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556A -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556A
KR20050029556A KR1020030065882A KR20030065882A KR20050029556A KR 20050029556 A KR20050029556 A KR 20050029556A KR 1020030065882 A KR1020030065882 A KR 1020030065882A KR 20030065882 A KR20030065882 A KR 20030065882A KR 20050029556 A KR20050029556 A KR 20050029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extract
ginseng
reduced pressure
under re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근
한창균
김주현
정칠만
윤세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556A/ko
Publication of KR2005002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5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효과,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효과, 엘라스틴(Elastin) 합성촉진효과, 피부 면역증강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항산화 효과, 광노화 억제효과, 피부 상처치유효과, 피부 보습효과 등의 복합적인 주름예방 및 개선효과가 탁월한 인삼경엽, 미삼 단독 또는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Herbal extracts having anti-wrinkle effect and their preparation methods}
본 발명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효과,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효과, 엘라스틴(Elastin) 합성촉진효과, 피부 면역증강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항산화 효과, 광노화 억제효과, 피부 상처치유효과, 피부 보습효과 등의 복합적인 주름예방 및 개선효과가 탁월한 인삼경엽, 미삼 단독 또는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주름예방 및 개선 화장료는 비타민 A(레티놀) 또는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함유하는 제품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원료를 함유한 제품은 경시변화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유효농도 이상으로 피부에 침투되거나 분해될 경우, 상당한 피부 자극이 수반된다. 따라서, 우수한 주름개선 효과 및 약물의 안정성, 피부안전성을 만족하는 새로운 원료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인삼(Panax Ginseng)은 한의학뿐만 아니라 민간요법으로 널리 알려져 사용되어온 오가피(Araliaceae)과의 인삼(Panax)속의 한방약제로, 그 상태에 따라 수삼, 백삼 및 홍삼으로 분류된다. 수삼은 수확 후 건조되지 않은 인삼의 뿌리이며, 백삼은 수삼의 잔뿌리를 제거하고 껍질을 벗겨낸 다음, 햇볕에 말린 인삼의 뿌리이다. 홍삼은 인삼의 뿌리를 쪄서 말리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인삼의 사포닌은 부신에서 카테콜아민(Cartecholamine)의 분비를 촉진하고 지질의 과산화 과정을 저해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지니며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알킬화제에 의한 염색체이상 및 미세핵 방어효과, 배양세포에서 돌연변이 감소 및 세포변형 감소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세계보건기구 보고에 의하면 이렇듯 인삼의 주요 유효성분은 사포닌 진세노사이드류로 수삼, 백삼 및 홍삼에 공통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약효성분은 Ro, Ra1, Ra2, Ra3, Rb1, Rb2, Rb3, Rc, Rd, Re, Rf, Rg1, Rg2, Rg3, Rh1, 20glc-Rf, Q-R1 및 N-R1 등 18종이 알려져 있으며, 수삼과 백삼에만 함유되어 있는 약효성분으로는 말로닐(Malonyl)-Rb1, Malonyl-Rb2, Malonyl-Rc및 Malonyl-Rd 등 4종이 있고, 홍삼에만 함유되어 있는 약효성분은 Rs1, Rs2, Rg3(S), Rh2, N-R4, Rg2(R), Rh1(R) 및 Rh4의 8종이 공지되어 있다.
인삼 사포닌은 사포닌 아글리콘(Aglycon)의 구조에 따라서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Panaxadiol-type Ginsenosides : Ra1, Ra2, Ra3, Rb1, Rb2, Rb3, Rc, Rd, Rg3),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Panaxatriol-type Ginsenosides : Re, Rf, Rgl, Rg2), 올레아노르산류 진세노사이드(Oleanolic acid-type Ginsenosides) 등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인삼뿌리에서의 파낙사디올계 사포닌 함량은 48 ∼ 60%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파낙사트리올계 사포닌이 30 ∼ 35%를 차지하고 있고 올레아놀린산류 사포닌은 미량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삼(본 뿌리)을 함유(원가 상승)하지 않고 가공과정에서 버려지는 인삼경엽 및 미삼(인삼의 잔뿌리)을 출발물질로 본 발명의 추출, 정제과정을 거쳐, 특정성분(Ginsenoside Rg3)의 순도를 향상시킨 생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복합적인 주름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예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또한, 종래에는 독특한 약효성분을 함유한 인삼 엑기스를 제조하려면 고가인 홍삼을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수삼 또는 백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특정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추출방법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삼경엽 및 미삼 단독, 혹은 이들의 혼합을 출발물질로 하여 생약추출, 여과, 조추출물 분획, 칼럼정제분리, 조사포닌 분획, 용매 이행성 향상, 파낙사디올계 진제노사이드 분획, 감압농축 분말화, 가수분해, 미세결정침전 및 여과, 감압건조하여 진세노사이드 Rg3(순도 45 ∼ 55%)을 함유하는 인삼경엽 및 미삼 추출 분말 엑기스를 만들고, 이들 엑기스를 기준으로 in vitroin vivo 실험을 통해 피부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인삼경엽 