rail 42 may be install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tachable platform 20c, or may be installed only on ei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at is, the detachable platform 20c may be deployed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may be deployed in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때, 상기 진흙압입수단은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에 나란히 관통된 진흙주입공(23)을 통해서 진흙반죽을 충진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의 하단에는 진흙공급관(5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흙주입공(23)은 상기 플랫폼(20c)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분기되어 상기 플랫폼(20c)의 상면에서는 다수개의 진흙주입공(2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진흙공급관(51)은 분리형 플랫폼(20c)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승강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캐비티 속으로 진흙반죽을 모두 압입하고 나면, 상기 진흙공급관(51)은 하강하여 상기 플랫폼(20c)의진흙주입공(23)에서 분리된다. At this time, the mud press-in means fills the mud dough through the mud injection hole 23 penetrating side by side in the detachable platform 20c. To this end, a mud supply pipe 5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e platform 20c. The mud injection holes 23 are branch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latform 20c to form a plurality of mud injection holes 2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20c. In addition, the mud supply pipe 51 has an elevating structure so as not to impede the movement of the detachable platform 20c. So, after all the mud dough is pressed into the cavity, the mud supply pipe 51 descends and is separated from the mud injection hole 23 of the platform 20c.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 사이에는 상기 플랫폼 전개레일(42)을 따라 플랫폼(20c)을 전개시킬 때 각 플랫폼(20c) 사이의 좌우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수단, 예컨대 간격조절용 로프나 체인(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각 플랫폼(20c) 사이의 간격이 일정거리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붙잡아 준다. 그래서 상기 플랫폼 전개레일(42)을 따라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플랫폼(20c)만 전개시키면, 상기 간격조절수단에 의해서 나머지 플랫폼(20c)도 모두 일정 간격으로 전개된다.Between the separate platforms 20c, when the platform 20c is deployed along the platform deployment rail 42, a means for maintaining the left and right spacing between the respective platforms 20c constant, for example, a rope or chain for adjusting the spacing (shown in the figure). not) can be installed. The gap adjusting means holds the gap between each platform 20c so that it does not spread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Therefore, when only the outermost platform 20c is deployed along the platform deployment rail 42, the rest of the platforms 20c are also deployed at regular intervals by the spacing adjusting means.

상기 분리형 플랫폼(20c)을 사용하면, 한꺼번에 다수개의 흙벽체를 성형한 다음, 상기 플랫폼 전개레일(42)을 따라 각 플랫폼(20c) 위에 적재된 흙벽체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장시킴으로서 상기 흙벽체를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separate platform 20c is used, a plurality of earth walls are formed at once, and then, along the platform deployment rail 42, the interval between the earth walls loaded on each platform 20c is widened, thereby forming the earth wall. It can be dried more quickly, and as a result,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축조방법을 A) 단계 내지 F)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A) 단계에서는 플랫폼(20)의 적재면 위에 2개 이상의 보강골조(10)를 나란히 세운다. Hereinafter,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precast earthe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steps A) to F). First, in step A), two or more reinforcing frames 10 are erected side by side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platform 20 .

다음 B) 단계에서는 상기 플랫폼(20) 위에 세워진 보강골조(10)가 거푸집 모듈(30)의 캐비티 속으로 진입하도록 이송수단(30)을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20)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30)을 이동시킨다. 상기 플랫폼(20)이 고정형(20a)일 경우에는 거푸집 모듈(30a)을 이동시키고, 상기 거푸집 모듈(30)이 고정형(30b)일 경우에는 플랫폼(20b)을 이동시킨다.In the next step B), the platform 20 or the formwork module 30 is moved by using the transfer means 30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10 built on the platform 20 enters the cavity of the formwork module 30 . move it When the platform 20 is the fixed type 20a, the formwork module 30a is moved, and when the formwork module 30 is the fixed type 30b, the platform 20b is moved.

