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335B1 - Connector for concrete mold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concrete mo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335B1
KR101936335B1 KR1020170030285A KR20170030285A KR101936335B1 KR 101936335 B1 KR101936335 B1 KR 101936335B1 KR 1020170030285 A KR1020170030285 A KR 1020170030285A KR 20170030285 A KR20170030285 A KR 20170030285A KR 101936335 B1 KR101936335 B1 KR 10193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rner
supporting
support plate
concrete 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3404A (en
Inventor
양승진
Original Assignee
양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진 filed Critical 양승진
Priority to KR1020170030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335B1/en
Publication of KR2018010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4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3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와 보를 시공할 때 보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코너 부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데 이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는, 제1 부재, 제1 부재에 일정한 각을 이루어 결합되는 제2 부재, 그리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결합되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이루는 내각 측에 배치되는 코너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used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a corner portion of a mold installed in a beam when a slab and a beam are installed.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ember, a second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embe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econd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corner support plate to be disposed.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Connector for concrete mol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concrete mold,

본 발명은 슬라브와 보를 시공할 때 보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코너 부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데 이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used to connect and support a corner portion of a mold installed in a beam when a slab and a beam are installed.

일반적으로 슬라브와 보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은 슬라브와 보를 시공하는 방법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084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공보에는 각재로 이루어진 보 멍에재에 브라켓과 수평 거푸집과 수직 거푸집이 올려진 상태로 못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Generally, when slabs and beams are constructed, concrete formwork is installed to pour concrete. A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slab and bea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10844. The above-mentioned publication discloses a technique of fixing a bracket, a horizontal formwork, and a vertical form to a bamboo plate made of a wood material using a nail.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콘크리트 타설시에 수직 거푸집 또는 브라켓과 보 멍에재의 연결부분에 측압 또는 비틀림 압력이 과다하게 작용하여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밀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수직 거푸집과 수평 거푸집을 고정하는 브라켓과 코너 앵글 그리고 코너 앵글을 보 멍에재에 고정하는 수직 체결봉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복잡하여 작업성이 떨어져 작업 공수 및 시공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Such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a problem in that, when the concrete is poured, deformation may occur due to an excessive lateral pressure or torsional pressure act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rtical formwork or the bracket and the bolt member.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complicated in that the bracket fixing the vertical form and the horizontal formwork, the corner angles, and the vertical joining rods fixing the corner angles to the yoke members are complex, There is a problem.

또한, 보를 시공할 때 사용되는 보 멍에재 등이 반드시 필요하고 재사용이 어려운 부자재들로 인해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auxiliary materials that are required when the beam is used and the auxiliary materials which are difficult to be reus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0844호(2013. 9. 13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10844 (registered on September 13, 20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보를 시공할 때 거푸집의 고정과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공수를 줄이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form connection apparatus for facilitating work of fixing and disassembling a work, .

또한, 보를 시공할 때 사용되는 부품을 규격화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부품의 수를 늘려 자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orm connection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material cos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eusable parts by standardizing the parts used when constructing the beam.

또한 본 발명은 보를 시공할 때 사용되는 부품을 줄이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시공비를 줄이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orm connection apparatus that reduces the parts used when constructing a beam and reduces the construction cost by constructing the structure with a simpl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일정한 각을 이루어 결합되는 제2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이루는 내각 측에 배치되는 코너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first member, a second member coupled at an angle to the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corner support plate disposed on an inner side of the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상기 코너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며 제1 결합홀부가 제공되는 제1 면부, 상기 제1 면부에서 밴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2 부재에 결합되고 제2 결합홀부가 제공되는 제2 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ner support plate includes a first surface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member and provided with a first engagement hole, a second surface portion extending bending at the first surface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and provided with a second engagement hole, .

상기 제1 부재에는 수직 거푸집 또는 수평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터의 상단에 삽입되는 서포트 삽입부가 돌출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a supporter for supporting a vertical form or a horizontal form.

상기 제2 부재에는 수직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second member is coupled to a fixing member to which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vertical mold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제1 부재에는 일면에 수평 거푸집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또는 지지돌기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or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on one side thereof.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코너 지지 플레이트의 제1 면부를 관통하여 체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 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일면에 쐐기핀 삽입홈이 제공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부재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제공되고, 상기 나사산이 제공된 타측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coupling member is dispos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member of the second member and the corner support plate, the coupling member having one side passing through the first surface portion, the wedge pin insertion groove being provided on one side, It is preferable that a nu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provided with the thread, and the nu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각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or a plate.

상기 체결부재는 쐐기핀으로 고정되는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member is preferably a wedge pin fixing plate fixed by a wedge pin.

또한, 본 발명은 수평 거푸집의 측면에 배치되는 코너 앵글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부, 상기 밀착 플레이트부에서 측면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1 연장플레이트부, 상기 제1 연장플레이트부에서 하방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2 연장플레이트부, 상기 제2 연장플레이트부에서 측면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는 제3 연장플레이트부, 그리고 상기 제3 연장플레이트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동제한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plate,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flat plate on a side surface of a horizontal die; A third extension plate portion bent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second extension plate portion, and a movement restricting plat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third extension plate portion to provide a concrete form connection device do.

