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734A -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734A
KR20050026734A KR1020030062351A KR20030062351A KR20050026734A KR 20050026734 A KR20050026734 A KR 20050026734A KR 1020030062351 A KR1020030062351 A KR 1020030062351A KR 20030062351 A KR20030062351 A KR 20030062351A KR 20050026734 A KR20050026734 A KR 20050026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pe
locking device
coupling
locking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770B1 (ko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라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제건 filed Critical 라제건
Priority to KR10-2003-006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7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서로 결합하여 지팡이의 몸체를 이루는 연결관(11, 12)들의 결합상태를 잠그는 것이다. 잠금장치는, 그 하단부는 하부 연결관(12)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상부 연결관(11)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20)와, 결합부재(20) 상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30)와, 이동부재(30)를 둘러싸면서 상부 연결관(11)의 내부에 삽입되며, 이동부재(30)가 상승함에 따라서 상부 연결관(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잠금부재(40)와, 잠금부재(4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부 연결관(11) 및 이동부재(30)의 소재보다 마찰계수가 더 큰 소재로 형성된 마찰패드(46)를 포함한다. 이러한 잠금장치에 의하면, 셀프록(Self-lock)이 가능하므로, 연결관(11, 12)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할수록 잠금장치의 잠금력도 강해진다. 따라서, 지팡이의 사용에 따라 수직방향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지팡이의 길이가 변화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assemblable walking stick}
본 발명은 다수의 연결관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조립식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관들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는 등산용 또는 환자의 보행 보조용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팡이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관들이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는 종래의 지팡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팡이는, 손잡이(2)와, 몸체를 이루는 다수개의 연결관들(4, 5, 6)과, 지면에 접촉하는 선단부(8)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관들(4, 5, 6)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가장 상부에 위치한 연결관(제 1 연결관)(4)의 하단에는 중간 부분에 위치한 연결관(제 2 연결관)(5)의 상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위치한 연결관(제 3 연결관)(6)의 상단에는 상기 제 2 연결관(5)의 하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관(5)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지팡이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관(4)의 상단에는 손잡이(2)가 결합되며, 제 3 연결관(6)의 하단에는 선단부(8)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들(6, 8, 1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들의 결합 부위에는 한 쌍의 잠금장치(100, 10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들(100, 100')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연결관(4)과 제 2 연결관(5)의 결합 부위에 설치되는 잠금장치(1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잠금장치(100)는, 제 2 연결관(5)의 상단에 고정되는 체결부재(110)와, 제 1 연결관(4)의 내부에 삽입되는 잠금부재(120)를 구비한다.
체결부재(110)는, 제 2연결관(5)의 상단에 삽입되는 삽입부(114)와, 이 삽입부(11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16)와, 플랜지부(116)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나사부(118)와, 나사부(118)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경사부(112)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114)는 제 2 연결관(5)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116)는 제 2 연결관(5)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가진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10)는 플랜지부(116)에 의하여 제 2 연결관(5)의 상단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12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개의 분할편(121)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120)의 중심부에는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나사구멍(128)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구멍(128)의 상부에는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되어 있다.
