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063A -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063A
KR20050030063A KR1020030066378A KR20030066378A KR20050030063A KR 20050030063 A KR20050030063 A KR 20050030063A KR 1020030066378 A KR1020030066378 A KR 1020030066378A KR 20030066378 A KR20030066378 A KR 20030066378A KR 20050030063 A KR20050030063 A KR 20050030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olishing belt
guide rail
base frame
releas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722B1 (ko
Inventor
강용원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6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7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3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24B21/20Accessories for controlling or adjusting the tracking or the tension of the grinding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24B21/1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involving a contact wheel or roller pressing the belt against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비작업모드인 경우 연마밸트가 감겨져 있는 롤을 기계적으로 회전시켜 밑으로 처져 있는 연마밸트를 롤에 감음으로써 스트립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스쿠어링머신의 연마밸트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스쿠어링머신의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연마밸트의 처짐 발생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감지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연마밸트가 감겨져 있는 풀림축을 회전시켜 연마밸트를 되감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는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Device for protecting loose of belt in scouring machine}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냉연 박판을 생산하는 공정 중 코일 폴리싱 라인에 사용되는 스쿠어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쿠어링 머신의 연마밸트가 풀려서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밸트 처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공정을 거친 스트립은 그대로 출하되거나 수요자의 요구에 맞춰 표면에 적당한 연마처리를 한 후 출하되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스쿠어링머신(120)은 스트립 그라인딩용 연마캐빈(110)과 세척탱크(130) 사이에 위치하여 필요한 경우 연마를 거친 스트립(150) 표면에 적당한 표면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 스쿠어링 머신은 이와같이 스트립 표면을 미세하게 연마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구조를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50) 양쪽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스트립(150) 하부에 놓여지는 백업롤(101)과, 베이스프레임(101)에 승하강되는 승강블럭(103)에 장착되어 연마밸트(200)를 스트립(150)에 밀착시키기 위한 다운롤(102), 승강블럭(103)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실린더(104) 및, 다운롤(102)을 중심으로 베이스프레임(100) 좌,우측 상부에 설치된 코일장착부재(105)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마밸트(200)가 코일상으로 감긴 풀림축, 풀림축에서 풀려 다운롤(102)을 거친 연마밸트(200)를 감기위한 권취축과 권취축에 연결되는 구동모터(10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트립이 진행함에 따라 실린더를 신장작동하여 다운롤을 하강시키게 되면, 다운롤에 걸쳐져 있는 연마밸트가 스트립에 밀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연마밸트가 감기면서 진행하는 스트립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에 미세한 헤어(hair)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설비의 경우 스쿠어링머신의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연마밸트가 밑으로 쳐져 스트립에 헤어라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스쿠어링 머신은 헤어라인 제품 생산 시에만 사용하는 장치로써 다른 연마 모드일 때에는 사용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수직실린더가 수축작동되어 다운롤이 상승되는 경우 연마밸트가 밑으로 처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트립에 긁힌 흠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마밸트가 풀린 경우 수작업을 통해 연마밸트를 감아주게 되는 데, 이러한 작업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자가 연마밸트 감는 것을 잊는 경우 또는 감겨진 연마밸트가 다시 풀려나가는 경우에는 스트립에 연마밸트가 터치되면서 제품 결함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작업모드인 경우 연마밸트가 감겨져 있는 롤을 기계적으로 회전시켜 밑으로 처져 있는 연마밸트를 롤에 감음으로써 스트립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스쿠어링머신의 연마밸트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쿠어링 머신의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필요시 연마밸트가 감겨져 있는 밸트코일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트코일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밸트코일의 밸트 감김작업을 돕기 위한 밀착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연마밸트의 처짐 발생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감지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수단이 밸트의 처짐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이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밀착수단과 회전부가 제어작동되어 연마밸트를 밸트코일에 되감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쿠어링 머신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페이오프릴(140)로부터 풀러나오는 스트립(150)은 다수개의 연마캐빈(110)을 거친 후 본 장치가 