상기 제3 연장플레이트부에는 수직 거푸집 또는 수평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터의 상단에 삽입되는 서포트 삽입부가 돌출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hird extension plat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a top of a supporter for supporting a vertical form or a horizontal form.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이루어져 보를 시공할 때 설치되는 거푸집의 고정과 해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공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a single assembly form, which facilitates fixing and disassembly of the formwork installed when the beam is installed,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reducing the number of workings.

또한, 보를 시공할 때 사용되는 부품을 규격화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부품의 수를 늘려 자재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materials by standardizing parts used for construction of beam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reusable parts.

또한 본 발명은 보를 시공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보 멍에재를 생략할 수 있어 보 시공에 따른 부품의 수를 줄여 시공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the bobbin material, which is essentially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beam,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ccording to the beam construction,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시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시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에 조립되는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line of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t to be assembled in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는 제1 부재(1), 제2 부재(3), 그리고 코너 지지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mber 1, a second member 3, and a corner support plate 5.

제1 부재(1)는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부재(1)는 보의 수평 거푸집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보의 수평 거푸집은 보를 이루는 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거푸집을 의미하며 수평 거푸집(h)이라 하고, 보의 수직 거푸집은 보를 이루는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거푸집을 의미하며 수직 거푸집(v)이라 칭하기로 한다. The first member 1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arranged horizontally with reference to FIG. This first member 1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form of the beam.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formwork of a beam means a form horizontally arranged on the bottom of the beam and is called a horizontal formwork (h). The vertical formwork of the beam means a form arranged vertically on the side of the beam, It will be referred to as a form (v).

제2 부재(3)는,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재(3)는 수직 거푸집(v)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재(3)는 제1 부재(1)의 일단에 일정한 각을 이루어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보의 저면인 수평면과 보의 측면이 수직을 이루도록 보를 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제1 부재(1)와 제2 부재(3)가 이루는 각은 직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보의 저면인 수평면과 보의 측면이 수직이 아닌 다른 각을 이루도록 보의 시공이 필요한 경우에 제1 부재(1)와 제2 부재(3)가 이루는 각은 이에 따라 적절한 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member 3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This second member 3 can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form v. The second member 3 may be joined to one end of the first member 1 at a predetermined angle by welding or the like.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member 1 and the second member 3 may be a right angle whe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beam so that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beam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eam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However, in the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beam so that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beam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eam form an angle different from the perpendicular direction,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member 1 and the second member 3 can be made appropriate angles .

코너 지지 플레이트(5)는 수평 거푸집(h)과 수직 거푸집(v)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수평 거푸집(h)과 수직 거푸집(v)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는 코너앵글(A)이 설치된다. 그리고 코너 지지 플레이트(5)는 코너앵글(A)에 밀착되어 수평 거푸집(h)과 수직 거푸집(v)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rner support plate 5 may be disposed at a corner where the horizontal mold h and the vertical mold v meet. A corner angle A is provided at a corner where the horizontal mold h and the vertical mold v meet. The corner support plate 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ner angle A to connect and fix the horizontal mold h and the vertical mold v.

이러한 코너 지지 플레이트(5)는 제1 부재(1)와 제2 부재(3)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코너 지지 플레이트(5)는 제1 부재(1)와 제2 부재(3)가 이루는 내각 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너 지지 플레이트(5)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재(1)와 제2 부재(3)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게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ner support plate 5 is integrally joined to the first member 1 and the second member 3 by welding or the like. The corner support plate 5 is preferably join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member 1 and the second member 3. The corner support plate 5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referably protru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1 and the second member 3 so as to be long and coupled as shown in Fig.

코너 지지 플레이트(5)는 제1 면부(5a)와 제2 면부(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부(5a)는 일단이 제1 부재(1)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제1 면부(5a)는 수평 거푸집(h)의 측면에 배치된 코너앵글(A)에 밀착될 수 있다(도 1 참조).The corner support plate 5 may include a first surface portion 5a and a second surface portion 5b.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is vertically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1 at one end and is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The first face portion 5a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ner angle A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h (see Fig. 1).

그리고 제2 면부(5b)는 제1 면부(5a)에서 밴딩되어 제2 부재(3)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제1 면부(5a)와 제2 면부(5b)는 플레이트가 밴딩되어 이루어지며 서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제2 면부(5b)는 수직 거푸집(v)의 측면에 배치된 코너앵글(A)에 밀착될 수 있다(도 1 참조).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is bent at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and joined to the second member 3 by welding or the like. The first face portion 5a and the second face portion 5b are formed by bending the plates and can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econd face portion 5b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ner angle A dispos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form v (see Fig. 1).

한편, 제1 면부(5a)에는 제1 결합홀부(5c)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결합홀부(5c)는 제1 면부(5a)를 수평 거푸집(h)의 측면과 쐐기핀(wp, 도2 참조)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멍으로 직사각형의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 결합홀부(5c)는 수평 거푸집(h)의 측면에 제공되는 또 다른 쐐기핀을 끼우기 위한 구멍과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engagement hole portion 5c. The first engagement hole portion 5c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a hole for fixing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to the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mold h and the wedge pin wp (see Fig. 2). That is, the first engagement hole portion 5c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hole for fitting another wedge pi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h.

