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363B1 - 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 - Google Patents

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363B1
KR102561363B1 KR1020210004488A KR20210004488A KR102561363B1 KR 102561363 B1 KR102561363 B1 KR 102561363B1 KR 1020210004488 A KR1020210004488 A KR 1020210004488A KR 20210004488 A KR20210004488 A KR 20210004488A KR 102561363 B1 KR102561363 B1 KR 10256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lab
building
holding devi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4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2296A (en
Inventor
정우진
Original Assignee
폼으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폼으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폼으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363B1/en
Publication of KR2022010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2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363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슬래브의 보강을 위해 그 저면에 구비되는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로서, 폼 타이가 사용되지 않는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건축물의 슬래브 저면에 돌출방식으로 구비되는 가로 보 또는 세로 보의 성형을 위해 상기 슬래브의 거푸집 저면에서 간격을 유지해 좌ㆍ우 한 쌍으로 병설됨과 아울러 그 상단에 상기 슬래브의 거푸집이 고정못으로 결속되게 하는 받침목이 얹히는 단위 측판들과 단위 바닥판들, 그리고 상기 양 단위 측판들과 상기 단위 바닥판 양단이 맞나는 모서리에 수평 및 수직면이 구비되어 설치되는 코너 금구들로 이룬 보 거푸집의 둘레에서 부설하여 상기 보 거푸집의 양 단위 측판들이 콘크리트 타설 시 측압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보지 장치로서, 보 거푸집의 외측에서 코너 금구의 수직면 및 단위 측판 중간 부분으로 맞대어지는 제1 및 제2받침들을 이용해 병설되는 버팀재들 및 버팀재들은 그 버팀재를 교차방향에서 관통하여 코너 금구의 수평면에 구비된 구멍에 걸어지는 결속재를 이용해 간단히 보 거푸집에 탈착식으로 설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work holding device for beam molding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building slab to reinforce a building slab, and a form tie-free formwork holding device for building beam molding.
In order to form a horizontal beam or a vertical beam provided in a protruding manner on the bottom of the slab of a building, the slab formwork is install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by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formwork of the slab, and the formwork of the slab is bound with a fixed nail at the top. Lay around the circumference of a beam formwork made of unit side plates and unit bottom plates on which beams are placed, and corner brackets installed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surfaces provided at the corners where the both unit side plates and both ends of the unit bottom plate meet As a holding device that prevents both unit side plates of the beam formwork from being pushed out by lateral pressure during concrete pouring, the vertical surface of the corner bracket and the middle part of the unit side plate are placed side by side us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Support members and support members are simpl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eam formwork by using a binding material that penetrates the support member in the cross direction and is hooked into a hole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rner bracket.

Description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슬래브의 보강을 위해 그 저면에 구비되는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폼 타이가 사용되지 않는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holding a formwork for beam molding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a building slab for reinforc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holding a formwork for forming a building beam without using a form tie.

콘크리트를 이용해 주조방식으로 축조되는 건축물의 슬래브 저면에서 보강을 위해 돌출방식으로 구비되는 보는 대략 그 슬래브의 저면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보와 세로보들을 들을 수 있다.Beams provided in a protruding manner for reinforcement at the bottom of the slab of a building constructed by casting using concrete can hear crossbeams and stringers arranged at appropriate intervals on the bottom of the slab.

보들의 성형을 위해 가설되는 보 거푸집은 대략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하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 측판들과 이 측판들 하단에서 가로 건너 배치되는 단위 바닥판들로 이루고, 이렇게 수개의 단위판들로 가설되는 거푸집을 이용해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소기의 보를 성형하게 된다.The beam formwork hypothesized for forming beams consists of a pair of unit side plates disposed in parallel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work for forming slabs, and a unit floor plate disposed across the bottom of the side plates. The concrete is cured using the formwork constructed with several unit plates in this way to form the desired beam.