및 미삼 단독 혹은 이들의 혼합생약 추출 분말 엑기스를 피부 도포시 그 자체뿐만 아니라 이를 화장품 기재에 배합하여 사용하였을 때도 피부홍반 및 부종형성 등의 부작용이 없이, 미량의 농도에서도 복합적인 피부 주름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자극성이며 피부 주름개선에 탁월한 인삼경엽, 미삼 단독 또는 이의 혼합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자극성이며 피부 주름개선에 탁월한 인삼경엽, 미삼 단독 또는 이의 혼합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효과,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효과, 엘라스틴(Elastin) 합성촉진효과, 피부 면역증강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항산화 효과, 광노화 억제효과, 피부 상처치유효과, 피부 보습효과 등의 복합적인 주름예방 및 개선효과가 탁월한 인삼경엽, 미삼 단독 또는 이의 혼합 추출물, 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인삼경엽 및 미삼 유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인삼경엽, 미삼 각각 또는 이의 혼합 생약을 생약 중량의 10 ∼ 20배의 30% 메탄올 수용액으로 60 ∼ 80 ℃에서 환류 추출,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2) 상기 농축액을 동량의 헥산으로 처리하여 지방층 분획을 제거하고 여기에 동량의 부탄올을 넣어 부탄올층만을 분리하여 감압농축하는 단계;
3) 상기 부탄올층 고형분을 물에 녹여 역상칼럼에 흡착시키고 물 및 30% 메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메탄올로 칼럼에 흡착된 성분을 용출시켜 조사포닌 분획물을 얻는 단계;
4) 상기 조사포닌 분획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프로판올의 혼합용액에 녹여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류를 수득한 후, 감압농축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5) 상기 진세노사이드류 분말을 염산용액에 녹인 후 수욕상에서 60 ∼ 80 ℃로 중탕하고 냉각하여 미세결정형 침전물을 얻는 단계; 및
6)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분말 엑기스를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인삼경엽, 미삼 또는 이들을 혼합한 후 상기 생약 중량의 10 ∼ 20배의 30% 메탄올 수용액으로 60 ∼ 80 ℃, 4 ∼ 5시간 환류 추출, 여과하여 여액을 모으고, 남은 잔사에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2회 반복 추출한 여액과 합하여 감압농축한다. 여기서 물의 양이 너무 적으면 교반이 어려워 추출물의 용해도가 낮아져 추출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농축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 농축액을 동량의 헥산으로 처리하여 지방층 분획을 제거하고 여기에 동량의 부탄올을 넣어 부탄올층만을 분리하여 감압농축한다.
상기 부탄올층 고형분중 조사포닌 분획물을 얻기 위하여 30 ∼ 50 mg/㎖가 되게 물에 녹여 역상칼럼에 통과시켜 흡착시키고 물 및 30% 메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고, 메탄올로 칼럼에 흡착된 성분을 용출시켜 분획물을 얻는다.
상기 조사포닌 분획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프로판올의 혼합용액에 녹여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류를 수득한 후, 감압농축하여 분말화하는데, 이때 에틸아세테이트와 프로판올의 혼합비는 5 : 1의 중량비가 바람직하며, 이의 혼합비를 벗어날 경우에는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류 분말을 0.5 ∼ 1.5% 염산용액에 10 ∼ 22%가 되도록 녹인 후 수욕상에서 60 ∼ 80 ℃로 30 ∼ 40 분간 중탕하여, 가수분해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미세결정형 침전물을 얻는다.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분말 엑기스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진세노사이드 Rg3은 상기 분말 엑기스 총량에 대하여 45 ∼ 55중량% 함유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분말 엑기스는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효과,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효과, 엘라스틴(Elastin) 합성촉진효과, 피부 면역증강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항산화 효과, 광노화 억제효과, 피부 상처치유효과, 피부 보습효과 등의 복합적인 주름 예방 및 개선효과가 탁월하여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추출물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효과,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효과, 엘라스틴(Elastin) 합성촉진효과, 피부 면역증강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항산화 효과, 광노화 억제효과, 피부 상처치유효과, 피부 보습효과를 동시에 만족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천연추출물인 관계로 다른 합성 단일원료에 비해 부작용의 염려가 적으며, 실제로 상기 추출물에 대한 피부독성시험 결과, 생체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겔, 팩, 비누, 에센스시트, 하이드로겔 패치 또는 마스크 등의 제형으로 가능하며, 상기 복합생약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에 대하여 0.000001 ∼ 20.0 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삼경엽 500 g 및 미삼 500 g을 각각 수세, 건조 후 30% 메탄올 수용액 10 ℓ를 넣고 70 ℃로 승온시켜 5시간 환류 추출, 여과하여 여액을 모으고, 다시 잔사에 10배량의 30% 메탄올 수용액을 넣어 동일 온도, 동일시간으로 2회 반복 추출한 여액과 1차 여액을 합한 혼합액을 잔류용매 제거 및 물 농축액을 만들기 위해 약 5ℓ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였다.
이 농축액을 냉각 후 여과하고 여액에 동량의 n-헥산으로 2회 처리하여 지방층 분획을 제거하고, 여기에 동량의 n-부탄올을 넣어 교반 후 정치하여, 수포화 부탄올층만 분리하여 감압농축하였다.
이 부탄올층 고형분을 40 mg/㎖가 되게 증류수에 녹인 후, 역상 Sep-Pak에 통과시켜 칼럼에 흡착시키고 증류수 및 30% 메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 최종적으로 메탄올로 칼럼에 흡착된 성분을 용출시켜 조사포닌 분획물을 얻었다.