이때 상기 보강골조(10)의 양면에는 거물망이나 부직포, 천 또는 비닐시트와 같은 격리막(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음)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리막은 진흙이 보강골조(10) 밖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성형된 흙벽체의 측면에 골조측판(33)에 들러붙은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격리막은 흙벽체가 성형된 이후에 분리 제거하되, 거물망은 그대로 두어도 무방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ver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10 with a separator (not shown in the drawing) such as a large mesh or nonwoven fabric, cloth or vinyl sheet. The separator functions to prevent the mud from flowing out of the reinforcing frame 10, and further to prevent it from adhering to the frame side plate 33 on the side of the molded soil wall. The separator is separated and removed after the soil wall is molded, but the giant mesh may be left as it is.

다음 C) 단계에서는 상기 거푸집 모듈(30)에 구비되어 있는 측판압박부(34)를 이용하여 캐비티 내부에 설치된 한쌍의 골조측판(33)을 상기 보강골조(10)의 양면에 각각 밀착시킨다.In the next step C), a pair of frame side plates 33 installed inside the cavity are close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10 by using the side plate pressing part 34 provided in the formwork module 30 .

다음 D) 단계에서는 캐비티 도어(32)를 닫고 상기 진흙압입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에 진흙반죽을 압입하여 상기 보강골조(10)를 포함하는 흙벽체를 성형한다.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플랫폼(20)에 설치된 진흙주입관(51)을 통해서 버텀업(bottom-up) 방식으로 진흙반죽을 압입할 수도 있고, 상기 거푸집 모듈(30)의 측면 하단에 설치된 진흙주입관(52)을 통해서 사이드업(side-up) 방식으로 진흙반죽을 압입할 수도 있다.In the next step D), the cavity door 32 is closed and the clay dough is pressed into the cavity using the mud press-in means to form the earth wall including the reinforcing frame 10 . In step D), the mud dough may be press-injected in a bottom-up manner through the mud injection pipe 51 installed on the platform 20 , or the mud injection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of the formwork module 30 . It is also possible to press-in the clay dough in a side-up manner through the tube 52 .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골조측판(33)을 상기 보강골조(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근접위치까지만 1차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D) 단계에 따라 캐비티 내부에 진흙반죽을 압입한 다음, 다시 상기 C) 단계에 따라 상기 골조측판(33)을 보강골조(10)의 양면에 2차 밀착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보강골조(10) 내부에 진흙반죽을 보다 치밀하게 채워 넣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C), the frame side plate 33 is moved only to a close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inforcement frame 10, and in this state, the clay dough is pressed into the cavity according to the step D). Next, according to step C), the frame side plate 33 may be secondarily adhered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10 .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ore densely fill the clay dough inside the reinforcing frame 10 .

다음 E) 단계에서는 상기 측판압박부(34)를 이용하여 골조측판(33)을 흙벽체로부터 이격시키고, 캐비티 도어(32)를 개방한 다음, 상기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20)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30)을 이동시켜서 상기 거푸집 모듈(30)로부터 흙벽체를 탈형시킨다.In the next step E), the frame side plate 33 is spaced apart from the earth wall by using the side plate pressing part 34, the cavity door 32 is opened, and then the platform 20 or the platform 20 using the transfer means. By moving the formwork module 30 , the soil wall is demolded from the formwork module 30 .

마지막으로 F) 상기 플랫폼(20)의 적재면 위에 적재되어 있는 흙벽체를 건조시킨다. 상기 흙벽체의 재료가 되는 진흙반죽은 점성과 가소성이 높기 때문에 시멘트 반죽과 달리 거푸집을 제거한 후에 흙벽체를 건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폼(20)은 분리형 플랫폼(20c)을 이용하여 상기 흙벽체를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씩 전개시킨 다음, 열풍 건조 하거나 자연 건조 할 수 있다.Finally, F) the soil wall loaded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platform 20 is dried. Since the clay dough,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soil wall, has high viscosity and plasticity, unlike the cement dough, the soil wall can be dried after the form is removed. At this time, the platform 20 may be developed by using the detachable platform 20c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n dried with hot air or naturally dried.