이러한 보 성형 거푸집에서 소정 간격을 유지해 병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 측판들은 콘크리트 타설 압에 의한 측압으로 벌어짐 방지를 위해 그들 사이에 가로 건너 설치되는 버팀재인 수개의 폼 타이들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렇게 폼 타이를 이용하는 경우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많은 수공과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하고, 그리고 폼 타이는 소모품으로 자재비 상승 등의 많은 문제가 따르고 있는 것이다.In this beam forming formwork, a pair of unit side plates arrang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installed with several form ties, which are braces installed across them, to prevent them from widening due to the lateral pressure caused by the concrete pouring pressure. In the case of using ties, a lot of manual work and time ar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formwork, so workability is deteriorated and structurally unstable, and form ties are consumables, so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rising material costs.

근래에는 폼 타이를 사용하지 않는 보 시공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보 시공은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둘레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보지 장치를 이용하여 설치 및 해체가 간편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Recently, beam construction methods that do not use form ti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Such beam construction makes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easy and reusable by using a retaining device additionally installed around the formwork for beam molding. there is.

그러한 보지 장치는 대략 보 성형 거푸집의 단위 바닥판 저면의 전장을 떠받치는 기저요소인 베이스 프레임(받침 프로파일)과, 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양측으로 병설되어 한 쌍의 단위 측판들 측압에 대응하는 측벽 지지대(가압대)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 및 양 측벽 지지대들 사이에서 경사져 설치되는 버팀재의 각도조절구(보강대)로 구성된다.Such a holding device is a base frame (support profile), which is a basic element that supports the entire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nit bottom plate of the beam forming formwork, and a side wall support that is juxta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and corresponds to the lateral pressure of the pair of unit side plates. (pressure bar), and the angle adjustment tool (reinforcement bar) of the support member installed at an angle between the base frame and both side wall supports.

그런데 이러한 보지 장치에서 보 성형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 편의를 위해 가압대 또는 측벽 지지대가 기저요소(받침 프로파일 또는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수평이동 및 회전 조작되게 하고 있는데, 그 하나 예의 가압대는 받침 프로파일을 타고 수평방향에서 내ㆍ외측으로 들락날락하며 그 폭이 가변되게 하여 보 거푸집의 탈형을 간편하게 이루도록 하고, 다른 하나 예에서의 측벽 지지대는 베이스 프레임 양 측에서 하단이 피봇 결합되어 그 측벽 지지대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단이 벌어졌다 오므라지는 것으로 폭이 가변되게 하여 보 거푸집의 탈형을 간편히 이루게 하고 있다.However, in this holding device, for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beam forming formwork, the support arm or side wall support is horizontally moved and rotated on the base element (support profile or base frame). One example of the support arm rides on the support profile It goes in and o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ts width is variable to easily achieve demolding of the beam formwork, and in another example, the side wall support is pivotally coupled at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to rotate around the bottom of the side wall support By doing so, the width is variable by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end, making it easy to demold the beam formwork.

전자 보강대는 보 거푸집의 가설 시 받침 프로파일과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하고 있고, 후자 측벽 지지대에서는 턴버클이나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형의 각도 조절구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하고 있는 것이다.The former reinforcement is fixed using a support profile and a fixing bolt when constructing a beam formwork, and the latter side wall support is fixed using a turnbuckle or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type angle adjuster.

따라서, 보지 장치는 보 거푸집의 저면 전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또는 받침 프로파일 등의 비교적 긴 길이의 기저요소로 부피가 커지고, 부품 수 증가로 제조단가 상승 문제와 양 가압대 또는 측벽 지지대들 각기를 고정볼트 및 각도 조절구를 이용하여 개별로 각기 고정시키어야 하는 작업수공이 요구되어 작업성 저하와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한 많은 문제가 따르고 있다.Therefore, the holding device is a relatively long base element such as a base frame or a support profil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eam formwork, and the volume increases,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nd each support stand or side wall support is fixed. Workability degradation and structural instability follow many problems as workmanship is required to individually fix them using bolts and angle adjusters.

그리고 보 거푸집 또는 보지 장치 상단에는 슬래브 거푸집의 떠받침과 아울러 고정못으로 슬래브 거푸집 고정을 위한 받침목이 설치되고 있는데, 슬래브 보의 양생 후 보 거푸집 해체 시 고정못으로 슬래브 거푸집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받침목의 해체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등의 많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t the top of the beam formwork or support device, a support for fixing the slab formwork with a fixing nail is installed along with a support for the slab formwork. When dismantling the beam formwork after curing the slab beam, the support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lab formwork with a fixing nail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not being easy to dismantle.