조사포닌 분획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n-프로판올(5 : 1)의 혼합용액에 용해시켜 용해되는 부분만을 취하여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류(Panaxadiol-type ginsenosides)를 수득한 후, 감압농축하여 분말화하였다.
진세노사이드류 분말을 1.0% 염산용액에 20%가 되게 녹인 후, 수욕상에서 70 ℃로 35분간 중탕하여 가수분해시키고 냉각하여 미세결정형 침전물(Rg3를 제외한 대부분의 진세노사이드류 제거)을 얻었다.
상기 미세결정형 침전물을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인삼경엽및 미삼 혼합(1 : 1) 추출 건조 분말 엑기스 1.92 g(생약기준 최종수율 0.1 ∼ 0.25%)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미삼 1000 g을 수세, 건조 후 30% 메탄올 수용액 10 ℓ를 넣고 70 ℃ 승온시켜 5시간 환류 추출, 여과하여 여액을 모으고, 다시 잔사에 10배량의 30% 메탄올 수용액을 넣어 동일 온도, 동일 시간으로 2회 반복 추출한 여액과 1차 여액을 합한 혼합액을 잔류용매 제거 및 물 농축액을 만들기 위해 약 5 ℓ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였다.
나머지 분획, 분리, 정제과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최종적으로 미삼 추출 건조 분말 엑기스 2.43 g(생약기준 최종수율 0.1 ∼ 0.3%)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인삼경엽 1000 g을 수세, 건조 후 30% 메탄올 수용액 10 ℓ를 넣고 70 ℃로 승온시켜 5시간 환류 추출, 여과하여 여액을 모으고, 다시 잔사에 10배량의 30% 메탄올 수용액을 넣어 동일 온도, 동일 시간으로 2회 반복 추출한 여액과 1차 여액을 합한 혼합액을 잔류용매 제거 및 물 농축액을 만들기 위해 약 5 ℓ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였다.
나머지 분획, 분리, 정제과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최종적으로 인삼경엽 추출 분말 1.02 g(생약기준 최종수율 0.05 ∼ 0.15%)을 수득하였다.
참고예 1: 독성시험
가) 정맥내 투여 및 경구투여에 의한 단회투여 독성시험
5주령의 위스타계 수컷 랫트를 이용하여 정맥내 투여 및 경구 투여에 의한 단회 투여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추출 분말 엑기스를 50 mg/kg, 100 mg/kg의 용량으로 정맥내 투여 및 200 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후 14일 동안 관찰한 결과, 폐사되는 동물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기타 해부학적 소견에 있어서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아무런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 분말 엑기스는 매우 안전한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나) 경구투여에 의한 3개월 반복투여 독성시험
생후 5주 경과한 Sprague Dawley 계 수컷 랫트를 이용하여 경구투여에 의한 3개월 반복투여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100 mg/kg의 용량으로 3개월간 연일 경구 투여하여 매일 일반 상태를 관찰하고, 7일 간격으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투여기간 종료시에 뇨의 정성적, 정량적 검사, 혈액학적 검사, 부검 및 장기중량 측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관찰 항목 및 검사항목에 대해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 분말 엑기스는 투여의 영향은 전혀 나타나지 않아 매우 안전성이 높은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참고예 2: 피부 안전성 시험
가)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뉴질랜드산 백색종 토끼를 이용하여 피부 1차 자극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토끼의 등부분 정중선 좌우를 각각 약 3 ×10 cm의 정방향으로 제모하고 각각을 전후로 구분하여 4개소의 시험부위를 설정하였다. 좌우 대각의 2부위에 18 Gauge 주사바늘로 출혈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자 모양의 틀을 만들고 나머지 2부위는 건상부위로 두었다. 상기 실시예 1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부틸렌글리콜에 녹여 20% 용액을 조제하고, 이 용액 0.5 ㎖를 2.5 ×2.5 cm Lint 2매에 스며들게 한 다음, 우측 2부위에 폐색 부착하고, 좌측 2 부위에는 부틸렌글리콜만을 2.5 ×2.5 cm의 Lint 2매에 스며들게 한 다음 좌측 2부위에 폐색 부착하고 24, 48 및 72시간 피부의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실시예 1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도포한 건상부위 및 손상부위 모두 발적및 부종 등의 피부 이상반응은 일어나지 않았다.
나) 연속 피부 자극성 시험
체중 약 350 g의 Hartley계 기니피그(Guinea pig)를 이용하여 연속피부 자극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부틸렌글리콜에 녹여 5% 용액을 만들고 0.1 ㎖를 동물의 좌측 복부에 1일 1회, 4주간 연속(주 6회)개방 도포하였다. 도포부위의 발적 및 부종 등의 피부반응 유무를 매일 관찰하고, 2%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용액을 동일하게 도포한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를 근거로 실시예 1의 추출 분말 엑기스의 피부 자극성을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실시예 1의 추출 분말 엑기스의 반복 도포에 의한 피부 자극성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 인체패쇄 첩포시험(Human patch test)
일본 첩포시험 연구회의 기준에 따라, 폐쇄 첩포시험은 건강한 성인 남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시료를 등부위에 48시간 폐쇄첩포한 다음 제거 2시간 후와 익일(72시간 후) 2회 판정하였다. 또한, 광 자극반응 판정법으로 광첩포 시험은 시료를 등부위에 24시간 부착하고 제거 2시간 후에 DERMARAY UV-A등(BLB 10등)을 20 cm 거리에서 7분간 조사하였다. 두드러기 반응 판정을 위해 시료를 등부위에 2시간 부착하고 제거 10분 후에 판정하였다.
