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205A - 폴샤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폴샤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205A
KR20150111205A KR1020140034842A KR20140034842A KR20150111205A KR 20150111205 A KR20150111205 A KR 20150111205A KR 1020140034842 A KR1020140034842 A KR 1020140034842A KR 20140034842 A KR20140034842 A KR 20140034842A KR 20150111205 A KR20150111205 A KR 20150111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xtension
fixed
fixing member
ou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886B1 (ko
Inventor
황선호
Original Assignee
황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호 filed Critical 황선호
Priority to KR102014003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8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7/00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샤프트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아우터샤프트 및 이너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한 후 이너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이너샤프트를 상기 아우터샤프트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조임링이 확장부재의 외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확장부재의 확장부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고정부재 및 확장부재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샤프트 장치{Pole shaft apparatus}
본 발명은 폴샤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길이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폴샤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바쁜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야외로 나가서 산책이나 등산 등을 즐기면서 생활의 활력을 재충전하고,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레져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날로 많아지고 있는데, 야외에 나가서 오랜 시간동안 걷게 되므로 등산뿐만 아니라 평평한 지역에서도 보행 보조용구인 스틱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스틱과 같은 장치는 복수개의 샤프트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신장에 대응하기 위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틱은 길이 조절 후 강한 하중이 가해졌을 때, 하중에 의해 슬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55762
본 발명은 간편하게 길이조절을 수행할 수 있고, 강한 외력에 대해서도 견고하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폴샤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아우터샤프트(10);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너샤프트(20); 상기 이너샤프트(20)의 단측에 고정된 고정부재(30); 및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30)와 결합될 때, 상기 고정부재(30)에 의해 확장되어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확장부재(40);를 포함하는 폴샤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이너샤프트(20)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결합홈(32)이 형성된 고정바디(31); 상기 고정바디(31)에서 상기 확장부재(4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재(4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확장부재(40)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고정결합부(33); 상기 고정결합부(33)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재(40)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산(34); 상기 고정결합부(36)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 및 확장부재(40)의 결합 시, 상기 확장부재(40)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어 변형시키는 경사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재(40)는 내측에 확장중공(41)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장구형태로 형성된 확장바디(60); 상기 확장바디(60)의 고정부재(30) 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30)와의 결합 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는 확장부(62); 상기 확장바디(60)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재(30)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64); 및 상기 확장중공(41)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나사산(34)과 치합되는 확장나사산(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62)의 외주에는 상기 확장부(62)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조임링(66)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64)의 외주에는 상기 아우터샤프트(10)에 밀착되는 밀착링(68)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샤프트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아우터샤프트 및 이너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한 후 이너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이너샤프트를 상기 아우터샤프트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샤프트장치는 조임링이 확장부재의 외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확장부재의 확장부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고정부재 및 확장부재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폴샤프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측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재 및 확장부재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다른 측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D-D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좌측면도
도 14는 도 11의 우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폴샤프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재 및 확장부재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다른 측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D-D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좌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우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폴샤프트 장치는 아우터샤프트(10)와,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너샤프트(20)와, 상기 이너샤프트(20)의 단측에 고정된 고정부재(30)와,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30)에 의해 확장되어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확장부재(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및 이너샤프트(20)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명칭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샤프트가 배치되는 경우 중간에 배치된 샤프트는 아우터샤프트의 기능 및 이너샤프트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래서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및 이너샤프트(20)는 2단으로 형성된 최소한의 구성을 위한 명칭이고, 설계에 따라 보다 많은 수의 다단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아우터샤프트(10)는 긴 관의 형태로 형성되고, 단측에 삼각대, 파라솔 등에 연결되기 위한 접속구(5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폴샤프트 장치는 청소용구의 밀대, 등산용 스틱 등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너샤프트(20)는 긴 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샤프트(10)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이너샤프트(20)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부재(30)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결합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이너샤프트(20)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결합홈(32)이 형성된 고정바디(31)와, 상기 고정바디(31)에서 상기 확장부재(4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재(4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확장부재(40)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고정결합부(33)와, 상기 고정결합부(33)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재(40)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산(3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결합부(33)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경사부(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36)의 외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30)는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확장부재(40)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확장부재(40)를 확장시켜 상기 아우터샤프트(10)에 밀착시킨다.