그리하여 근래에와서는 보지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작업 수공을 줄일 수 있는 구조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structural improvement capable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device and reducing work labor.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8719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08-008719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0686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6068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944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39447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 거푸집의 보지 장치 구조를 간소화하고 간단한 탈착작업으로 시공성 향상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formwork holding device for building beam molding that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beam formwork holding device and improve workability with a simple detachable operation. .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슬래브의 보강을 위해 그 저면에 구비되는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로서, 폼 타이가 사용되지 않는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work holding device for beam molding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building slab to reinforce a building slab, and a form tie-free formwork holding device for building beam mo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 저면에 돌출방식으로 구비되는 가로 보 또는 세로 보의 성형을 위해 상기 슬래브의 거푸집 저면에서 간격을 유지해 좌ㆍ우 한 쌍으로 병설됨과 아울러 그 상단에 상기 슬래브의 거푸집이 고정못으로 결속되게 하는 받침목이 얹히는 단위 측판들과 단위 바닥판들, 그리고 상기 양 단위 측판들과 상기 단위 바닥판 양단이 맞나는 모서리에 수평 및 수직면이 구비되어 설치되는 코너 금구들로 이룬 보 거푸집의 둘레에서 부설하여 상기 보 거푸집의 양 단위 측판들이 콘크리트 타설 시 측압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보지 장치로서, 보 거푸집의 외측에서 코너 금구의 수직면 및 단위 측판 중간 부분으로 맞대어지는 제1 및 제2받침들을 이용해 병설되는 버팀재들 및 버팀재들은 그 버팀재를 교차방향에서 관통하여 코너 금구의 수평면에 구비된 구멍에 걸어지는 결속재를 이용해 간단히 보 거푸집에 탈착식으로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orm a cross beam or a vertical beam provided in a protruding manner on the bottom of the slab of a building, the slab formwork is juxtaposed by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work of the slab, and the formwork of the slab is fixed at the top. Beam formwork made of unit side plates and unit bottom plates on which supports are placed, and corner brackets provided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surfaces at the corners where the both unit side plates and both ends of the unit bottom plate meet. As a holding device that is laid around the circumference to prevent both unit side plates of the beam formwork from being pushed out by lateral pressure during concrete casting, first and second supports that are abutted to the vertical surface of the corner bracket and the middle part of the unit side plate from the outside of the beam formwork Support members and support members installed side by side using the support members are simpl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eam formwork using a binding material that penetrates the support member in the cross direction and is hooked to a hole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rner bracke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에 의하면, 보 거푸집 하부 양 모서리의 코너 금구 구멍으로 넣어 걸어지는 결속봉을 이용해 보지 장치의 버팀재가 간단한 탈착 방식으로 설치 및 해체되게 함으로서, 보지 장치의 가설 및 해체 작업이 간단 용이하고 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etaining device of the formwork for forming a building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device of the holding device is installed and dismantled in a simple detachable manner using a binding rod inserted into the corner bracket holes at both corners of the lower corner of the beam formwork. The erection and disassembly work is simple and easy, an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structability.

