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829A - 직동장치 및 그 레일유지치구 - Google Patents

직동장치 및 그 레일유지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829A
KR20050028829A KR1020040074466A KR20040074466A KR20050028829A KR 20050028829 A KR20050028829 A KR 20050028829A KR 1020040074466 A KR1020040074466 A KR 1020040074466A KR 20040074466 A KR20040074466 A KR 20040074466A KR 20050028829 A KR20050028829 A KR 20050028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hole
straight
linear
rail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8412B1 (ko
Inventor
하마도미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Publication of KR20050028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5Guide rails or tracks for a linear bearing, i.e. adapted for movement of a carriage or bearing body there alo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7Arrangements of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4Fixing of a carriage or rail, e.g. rigid mounting to a support structure or a movab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2/00Apparatus used in shaping articles
    • F16C2322/39General build up of machine tools, e.g. spindles, slides,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Manipulator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직동장치(A)는 받침부(pedestal section, 4)에 대하여 직선레일(8)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직동장치(A)는, 받침부(4)와, 상기 받침부(4)에 평행하게 배열된 직선레일(8)과, 상기 받침부(4)위에 상기 직선레일(8)을 지지하는, 상기 받침부(4)에 부착된 레일유지치구(rail holder, 6)와, 상기 직선레일 (8)을 따라 직선궤도상을 왕복으로 이동하는 직동체(10)를 구비한다. 상기 레일유지치구(6)는, 체결수단(18,20)에 의해 상기 받침부(4)에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4)에 대한 상기 레일유지치구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Description

직동장치 및 그 레일유지치구{LINEAR MOTION DRIVE SYSTEM AND RAIL HOLDER}
본 발명은, 직동장치 및 레일유지치구(rail holder)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일을 따라 직선궤도상을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직동체를 구비한 직동장치, 및 그 직선레일을 유지하는 레일유지치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직동장치의 일례가, 일본 특허공개 2001-26334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직동장치에서는, 직선레일이 부착대에 의해 받침부(pedestal section)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대는 상기 직동장치의 받침부에 고정된다. 상기 직선레일에는, 이 직선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적절히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대도 관통구멍을 갖는다. 볼트는 상기 직선레일과 상기 부착대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직선레일을 상기 부착대에 고정한다. 직동체는 상기 직선레일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한다.
상기 직선레일이 상기 부착대에 부착되면, 우선 상기 직선레일의 관통구멍이 상기 부착대의 관통구멍에 일치된다. 상기 부착대의 관통구멍간의 간격은, 상기 직선레일의 간격과 동일하다. 그 후, 상기 볼트가 상기 양 부재의 관통구멍을 각각 관통하고, 너트가 상기 볼트를 각각 조여, 상기 직선레일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된 상기 부착대에 고정된다.
상기 직동장치에서는, 상기 받침대에 대한 상기 직선레일의 위치는 상기 양 부재의 관통구멍의 간격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직선레일의 미세한 위치조정, 디자인 변경 등에 따라, 상기 직선레일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도, 상기 직선레일의 위치는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직동장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부에 대한 직선레일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직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직동장치용 레일유지치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의 직동장치는, 긴 받침부(pedestal section); 상기 받침부(4)에 평행하게 배열된 직선레일; 상기 받침부위에 상기 직선레일을 지지하는, 상기 받침부에 부착된 레일유지치구(rail holder); 및 상기 직선레일을 따라 직선궤도상을 왕복으로 이동하는 직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유지치구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받침부에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에 대한 상기 레일유지치구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레일유지치구는,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받침부에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정되어, 상기 직선레일을 유지하는 레일유지치구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직동장치에서는, 해당 직선레일보다도 짧은 복수개의 상기 레일유지치구를 통해, 상기 직선레일을 유지한다.