그리고 제2 면부(5b)에는 제2 결합홀부(5d)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결합홀부(5d)는 제2 면부(5b)를 수직 거푸집(v)의 측면과 쐐기핀(wp, 도2 참조)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멍으로 직사각형의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즉, 제2 결합홀부(5d)는 수직 거푸집(v)의 측면에 제공되는 또 다른 쐐기핀을 끼우기 위한 구멍과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쐐기핀(wp)은 거푸집 등을 서로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이며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a second engagement hole portion 5d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The second engagement hole portion 5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a hole for fixing 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to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form v and the wedge pin wp (see Fig. 2). That is, the second fitting hole portion 5d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hole for fitting another wedge pi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form v.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dge pins (wp) are used to connect dies or the like to each other and can be made of conventional ones used in a construction site.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재(1)에는 하단부에 서포트 삽입부(7)가 제공될 수 있다. 서포트 삽입부(7)는, 도 1 기준으로, 제1 부재(1)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삽입부(7)는 서포터(s, 도2 참조)의 상부에 끼워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가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first member 1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insert 7 at its lower end. The support insertion portion 7 may be formed in a pipe shape protruding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 on the basis of Fig. The support insert 7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er s (see FIG. 2), and serves to maintain the attitude of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이러한 서포트 삽입부(7)는 서포터(s)에 삽입되어 보 멍에재와 같은 별도의 구성품을 생략하면서도 수평 거푸집(h)과 수직 거푸집(v)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도 2 참조).The support insert 7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er s to support the horizontal mold h and the vertical mold v simultaneously while omitting a separate component such as a bolt.

또 한편으로, 제2 부재(3)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경우 지지부재(9)가 제2 부재(3)에 끼워질 수 있다. 지지부재(9)는 속대라고도 칭하며, 사각기둥 형태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9)는 제2 부재(3)의 길이를 증대시켜 수직 거푸집(v)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9)는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각재(w) 등을 고정하기 위해 외측면 일부가 연장되는 모양으로 연장부(9a)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재(9)의 상부에 제공된 연장부(9a)는 각재(w)의 저면과 측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가 일정한 각을 이루어 밴딩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연장부(9a)는 용접 등에 의해 지지부재(9)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member 3 is made of a hollow square pipe, the support member 9 can be fitted in the second member 3. [ The support member 9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inhaler, and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pipe. This support member 9 can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form v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econd member 3. The support member 9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9a in such a manner tha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9 extends to fix the panel material w or the like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The extended portion 9a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9 has a shape in which the plate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web W, respectively. The extension portion 9a can be jo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9 by welding or the like.

그리고 제2 부재(3)에는 지지부재(9)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1)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11)는 볼트 또는 볼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부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부재(3)의 측면에서 제1 부재(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1)는 가장 바깥측에 원형의 고리부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고정부재(1)의 고리부에 망치의 손잡이 또는 파이프와 같은 긴 연장을 끼워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제2 부재(3)에 지지부재(9)가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부재(1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2 부재(3)에 지지부재(9)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11)는 작업자가 지지부재(9)를 제2 부재(3)에 끼워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보의 거푸집 어셈블리를 조립할 때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 fixing member 11 for fixing the supporting member 9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3. The fixing member 11 may be a member capable of acting as a bolt or a bolt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1 on the side of the second member 3. [ The fixing member 11 can be connected to the outermost circular ring portion. 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rotate the hook of the fixing member 1 by inserting an elongated extension such as a handle or pipe of a hammer. The operator can fix the supporting member 9 to the second member 3 by rotating the fixing member 11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member 9 is fitted in the second member 3. [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member 11 can easily fix the support member 9 by sandwiching the support member 9 on the second member 3. Therefo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workability when assembling the beam assembly of the beam.