또 본 발명은 보지 장치의 버팀재가 고정 및 가동 부분으로 양분되어 이뤄 다양하게 설계되는 건축 구조물에 따라 그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of the holding device is divided into fixed and movable parts, and the heigh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variously designed building structures, so that the usability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은 보지 장치의 버팀재 상단 또는 보 거푸집의 단위 측판 상단에 얹히어 슬래브의 거푸집 고정을 위해 설치되는 받침목에 해체 공구인 배척이 슬래브 거푸집과 받침목 사이 깊숙한 위치까지 삽입을 허락하는 해체홀을 구비하여서, 받침목을 슬래브 거푸집으로부터 간편히 해체 할 수 있고 따라 가설물의 해체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이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assembly tool, a disassembly hole, which is placed on the top of the supporting device or the top of the unit side plate of the beam formwork and installed to fix the formwork of the slab to allow insertion to a deep position between the slab formwork and the beam By having it, the support can be easily dismantled from the slab formwork,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ismantling work of the temporary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가 설치된 건축물의 슬래브 보 시공 모습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에 적용되는 버팀재를 보여 주는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목을 보여 주는 투시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발췌하여 보여 주는 확대 단면도.
도 5의 (a)(b)(c)는 본 발명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 해체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로서,
(a)는 본 발명 보지 장치가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에 부설된 모습이다.
(b)는 본 발명 보지 장치의 결속재 나비너트가 결속봉으로부터 분리되어 버 팀대가 해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c)는 본 발명 보지 장치가 해체된 후 슬래브의 거푸집과 고정못으로 결속된
받침목을 배척을 이용해 해체하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 다른 실시 예를 보여 주는 설명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lab beam construction of a building in which a retaining device of a formwork for forming a building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applied to the holding device of the formwork for building beam mo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applied to the holding device of the formwork for building beam mo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A of Figure 1 extracted.
Figure 5 (a) (b) (c)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retaining device of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building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rmwork for beam molding.
(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binding material wing nut of the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binding bar and the brace is dismantled.
(c) is bound with the formwork and fixing nails of the slab after the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mantled
This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how to dismantle the support by expelling it.
Figure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ding device of the formwork for building beam mo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and 4 show in detail the holding device of the formwork for building beam m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이용해 주조방식으로 축조되는 건축물의 슬래브 저면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해 가로 또는 세로방향에서 보강을 위해 돌출방식으로 구비되는 가로 보 또는 세로 보들의 성형을 위한 보 거푸집의 보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am formwork holding device for forming transverse beams or vertical beams provided in a protruding manner for reinforcemen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by maintaining an appropriate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ab of a building constructed by casting using concrete will be.

건축물 슬래브의 보 성형을 위한 보 거푸집(10)은 대략 슬래브(SL)의 성형 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SL-1)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하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 측판들(12)과 이 단위 측판들(12) 하단에서 가로 건너 배치되는 단위 바닥판들(14), 그리고 양 단위 측판들(12)과 단위 바닥판(14)이 맞나 이룬 양 모서리 전장으로 설치되는 형강의 코너 금구(1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코너 금구(16)는 수직면(16a)과 수평면(16b)으로 이룬다.Beam formwork 10 for forming beams of building slabs is approximately a pair of unit side plates 12 arranged in parallel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bottom of the slab formwork (SL-1) for forming slabs (SL). ) and the unit bottom plates 14 arranged across from the bottom of the unit side plates 12, and both unit side plates 12 and the unit bottom plates 14 are aligned, but both edges form the corner of the section steel installed as a full length It is composed of a metal fitting (16). At this time, the corner bracket 16 consists of a vertical surface 16a and a horizontal surface 16b.

이렇게 수개의 단위 측판(12) 및 바닥판들(14)이 연이어 조립 가설되는 보 거푸집(10)을 이용해 슬래브(SL) 보강을 위한 소기의 보(BE)를 성형하게 된다.In this way, the desired beam BE for reinforcing the slab SL is formed using the beam formwork 10 in which several unit side plates 12 and bottom plates 14 are successively assembled.

본 발명에서의 핵심적인 기술은 보 거푸집(10)의 둘레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 측압 에 의해 보 거푸집(10)의 단위 측판(12)이 밀려나는 또는 양생 시 보(BE)형태 유지를 위해 부가 설치되는 버팀유지 구조인 보지 장치의 구조 개선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The key technology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nit side plate 12 of the beam formwork 10 is pushed out by the lateral pressure during concrete pouring around the beam formwork 10 or additional installation is performed to maintain the beam (BE) shape during curi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improvement of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device, which is a support structure.

본 발명 보지 장치는 크게 나누어 버팀재(20)와 결속재(30)로 구성된다.The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holding member 20 and a binding member 30.

먼저, 버팀재(20)는 사각관형으로 이뤄 보 거푸집(10)의 외측에서 코너 금구(16)의 수직면(16a)과 단위 측판(12) 중간 부분으로 동시 맞대어지는 제1 및 제2받침들(20a,20b)을 이용해 병설될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받침들(20a,20b)은 버팀재(20)의 상하 측 2지점에서 보 거푸집(10) 대향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First, the support material 20 is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 20a, 20b) will be added.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ers 20a and 20b ar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beam formwork 10 at two point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member 20.