이에 따르면, 레일유지치구의 배치의 자유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선레일을 유지하는 상기 레일유지치구의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직동장치에서는, 상기 레일유지치구에 복수의 제 1 관통구멍이 그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구멍의 간격에 맞춘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레일구멍이 상기 직선레일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직선레일은 상기 제 1 관통구멍과 상기 레일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서, 상기 레일유지치구에 고정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상기 직선레일에 대한 상기 레일유지치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직동장치에서, 상기 받침부는 안쪽부(inner part)의 폭이 개구부의 폭보다 넓은 안쪽부와 개구부를 갖는 부착홈을 갖고, 상기 레일유지치구에는 제 2 관통구멍이 있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 2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부착홈내에 진입하는 볼트와, 상기 부착홈에 제공되어 맞물리고, 볼트를 조여 상기 받침부에 상기 레일유지치구를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청구항 4의 직동장치에서, 상기 레일유지치구는, 상기 받침부에 접하는 좌면(seating face)으로부터 사이가 멀어짐에 따라 그 단면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한쪽면이 경사면(slope face)으로 형성되고, 정수리부에 상기 직선레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구멍은 상기 레일유지치구의 좌면과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받침부와 레일유지치구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와 직선레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직선레일에 부착하고,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열하는 상기 레일유지치구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받침부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에 대한 레일유지치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레일유지치구는, 체결수단에 의해 받침부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어, 직선레일을 유지하는 레일유지치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레일유지치구에서, 상기 받침부는 안쪽부(inner part)의 폭이 개구부의 폭보다 넓은 안쪽부와 개구부를 갖는 부착홈을 갖고, 상기 레일유지치구는 제 2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 2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부착홈내에 진입하는 볼트와, 상기 부착홈에 제공되어 맞물리고, 볼트를 조여 상기 받침부에 상기 레일유지치구를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일유지치구에서, 상기 받침부에 접하는 좌면(seating face)으로부터 사이가 멀어짐에 따라 상기 레일유지치구의 단면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한쪽면이 경사면(slope face)으로 형성되고, 정수리부에 상기 직선레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구멍은 상기 경사면과 상기 좌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받침부와 해당 레일유지치구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직선레일을 유지하는 레일유지치구의 위치는, 받침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직동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직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동장치(A)는, 기재(base, 2)에 고정된 받침부 (4)와, 받침부(4)에 부착된 복수의 레일유지치구(6)와, 레일유지치구(6)에 고정된 직선레일(8)과, 직선레일(8)로 직선으로 왕복이동하는 직동체(10)를 구비한다. 상기 레일유지치구(6)의 수는 하나 이상이다.
상기 직동장치(A)는 기재(2)에 설치된다. 상기 받침부(4)는 상기 기재(2)에 고정된다. 상기 기재(2)의 하나를 도 1에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직동장치 (A)는, 수지성형품을 성형기로부터 취출하는 수지 성형기의 취출유니트에 채용된다. 이 경우에는, 기재(2)는, 수지 성형기의 본체이거나, 또는 직동체(10)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성형품을 이동시키는 X-Y 테이블의 한 테이블이다. 직동체(10)에 성형품을 파지하는 척장치(chucking unit)를 부착하여도 좋다.
받침부(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직사각형블록으로 형성되고, 양 끝단부가 기재(2)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부(4)의 측면에는, 단면이 T자형으로 형성된 부착홈(4a, 4b)이 형성된다. 부착홈(4a, 4b)은 받침부(4)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다. 각 부착홈(4a, 4b)은 안쪽부(inner part)의 폭이 개구부의 폭보다 넓은 안쪽부와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부착홈(4a)의 개구부 폭보다도 지름이 크게 형성된 너트(12)는 부착홈 (4a)의 안쪽부에 헐겁게 고정된다. 볼트(14)는 기재(2)를 관통하여 너트(12)로 조여진다. 이로써, 받침부(4)의 끝단은 각각 기재(2)에 고정되어 있다. 받침부(4)를 기재(2)상에 고정하는 수단은 볼트와 너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2)와 받침부(4)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 직선레일(8)을 유지하도록, 복수의 레일유지치구(6)가, 직선레일(8)보다 짧게 형성되어 받침부(4)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도 1 참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레일유지치구(6)의 바닥면은 받침부(4)에 접하는 좌면(seating face)을 이룬다. 레일유지치구(6)는, 좌면(6a)으로부터 정수리부로 가면서 그 단면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한 측면이 경사면(slope face)으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유지치구(6)의 정수리부에 직선레일(8)을 지지하는 지지부 (6c)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6c)의 단면형상은 V자형으로 형성되어, 직선레일 (8)이 그 위에 지지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유지치구(6)에는, 좌면(6a)과 지지부(6c)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관통구멍(6d)이 형성되어 있다. 직선레일(8)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관통하지 않는 레일구멍(8a)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레일구멍(8a)의 안쪽둘레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직선레일(8)은 볼트(16)에 의해 레일유지치구(6)에 고정된다. 각 볼트(16)는 레일유지치구(6)의 제 1 관통구멍(6d)을 관통하여, 각 레일구멍(8a)의 나사홈에 조여진다(도 2 참조). 이 구조에 의해, 직선레일(8)은 레일유지치구(6)에 고정된다.