한편, 잠금부재(120)는 그 외경이 제 1 연결관(4)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부재(120)가 제 1 연결관(4)의 하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부재(120)의 외주면과 제 1 연결관(4)의 내주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잠금부재(120)가 제 1 연결관(4) 내부에서 헛돌지 않게 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종래의 지팡이(2)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연결관(5)의 상단에 체결부재(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나사부(118)를 잠금부재(120)의 나사구멍(128)에 소정 길이만큼 체결한 다음, 잠금부재(120)를 제 1 연결관(4)의 하단 내부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 2 연결관(5)을 회전시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10)는 제 2 연결관(2)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체결부재(110)의 나사부(118)는 나사구멍(128)에 체결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사부(118)가 나사구멍(128)을 따라 상승하면, 나사부(118) 상단의 경사부(112)가 잠금부재(120)의 경사면(122)과 밀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연결관(5)을 더 회전시키면, 체결부재(110)의 경사부(118)가 잠금부재(120)의 경사면(122)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더 상승하게 되어, 잠금부재(120)의 상부에 절개되어 형성된 분할편(121)들은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제 1 연결관(4)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분할편(121)의 외주면과 제 1 연결관(4)의 내주면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발생함으로써, 제 1 연결관(4)과 제 2 연결관(5)의 결합상태가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연결관(4)과 제 2 연결관(5)의 결합이 완료되면, 또 다른 잠금장치(100')를 이용하여 제 2 연결관(5)과 제 3 연결관(6)을 결합함으로써, 지팡이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지팡이의 잠금장치(100)는, 잠금부재(120)의 분할편(121)들이, 체결부재(110) 선단의 경사부(112)의 상승력에 의하여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제 1 연결관(4)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잠금부재(120)의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 1 연결관(4)의 내면에 더 강하게 밀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잠금장치(100)에 의하면, 잠금부재(120)와 제 1 연결관(4) 사이의 마찰력이 잠금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발생되지 못하고, 분할편(121)들이 위치한 상단부에만 집중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팡이를 짚을 때마다 지면으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하여, 제 2 연결관(5)이 제 1 연결관(4)의 내측으로 조금씩 밀려들어가 지팡이의 길이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잠금부재(120)와 제 1 연결관(4)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체결부재(110)의 조임력을 증대시키면, 제 1 연결관(4)과 제 2 연결관(5)을 분해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팡이의 잠금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연결관들을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셀프록(Self-lock)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직방향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지팡이의 길이가 변화되지 않는 지팡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하단부는 하부 연결관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상부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상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둘러싸면서 상부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상승함에 따라서 상부 연결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연결관 및 상기 이동부재의 소재보다 마찰계수가 큰 소재로 형성된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연결관과 상기 잠금부재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찰패드는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상부 연결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과 결합하는 상부캡과, 상기 잠금부재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외주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하여 그 내주면이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할편들로 분할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분할편들은 고무링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가 상승함에 따라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마찰패드를 상기 상부 연결관의 내면에 밀착되게 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부 연결관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하부 연결관의 상단에 걸리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하부캡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은, 상부 연결관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탄성편과, 상기 결합축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구멍(52)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잠금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편의상 지팡이의 전체 형상은 생략하고, 지팡이의 몸체를 이루는 연결관(11, 12)들 만을 도시하였다. 이 연결관(11, 12)들 중 하부 연결관(12)은 그 외경이 상기 상부 연결관(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부 연결관(11)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하부 연결관(12)을 상부 연결관(1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하부 연결관(12)에 고정되는 결합부재(20)와, 상기 결합부재(20) 상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30)와, 상기 이동부재(30)를 둘러싸면서 상부 연결관(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부재(30)가 상승함에 따라서 상부 연결관(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잠금부재(40)와, 상부 연결관(1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20)의 선단과 결합하는 상부캡(50)과, 상기 잡금부재(40)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60)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0)는 하부 연결관(12)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삽입부(21)의 상단에 형성되어 하부 연결관(12)의 상단에 걸리는 플랜지(23)와, 플랜지(23)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축(25)과, 결합축(25)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30)의 하단부에 접촉되는 하부캡(27)을 구비한다. 결합부재(20)는 하부 연결관(12)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하부 연결관(12)과 함께 상부 연결관(11)의 내부에서 승강 이동한다.