이렇게 구성되는 버팀재(20)는 보 거푸집(10)의 단위 측판들(12) 외향 측에서 맞대 어 설치되어서 콘크리트 타설 시 측압에 저항하며 단위 측판들(12)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The support member 20 configured in this way will be installed facing the unit side plates 12 of the beam formwork 10 from the outward side to resist the lateral pressure during concrete pouring and prevent the unit side plates 12 from being pushed out.

결속재(30)는 버팀재(20)를 교차방향에서 관통하여 코너 금구(16)의 수평면에서 구비된 구멍(16b-1)에 넣어 걸어져 보 거푸집(20) 외향 측에서 버팀재(20)가 탈착식으로 설치되게 한다. The binding material 30 penetrates the support material 20 in the cross direction and is put into the hole 16b-1 provided i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rner bracket 16 and hung, and the support material 20 from the outer side of the beam formwork 20 is detachably installed.

이러한 결속재(30)는 버팀재(20)의 하부를 교차방향에서 관통하여 코너 금구(16)의 수평면(16b)에 구비되는 구멍(16b-1)으로 넣어 걸어지는 걸이(32a)가 일단에 구비되고 타단에는 나산(32b)이 구비된 결속봉(32)과, 결속봉(32)의 나산(32b)에 나사결합되어 버팀재(20)를 보 거푸집(10)의 단위 측판(14) 측으로 밀어붙이는 나비너트(34)로 이루고 있다. 이때 결속재(30)는 버팀재(20)의 제1 및 제2받침(20a,20b) 사이에서 조임력이 작용하여 버팀재(20)를 보 거푸집(10)의 단위 측판(14)으로 확고히 밀착시킴과 아울러 콘크리트 타설 시의 측압에 저항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The binding material 30 passe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holding material 20 in the cross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16b-1 provided in the horizontal surface 16b of the corner bracket 16, and the hanger 32a is hung at one end. The binding rod 32 having a thread 32b at the other end and the thread 32b of the binding rod 32 are screwed together to move the support member 20 to the unit side plate 14 side of the beam formwork 10. It is composed of a pushing butterfly nut (34). At this time, the binding material 30 is firmly adhered to the unit side plate 14 of the beam formwork 10 by the clamping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20a and 20b of the support material 20. In addition, it will provide resistance to the lateral pressure during concrete pouring.

또 버팀재(20)는 그 몸체가 단일 또는 상하로 양분되어 고정 부분(22)과, 그 고정 부분(22)을 타고 오르내리면서 버팀재(20)의 받침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가동 부분(24) 및 가동 부분(24)의 조절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볼트(26)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20 has a fixed part 22 whose body is single or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a movable part 24 that allows the support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20 to be adjusted while riding up and down the fixed part 22 ) and a binding bolt 26 for fixing the adjusting position of the movable part 24.

이렇게 고정 및 가동 부분(22,24)으로 양분되어 구성되는 버팀재(20)는 건축물의 설계에 따른 보 높이에 맞추어 현장에서 그 버팀재(20)의 높낮이를 간단히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support material 20, which is divided into fixed and movable parts 22 and 24, can be constructed by simp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material 20 at the site according to the beam height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building. .

또한 버팀재(20)의 상단에는 슬래브(SL)의 슬래브 거푸집(SL-1)을 고정못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목(40)이 얹혀진다.In addition, a support 40 for fixing the slab formwork SL-1 of the slab SL with a fixing nail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0.

그리고 버팀재(20) 상단에 얹히는 받침목(40)은 그 상면 길이방향에서 받침목(40)의 해체 공구인 배척(50)이 받침목(40) 상면과 고정못으로 고정된 슬래브(SL)의 거푸집(SL-1) 사이 깊숙한 위치까지 용이하게 삽입되어 받침목(40)을 슬래브(SL)의 거푸집(SL-1)으로부터 간단히 해체 작업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수개의 해체 홀들(42)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eam 40 placed on top of the prop 20 is a formwork of the slab SL fix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40 and the anchor 50, which is a dismantling tool of the beam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SL-1) is provided with several dismantling holes 42 that are easily inserted to a deep position to achieve a simple disassembly operation of the support 40 from the formwork SL-1 of the slab (SL).