한편, 제1 부재(1)에는 코너 지지 플레이트(5)가 설치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지지 플레이트(13)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3)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면 수평 거푸집(h)의 일면(바닥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member 1 may be provided with the support plate 13 on the same surface as the surface on which the corner support plate 5 is provided. The support plate 13 can support one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mold h if it has a constant height.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보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installing the concrete form using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작업자는 바닥에 수직 거푸집(v)을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나란하게 배치하고 수평 거푸집(h)을 수직 거푸집(v)의 위에 올린다. 그리고 작업자는 수평 거푸집(h)과 수직 거푸집(v)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코너앵글(A)을 배치하고 쐐기핀(wp)을 이용하여 수평 거푸집(h)과 코너앵글(A), 그리고 수직 거푸집(v)과 코너앵글(A)을 각각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수평 거푸집(h)과 수직 거푸집(v)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밀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제1 부재(1)가 수평 거푸집(h)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배치시키고, 제2 부재(3)가 수직 거푸집(v)에 밀착되도록 배치시킨다. 그러면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와 제2 면부(5b)는 코너앵글(A)의 내각을 이루는 면에 각각 밀착된다. 즉,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는 수평 거푸집(h)과 만나는 코너앵글(A)의 일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2 면부(5b)는 수직 거푸집(v)과 만나는 코너앵글(A)의 다른 일면에 밀착된다.The worker places the vertical dies (v) on the floor side by side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places the horizontal dies (h) on the vertical dies (v). The operator places the corner angle A at the corner where the horizontal form h and the vertical form v meet and uses the wedge pin wp to form the horizontal form h and the corner angle A, (v) and the corner angle (A), respectively. Then, the operator brings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dge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form h and the vertical form v meet. At this time, the operator places the first member 1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h and the second member 3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mold v.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and 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rner angle A,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orner angle A that meets the horizontal mold h. And the second face portion 5b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face of the corner angle A which meets the vertical form v.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거푸집 등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쐐기핀(wp)을 제1 면부(5a)의 제1 결합홀부(5c)에 관통시킨다. 그러면 쐐기핀(wp)은 제1 면부(5a)의 제1 결합홀부(5c)를 관통하여 코너앵글(A)의 일면 및 수평 거푸집(h)의 측면에 제공된 홀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때 작업자는 또 다른 쐐기핀을 이용하여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와 수평 거푸집(h)의 측면을 고정시킨다. In this state, the worker passes the wedge pin (wp) used for connecting the dies and the like to the first engagement hole portion 5c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The wedge pin wp is dispos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engagement hole portion 5c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and through the ho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rner angle A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mold h. At this time, the operator uses another wedge pin to fix the first face portion 5a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mold h.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또 다른 쐐기핀(wp)을 제2 면부(5b)의 제2 결합홀부(5d)에 관통시킨다. 그러면 쐐기핀(wp)은 제2 면부(5b)의 제2 결합홀부(5d)를 관통하여 코너앵글(A)의 일면 및 수직 거푸집(v)의 측면에 제공된 홀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때 작업자는 또 다른 쐐기핀을 이용하여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2 면부(5b)와 수직 거푸집(v)의 측면을 고정시킨다. 그러면 보의 거푸집 어셈블리가 바닥면에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이는 수평 거푸집(h)이 바닥면의 반대측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조립된 보의 거푸집 어셈블리를 들어올려 시공 지점에 배치한다. 이때 지지부재(9)를 제2 부재(3)에 끼우고 고정부재(11)를 회전시켜 지지부재(9)가 제2 부재(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 고정한다. 고정부재(11)는 제2 부재(3)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그의 끝 부분이 지지부재(9)를 가압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imilarly, the operator passes another wedge pin wp through the second engagement hole portion 5d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The wedge pin wp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second engagement hole portion 5d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so as to penetrate through one side of the corner angle A and the hole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die v. At this time, the operator uses another wedge pin to fix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formwork (v) to 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of the corner supporting plate 5. The mold assembly of the beam then remains in the bottom surface, which can maintain the horizontal mold h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ttom surface. Then, lift the form assembly of the assembled beam using a crane, etc., and place it at the construction site.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9 is sandwiched between the second member 3 and the fixing member 11 is rotated to fix the support member 9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member 3. The fixing member 11 can rotate along the second member 3 while its end portion presses the supporting member 9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이와 같이 조립된 보 거푸집 어셈블리가 시공 위치에 근접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서포트 삽입부(7)에 서포터(S)의 상부를 끼운다. 그리고 조립된 보 거푸집 어셈블리를 시공 위치에 배치하고 슬라브 작업을 위한 또 다른 거푸집들과 연결한다.The upper part of the supporter S is fitted to the support insert part 7 in a state where the assembled brace assembly is installed close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n place the assembled beam form assembly into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nect it to another formwork for slab work.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가 적용된 보 거푸집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수행하여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가 적용된 보 거푸집 어셈블리는 시공시에 보 멍에재와 같은 별도의 구성 부품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자재 비용을 줄이고 공사 기간도 줄일 수 있다. The operation of installing the concrete formwork assembly to which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workings. In particular, the beam form assembly to which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quires no separate component parts such as a bolt member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erefor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and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는 구조가 간단할 뿐 만 아니라 규격화가 가능하여 다양한 건설 현장에 적용할 수 있고 재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crete form connection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simple in structure, but also can be standardized,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sites and has an advantage of high recyclability.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는 수평 거푸집(h)과 수직 거푸집(v)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수직 거푸집(v) 등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정밀시공이 가능하다.Particularly, since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fixed to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formwork h and the vertical formwork v meet, it is possible to withstand the side pressure acting on the vertical formwork v Precise construction is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다른 부분 만을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ly in the parts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parts will be replaced by the above descrip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부재(1)의 일면에 지지돌기부(15)가 설치된 점이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부재(1)의 일면에 지지 플레이트(13)가 설치되어 수평 거푸집(h)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support protrusions 15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13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mold h.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지지돌기부(15)는 제1 부재(1)의 일면에 제1 부재(1)의 폭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돌기부(15)는 수평 거푸집(h)에 일면에서 돌출되어 제공된 보강 리브(부호 생략)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지지 플레이트(13)는 수평 거푸집(h)의 일면을 지지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지지돌기부(15)는 수평 거푸집(h)에 제공된 보강 리브를 지지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작용과 효과는 동일 또는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더욱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However, the support protrusion 15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 so as to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1. [ The supporting protrusions 15 can support the reinforcing ribs (not shown) protruded from one surface of the horizontal mold h. That is, the support plate 13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upports on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h, whereas the support protrusions 15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the reinforcing ribs h provided on the horizontal mold h, And the lik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in operation and effects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r structur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Show.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부재(9)를 도 4의 우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is show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9 applied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ight side of FIG. 4,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only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parts will be replaced with descriptions thereof.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는, 제2 부재(3)와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를 관통하는 체결부재(17, 도 6 참조)가 제공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수평 거푸집(h)과 수직 거푸집(v)에 쐐기핀(wp)으로 고정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체결부재(17)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수평 거푸집(h)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다. 체결부재(17)는 금속재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납작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쐐기핀(wp)이 삽입될 수 있는 쐐기핀 삽입홈(ph, 도 6 참조)이 제공되고, 타측은 외주면이 나사산이 제공된 봉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체결부재(17)의 타측인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에는 너트 또는 나비너트(N)가 나사결합 된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는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에 체결부재(17)의 납작한 부분이 관통될 수 있는 슬릿 형태의 홈과 함께 체결부재(17)의 나사산이 제공된 봉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제공된다(도 4 참조).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17 (see Fig. 6) that passes through the second member 3 and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 exampl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is fixed to the horizontal form h and the vertical form v by the wedge pins wp. 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device can be fixed to th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h by the fastening member 17. The fastening member 17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of metal and has a flat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wedge pin insertion groove ph (see FIG. 6) into which the wedge pin wp can be inserted, Side is formed into a bar shape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provided with a thread. A nut or a butterfly nut (N) is screwed to a rod-shaped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17) (see Fig. 6).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mber 17 is formed on the first face portion 5a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together with the slit-shaped groove through which the flat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17 can pass, (See Fig. 4). In Fig.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도 편의상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에 제공된 슬릿과 구멍을 제1 결합홀부(5c)로 칭하기로 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t and the hole provided in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engagement hole portion 5c for the sake of convenience.