각 레일유지치구(6)에는, 받침부(4)에 레일유지치구(6)를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두 개의 제 2 관통구멍(6e)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구멍(6e)은 경사면(6b)과 좌면(6a)을 연결한다.
상기 부착홈(4b)의 개구부 폭보다도 지름이 크게 형성된 너트(20)는 부착홈 (4b)의 안쪽부에 헐겁게 고정된다. 볼트(18)는 제 2 관통구멍(6e)을 관통하여 너트(20)로 조여진다(도 2 참조). 이로써, 각 레일유지치구(6)는 받침부(4)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18)와 너트(20)를 풀면, 각 레일유지치구(6)는 받침대(4)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받침부(4)에 직선레일(8)을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직선레일(8)에 레일유지치구(6)를 적절히 간격을 두고, 상기 볼트(16)에 의해 부착한다. 직동체 (10)로부터 직선레일(8)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서, 각 레일유지치구(6)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면 된다. 부하가 높을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한다. 계속해서, 레일유지치구(6)의 제 2 관통구멍(6e)에 볼트(18)를 관통시키고, 볼트(18)에 너트 (20)를 느슨하게 조인다. 그 후, 끝단부로부터 부착홈(4b)내에 너트(20)를 넣는다. 직선레일(8)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볼트(18)를 너트(20)로 강하게 조여, 레일유지치구(6)를 부착홈(4b)의 개구부 가장자리부에 고정한다. 이러한 단계에 의해, 받침부(4)에 레일유지치구(6) 및 직선레일(8)을 고정한다.
직선레일(8)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볼트(18)를 느슨하게 한다. 볼트(18)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직선레일(8)을 레일유지치구(6)와 함께 부착홈(4b)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직동장치(A)에 의하면, 직선레일(8)의 위치를 부착홈(4b)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종래의 직동장치에서는, 직선레일의 위치변경이 제한된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레일(8)의 위치가 설계변경, 보수, 조정 등에 의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간단하고 정밀하게 또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기재(2)와 받침부(4) 모두, 부착홈(4a)에 볼트(14)와 너트(12)에 의해서 고정된다. 받침부(4)의 위치는 기재(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4) 및 레일유지치구(6)는 자유롭고 정밀하게 또한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선레일(8)은 좌면(6a)으로부터 통과한 볼트(16)에 의해서 레일유지치구(6)에 고정되지만, 그 고정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직동체(10)의 직선이동에 지장이 없는 한, 직선레일(8)의 레일구멍(8a)을 관통구멍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제 1 관통구멍(6d)의 안쪽둘레면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관통구멍(8a)을 통해 볼트를 관통시켜, 직선레일(8)과 레일유지치구(6)를 체결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레일유지치구 (6)를 받침부(4)에서 떼어내지 않고, 직선레일(8)에 대한 레일유지치구(6)의 위치도 보다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직동장치(A)는, 수지 성형기 뿐 아니라, 기타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본질적인 특징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기타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에 의하기보다는 하기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또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와 의미 내에서의 모든 변경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직선궤도상을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직동체를 구비한 직동장치, 및 그 직선레일을 유지하는 레일유지치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직동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직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직선레일과 레일유지치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직동장치의 레일유지치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직동장치의 레일유지치구의 뒤집힌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직동장치 2 : 기재(base)
4 : 받침부(pedestal section) 4b : 부착홈
6 : 레일유지치구 6a : 좌면(seating face)
6b : 경사면(slope face) 6c : 지지부
6d : 제 1 관통구멍 6e : 제 2 관통구멍
8 : 직선레일 8a : 레일구멍
10 : 직동체 16 : 볼트
18 : 체결수단 20 : 체결수단

Claims (8)