그러면 도 5의 (a)(b)(c)를 참조하여 본 발명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 보지 장치(20)가 보 거푸집(10)에 설치 및 해체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Then, with reference to (a) (b) (c) of FIG. 5,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formwork holding device 20 for building beam mo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eam formwork 10 will be described.

도 5의 (a)는 본 발명 보지 장치가 보 성형을 위한 보 거푸집(10)에 부설된 모습으로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건축 구조물의 슬래브와 보 양생 또는 양생이 완료된 모습이다.Figure 5 (a) is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id in the beam formwork 10 for beam molding, and concrete is poured to complete the slab and beam curing or curing of the building structure.

도 5의 (b)는 건축 구조물 양생이 완료되어 본 발명 보지 장치가 보 거푸집(10)으로 부터 해체되는 과정을 보여 주는 모습으로서, 결속재(30)의 나비너트(34)가 결속봉(32)으로부터 분리된 후 버팀재(20)가 보 거푸집(10)에서 해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5 (b) shows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the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eam formwork 10 after curing of the building structure is completed, and the butterfly nut 34 of the binding material 30 is the binding rod 32 )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member 20, it shows how it is dismantled from the beam formwork 10.

도 5의 (c)는 본 발명 보지 장치가 해체된 후 슬래브 거푸집(SL-1)과 고정못으로 결속된 받침목(40)이 배척(50)을 이용해 해체되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로서, 받침목(40)의 해체홀(42)을 통해 해체 공구인 배척(50)의 일단이 받침목(40) 상단과 슬래브 거푸집(SL-1) 사이로 삽입 후 배척(50)을 화살표방향으로 젖히어 받침목(40)이 슬래브 거푸집(SL-1)에서 해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Figure 5 (c)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how the support 40 bound with the slab formwork (SL-1) and the fixing nail is dismantled using the back chuck 50 after the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mantled, the support ( 40) through the disassembly hole 42, one end of the disassembly tool 50 is inserted between the top of the support 40 and the slab formwork (SL-1), and then the back 50 is til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remove the support 40 It is showing dismantling in this slab formwork (SL-1).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의 경우로, 받침목(40)이 보 거푸집(10)의 단위 측판(12) 상단에 얹히어 사용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6 shows a case in which the support 40 is placed on top of the unit side plate 12 of the beam formwork 10 and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10: 보 거푸집 12: 단위 측판
14: 단위 바닥판 16: 코너 금구
20: 버팀재 22: 고정 부분
24: 가동 부분 26: 결속볼트
30: 결속재 40: 받침목
42: 해체홀
10: beam formwork 12: unit side plate
14: unit bottom plate 16: corner bracket
20: support material 22: fixed part
24: movable part 26: binding bolt
30: binding material 40: support
42: disassembly hall

Claims (4)