그리고 제2 부재(3)에는 체결부재(17)의 타측인 봉형상의 나사 부분이 관통할 수 있는 제3 결합홀부(5e)가 제공된다. 제3 결합홀부(5e)는 원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체결부재(17)의 일측인 납작한 부분이 이루는 높이 또는 두께에 비해 그의 직경이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3 결합홀부(5e)에 봉형상의 나사부분을 끼워 외측에서 나비너트(N)를 체결한 경우 제2 부재(3)에서 체결부재(17)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체결부재(17)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유통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member 3 is provided with a third engagement hole portion 5e through which a bar-shaped screw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17 can pass. The third engaging hole portion 5e may be formed of a circular hole and preferably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height or thickness formed by the flat portion on one side of the engaging member 17.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ng nut (N) is fastened to the third engagement hole portion (5e) with a rod-shaped screw portion therebetween, the fastening member (17) is not detached from the second member And can be maintained as o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device can be circulated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members 17 are integrally joined, so that the worker can work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9)가 제2 부재(3)에 끼워질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그리고 지지부재(9)는 상부에 연장부(9a)가 제공된다. 지지부재(9)와 연장부(9a)는 편의상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부재(9)는 하단부에 개구부를 가진 장홈부(9b)가 제공된다. 지지부재(9)에 제공된 장홈부(9b)는 체결부재(17)의 나사산이 제공된 부분을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다.Further, in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upporting member 9 can be fitted in the second member 3 (see Figs. 5 and 6). And the support member 9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9a at the top. The supporting member 9 and the extending portion 9a have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 for convenienc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explanation. However, the support member 9 applied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long groove portion 9b having the opening at the lower end. The long groove portion 9b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9 can be inserted throug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17.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보 거푸집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assembling the beam form assembly using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수평 거푸집(h)과 수직 거푸집(v)을 지면에서 배열하여 코너앵글(A)을 조립하는 과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First,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orner angle A by arranging the horizontal formwork h and the vertical form v on the ground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는 체결부재(17)가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2 면부(5b)에 제공된 제1 결합홀부(5c)와 제2 부재(3)에 제공된 제3 결합홀부(5e)를 관통한 상태에서 나비너트(N)가 체결부재(17)의 봉형상 부분에 나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17 is provided in the first engaging hole portion 5c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of the corner supporting plate 5 and the second engaging hole portion 5c provided on the second member 3 And the wing nut (N) remains threadedly engaged with the ba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17)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engagement hole portion (5e).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에 일체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7)의 납작한 부분을 수평 거푸집(h)의 측면에 제공된 구멍에 관통시킨다. 그리고 체결부재(17)에 제공된 쐐기핀을 삽입하는 홈에 쐐기핀을 삽입한다. 그러면 수평 거푸집(h)에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가 고정된다.In this state, the flat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17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ssed through the hole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formwork h. Then, the wedge pi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 inserting the wedge pin provided in the fastening member 17. The concrete form connection device is then secured to the horizontal mold h.