시험결과,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 분말 엑기스의 반복 도포에 의한 피부 자극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시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인삼경엽 및 미삼추출 유래,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한 실시예의 추출 분말 엑기스는 피부 도포시 안전성이 매우 높은 물질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에 5000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D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에서 24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배양배지로 1/10씩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첨가한 후 37 ℃에서 3일간 배양한 후, 0.2% MTT(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용액을 각 웰당 30 ㎕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당 100 ㎕의 DMSO(Dimethyl sulfoxide)용액을 가하여 10분 동안 진탕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상층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함유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광도를 비교한 후, 측정값을 다음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섬유아세포 증식효과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엑기스의 농도(%) 세포증식효과(%)
실시예 1의 분말 엑기스 1 ×10-6 13
1 ×10-5 21
1 ×10-4 48
1 ×10-3 69
1 ×10-2 92
1 ×10-1 98
실시예 2의 분말 엑기스 1 ×10-6 11
1 ×10-5 18
1 ×10-4 41
1 ×10-3 65
1 ×10-2 88
1 ×10-1 94
실시예 3의 분말 엑기스 1 ×10-6 9
1 ×10-5 17
1 ×10-4 38
1 ×10-3 54
1 ×10-2 72
1 ×10-1 83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미처리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처리한 시료군의 섬유아세포 증식율은 최고 98% 정도로 독성이 없으면서 향상된 섬유아세포 증식효능을 나타냈다.
실험예 2: 콜라겐(Collagen) 생합성 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세포배양용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5%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37 ℃, 5% CO2 가스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1회 세척하였다. 배양된 섬유아세포와 1% FBS를 함유하는 배지에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추출 분말 엑기스 시료를 1, 5, 10 μM이 되도록 처리한 후 L[2,3,4,5-H]플로린 5 μCi, 아스콜빈산 30 ㎍/㎖를 첨가하고 37 ℃, 5% CO2 가스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상기 세포 및 배양액을 각각 1/2로 나누어 한쪽 분획에만 타입1 콜라게나제(Type 1 Collagenase)를 처리한 후 5% TCA(Trichloroacetic acid) 용액에 넣어 단백질을 침전시켜 두 분획의 방사활성의 차이로부터 생성된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 대한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으로 환산하여 증가율을 표시하며, 또한 실시예의 추출물 대신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 A(레티놀)를 사용하여 동일 방법으로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료농도(μM) 콜라겐 합성 증가율(%)
시료미처리 - -
실시예 1의 분말 엑기스 1.0 52
5.0 78
10.0 96
실시예 2의 분말 엑기스 1.0 32
5.0 69
10.0 88
실시예 3의 분말 엑기스 1.0 36
5.0 65
10.0 84
비타민 A 1.0 28
5.0 54
10.0 7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함유한 시료 처리군이 비타민 A 시료군에 비하여 섬유아세포는 최고 96% 정도 향상된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엘라스틴(Elastin) 합성 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시료를 1 ∼ 10 μM로 처리하여 2일간 배양하고 섬유아세포가 새롭게 합성 분비한 엘라스틴의 양을 엘라스틴 키트(Fastin elastin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엘라스틴 양을 세포수 또는 단백질량으로 보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료농도(μM) 엘라스틴 합성 증가율(%)
시료미처리 - -
실시예 1의 분말 엑기스 1.0 58
5.0 79
10.0 91
실시예 2의 분말 엑기스 1.0 36
5.0 61
10.0 72
실시예 3의 분말 엑기스 1.0 24
5.0 55
10.0 63
비타민 A 1.0 27
5.0 48
10.0 6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실시예 3처럼 인삼경엽 및 미삼을 단독 추출한 경우 보다 실시예 1처럼 생약을 혼합 추출한 경우에 엘라스틴 합성증가율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 이는 인삼경엽과 미삼 추출 분말 엑기스 각각에만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류 및 기타 유효성분이 혼합추출 정제 과정에서 합쳐져 상승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4: 피부면역 증강효과
8주령의 화이트 마우스를 대상으로 복부를 면도한 다음 Sun Lamp를 이용하여 자외선(UVB)파장을 2.5 KJ/m2로 조사하면 접촉성 과민반응(Contact hypersensitivity)으로 인해 면역억제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 1 ∼ 3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70% 에탄올에 용해시켜 UV 조사 후 도포하고 3일이 경과한 후 UV 조사한 부위에 3% 트리니트로클로로벤젠(Trinitrochlorobenzene)으로 감작시켰다. 5일 후 1%의 트리니트로클로로 벤젠을 화이트 마우스의 복부에 도포하고 부종상태를 측정하였다. 피부 면역효과는 다음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UVB 조사(KJ/m2) 적용농도(㎍/㎖) 귀부종 두께(×0.01 mm) 피부면역효과(%)
시료미처리 - - 30.6 -
시료미처리 2.5 - 14.6 2.4
실시예 1의 분말 엑기스 2.5 10 28.8 89.0
50 33.9 120.1
100 41.7 167.6
실시예 2의 분말 엑기스 2.5 10 23.8 58.5
50 30.2 97.6
100 35.3 128.6
실시예 3의 분말 엑기스 2.5 10 22.6 51.2
50 29.1 90.9
100 34.7 125.0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실시예 3처럼 인삼경엽 및 미삼을 단독 추출한 경우 보다 실시예 1처럼 생약을 혼합 추출한 경우에 엘라스틴 합성증가율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 이는 인삼경엽과 미삼 추출 분말 엑기스 각각에만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류 및 기타 유효성분이 혼합추출 정제 과정에서 합쳐져 상승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5: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상기 실시예 1 ∼ 3의 추출 분말 엑기스와 비타민 C, 알파-루틴(α-Rutin) 및 BHT(부틸화 하이드록시 톨루엔)를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프리라디탈 소거작용을 실험하였다.