설치된 스쿠어링머신(120)을 지나 세척탱크(130)와 린스탱크(131) 및 드라이어(132)를 거쳐 페이오프릴(141)에 권취된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처짐 방지장치가 설치된 스쿠어링 머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A 부분 상세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처짐 방지장치의 일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스쿠어링머신은 스트립(150) 양쪽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되어 스트립(150) 하부에 놓여지는 백업롤(11)과, 베이스프레임(10)에 승하강되는 승강블럭(12)에 장착되어 연마밸트(17)를 스트립(150)에 밀착시키기 위한 다운롤(13), 승강블럭(12)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실린더(14) 및, 다운롤(13)을 중심으로 베이스프레임(10) 좌,우측 상부에 설치된 코일장착부재(15)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마밸트(17)가 코일상으로 감긴 풀림축(16), 풀림축(16)에서 풀려 다운롤(13)을 거친 연마밸트(17)를 감기위한 권취축(18)과 권취축(18)에 연결되는 구동모터(19)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연마밸트(17) 처짐 방지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상에 설치되어 연마밸트(17)의 처짐 발생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감지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고 필요시 연마밸트(17)가 감겨져 있는 풀림축(16)에 연결되어 풀림축(16)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 및 상기 밸트코일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지고 밸트코일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밸트코일에 감기는 연마밸트(17)를 밸트코일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베이스프레임(10) 간에 설치되어 연마밸트(17)의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에 스트립(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과, 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럭(21), 상기 가이드레일(20) 내측선단과 상기 이동블럭(21)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이동블럭(21)를 연마밸트(17)쪽으로 밀기 위한 탄성스프링(22), 상기 이동블럭(21)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마밸트(17) 폭방향으로 놓여져 연마밸트(17) 윗면에 접하는 감지롤(23), 상기 이동블럭(21)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편(24), 상기 가이드레일(20) 일측에 설치되어 연마밸트(17)의 장력 상태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감지편(24)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연마밸트(17)의 장력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감지롤(23)이 연마밸트(17)에 의해 밀리면서 이동블럭(21)가 가이드레일(20) 내측으로 이동되고, 연마밸트(17)가 밑으로 처져 장력이 풀리게 되면 탄성스프링(22)에 의해 이동블럭(21)가 밀려나가게 되며, 이에 따라 감지센서(25)는 이동되는 감지편(24) 감지 여부에 따라 연마밸트(17)의 풀림상태를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6)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 상하단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20)에 끼워지는 안내돌기로써 이동블럭(21)의 부드러운 이동과 함께 가이드레일(20) 외측으로 이동블럭(21)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베이스프레임(10)에서 상기 연마밸트가 감긴 풀림축(16)의 연장선상으로 설치된 브라켓(30)에 설치되는 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에 연장설치된 브라켓(30) 상부에 풀림축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31)과, 이 안내레일(3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32), 상기 이동부재(32)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풀림축과 대응되는 축선상에 놓여지는 구동모터(33), 이 구동모터(33)의 회전축(35)과 상기 풀림축(16) 선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치합되는 도그클러치(34), 상기 브라켓(3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32)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레일(31)을 따라 이동부재(3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36)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구동실린더(36)가 작동되면 구동모터(33)가 설치된 이동부재(32)가 풀림축쪽으로 이동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도그클러치(34)가 풀림축의 축에 설치된 도그클러치(34)에 치합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실린더(36)와 이동부재(32)는 회동부재(38)를 매개로 연결되는 데, 이를 살펴보면, 상기 브라켓(30) 상에 지지부재(37)를 매개로 회동부재(38)의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재(38)의 상단은 상기 구동모터(33)의 회전축에 설치된 베어링블럭(39)에 고정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구동실린더(36)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실린더(36)가 신축작동되면 지지부재(37)와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부재(38)가 돌면서 베어링블럭(39)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33)의 회전축을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어 이동부재(32)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밀착수단은 풀림축에 다시 감기는 연마밸트(17)를 풀림축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에 풀림축 쪽으로 수직설치되는 수직브라켓(40)과, 이 수직브라켓(40)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바(41)와, 이 회동바(41) 외측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풀림축 길이방향으로 놓여지는 누름롤(42), 상기 수직브라켓(40)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조절바(43), 이 조절바(43)와 상기 회동바(41)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탄성스프링(44),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바(43)에 연결되어 조절바(43)를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45)를 포함한다.