  1. 긴 받침부(pedestal section, 4); 상기 받침부(4)에 평행하게 배열된 직선레일(8); 상기 받침부(4)위에 상기 직선레일(8)을 지지하는, 상기 받침부(4)에 부착된 레일유지치구(rail holder, 6); 및 상기 직선레일(8)을 따라 직선궤도상을 왕복으로 이동하는 직동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유지치구(6)가, 체결수단(18, 20)에 의해 상기 받침부(4)에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4)에 대한 상기 레일유지치구(6)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장치(A).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레일(8)보다 짧은 복수의 레일유지치구(6)가, 직선레일(8)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장치(A).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유지치구(6)에 복수의 제 1 관통구멍(6d)이 그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구멍(6d)의 간격에 맞춘 간격으로 복수의 레일구멍(8a)이 상기 직선레일(8)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직선레일(8)은 상기 제 1 관통구멍(6d)과 상기 레일구멍(8a)을 관통하는 볼트(16)에 의해서, 상기 레일유지치구(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장치(A).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는 안쪽부(inner part)의 폭이 개구부 (opening part)의 폭보다 넓은 안쪽부와 개구부를 갖는 부착홈(4b)을 갖고, 상기 레일유지치구(6)에는 제 2 관통구멍(6e)이 있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 2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부착홈(4b)내에 진입하는 볼트(18)와, 상기 부착홈에 제공되어 맞물리고, 볼트(18)를 조여 상기 받침부(4)에 상기 레일유지치구(6)를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너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장치(A).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유지치구(6)는, 상기 받침부(4)에 접하는 좌면 (seating face, 6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그 단면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한쪽면(6b)이 경사면(slope face)으로 형성되고, 정수리부에 상기 직선레일(8)을 지지하는 지지부(6c)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구멍(6e)은 상기 레일유지치구(6)의 좌면(6a)과 경사면(6b)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장치(A).
  6. 받침부(4)와 직선레일(8)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직선레일(8)을 부착하고, 상기 받침부(4)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열된 레일유지치구(6)로서, 체결수단(18, 20)에 의해 상기 받침부(4)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4)에 대한 레일유지치구(6)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유지치구 (6).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는 안쪽부(inner part)의 폭이 개구부 (opening part)의 폭보다 넓은 안쪽부와 개구부를 갖는 부착홈(4b)을 갖고, 상기 레일유지치구(6)는 제 2 관통구멍(6e)을 갖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 2 관통구멍(6e)을 관통하여 상기 부착홈(4b)내에 진입하는 볼트(18)와, 상기 부착홈(4b)에 제공되어 맞물리고, 볼트(18)를 조여 상기 받침부(4)에 상기 레일유지치구(6)를 분리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너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유지치구 (6).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에 접하는 좌면(seating face, 6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레일유지치구(6)의 단면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한쪽면(6b)이 경사면(slope face)으로 형성되고, 정수리부에 상기 직선레일(8)을 지지하는 지지부(6c)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구멍(6e)은 상기 경사면(6b)과 상기 좌면(6a)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유지치구(6).
KR1020040074466A 2003-09-18 2004-09-17 직동장치 및 그 레일유지치구 KR100638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6784A JP2005090666A (ja) 2003-09-18 2003-09-18 直動装置およびそのレール保持治具
JPJP-P-2003-00326784 2003-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829A true KR20050028829A (ko) 2005-03-23
KR100638412B1 KR100638412B1 (ko) 2006-10-24

Family

ID=3419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466A KR100638412B1 (ko) 2003-09-18 2004-09-17 직동장치 및 그 레일유지치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07432B2 (ko)
EP (1) EP1517055A1 (ko)
JP (1) JP2005090666A (ko)
KR (1) KR100638412B1 (ko)
TW (1) TWI2852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130B1 (ko) * 2007-08-23 2008-07-18 김제성 리니어 모션 슬림 슬라이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9461A1 (de) 2007-01-25 2008-07-31 Schaeffler Kg Führungsschiene einer Linearführung