본 발명에서는 고정형 플랫폼(20a) 위에 다수개의 보강골조(10)를 순서대로 나란히 세워놓고, 첫 번째 보강골조(10)를 이용하여 첫 번째 흙벽체를 성형한 다음, 상기 이동형 거푸집 모듈(30a)을 두 번째 및 세 번째 보강골조(10)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동일한 절차에 따라 연속적으로 흙벽체를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성형한 첫 번째 흙벽체는 두 번째 및 세 번째 흙벽체를 성형하는 동안에 상기 플랫폼(20a) 위에서 그대로 건조시킬 수도 있고, 인근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건조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10 are placed side by side on the fixed platform 20a in order, and the first earth wall is formed using the first reinforcing frame 10, and then the movable formwork module 30a is placed in two The soil wall can be continu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same procedure while sequentially moving to the third and third reinforcing frames 10 . At this time, the first soil wall formed previously may be dried as it is on the platform 20a while the second and third soil walls are formed, or it may be dried by moving to another nearby place.

10; 보강골조 11; 프레임
12; 철제빔 20(20a,20b,20c); 플랫폼(platform)
21; 이송바퀴 22; 레일바퀴
23; 진흙주입공 30(30a,30b); 거푸집 모듈
31; 하우징(housing) 32; 캐비티 도어(cavity door)
33; 골조측판 34; 측판압박부
35; 레일바퀴 41; 거푸집 이송레일
42; 플랫폼 전개레일 51,52; 진흙주입관
10; reinforcing frame 11; frame
12; iron beam 20 (20a, 20b, 20c); platform
21; transfer wheel 22; rail wheel
23; Mud injection hole 30 (30a, 30b); formwork module
31; housing 32; cavity door
33; frame side plate 34; side plate press
35; rail wheel 41; form transport rail
42; platform deployment rails 51,52; mud pipe

Claims (13)