상기 확장부재(40)는 내측에 확장중공(41)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장구형태로 형성된 확장바디(60)와, 상기 확장바디(60)의 고정부재(30) 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30)와의 결합 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는 확장부(62)와, 상기 확장바디(60)의 고정부재(30)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64)와, 상기 확장중공(41)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나사산(34)과 치합되는 확장나사산(4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디(60)는 전체적인 형태가 장구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 부분의 직경이 작고, 양측이 직경이 큰게 형성된다.
여기서 직경이 큰 부분 중 일측은 상기 확장부재(40)와 결합되고, 상기 확장부재(40)에 의해 밀려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 확장되는 다수개의 확장부(62)가 형성되고, 상기 직경이 큰 부분 중 타측은 상기 아우터샤프트(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62)의 외주에는 상기 확장부(62)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조임링(66)이 결합되고, 상기 밀착부(64)의 외주에는 상기 아우터샤프트(10)에 밀착되는 밀착링(68)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6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조임링(66)이 결합되는 조임링홈(63)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64)의 외주면에는 상기 밀착링(68)이 결합되는 밀착링홈(65)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확장부(62)는 상기 확장부재(40)의 축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느 8개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링(66)은 복수개의 확장부(62)를 모두 연결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62) 및 밀착부(64)에는 상기 확장부재(40)의 축방향으로 삽입홈(67)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링(66) 및 밀착링(68)은 상기 삽입홈(67)을 통해 상기 확장부(62) 및 밀착부(64)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확장부(62)에 형성된 삽입홈(67)은 복수개의 확장부(6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조임링(66) 및 밀착링(68)은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C"자 형태로 형성된 링바디(69)와, 상기 링바디(69)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67)에 삽입되는 삽입돌기(61)을 포함한다.
상기 조임링(66) 및 밀착링(68)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62) 및 밀착부(64)에 결합된 후 상기 확장부재(4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0) 및 상기 확장부재(40)의 결합 시, 상기 고정결합부(33)가 상기 확장중공(41) 내부로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어, 상기 경사부(36)가 상기 확장부(62)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시킨다.
이때, 상기 확장부(62) 외측에 결합된 상기 조임링(66)이 상기 확장부(62)를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확장부(62) 및 경사부(36)를 밀착시키고, 상기 조임링(66)은 점진적으로 반경이 증가되면서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측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조임링(66) 및 밀착링(68)이 확장부재(40)에 조립될 때,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삽입홈(67)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한편, 결합을 해제할 경우에는 상기 이너샤프트(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결합부(33)를 확장부재(40)에서 후퇴시키면, 상기 조임링(66)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아우터샤프트(10)와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아우터샤프트 20 : 이너샤프트
30 : 고정부재 31 : 고정바디
33: 고정결합부 34 : 고정나사산
36 : 경삿부 40 : 확장부재
44 : 확장나사산 60 : 확장바디
61 : 삽입돌기 62 : 확장부
63 : 조임링홈 64 : 밀착부
65 : 밀착링홈 66 : 조임링
67 : 삽입홈 68 : 밀착링
69 : 링바디

Claims (5)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아우터샤프트(10);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너샤프트(20); 상기 이너샤프트(20)의 단측에 고정된 고정부재(30); 및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30)와 결합될 때, 상기 고정부재(30)에 의해 확장되어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확장부재(40);를 포함하는 폴샤프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이너샤프트(20)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결합홈(32)이 형성된 고정바디(31);
    상기 고정바디(31)에서 상기 확장부재(4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재(4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확장부재(40)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고정결합부(33);
    상기 고정결합부(33)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재(40)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산(34);
    상기 고정결합부(36)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 및 확장부재(40)의 결합 시, 상기 확장부재(40)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어 변형시키는 경사부(36);를 더 포함하는 폴샤프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40)는
    내측에 확장중공(41)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장구형태로 형성된 확장바디(60);
    상기 확장바디(60)의 고정부재(30) 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30)와의 결합 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는 확장부(62);
    상기 확장바디(60)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재(30)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샤프트(10)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64); 및
    상기 확장중공(41)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나사산(34)과 치합되는 확장나사산(44)을 포함하는 폴샤프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62)의 외주에는 상기 확장부(62)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조임링(66)이 결합된 폴샤프트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64)의 외주에는 상기 아우터샤프트(10)에 밀착되는 밀착링(68)이 결합된 폴샤프트 장치.