이에 작동실린더(45)를 신장작동시키면 조절바(43)가 회동되면서 조절바(43)에 탄성스프링(44)을 매개로 연결된 회동바(41) 또한 밀려나가면서 회동바(41)에 설치된 누름롤(42)을 연마밸트 측면에 가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페이오프릴에서 풀려나오는 스트립(150)은 다수개의 연마캐빈을 거치면서 연마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스쿠어링머신을 거치면서 표면에 헤어라인이 형성된다.
즉, 스쿠어링 머신이 작동되면 수직실린더(14)가 신장작동되어 승강블럭(12)을 하강시켜 승강블럭(12)에 설치된 다운롤(13)을 스트립(150)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다운롤(13)에 걸쳐져 있는 연마밸트(17)가 스트립(150)에 밀착되어 진행되는 스트립(150) 표면에 헤어라인을 형성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권취축(18)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33)가 작동되어 연마밸트(17)를 권취축(18)에 연속적으로 감게된다.
이 상태에서 비 헤어라인 형성 제품 생산시에는 상기 수직실린더(14)의 수축작동에 따라 다운롤(13)이 상승되어 연마밸트(17)에 걸려 있는 장력이 해제됨으로써 연마밸트(17)가 쳐지게 되는 데, 이때 본 장치가 가동되어 쳐져 스트립(150)에 접촉되는 연마밸트(17)를 풀림축(16)에 되감고 스트립(150)으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즉, 연마밸트(17)의 장력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감지롤(23)이 연마밸트(17)에 의해 밀리면서 이동블럭(21)가 가이드레일(20)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는 이동블럭(21)에 설치된 감지편(24)이 가이드레일(20)에 설치된 감지센서(25)에 근접되면서 감지센서(25)는 감지편(24)을 감지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연마밸트(17)의 장력이 해제되면 이동블럭(21)와 가이드레일(20) 내측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탄성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블럭(21)이 가이드레일(20) 선단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21)에 설치된 감지편(24)이 가이드레일(20)에 설치된 감지센서(25)로부터 멀어지고 이를 감지한 감지센서(25)의 신호를 통해 연마밸트(17)의 장력 풀림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센서(25)의 신호를 인가받은 컨트롤러는 회전부의 구동모터(33)와 구동실린더(36) 및 밀착수단의 작동실린더(45)를 제어작동시켜 풀려져 있는 연마밸트(17)를 되감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실린더(36)가 신장작동되면 구동실린더(36)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회동부재(38)가 지지부재와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38) 상단에 베어링블럭(39)을 매개로 연결된 구동모터(33)의 회전축이 연마밸트(17) 풀림축(16)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33)는 안내레일(31)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32) 상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33)의 회전축이 당겨짐에 따라 구동모터(33)가 설치된 이동부재(32) 전체가 안내레일(3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구동실린더(36)가 완전히 신장작동되면 구동모터(33)의 회전축은 풀림축(16) 선단으로 이동되어 구동모터(33) 선단에 설치된 도그클러치(34)가 풀림축(16) 선단에 설치되어 쌍을 이루는 도그클러치(34)에 결속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33)가 회전작동되고, 구동모터(33)의 회전력은 도그클러치(34)를 통해 풀림축(16)으로 전달되어 풀림축(16)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풀려져 있던 연마밸트(17)가 풀림축(16)에 되감기게 되는 것이다.