상기 결합축(25)의 선단에는 상기 상부캡(60)과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캡(27)은 상기 이동부재(30)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선단부(27a)가 원뿔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부재(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조각(31)들로 분할된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이동부재(30)는 잠금부재(40)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이 잠금부재(40)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동부재(30)의 외주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지는 결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30)의 내면 하부에는 상기 하부캡(27)의 원뿔형 선단부(27a)와 접촉하도록 경사면(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부재(30) 내면 상부에도 상기 상부캡(60)과 접촉하도록 경사면(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재(40)는 상기 이동부재(3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분할편(41)들로 분할된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더 정확하게는, 잠금부재(40)의 외주면은 그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잠금부재(40)의 내주면은 조임부재(30) 외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부재(4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44)는 상기 이동부재(30)의 결합홈(32)에 안착된다. 잠금부재(40)의 각 분할편(41)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체결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홈(42)에 고무링(48)이 체결됨으로써, 잠금부재(40)의 분할편(41)들이 서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각 분할편(41)의 외주면에는 상부 연결관(11)의 내면과 직접 접촉되는 마찰패드(4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캡(50)은, 그 선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 연결관(11)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다수의 탄성편(51)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편(51)은 상부 연결관(11)의 내면을 상시 가압함으로써, 상부캡(50)이 상부 연결관(11) 내에서 지지되도록 한다. 상부캡(50)의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부재(20)의 결합축(25)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5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캡(50)의 하단부(54)는 상기 이동부재(30)의 내면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34)과 접촉되도록 원뿔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60)은, 일단이 결합부재(20)의 플랜지(23) 상면과 접촉하고, 타단은 잠금부재(40)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결합부재(2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60)은 잠금부재(40)를 상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잠금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잠금부재(40)는 상부 연결관(11)의 내면과 접촉되어 있으며, 그 하단은 스프링(6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하부 연결관(110)이 상승하는 경우, 잠금부재(40)는 상부 연결관(11)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 때문에 상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스프링(60)만 압축되게 된다. 반면에, 이동부재(30)는 하부캡(27)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하부 연결관(110)이 상승하면, 잠금부재(40)의 내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승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셀프록(Self-lock)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상태에서 이동부재(30)가 상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연결관(12)이 상승하면, 결합부재(20)와 상부캡(50)은 하부 연결관(12)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0)도 결합부재(20)의 하부캡(27)에 의해 가압되어 잠금부재(40)의 내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잠금부재(40)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부 연결관(12), 결합부재(20), 상부캡(50) 및 이동부재(30)는 잠금부재(40)의 돌기(44)가 결합홈(32)의 하단에 접촉할 때까지만 상승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60)은 결합부재(20)의 플랜지(23)의 상승에 따라 압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30)의 외주면과 잠금부재(40)의 내주면은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30)가 도 5에서와 같이 상향 이동하면, 잠금부재(40)는 이동부재(30)의 이동량 만큼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어, 상부 연결관(11)의 내면에 더욱 밀착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잠금부재(40)의 마찰패드(46)와 상부 연결관(11) 내면 사이에서의 마찰력이 증가함으로써, 연결부재(11, 12)들의 결합상태가 잠기게 된다.
즉, 도 4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 지팡이의 하단이 지면과 접촉하면서 하중을 받게 되고, 그 하중에 의하여 하부 연결관(12)이 상승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에 의하여 연결관(11, 12)들의 결합상태가 자동적으로 잠기는 셀프록(Self-lock) 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40)와 상부 연결관(11)의 접촉면(S1)은 지팡이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반하여, 이동부재(30)와 잠금부재(40)의 접촉면(S2)은 지팡이의 중심선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면 S1과 접촉면 S2가 동일한 마찰계수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이동부재(30)와 잠금부재(40)에 상승 방향으로 동일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접촉면 S2에서의 마찰력이 접촉면 S1에서의 마찰력보다 클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부 연결관(12)이 상승하면 이동부재(30)가 잠금부재(40)의 내면을 따라 미끄러지기 전에, 잠금부재(40)가 먼저 상부 연결관(11)의 내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셀프록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셀프록 동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접촉면 S1에서의 마찰력이 접촉면 S2에서의 마찰력보다 커야 한다. 그런데, 접촉면 S2가 각도 θ만큼 경사져 있으므로, 접촉면 S1에서의 마찰력이 접촉면 S2에서의 마찰력 보다 크기 위해서는, 접촉면 S1의 마찰계수(μ1)가 접촉면 B의 마찰계수(μ2)보다 커야 한다.
구체적으로, 셀프록이 가능하기 위한 접촉면 S1의 마찰계수(μ1)와 접촉면 S2의 마찰계수(μ2)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1에 의한 계산 결과가 다음의 표1에 정리되어 있다.