DE102007025762A1 (de) * 2007-05-24 2008-11-27 Index-Werke Gmbh & Co. Kg Hahn & Tessky Schlittensystem für Werkzeugmaschinen
US7798315B2 (en) * 2008-01-24 2010-09-21 Shing-Hsieh Shun Modular assembly
FR3052465B1 (fr) * 2016-06-10 2018-05-18 Colas Rail Systeme d'eclissage pour barres de guidage laterales de vehicule guide de type val, procede d'eclissage
CN115070442B (zh) * 2022-06-16 2023-07-25 南通盟鼎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分子矿物铸件的机床床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9031A (en) * 1979-10-01 1982-07-13 Joy Manufacturing Company Monorail suspended conveyor system
JPH0765602B2 (ja) * 1987-01-30 1995-07-19 豊和工業株式会社 ロツドレスシリンダ
WO1990002269A1 (de) * 1988-08-31 1990-03-08 SFT AG Spontanfördertechnik Rollkörper
DE3842627A1 (de) * 1988-12-17 1990-06-21 Schaeffler Waelzlager Ohg Waelzfuehrung
DE3921859A1 (de) * 1989-07-04 1991-01-17 Schock Metallwerk Unterflurvollauszugfuehrung
US5568982A (en) * 1994-10-14 1996-10-29 Festo Kg Linear drive
DE4445132C1 (de) * 1994-12-17 1996-01-18 Neff Antriebstech Automation Führungseinrichtung
DE19615465B4 (de) * 1996-04-19 2005-06-16 Ina-Schaeffler Kg Führungsschiene für einen Laufwagen
DE59802118D1 (de) * 1997-04-07 2001-12-20 Ipt Weinfelden Ag Weinfelden Vorrichtung zum Fixieren von Drähten oder von drahtähnlichen Gebilden
US6158123A (en) * 1997-11-21 2000-12-12 Jonathan Manufacturing Corp. Friction slide rail assembly with overmold bearing shell
EP1045807B1 (de) * 1997-12-29 2002-04-03 IPT Weinfelden AG Fördersystem
DE19815474A1 (de) * 1998-04-07 1999-10-21 Bosch Gmbh Robert Lineareinheit mit einer Gleitführung für einen Schlitten
US6179468B1 (en) * 1998-08-20 2001-01-30 Dale Thorstens Plain bearing brake-tensioner
DE19857028A1 (de) * 1998-12-10 2000-07-06 Rexroth Star Gmbh Linearführungseinrichtung
JP2001263348A (ja) * 2000-03-16 2001-09-26 Thk Co Ltd 直線又は曲線案内装置
JP3833496B2 (ja) * 2001-05-14 2006-10-11 Smc株式会社 直線案内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130B1 (ko) * 2007-08-23 2008-07-18 김제성 리니어 모션 슬림 슬라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90666A (ja) 2005-04-07
US20050063625A1 (en) 2005-03-24
TWI285245B (en) 2007-08-11
EP1517055A1 (en) 2005-03-23
US7207432B2 (en) 2007-04-24
KR100638412B1 (ko) 2006-10-24
TW200512395A (en) 200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7122B2 (en) Guide rail of a linear guide
US5716043A (en) Mounting support device
KR100529739B1 (ko)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주행레일이 부착된 프레임재 및 그 프레임재를 이용한 주행 프레임 장치
KR100638412B1 (ko) 직동장치 및 그 레일유지치구
KR910005967A (ko) 공작물 고정 장치
US20080054126A1 (en) Tubular material fixation device
JPH08247142A (ja)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KR20120116107A (ko)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장치
DE59200625D1 (de) Querverbindung für Profilstäbe mit hinterschnittenen Längsnuten.
GR3036333T3 (en) Apparatus for mounting fixing devices, such as pipe clamps
KR100437326B1 (ko) 클램프 치구
US20200269369A1 (en) Work surface mountable t-track
EA032532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крепления путевых модулей к рельсам
WO2020176490A1 (en) Work surface mountable t-track
JP2007078684A5 (ko)
CN110908247B (zh) 定位装置以及曝光装置
JP2007078684A (ja) 測定尺の担持体を固定するための構造体と担持体を固定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測長装置
KR200271920Y1 (ko) 리니어가이드 고정구
JPH07186954A (ja) 軌道レール
CN217965173U (zh) 一种用于滑轨加工的线切割夹具
KR100265438B1 (ko) 시트 강도 시험용 지지대 장치
KR950009204Y1 (ko) 알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한 지그(jig) 가변장치
CN211390776U (zh) 一种雕刻机用工装
JP3158171U (ja) 工作物固定具
KR970061040A (ko) 흡착비트 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