메탄올에 용해된 0.1 mM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시그마] 용액 1 ㎖를 시험관에 넣고 각 시험시료 10 ㎍에 에탄올을 넣어 1 ㎖를 만들고 37 ℃ 항온수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때, 음성대조군에는 시험물질이 들어가지 않은 에탄올 1 ㎖를 가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광전분광분석계(Spectrophotometery)로 파장 51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시료의 프리라디칼 소거율을 다음 수학식 3으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프리라디칼 소거율(%)
비타민 C 91.7
알파-루틴 70.8
BHT 72.4
실시예 1 86.9
실시예 2 74.5
실시예 3 76.1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3의 분말 엑기스의 프리라디칼 소거율이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 보다는 미약하지만 알파-루틴, BHT 보다는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항산화 효과
상기 실시예 1 ∼ 3의 추출 분말 엑기스 시료에 대하여 생체효소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에 의해 유발되는 지질과산화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고 양성대조군으로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비타민 C, 알파-루틴, BHT가 사용되었다.
50 mM의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 6.8) 12 ㎖를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50 mM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용액에 용해된 0.1%(v/v) 시료용액 0.1 ㎖와 6.6 mM 아라키돈산[시그마] 0.1 ㎖를 첨가하였다. 각 시험관에 50 mM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용액에 용해된 리폭시게나제[시그마] 효소 0.1 ㎖를 넣고 25 ℃ 항온조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각 반응용액에 첨가된 시료의 최종농도는 50 ㎍/㎖임). 이때 음성대조군에는 시료용액 대신 50 mM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용액 0.1 ㎖를 가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20%(v/v)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용액 1 ㎖와 0.67%(v/v) 티오바비투르산(Thiobarbituric acid)용액 2 ㎖를 가하고 끓는 물에서 10분간 중탕하고 중탕이 끝나면 상온까지 식혀 원심분리(1800 rpm, 3분)하고 상층액만을 취하여 광전분광분석계로 파장 5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항산화 효과(지질 과산화 저해율)를 다음 수학식 4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지질과산화 저해율(%)
비타민 C 65.7
알파-루틴 71.2
BHT 66.8
실시예 1 81.0
실시예 2 66.3
실시예 3 69.1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분말 엑기스는 양성대조군인 알파-루틴을 제외하고는 BHT, 비타민 C보다 지질과산화 억제율이 높고, 실시예 1의 분말 엑기스는 양성대조군 보다 지질과산화 억제력이 높아 우수한 피부노화 방지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처방예 1 ∼ 3: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의 처방예 1 ∼ 3은 다음 표 7과 같다.
번호 원료명 처방예 1 처방예 2 처방예 3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2 1,3-부틸렌글리콜 4.0 4.0 4.0
3 디소듐 이디티에이 0.1 0.1 0.1
4 피이지-피피지 18/4 코폴리머 1.0 1.0 1.0
5 디-판테놀 0.1 0.1 0.1
6 메틸파라벤 0.2 0.2 0.2
7 에탄올 8.0 8.0 8.0
8 적량 적량 적량
9 피피지-26-부테스-26/피이지-40 경화피마자유 0.5 0.5 0.5
10 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11 실시예 1의 분말 엑기스 0.01 - -
12 실시예 2의 분말 엑기스 - 0.01 -
13 실시예 3의 분말 엑기스 - - 0.01
<제조방법>
1) 번호 2, 3, 4의 원료를 칭량한 후 번호 1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2) 번호 5, 6, 7, 8, 9의 원료를 칭량한 후 교반용해하고 상기 1)에 첨가하였다.
3) 번호 10과 실시예에서 얻은 분말 엑기스를 첨가하여 용해한 후 상기 1)에 넣고 적절하게 교반하고 여과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4 ∼ 6: 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로션의 처방예 4 ∼ 6은 다음 표 8과 같다.