격자구조로 제작된 프레임을 갖는 보강골조와;
상기 보강골조를 세워둘 수 있는 적재면을 갖는 플랫폼(platform)과;
상기 보강골조를 수용하는 캐비티(cavity)를 갖는 거푸집 모듈과;
상기 플랫폼 위에 세워진 보강골조가 상기 거푸집 모듈의 캐비티 속으로 출입하도록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을 이동시켜 주는 이송수단과;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에 설치된 진흙주입관을 통해서 상기 거푸집 모듈의 캐비티 속으로 진흙반죽을 압입하는 진흙압입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모듈은,
상기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캐비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캐비티 도어와;
상기 캐비티의 양쪽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골조의 양면을 덮는 한쌍의 골조측판과;
상기 골조측판을 상기 보강골조의 양면에 밀착 또는 이격시켜 주는 측판압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a reinforcing frame having a frame made of a grid structure;
a platform having a loading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frame can be erected;
a formwork module having a cavity for accommodating the reinforcing frame;
a transfer means for moving the platform or the formwork module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erected on the platform enters and exits the cavity of the formwork module;
mud press-in means for pressing the mud dough into the cavity of the form module through the mud injection pipe installed on the platform or the form module; including,
The formwork module is
a housing having the cavity;
a cavity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trance of the cavity;
a pair of frame side plates install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cavity to cover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a side plate pressing unit that closely adheres or separates the frame side plate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Forming system of precast soil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플랫폼의 양쪽에 나란히 설치된 이송레일과 상기 거푸집 모듈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진흙압입수단은 상기 플랫폼 바닥에 나란히 관통된 진흙주입관을 통해서 버텀업(bottom-up) 방식으로 진흙반죽을 압입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means comprises a transfer rail install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platform and a rail wheel installed under the formwork module, and the mud press-in means through a mud injection pipe penetrating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platform. A molding system for precast soil wall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ss-in the clay dough in a bottom-up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플랫폼 하부에 설치된 이송바퀴이며, 상기 진흙압입수단은 상기 거푸집 모듈의 측면 하단에 설치된 진흙주입관을 통해서 사이드업(side-up) 방식으로 진흙반죽을 압입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means is a transfer wheel installed under the platform, and the mud press-in means press-in the mud dough in a side-up manner through a mud injection pip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of the formwork module. Forming system of precast soil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o s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플랫폼을 적재할 수 있는 플랫폼 운반차량이며, 상기 진흙압입수단은 상기 거푸집 모듈의 측면 하단에 설치된 진흙주입관을 통해서 사이드업(side-up) 방식으로 진흙반죽을 압입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ort means is a platform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loading the platform, and the mud press-in means is a side-up (side-up) method of mud through a mud injection pip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of the form module. Forming system of precast earth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ss-in the d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골조는 격자구조의 직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사변 모서리에 부착된 L자형 철제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2]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frame comprises a rectangular frame of a grid structure and an L-shaped iron beam attached to a quadrilateral edge of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모듈의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플랫폼의 적재면 위에 병렬로 나란히 세워져 있는 다수개의 보강골조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캐비티가 병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aviti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using of the form module so as to simultaneously accommodate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standing side by side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platform at the same time. Forming system for precast earthen wa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적재면 위에 성형된 다수개의 흙벽체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면이 다수개로 분리되어 있는 분리형 플랫폼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플랫폼의 하단에는 각 분리형 플랫폼을 좌우로 전개 시킬 수 있는 플랫폼 전개레일과, 저면에는 상기 플랫폼 전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tform is composed of a detachable platform in which the loading surface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so that the plurality of soil walls formed on the loading surface can be separated and transported independently, each at the lower end of the detachable platform A system for forming a precast earth wall, characterized in that a platform deployment rail capable of deploying a separate platform to the left and right, and a rail wheel moving along the platform deployment rail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플랫폼 사이에는 각 분리형 플랫폼 사이의 좌우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성형시스템.
8. The system of claim 7, wherein a means for maintaining a constant left and right spacing between the separate platforms is provided between the separate platforms.
격자구조로 제작된 프레임을 갖는 보강골조와, 상기 보강골조를 세워둘 수 있는 적재면을 갖는 플랫폼과, 상기 보강골조를 수용하는 캐비티를 갖는 거푸집 모듈과, 상기 플랫폼 또는 거푸집 모듈을 이동시켜 주는 이송수단과,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에 설치된 진흙주입관을 갖는 진흙압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흙벽체 성형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축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플랫폼의 적재면 위에 상기 보강골조를 세우는 단계와;
B) 상기 플랫폼 위에 세워진 보강골조가 상기 거푸집 모듈의 캐비티 속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C) 상기 거푸집 모듈의 캐비티 내부에 설치된 한쌍의 골조측판을 상기 보강골조의 양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진흙압입수단의 진흙주입관을 이용하여 버텀업(bottom-up) 방식 또는 사이드업(side-up) 방식으로 상기 캐비티 내부에 진흙반죽을 압입하여 상기 보강골조를 포함하는 흙벽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E) 상기 흙벽체로부터 골조측판을 이격시키고, 상기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거푸집 모듈을 이동시켜서 상기 거푸집 모듈로부터 상기 흙벽체를 탈형하는 단계와;
F) 상기 플랫폼의 적재면 위에서 상기 흙벽체를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축조방법.
A reinforcing frame having a frame made of a grid structure, a platform having a loading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frame can be erected, a formwork module having a cavity for accommodating the reinforcing frame, and transport for moving the platform or formwork modul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recast earth wall using a soil wall forming system comprising means and a mud press-in means having a mud injection pipe installed on the platform or the formwork module,
A) erecting the reinforcement frame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platform;
B) moving the platform or the formwork module using the transfer means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erected on the platform enters the cavity of the formwork module;
C) adhering a pair of frame side plates installed inside the cavity of the form module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respectively;
D) The clay wall including the reinforcing frame is formed by press-injecting the mud dough into the cavity in a bottom-up method or a side-up method using the mud injection pipe of the mud press-in means. step of;
E) separating the frame side plate from the earthen wall, and demolding the earthen wall from the formwork module by moving the platform or the formwork module using the transfer means;
F) drying the soil wall on the loading surface of the platform;
Precast soil wall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또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보강골조의 양면에는 거물망이나 부직포, 천 또는 비닐시트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축조방법.
[Claim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step A) or step B),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are covered with a large mesh or non-woven fabric, cloth or vinyl she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골조측판은 상기 보강골조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근접위치까지 1차 이동시키고, 이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캐비티 내부에 진흙반죽을 압입한 다음, 다시 상기 골조측판을 상기 보강골조의 양면에 2차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흙벽체의 축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step C), the frame side plate is first moved to a close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n, in step D), the clay dough is pressed into the cavity, and then the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cast earthen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side plate is in second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74891A 2018-06-27 2019-06-24 Molding system of precast clay walls and their preparing method using the system KR1022905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47381.XA CN112437715B (en) 2018-06-27 2019-06-25 Forming system of prefabricated soil wall body and soil wall body building method using forming system
PCT/KR2019/007628 WO2020004889A1 (en) 2018-06-27 2019-06-25 System for molding precast mud wall and method for building mud wall by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4044 2018-06-27
KR1020180074044 2018-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13A KR20200001513A (en) 2020-01-06
KR102290584B1 true KR102290584B1 (en) 2021-08-19