한편,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실린더(45)가 신장작동되면 작동실린더(45)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조절바(43)가 수직브라켓(40)과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바(43)에 탄성스프링(44)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회동바(41) 또한 수직브라켓(40)과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회동바(41)에 설치된 누름롤(42)을 풀림축(16)에 감겨져 있는 연마밸트(17) 외측에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누름롤(42)이 설치된 회동바(41)는 탄성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려올가간 상태로써, 연마밸트(17)가 풀림축(16)에 되감김에 따라 발생되는 직경차이나 진동은 탄성스프링(44)에 의해 충분히 흡수되어 누름롤(42)은 지속적으로 연마밸트(17)트를 누를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연마밸트(17)를 풀림축(16)에 되감음으로써 연마밸트(17)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비 헤어라인 제품 생산시 연마밸트(17)가 스트립(150) 표면에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쿠어링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에 의하면, 비헤어라인 제품 생산시 연마밸트에 의해 제품에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스쿠어링 머신이 라인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처짐 방지장치가 설치된 스쿠어링 머신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A 부분 상세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트 처짐 방지장치의 일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쿠어링 머신으로 밸트가 처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가이드레일 21 : 이동블럭
22,44 : 탄성스프링 23 : 감지롤
24 : 감지편 25 : 감지센서
31 : 안내레일 32 : 이동부재
33 : 구동모터 34 : 도그클러치
35 : 회전축 36 : 구동실린더
41 : 회동바 42 : 누름롤
43 : 조절바 45 : 작동실린더

Claims (4)

  1. 스쿠어링머신의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연마밸트의 처짐 발생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감지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연마밸트가 감겨져 있는 풀림축을 회전시켜 연마밸트를 되감기 위한 회전부
    를 포함하는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스트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럭, 상기 가이드레일 내측선단과 상기 이동블럭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이동블럭를 연마밸트쪽으로 밀기 위한 탄성스프링, 상기 이동블럭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마밸트 폭방향으로 놓여져 연마밸트 윗면에 접하는 감지롤, 상기 이동블럭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편, 상기 가이드레일 일측에 설치되어 연마밸트의 장력 상태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감지편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장설치된 브라켓 상부에 풀림축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풀림축과 대응되는 축선상에 놓여지는 구동모터, 이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풀림축 선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치합되는 도그클러치, 상기 브라켓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풀림축 쪽으로 수직설치되는 수직브라켓과, 이 수직브라켓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바와, 이 회동바 외측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풀림축 길이방향으로 놓여지는 누름롤, 상기 수직브라켓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조절바, 이 조절바와 상기 회동바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바에 연결되어 조절바를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연마밸트를 풀림축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KR1020030066378A 2003-09-24 2003-09-24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KR10099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378A KR100990722B1 (ko) 2003-09-24 2003-09-24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378A KR100990722B1 (ko) 2003-09-24 2003-09-24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063A true KR20050030063A (ko) 2005-03-29
KR100990722B1 KR100990722B1 (ko) 2010-10-29

Family

ID=3738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378A KR100990722B1 (ko) 2003-09-24 2003-09-24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8031A (zh) * 2014-12-16 2015-05-13 谭新锋 一种抛光机抛光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722B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04216A5 (ko)
KR100990722B1 (ko) 스쿠어링 머신의 밸트 처짐 방지장치
CN211998063U (zh) 自动卷筒复卷机的纠边张紧机构
KR20010064200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브레이크롤 이물질 제거장치
CN211545407U (zh) 一种自动卷收纸带装置
CN109928243B (zh) 一种拉布机的进布结构
JPH06238333A (ja) コイル巻取り巻戻し機における通板ガイド装置
KR20020040148A (ko) 코일내경부 처짐방지장치
CN212668710U (zh) 一种复合机收卷装置
KR100475535B1 (ko) 코일형 냉연제품의 엔드마크 방지용 페이퍼심블자동취부장치
CN212316390U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铺网机
JPH0515478Y2 (ko)
CN214733042U (zh) 一种便携式自动收卷取样装置
CN219906277U (zh) 一种牛津布用收卷装置
CN219195288U (zh) 一种编织袋圆织机的布卷调节装置
KR20030022982A (ko) 권취기의 강판 유도장치
CN219986803U (zh) 钢带修边设备
CN212831761U (zh) 一种轮胎钢丝圈包布撕布自动卷起装置
KR100864440B1 (ko) 간지두루마리의 감속 정지장치
KR100487775B1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빌리롤 조정장치
CN113816195B (zh) 一种全自动铝箔倒箔系统
CN220431752U (zh) 一种取料方便的干燥剂袋收卷设备
JPS646976Y2 (ko)
CN218809346U (zh) 一种防静电型面料的卷收机构
CN218144912U (zh) 一种高弹性复合无纺布卷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