번호 원료명 처방예 4 처방예 5 처방예 6
1 쉐버터 0.5 0.5 0.5
2 세틸알코올 2.0 2.0 2.0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1.0 1.0
4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1.0 1.0 1.0
5 피이지-2 올리에이트 0.5 0.5 0.5
6 폴리소르베이트 60 1.5 1.5 1.5
7 마카다미아 오일 2.0 2.0 2.0
8 스쿠알란 5.0 5.0 5.0
9 디메치콘 0.3 0.3 0.3
10 사이크로메치콘 2.0 2.0 2.0
11 프로필파라벤 0.1 0.1 0.1
12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1.0 1.0 1.0
1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4 디-판테놀 0.05 0.05 0.05
15 메틸파라벤 0.2 0.2 0.2
16 디소듐 이디티에이 0.05 0.05 0.05
17 1,3-부틸렌글리콜 8.0 8.0 8.0
18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19 산탄검 0.05 0.05 0.05
20 카보머 0.1 0.1 0.1
21 적량 적량 적량
22 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23 실시예 1의 분말 엑기스 0.01 - -
24 실시예 2의 분말 엑기스 - 0.01 -
25 실시예 3의 분말 엑기스 - - 0.01
<제조방법>
1) 번호 1 ∼ 12의 원료를 칭량하여 유상가온탱크에 넣고 75 ℃에서 교반 용해하였다.
2) 번호 13 ∼ 18의 원료를 칭량하여 수상탱크에 넣고 75 ℃에서 교반 용해하였다.
3) 상기 2)를 진공감압 하에 유화탱크로 이송하고 이어서 상기 1)을 이송하여 3500 RPM으로 5분간 유화하였다.
4) 번호 19 ∼ 20의 원료를 칭량하여 1% 솔루션 용액으로 만든 후 진공감압 하에 유화탱크에 주입하여 2500 RPM으로 균질 혼합하고, 진공, 탈포하면서 페달믹서를 25 RPM으로 교반, 55 ℃로 냉각하였다.
5) 실시예의 원료를 칭량하여 실온에서 에탄올에 용해하고 이어서 향을 칭량하여 각각 유화탱크에 넣고 균질분산, 냉각한 후 30 ℃에서 작업 종료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처방예 7 ∼ 9 및 비교처방예 1: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의 처방예 7 ∼ 9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처방예 1은 다음 표 9와 같다.
번호 원료명 처방예 7 처방예 8 처방예 9 비교처방예 1
1 망고버터 1.0 1.0 1.0 1.0
2 세틸알코올 2.0 2.0 2.0 2.0
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4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1.0 1.0 1.0 1.0
5 스테아릴알코올/스테아릴글루코사이드 1.0 1.0 1.0 1.0
6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레시틴/C12-16 알코올/팔마틴산 1.5 1.5 1.5 1.5
7 마카다미아 오일 2.0 2.0 2.0 2.0
8 스쿠알란 6.0 6.0 6.0 6.0
9 디메치콘 0.3 0.3 0.3 0.3
10 사이크로메치콘 2.0 2.0 2.0 2.0
11 프로필파라벤 0.1 0.1 0.1 0.1
12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1.0 1.0 1.0 1.0
1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4 디-판테놀 0.05 0.05 0.05 0.05
15 메틸파라벤 0.2 0.2 0.2 0.2
16 디소듐 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17 1,3-부틸렌글리콜 8.0 8.0 8.0 8.0
18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0.1
19 메틸셀룰로오스 0.05 0.05 0.05 0.05
20 카보머 0.1 0.1 0.1 0.1
21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2 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적량
23 실시예 1 분말 엑기스 0.01 - - -
24 실시예 2 분말 엑기스 - 0.01 - -
25 실시예 3 분말 엑기스 - - 0.01 -
<제조방법>
1) 번호 1 ∼ 12의 원료를 칭량하여 유상가온탱크에 넣고 75 ℃에서 교반 용해하였다.
2) 번호 13 ∼ 18의 원료를 칭량하여 수상탱크에 넣고 75 ℃에서 교반 용해하였다.
3) 상기 2)를 진공감압 하에 유화탱크로 이송하고, 이어서 상기 1)을 이송하여 3500 RPM으로 5분간 유화하였다.
4) 번호 19 ∼ 20의 원료를 칭량하여 1% 솔루션 용액으로 만든 후, 진공, 감압하에 유화탱크에 주입하여 2500 RPM으로 균질 혼합하고, 진공, 탈포하면서 페달믹서를 25 RPM으로 교반, 55 ℃로 냉각하였다.
5) 실시예의 원료를 칭량하여 실온에서 에탄올로 용해하고 이어서 향을 칭량하여 각각 유화탱크에 넣고 균질분산, 냉각한 후 30 ℃에서 작업 종료하여 크림을 만든다.
처방예 10 ∼ 12 :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하이드로겔 패치의 처방예 10 ∼ 12는 다음 표 10과 같다.
번호 원료명 처방예 10 처방예 11 처방예 12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2 글리세린 15.0 15.0 15.0
3 알긴산나트륨 0.5 0.5 0.5
4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마이드 코폴리머 1.5 1.5 1.5
5 콘스타치 0.5 0.5 0.5
6 폴리아크릴산 2.0 2.0 2.0
7 에탄올 1.0 1.0 1.0
8 디-판테놀 0.1 0.1 0.1
9 메틸파라벤 0.2 0.2 0.2
10 디소듐 이디티에이 0.05 0.05 0.05
11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0.1 0.1 0.1
12 타르타르산 0.2 0.2 0.2
13 솔비탄올리에이트 0.2 0.2 0.2
14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15 적량 적량 적량
16 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17 실시예 1 분말 엑기스 0.01 - -
18 실시예 2 분말 엑기스 - 0.01 -
19 실시예 3 분말 엑기스 - - 0.01
<제조방법>
1) 번호 1 ∼ 6의 원료를 칭량하여 용해탱크에 넣고 실온에서 균질, 교반하여 점성액을 만들고, 번호 7 ∼ 9의 원료를 실온에서 별도로 용해하여 용해탱크에 주입한 후 균질, 교반하였다.