그리고 계속해서 지지부재(9)를 제2 부재(3)에 끼운다. 즉, 작업자는 지지부재(9)의 장홈부(9b)를 체결부재(17)의 봉형상 부분을 관통시키면서 지지부재(9)를 제2 부재(3)에 삽입한다. 그리고 체결부재(17)의 봉형상 부분에 제공된 나비너트(N)를 회전시켜 지지부재(9)를 제2 부재(3)에 고정시킨다(도 6 참조). 그리고 별도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보 거푸집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술한 설명과 같다.Then, the support member 9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ember 3. That is, the worker inserts the support member 9 into the second member 3 while allowing the long groove portion 9b of the support member 9 to pass through the ba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17. Then, the wing nut N provided on the ba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17 is rotated to fix the support member 9 to the second member 3 (see Fig. 6).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beam form assembly using a separate crane or the like is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작업자가 더욱 간단한 동작으로 보 거푸집 어셈블리를 조립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체결부재(17)가 도 6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보를 만들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수직 거푸집(v)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응하여 충분한 힘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콘크리트 타설시 변형을 방지하여 보의 정밀 시공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can assemble the workpiece assembly with a simpler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work flow. Particularly,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crete is installed to form the beam, the fastening members 17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6, and sufficient force corresponding to the side pressure acting on the vertical form (v) . Therefore,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eformation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precision work of the beam.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부재(1)와 제2 부재(3)가 각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진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부재(1)와 제2 부재(3)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부재(1)와 제2 부재(3)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부재(1)와 제2 부재(3)가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각을 이루어 밴딩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더욱 간단한 구조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구조가 간단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대량으로 이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물류비도 줄일 수 있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is show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ly in comparis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member 1 and the second member 3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but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member 1 and the second member 3 3 are formed in a plate shap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member 1 and the second member 3 have the same functions as those described abo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at is,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ember 1 and the second member 3 are formed of a single plate and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crete form connection apparatus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r structure. In additio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therefore has excellent workability, and can be reduced in a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transport a large amount of materials.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2 부재(3)가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경우 수직 거푸집(v)의 일면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체결부재(17)의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more firmly support one side of the vertical form v when the second member 3 is disposed to protrude above the corner support plate 5 (Figs. 7 and 8 Reference).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member 17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5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crete form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only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ame parts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thereof.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는, 밀착 플레이트부(19), 제1 연장플레이트부(21), 제2 연장플레이트부(23), 제3 연장플레이트부(25), 그리고 이동제한 플레이트부(27)를 포함한다.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ightening plate portion 19, a first extending plate portion 21, a second extending plate portion 23, a third extending plate portion 25, And a plate portion 27.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밀착 플레이트부(19), 제1 연장플레이트부(21), 제2 연장플레이트부(23), 제3 연장플레이트부(25), 그리고 이동제한 플레이트부(27)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밴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astening plate portion 19, the first extension plate portion 21, the second extension plate portion 23, the third extension plate portion 25 and the movement restricting plate portion 27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plate is formed by bending.

밀착 플레이트부(19)는 수평 거푸집(h)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거푸집(h)과 수직 거푸집(v)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코너앵글(A)이 쐐기핀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밀착 플레이트부(19)에는 쐐기핀 삽입홈(ph)이 제공될 수 있다. 쐐기핀 삽입홈(ph)은 장방향의 슬롯 형태로 이루어져 쐐기핀(wp)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의미한다. 즉, 밀착 플레이트부(19)는 쐐기핀(wp)에 의해 코너앵글(A)의 일면에 밀착되어 수평 거푸집(h)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plate portion 19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h.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corner angles A where the horizontal mold h and the vertical mold v meet can be kept fixed by the wedge pins. The fitting plate portion 19 may be provided with a wedge pin insertion groove (ph). The wedge pin insertion groove (ph) is a sl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eans a hole into which the wedge pin (wp) can be inserted. That is, the fastening plate portion 19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corner angle A by the wedge pin wp and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h.

제1 연장플레이트부(21)는 밀착 플레이트부(19)에서 측면으로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연장플레이트부(21)는 수평 거푸집(h)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수평 거푸집(h)의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extension plate portion 21 may be bent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fastening plate portion 19. That is, the first extension plate portion 21 preferably extends downward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h based on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horizontal mold h.

제2 연장플레이트부(23)는 제1 연장플레이트부(21)에서 하방으로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도 9 기준). 제2 연장플레이트부(23)는 도 9를 기준으로 볼 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extension plate portion 23 can be bent and extended down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late portion 21 (refer to FIG. 9).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xtension plate portion 23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제3 연장플레이트부(25)는 제2 연장플레이트부(23)에 측면으로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도 9 기준). 제3 연장플레이트부(25)는 도 9를 기준으로 볼 때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연장플레이트부(23)와 제3 연장플레이트부(25)가 이루는 내각 부분에는 수평 거푸집(h)을 지지할 수 있는 각재(w)가 배치될 수 있다(도 10 참조). The third extension plate portion 25 may be bent to extend laterally to the second extension plate portion 23 (refer to FIG. 9).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extension plate portion 25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In addition, a slab w capable of supporting the horizontal formwork h can be disposed on the interior angle portion formed by the second extension plate portion 23 and the third extension plate portion 25 (see FIG. 10).