Family

ID=6915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891A KR102290584B1 (en) 2018-06-27 2019-06-24 Molding system of precast clay walls and their preparing method using the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0584B1 (en)
CN (1) CN11243771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39B1 (en) * 2020-05-22 2020-11-09 (주)지산개발 Production of precast concrete wall unit with wing wall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precast concrete wa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71B1 (en) 2008-04-18 2010-12-23 정문형 A frame module for a mud-plastered wall and a mud-plastered wall frame and floor fram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building mud-platered wall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3674B2 (en) * 1999-03-02 2007-08-0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Precast concrete outer wall material manufacturing equipment
KR100536772B1 (en) 2003-09-29 2005-12-14 황혜주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454276B1 (en) * 2012-01-17 2014-10-23 정문형 method for constructing soil structure
WO2013109058A1 (en) 2012-01-17 2013-07-25 Jung Moon-Hyoung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made of dried soil and temporary frame used in same
KR20130099646A (en) * 2012-02-29 2013-09-06 (주)에프앤이엔씨 Vertical type mold capable of adjusting thickness and method for casting precast concrete using the same
KR101533426B1 (en) * 2013-05-20 2015-07-02 홍종국 The precast concrete wall structure for a building
CN103882818B (en) * 2013-12-26 2015-11-11 浙江金筑交通建设有限公司 The method that concrete platform constructs is reserved to SS level guardrail and guardrail
CN106285051B (en) * 2015-05-11 2018-10-02 有利建材有限公司 A kind of prefabricated toilet and its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method
CN104999548B (en) * 2015-06-30 2018-02-13 中铁二十三局集团有限公司 Magnetic floats the mechanical template system of curve track beam and application method
CN105799056B (en) * 2016-04-08 2018-09-21 浙江大学城市学院 The prefabricated formwork system of T beam batch prod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CN205969420U (en) * 2016-08-26 2017-02-22 山东淄博环宇桥梁模板有限公司 Assembly line prefabricating formwork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71B1 (en) 2008-04-18 2010-12-23 정문형 A frame module for a mud-plastered wall and a mud-plastered wall frame and floor fram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building mud-platered wal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37715B (en) 2022-07-19
KR20200001513A (en) 2020-01-06
CN112437715A (en)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7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pre-cast building panels
US4534924A (en) Method for molding concrete slabs and battery mold therefor
KR10145427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soil structure
KR102290584B1 (en) Molding system of precast clay walls and their preparing method using the system
US2892339A (en) Building units
AU755253B2 (en) Block system
US3734670A (en) Portable mold for erecting concrete or plastic shelters
EP0000837A1 (en) Load bearing wall panel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971237A (en) Flexible building panel form
KR100609453B1 (en)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block
KR20150118767A (en) The precast concrete structure production devices of a built-up and curing type
US4349492A (en) Method of putting in a partition of insulation material inside concrete walls which are cast in a vertical position in an industrial building site
WO2020004889A1 (en) System for molding precast mud wall and method for building mud wall by using same
KR100647071B1 (en) The method of constructing bloclk for wall
CN112262245B (en) Void former
KR10093305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tairs and stairs in concrete building
KR101046563B1 (en) Concrete revetment block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KR100885909B1 (en) Self-supporting temporary establishment breast using public works' fiber mesh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N212001877U (en) Mould disassembly-free module for producing prefabricated part and prefabricated part comprising same
MX2011009247A (en) Press for producing building blocks with a tongue-and-groove assembly.
NL1013055C2 (en) Industrial prefabricated, modular floor slab element for buildings, especially for homes.
KR102206540B1 (en) A retaining wall block mold capable of forming a slope
KR10220207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member
GB2095165A (en) Machine for forming prefabricated building components
EP0092526B1 (en) Method and means for concrete cavity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