건축물의 슬래브 저면에 돌출방식으로 구비되는 가로 보 또는 세로 보의 성형을 위하여 상기 슬래브의 거푸집 저면에서 간격을 유지해 좌ㆍ우 한 쌍으로 병설됨과 아울러 그 상단에 상기 슬래브의 거푸집과 고정못으로 결속되게 하는 받침목이 얹히는 단위 측판들과 단위 바닥판들, 그리고 상기 양 단위 측판들과 상기 단위 바닥판 양단이 맞나는 모서리에 수평 및 수직면이 구비되어 설치되는 코너 금구들로 이룬 보 거푸집의 둘레에서 고정 부분과 가동 부분으로 양분되어 높낮이 조절과 그 조절 위치가 결속볼트로 고정되게 한 버팀재를 결속봉과 나비너트로 이루는 결속재를 이용해 부설하여 상기 보 거푸집의 양 단위 측판들이 콘크리트 타설 시 측압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보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팀재의 고정 부분에 상기 코너 금구의 수직면과 맞대어지는 제1받침 및 상기 단위 측판 중간 부분으로 맞대어지는 제2받침들을 갖는 것;
상기 결속재의 결속봉은 상기 버팀재의 고정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코너 금구의 수평면 구멍에 삽입 방식으로 걸어지는 걸이가 구비된 것; 및
상기 받침목의 상면에 상기 슬래브의 거푸집으로부터 상기 받침목의 해체 시 배척이 삽입되는 해체 홀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
In order to form a horizontal beam or a vertical beam provided in a protruding manner on the bottom of the slab of a building, the gap is maintained at the bottom of the formwork of the slab to be juxtapos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and to be bound with the formwork of the slab at the top with fixing nails Fixed at the circumference of a beam formwork made of unit side plates and unit bottom plates on which a beam is placed, and corner brackets provided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surfaces at the corners where the both unit side plates and both ends of the unit bottom plate meet. It is divided into a part and a movable part, and the height adjustment and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are fixed with a binding bolt. The binding material composed of a binding rod and a wing nut is used to lay the support material, so that the side plates of both units of the beam formwork are pushed out by the lateral pressure during concrete casting. In the pussy device that prevents
Having a first support facing the vertical surface of the corner bracket and second support fac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unit side plate at the fixing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The binding rod of the bind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hook that penetrates the fixing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rner bracket; and
The holding device of the formwork for building beam molding further comprising a disassembly hole into which the exclusion is inserted when dismantling the beam from the formwork of the sla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04488A 2021-01-13 2021-01-13 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 KR102561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88A KR102561363B1 (en) 2021-01-13 2021-01-13 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88A KR102561363B1 (en) 2021-01-13 2021-01-13 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296A KR20220102296A (en) 2022-07-20
KR102561363B1 true KR102561363B1 (en) 2023-07-31

Family

ID=8260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488A KR102561363B1 (en) 2021-01-13 2021-01-13 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36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777B1 (en) * 2015-08-06 2017-05-15 삼성물산(주) Temporary construction system using support beam bracket intergrate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556B1 (en) * 2005-03-17 2008-04-30 권대용 Panel structure for slab
KR20080087196A (en) 2007-03-26 2008-10-01 진요임 The slab and beam form construction table form
KR200460686Y1 (en) 2010-02-02 2012-05-31 광용건설(합) Mould support device for formation beam
KR20140124594A (en) * 2013-04-17 2014-10-27 (주)에이원알폼 Surporter for concrete mold assembly
KR101539447B1 (en) 2014-09-30 2015-08-06 서보산업 주식회사 Beam form easy to remova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936335B1 (en) * 2017-03-09 2019-01-08 양승진 Connector for concrete mo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777B1 (en) * 2015-08-06 2017-05-15 삼성물산(주) Temporary construction system using support beam bracket intergr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296A (en)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762B1 (en) Cantilever part fo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7444789B1 (en) Insulated concrete form holder
KR20180045140A (en) The structure of non-binding dismantling formwork beams and deck plates without the need to secure jobs
KR100938821B1 (en) Prefabricated mold structure of waterway and construction method of drainage canal
US8720160B1 (en) Process for forming concrete walls and other vertically positioned shapes
KR20180100127A (en) A concrete foundation element, in particular a mold for providing a horizontal rebar exposed to the plinth, a plinth provided with such a form, and a structure comprising such a plinth
US20090121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101832183B1 (en)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KR102561363B1 (en) 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
KR101150829B1 (en) The mold with self-propelled type trolley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JP3763575B2 (en) Underground beam construction frame and underground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6083655B2 (en) Hanging fr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229093B1 (en) Exclusive mold of slab opening
KR100536772B1 (en) Form for soil hardened wall and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98158B1 (en) Cast Frame Using Steel production side gutter
KR101825818B1 (en) clip of integrated angle adjustment tie
US20030001070A1 (en) Manufactured reinforced concrete system
AU20052878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JP2019218684A (en) Manufacturing method of culvert
KR200151563Y1 (en) Supporting device for concrete slab forms
JP6700384B2 (en) Formwork panel assembly
CN212613744U (en) Boundary beam and template reinforcing apparatus
CN210659245U (en) Non-dismantling forming column template containing reinforcement cage and template structure
KR20100057991A (en) Concrete slab mold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lab
KR20190025786A (en) Support for slab mold of building and method of building slab mol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