그리고 이동제한 플레이트부(27)는 제3 연장플레이트부(25)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동제한 플레이트부(27)는 제2 연장플레이트부(23)와 제3 연장플레이트부(25)가 이루는 내각 측에 배치되는 각재(w)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nd the movement restricting plate portion 27 may be extended upward at an angle in the third extension plate portion 25. The movement restricting plate portion 27 serves to prevent the slab w disposed on the inner angle side formed by the second extending plate portion 23 and the third extending plate portion 25 from being separated

그리고 제3 연장플레이트부(25)에는 수평 거푸집(h) 또는 수직 거푸집(v)을 지지하는 서포터(s)의 상단에 삽입되는 서포트 삽입부(7)가 제공된다. 이러한 서포트 삽입부(7)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한다.The third extension plate portion 25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sertion portion 7 which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s supporting the horizontal mold h or the vertical mold v. The support insertion unit 7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해 더욱 간단한 구성을 가질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시공이 용이성이 향상된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can have a simpler configuration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since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the ease of construction is improv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으로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ly in terms of differences, and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설명은 제4 실시예의 설명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2 부재(3)가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제2 부재(3)의 상부의 높이와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2 면부(5b)의 높이가 같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체결부재(17)를 조립하는 작업을 할 때 매우 편리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2 면부(5b) 부분을 바닥면을 향해 놓고 상술한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체결부재(17)를 조립한다. 이때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2 면부(5b)와 제2 부재(3)의 끝쪽 부분이 서로 동일한 면을 이루어 바닥면에 접촉될 때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다. 따라서 대량으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에 체결부재(17)를 고정하는 조립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mber 3 has a shape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However,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3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are the same.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convenient when assembling the fastening member 17 and can improve workability. That is,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s the fastening member 17 a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with 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facing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the second surface portion 5b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3 form the same surface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hen they contact the floor surface. Therefore,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when assembling work for fixing the fastening member 17 to the concrete form connection apparatus in a large amount.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으로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ly in terms of differences, and will be replaced by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제6 실시예의 설명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체결부재(17)가 일측은 쐐기핀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나비너트로 고정되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체결부재(17, 설명의 편의상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 함)가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29)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적용되는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29)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제2 부재(3)와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29)는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에서 돌출되는 부분에 쐐기핀 삽입홈(ph)이 제공된다. 또한,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29)는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와 제2 면부(5b)가 이루는 내각 측 부분(가운데 부분)에 고정핀 삽입홈부(29a)가 제공된다. The descrip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description of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17 is fixed to one side by a wedge pin and the other side is fixed by a butterfly nut. However,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17 (which i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as the other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can be formed of the wedge pin fixing plate 29. The wedge pin fixing plate 29 applied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late and disposed through the second member 3 and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 The wedge pin fixing plate 29 is provided with a wedge pin insertion groove (ph) at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The wedge pin fixing plate 29 is also provided with the fixing pin insertion groove 29a at the inner side portion (middle portion) formed by the first face portion 5a and the second face portion 5b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

고정핀 삽입홈부(29a)에는 고정핀(31)이 삽입된다. 고정핀(31)은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29)가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정핀(31)은 일단에 분할핀(도시생략)이 끼워질 수 있다. 분할핀은 고정핀 삽입홈부(29a)에서 고정핀(3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29)가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에 결합된 상태로 유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조립작업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A fixing pin 3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insertion groove 29a. The fixing pin 31 serves to enable the wedge pin fixing plate 29 to be coupled to the concrete form connection apparatus. A pin (not shown) may be fitted to one end of the fixing pin 31. The split pin can prevent the fixing pin 3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xing pin insertion groove 29a. That is,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llowing the wedge pin fixing plate 29 to be coupled to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the assembling operation can be made easier,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can be reduced.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form connecting apparatus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으로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ly in terms of differences, and will be replaced by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제7 실시예의 설명과 유사하다. 상술한 제7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29)가 고정핀(31)에 의해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서는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29)가 용접에 의해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29)가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을 관통하여 용접되고, 일단이 제2 부재(3)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물론,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29)에 제공된 쐐기핀 삽입홈(ph)이 코너 지지 플레이트(5)의 제1 면부(5a)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7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descrip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seven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wedge pin fixing plate 29 is fixed by the fixing pins 31. However, 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dge pin fixing plate 29 is welded to the concrete And is integrally fixed to the die connecting device. That is, 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dge pin fixing plate 29 is welded through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of the corner support plate 5, and one end is welded and fixed to the second member 3 . Of course,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wedge pin insertion groove (ph) provided in the wedge pin fixing plate 29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portion 5a of the corner supporting plate 5. [ This structure is the same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이러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상술한 제7 실시예에 비해 더욱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 비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seventh embodiment and can further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제1 부재, 3. 제2 부재,
5. 코너 지지 플레이트, 5a. 제1 면부,
5b. 제2 면부, 5c. 제1 결합홀부,
5d. 제2 결합홀부, 5e. 제3 결합홀부,
7. 서포트 삽입부,
9. 지지부재,
9a. 연장부, 9b. 장홈부,
11. 고정부재, 13. 지지 플레이트,
15. 지지돌기부, 17. 체결부재,
19. 밀착 플레이트부, 21. 제1 연장플레이트부,
23. 제2 연장플레이트부, 25. 제3 연장플레이트부,
27. 이동제한 플레이트부,
29.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 29a. 고정핀 삽입홈부,
31. 고정핀
1. A first member, 3. A second member,
5. Corner support plate, 5a. The first surface,
5b. Second face, 5c. The first engagement hole portion,
5d. A second engaging hole portion, 5e. The third engagement hole portion,
7. Support insert,
9. Supporting member,
9a. Extension, 9b. The long groove portion,
11. Fixing member, 13. Support plate,
15. Support protrusions, 17. Fastening members,
19. Adhering plate portion, 21. First extending plate portion,
23. a second extension plate portion, 25. a third extension plate portion,
27. The movement restricting plate portion,
29. Wedge pin securing plate, 29a. Fixing pin insertion groove portion,
31. Fixing pin