2) 번호 10 ∼ 14의 원료를 60 ℃로 가온, 용해한 후 여기에 15 ∼ 16의 원료 혼합하여 용해탱크에 소량씩 주입하여 겔을 만들었다.
3) 상기 처방으로 구성된 하이드로겔을 어플리케이터 갭을 가진 피복기계를 사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실리콘화된 폴리에스테르 이형 필름 상에 가로 1m ×세로 1m 면적에 700 g/m2으로 균질 피복하여 비공극성 폴리에틸렌 부직포로 적층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층의 적층체 크기를 눈밑 및 얼굴전체에 부착할 수 있는 모양으로 이중 절단하여 종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알루미늄 등 3겹으로 구성된 파우치 적층필름에 넣어 포장하였다.
실험예 7: 무모생쥐의 광노화 억제효과
상기 실시예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0.01% 함유한 처방예 7, 8, 9의 크림에 대하여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주름에 대한 개선효과를 시험하였다.
약 8주령된 무모생쥐(Hairless mouse) 40마리를 10마리씩 4개군으로 나눈 다음, 자외선 등(FS-20 Sun Lamp)을 이용하여 30 mJ/cm2의 광량으로 일주일에 3회씩 8주간 UVB를 조사하였다. 조사 2시간 전, 3개의 실험군에 처방예 7, 처방예 8, 처방예 9의 크림을 및 다른 1개의 실험군에는 음성대조군으로 비교처방예 1(기제크림)을 도포하였다.
주름발생의 정도는 최종 UVB 조사가 끝나고 1주일 후 판정하였다. 주름 개선 정도의 판정기준은 기제크림만을 도포한 음성대조군과 처방예 7, 8, 9의 크림시료 도포군의 부위를 육안과 사진판독을 통해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개선, 중간개선, 매우개선의 4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1에 나타내었다.
UVB조사 후의 광노화(주름발생) 억제효과(단위 : 마리)
구분 개선없음 약간개선 중간개선 매우개선
비교처방예 1 9 1 0 0
처방예 7 0 4 3 3
처방예 8 1 3 4 2
처방예 9 3 4 2 1
상기 표 11에서 알 수 있듯이, 처방예 7 ∼ 9의 크림은 무모생쥐에서 UVB에 의한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방어 또는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질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경우, 자외선에 의한 광주름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감소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8: 랫트를 이용한 피부 상처치유 효과
8주령의 위스타계 수컷 랫트를 이용하여 동물의 등을 제모하고 흡입 마취하에서 메스로 등부위를 절개하고 다시 봉합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각각 0.01% 함유한 처방예 7, 8, 9의 크림과 0.1% 센탈라아시아티카를 함유한 크림, 비교처방예 1의 크림을 매일 1회 절개부위에 0.5 g씩 6일간 도포하였다. 6일 후 실험에 이용한 랫트를 흡입마취 하에 안락사시키고, 상처부위의 피부를 적출하여 절창선에서 폭 1 cm의 피부편을 개체당 3개의 표본씩 만들고 레오메타로 파열장력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측정된 장력강도(g/cm)를 비교처방예 1의 크림만을 도포한 대조군의 장력강도를 기준으로 상대평가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2에 나타냈다.
구분 장력강도(g/cm) 증가율(%)
비교처방예 1 520 -
0.1% 센탈라아시아티카 함유 크림 648 24.6
처방예 7 691 32.9
처방예 8 678 30.4
처방예 9 674 29.6
상기 표 1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함유한 크림이 센탈라아시아티카를 함유한 양성대조군 크림보다 상처치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9: 피부 보습(수분보유)효과
항온ㆍ항습실(22 ℃, 상대습도 50%)에서 처방예 7, 처방예 8, 처방예 9의 크림 및 비교처방예 1의 크림을 제조하여 각 화장료를 25명의 피검자의 상박안쪽에 동일량(0.1 g/25 cm2)을 골고루 도포하고 도포 전, 도포 1시간 후, 도포 2시간 후의 피부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시료 및 기제를 바르지 않은 정상피부를 대조군으로 하여 수분함량측정기를 사용하여 피부의 수분함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3에 나타내었다.
구분 전기전도도
피부 도포 전 피부 도포 1시간 후 피부 도포 2시간 후
정상피부 48 48 48
비교처방예 1 48 67 59
처방예 7 48 88 77
처방예 8 48 75 67
처방예 9 48 72 64
1% 히아루론산 용액 48 69 58
상기 표 13에서 알 수 있듯이, 처방예 7 ∼ 9의 크림이 비교처방예 1의 크림과 1% 히아루론산 용액 보다 피부수분 보유효과가 높아 본 발명의 추출 건조분말 엑기스를 함유한 화장료가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0 : 인체 피부 주름개선효과 임상시험
처방예 7, 8, 9의 크림과 비교처방예 1의 크림을 건강한 30 ∼ 45세의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주름개선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상기 4가지의 크림을 각각 15명의 피검자의 눈밑부위에 1일 2회(아침과 취침 전), 12주간 사용하도록 한 후, 시제품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 후 12주 후에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표 14] 및 영상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 설문은 시제품 및 대조품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개선, 중간개선, 매우개선의 4단계로 구분, 판정하였으며 영상분석을 통한 평가는 실험 시작 전과 실험종료 후 항온ㆍ항습실(22 ℃, 상대습도 50%)에서 충분한 피부안정화 후에 눈가피부의 레플리카(Replica)를 제작하여 화상분석기기(Image analyzer system)를 이용한 면적의 측정방법으로 주름의 상대적인 변화를 측정하였다.