위의 표1에서 볼 수 있듯이, 셀프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접촉면 S2의 각도(θ)가 커질수록, 그에 비례하여 접촉면 S1의 마찰계수(μ1)와 접촉면 S2의 마찰계수(μ2)의 차이도 증가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접촉면 S2의 각도(θ)가 1°인 경우, 접촉면 S1의 마찰계수(μ1)의 마찰계수가 접촉면 S2의 마찰계수(μ2)에 비하여 0.4% 이상 크면 되지만, 접촉면 S2의 각도(θ)가 3°인 경우에는 접촉면 S1의 마찰계수(μ1)의 마찰계수가 접촉면 S2의 마찰계수(μ2)에 비하여 13.5% 이상 커야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관(11, 12)과 잠금부재(40)의 각 분할편(41)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며, 이동부재(3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만일, 각 분할편(41)의 외주면에 부착된 마찰패드(46)도 알루미늄 재료로 형성되어 있거나, 마찰패드(46) 없이 각 분할편(41)이 직접 상부 연결관(11)의 내면에 접촉된다면, 접촉면 S2에서는 알루미늄과 플라스틱 재료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지만, 접촉면 S1에서는 동일한 알루미늄 재료들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결과가 되므로, 접촉면 S1의 마찰계수(μ1)가 접촉면 S2의 마찰계수(μ2)에 비하여 커질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마찰패드(46)는 상부 연결관(11), 분할편(41) 및 이동부재(30) 보다 마찰계수가 큰 소재로 형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패드(46)를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보다 마찰계수가 큰 소재인 우레탄으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마찰패드(46)를 우레탄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표 1에서의 마찰계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잠겨있는 연결관(11, 12)들을 분해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결합부재(20)의 결합축(25)과 상부캡(50)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하부 연결관(12)을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결합부재(20)가 나사구멍(52)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0)은 도 4에서와 같이 신장된다. 이러한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하여, 잠금부재(40)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연결관(11) 내벽과 느슨하게 접촉됨으로써,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팡이의 연결관들을 적은 힘으로도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셀프록(Self-lock)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연결관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할수록 잠금장치의 잠금력도 강해진다. 따라서, 지팡이의 사용에 따라 수직방향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지팡이의 길이가 변화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지팡이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지팡이의 일부 단면도로서, 잠금장치가 완전히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2a에서 잠금장치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셀프록 동작이 일어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서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상부 연결관 12 : 하부 연결관
20 : 결합부재 21 : 삽입부
23 : 플랜지 25 : 결합축
27 : 하부캡 30 : 이동부재
32 : 결합홈 40 : 잠금부재
41 : 분할편 46 : 마찰패드
48 : 고무링 50 : 상부캡
51 : 탄성편 52 : 나사구멍
60 : 스프링

Claims (7)

  1. 서로 결합하여 지팡이의 몸체를 이루는 연결관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들의 결합상태를 잠그는 잠금장치로서,
    상기 연결관들은 상부 연결관(11)과, 상기 상부 연결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상부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 연결관(12)을 포함하며,
    그 하단부는 상기 하부 연결관(12)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상기 상부 연결관(11)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20);
    상기 결합부재(20) 상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30);
    상기 이동부재(30)를 둘러싸면서 상부 연결관(11)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부재(30)가 상승함에 따라서 상부 연결관(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잠금부재(40); 및
    상기 잠금부재(4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연결관(11) 및 상기 이동부재(30)의 소재보다 마찰계수가 큰 소재로 형성된 마찰패드(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연결관(1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20)의 상단과 결합하는 상부캡(50)과, 상기 잠금부재(40)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30)는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외주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40)는 상기 이동부재(3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하여 그 내주면이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4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할편(41)들로 분할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분할편(41)들은 고무링(48)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30)가 상승함에 따라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마찰패드(46)를 상기 상부 연결관(11)의 내면에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관(11)과 상기 잠금부재(4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3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패드(46)는 우레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는,