Claims (10)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일정한 각을 이루어 결합되는 제2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이루는 내각 측에 배치되는 코너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코너 지지 플레이트는
일끝 부분이 상기 제1 부재에 용접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제1 결합홀부가 제공되어 수평 거푸집의 일측에 배치된 코너앵글에 밀착되는 제1 면부,
상기 제1 면부에서 일정한 각으로 밴딩되어 연장되며 연장된 다른 끝부분이 상기 제2 부재에 용접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제2 결합홀부가 제공되어 수직 거푸집의 일측에 배치된 코너앵글에 밀착되는 제2 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수평 거푸집의 외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 거푸집 또는 상기 수평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터의 상단에 삽입되는 서포트 삽입부를 구비하며,
일면에 상기 수평 거푸집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또는 지지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수직 거푸집의 외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수직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결합된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
The first member,
A second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embe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nd a corner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he corner support plate being disposed on an inner sid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he corner support plate
A first surface portion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member by welding and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hole por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corner angl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And the other end portion bent and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first surface portion is fixedly welded to the second member by welding and a second engagement hole portion is provided, Including a surface,
The first member
Supporting an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old,
And a support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orm or the supporter supporting the horizontal form,
And a support plate or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horizontal mold on one surface thereof,
The second member
Supporting a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orm,
And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vertical form is inserte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ing member is coup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코너 지지 플레이트의 제1 면부를 관통하여 체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 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일면에 쐐기핀 삽입홈이 제공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부재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제공되고,
상기 나사산이 제공된 타측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astening member is disposed through the second member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corner support plate,
The fastening member
And a wedge pin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wedge pin insertion groove,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through the second member, a thread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nu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to which the thread is provid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각 파이프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Concrete form connection device in the form of pipes or plat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쐐기핀으로 고정되는 쐐기핀 고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거푸집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astening member
And a wedge pin fixing plate fixed by a wedge pi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30285A 2017-03-09 2017-03-09 Connector for concrete mold KR1019363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85A KR101936335B1 (en) 2017-03-09 2017-03-09 Connector for concrete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85A KR101936335B1 (en) 2017-03-09 2017-03-09 Connector for concrete m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04A KR20180103404A (en) 2018-09-19
KR101936335B1 true KR101936335B1 (en) 2019-01-08

Family

ID=6371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285A KR101936335B1 (en) 2017-03-09 2017-03-09 Connector for concrete mo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3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29A (en) * 2021-04-20 2022-10-27 장병곤 Supporting Plate Fixture for Form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363B1 (en) * 2021-01-13 2023-07-31 폼으로 주식회사 A holding device of molding framework for a beam formation of building
CN114737753B (en) * 2022-05-10 2024-03-19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Template connecting piece and beam template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47B1 (en) * 2015-09-18 2017-01-23 강수일 Yoke for constructing mold of be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47B1 (en) * 2015-09-18 2017-01-23 강수일 Yoke for constructing mold of be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29A (en) * 2021-04-20 2022-10-27 장병곤 Supporting Plate Fixture for Formwork
KR102564432B1 (en) * 2021-04-20 2023-08-07 장병곤 Supporting Plate Fixture for Form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04A (en)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335B1 (en) Connector for concrete mold
KR102143636B1 (en) An assembly type supporting beam mold using form-pa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2038061B1 (en) An assembly type supporting beam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US10047515B2 (en) Concrete weldment
KR101194682B1 (en) Clamp for coupling of panels and concrete form using the same
JP6255220B2 (en) Positioning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KR20220022664A (en) Cross joint for fixing formwork
KR101057551B1 (en) Pillar formwork
KR20170050143A (en) Assembly type concrete mold
KR101677423B1 (en) Tool for Connecting and Fastening beams
KR20180133969A (en) Supporting unit of girder panel
JP5430483B2 (en) Connecting bracket
KR101806000B1 (en) Extender for extending length of support
KR102079648B1 (en) Formwork with reinforcement frame
KR102004130B1 (en) Supporting unit of girder panel
KR102516806B1 (en) A spacer device for concrete form having rail type frame
JP7274992B2 (en) Anchor bolt fixture and anchor frame
KR102150222B1 (en) Truss support and formwork using same
KR101138334B1 (en) Frame for mold panel
KR101791097B1 (en) Support for construction
JP2018003333A (en) Form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JPH0371546B2 (en)
KR200482375Y1 (en) Clamping apparatus for form
JP4798810B1 (en) PCa bottom panel outline kit for fabric foundation.
CN205531305U (en) Quick detach decking convenient to concate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