구분 개선없음 약간개선 중간개선 매우개선
비교처방예 1 13 명 2 명 0 명 0 명
처방예 7 0 명 4 명 8 명 3 명
처방예 8 3 명 6 명 4 명 2 명
처방예 9 4 명 6 명 3 명 2 명
상기 표 1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처방예들을 사용할 경우,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처방예 1의 크림에 비하여 처방예 크림에서 피험자의 70% 이상이 인지 가능한 정도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났다고 답하고 있다.
구분 측정부위 잔주름 깊이(㎛) 감소율(%)
사용 전 12주 사용 후
비교처방예 1 눈 주위 0.198 0.188 5.05
처방예 7 0.197 0.116 41.12
처방예 8 0.196 0.129 34.18
처방예 9 0.194 0.134 30.93
또한, 상기 표 1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 분말 엑기스를 함유한 처방예의 크림을 사용할 경우, 주름의 밀도가 사용 전에 비해 40% 이상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삼경엽, 미삼 단독 또는 혼합 추출물은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식효과,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효과, 엘라스틴(Elastin) 합성 촉진효과, 피부면역 증강효과,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항산화 효과, 광노화 억제효과, 피부상처치유효과, 피부보습효과 등의 복합적인 주름 개선효과가 뛰어나 화장료로 적용가능 하다.

Claims (6)

1) 인삼경엽, 미삼 각각 또는 이의 혼합 생약을 생약 중량의 10 ∼ 20배의 30% 메탄올 수용액으로 60 ∼ 80 ℃에서 환류 추출,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2) 상기 농축액을 동량의 헥산으로 처리하여 지방층 분획을 제거하고 여기에 동량의 부탄올을 넣어 부탄올층만을 분리하여 감압농축하는 단계;
3) 상기 부탄올층 고형분을 물에 녹여 역상칼럼에 흡착시키고 물 및 30% 메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메탄올로 칼럼에 흡착된 성분을 용출시켜 조사포닌 분획물을 얻는 단계;
4) 상기 조사포닌 분획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프로판올의 혼합용액에 녹여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류(Panaxadiol-type Ginsenosides)를 수득한 후, 감압농축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5) 상기 진세노사이드류 분말을 염산용액에 녹인 후 수욕상에서 60 ∼ 80 ℃로 중탕하고 냉각하여 미세결정형 침전물을 얻는 단계; 및
6)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분말 엑기스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 진세노사이드 Rg3가 45 ∼ 55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인삼경엽, 미삼 또는 이들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 진세노사이드 Rg3가 45 ∼ 55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전체 화장료 조성에 대하여 0.000001 ∼ 20.0 중량%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겔, 팩, 비누, 에센스시트, 하이드로겔패치 또는 마스크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65882A 2003-09-23 2003-09-23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29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882A KR20050029556A (ko) 2003-09-23 2003-09-23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882A KR20050029556A (ko) 2003-09-23 2003-09-23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556A true KR20050029556A (ko) 2005-03-28

Family

ID=3738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882A KR20050029556A (ko) 2003-09-23 2003-09-23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55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65B1 (ko) 2006-03-21 2007-10-04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생리활성 성분 Rb1, Rb2, Rc 및 Rd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339671B1 (ko) * 2012-04-23 2013-12-11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또는 홍삼의 파낙사디올 사포닌 강화 분획 제조방법
KR101444879B1 (ko) * 2013-03-11 2014-09-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 조성물
KR20210101951A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경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65B1 (ko) 2006-03-21 2007-10-04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생리활성 성분 Rb1, Rb2, Rc 및 Rd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339671B1 (ko) * 2012-04-23 2013-12-11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또는 홍삼의 파낙사디올 사포닌 강화 분획 제조방법
KR101444879B1 (ko) * 2013-03-11 2014-09-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 조성물
KR20210101951A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경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0131B1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s
CN104644461B (zh) 具有促进胶原蛋白合成活性的化合物在抗衰老化妆品中的应用
KR101589119B1 (ko)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CA2644045A1 (en) Combination or plant extract comprising verbascoside and luteolin and their use in a cosmetically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igmentation modulation
US20210330575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adventitious root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as effective ingredient
US855779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polysaccharides to be externally applied to the skin
KR102086687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KR20060114774A (ko) (20S)-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주름 예방 및개선용 화장료
KR20190056815A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3608078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皮膚化粧料および美容食品
KR100568601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2를 함유하는 사포닌 혼합물로 이루어진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50029556A (ko)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Preedalikit et al.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l. Leaves extract on melanogenesis and skin whitening efficacy in the underarm whitening product application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17586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2484A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84429A (ko)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JP5155543B2 (ja) エンドセリン−1産生抑制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炎症用/美白用皮膚外用剤、エンドセリン−1の産生抑制方法及びヘキソサミニダーゼの遊離抑制方法
KR102563204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