    상기 하부 연결관(12)에 상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1);
    상기 삽입부(21)의 상단에 형성되어 하부 연결관(12)의 상단에 걸리는 플랜지(23);
    상기 플랜지(23)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나사부(25a)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축(25); 및
    상기 결합축(25)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30)의 하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30)를 지지하는 하부캡(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50)은 상부 연결관(11)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탄성편(51)과, 상기 결합축(25)의 나사부(25a)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구멍(5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KR10-2003-0062351A 2003-09-06 2003-09-06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KR100488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51A KR100488770B1 (ko) 2003-09-06 2003-09-06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51A KR100488770B1 (ko) 2003-09-06 2003-09-06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734A true KR20050026734A (ko) 2005-03-16
KR100488770B1 KR100488770B1 (ko) 2005-05-12

Family

ID=3738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351A KR100488770B1 (ko) 2003-09-06 2003-09-06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7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61Y1 (ko) * 2009-02-11 2009-11-17 김상순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지팡이
KR101218455B1 (ko) * 2010-12-30 2013-01-04 송윤재 등산용 지팡이의 탄성 가압구, 이를 포함하는 연결관 고정구조 및 이들을 구비하는 등산용 지팡이
KR101220229B1 (ko) * 2012-07-25 2013-01-10 이명아 등산용 스틱
KR200465999Y1 (ko) * 2011-04-12 2013-04-05 (주) 민성정밀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KR20150111205A (ko) * 2014-03-25 2015-10-05 황선호 폴샤프트 장치
KR20160117910A (ko) * 2015-04-01 2016-10-11 황선호 폴샤프트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61Y1 (ko) * 2009-02-11 2009-11-17 김상순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지팡이
KR101218455B1 (ko) * 2010-12-30 2013-01-04 송윤재 등산용 지팡이의 탄성 가압구, 이를 포함하는 연결관 고정구조 및 이들을 구비하는 등산용 지팡이
KR200465999Y1 (ko) * 2011-04-12 2013-04-05 (주) 민성정밀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KR101220229B1 (ko) * 2012-07-25 2013-01-10 이명아 등산용 스틱
KR20150111205A (ko) * 2014-03-25 2015-10-05 황선호 폴샤프트 장치
KR20160117910A (ko) * 2015-04-01 2016-10-11 황선호 폴샤프트 장치
WO2016159569A3 (ko) * 2015-04-01 2016-11-24 황선호 폴샤프트 장치
US10455909B2 (en) 2015-04-01 2019-10-29 Sun Ho Hwang Pole shaf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8770B1 (ko)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908B2 (en) Sucking disk type hanging pole
US6079894A (en) Integral snap button and anti-rattle member
US8163256B2 (en) Pipette tip mounting and ejection assembly and associated pipette tip
EP2099332B1 (en) Connection system
EP1122486A1 (en) Tripod
US8043020B2 (en) Coupling structure of a telescopic rod
US20060219280A1 (en) Walker foot
US7731139B2 (en) Suction device and suppor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0488770B1 (ko)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JPH02174942A (ja) ピペット装置
US6810561B1 (en) On a wheel of a rack
US7320666B2 (en) Fulcrum wedge clamp
KR200430967Y1 (ko) 조립식 지팡이
CN208545799U (zh) 移动架和升降杆
KR102209180B1 (ko) 높이 조절 포스트
US20200011037A1 (en) Pop-up Drain Stopper Linkage Assembly
EP0812992A1 (en) Integral snap button and anti-rattle member
KR200177055Y1 (ko) 가구용 높이 조절 기구
EP4159938A1 (en) Movable frame
KR100383229B1 (ko) 등산용 지팡이의 조립장치
CN220957780U (zh) 一种具有强适用性的测绘仪器
KR200390297Y1 (ko) 가구의 글라이더
CN210204625U (zh) 一种连接杆组件及手持式清洁装置
KR880001049Y1 (ko) 컴퓨터용 모니터의 고정장치
KR200488005Y1 (ko) 전구 교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