KR1020140034842A 2014-03-25 2014-03-25 폴샤프트 장치 KR101602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42A KR101602886B1 (ko) 2014-03-25 2014-03-25 폴샤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42A KR101602886B1 (ko) 2014-03-25 2014-03-25 폴샤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05A true KR20150111205A (ko) 2015-10-05
KR101602886B1 KR101602886B1 (ko) 2016-03-11

Family

ID=5434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842A KR101602886B1 (ko) 2014-03-25 2014-03-25 폴샤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8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439U (ko) * 1998-08-19 1998-11-25 이일훈 슬라이딩 기능을 갖는 휴대용 폴
KR200340353Y1 (ko) * 2003-10-21 2004-02-11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지팡이의 길이조절장치
KR20050026734A (ko) * 2003-09-06 2005-03-16 라제건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US20060204322A1 (en) * 2003-12-15 2006-09-14 Thomas Roiser Clamp device for telescopic tubes inserted one in the other
KR20120055762A (ko) 2010-11-22 2012-06-01 임영찬 자동길이조절 스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439U (ko) * 1998-08-19 1998-11-25 이일훈 슬라이딩 기능을 갖는 휴대용 폴
KR20050026734A (ko) * 2003-09-06 2005-03-16 라제건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KR200340353Y1 (ko) * 2003-10-21 2004-02-11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지팡이의 길이조절장치
US20060204322A1 (en) * 2003-12-15 2006-09-14 Thomas Roiser Clamp device for telescopic tubes inserted one in the other
KR20120055762A (ko) 2010-11-22 2012-06-01 임영찬 자동길이조절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886B1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17313A3 (en) Sleeve for speculum and use thereof
WO2016138443A3 (en) Surgical instrument with articulation region
EP4233740A3 (en) Humeral head implant system
TWD191128S (zh) 夾具
MY161776A (en) Rotationally actuated collet style tubular connection
US20150320195A1 (en) Collapsible Table and Method of Adjusting the Same
US20150282593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interchangeable product tips
SG10201801760QA (en) Connector
EP2905146A3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irless tire and rim and fastening members thereof
TWI260581B (en) Ringing tool for cheering
KR101602886B1 (ko) 폴샤프트 장치
TW201700899A (zh) 伸縮定位構造
US8769861B2 (en) Fishing pole with an adjustable length
KR101698530B1 (ko) 폴샤프트 장치
JP2009189666A (ja) 折畳み式ステッキの接続装置および折畳み式ステッキ
KR200430967Y1 (ko) 조립식 지팡이
CN210660900U (zh) 一种伸缩杆
KR101774528B1 (ko) 폴샤프트 장치
KR101539662B1 (ko) 이어핀을 이어폰에 고정시키기 위한 링
WO2019212340A3 (en) Nut for a parasol foot and assembly
KR10144717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관체
KR101579010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팡이
USD925051S1 (en) Massage device
GB2541670A (en) Elongate article with rigid and flexible configurations
CN204062505U (zh) 一种可相互连接的荧光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