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999Y1 -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999Y1
KR200465999Y1 KR2020110003095U KR20110003095U KR200465999Y1 KR 200465999 Y1 KR200465999 Y1 KR 200465999Y1 KR 2020110003095 U KR2020110003095 U KR 2020110003095U KR 20110003095 U KR20110003095 U KR 20110003095U KR 200465999 Y1 KR200465999 Y1 KR 200465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oving member
fastening part
stick
low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253U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 민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민성정밀 filed Critical (주) 민성정밀
Priority to KR2020110003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99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9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6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also serviceable for other purposes, e.g. to be used as spade, chair, ski-stick
    • F16M13/08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also serviceable for other purposes, e.g. to be used as spade, chair, ski-stick for use as a walking-ca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상부관 및 하부관을 포함한 다수의 관이 상호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길이가 가변되는 스틱에 있어서, 상부관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부재; 일부가 삽입되어 감싸게 배치되는 제1분할체와 제2분할체 및, 제1분할체와 제2분할체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가압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이동부재에 의해 확장되는 가압부재는 상호 분할되어 벌어지기 때문에 확장범위가 최대한으로 향상된다.

Description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Fixture of stick for adjustable length}
본 고안은 길이가 가변되는 스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2단 이상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스틱에서 필요한 만큼의 길이로 조정된 후, 그 길이가 고정 및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스틱에 장착된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팡이 즉, 스틱은 이용자의 걷기운동을 보조하는 기구로서, 사용처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길이 가변형 스틱에는 대부분 등산 및 스키용 등의 스포츠 활동을 위한 용도로 제작된다. 또한, 길이 가변형 스틱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관(pipe)이 상호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되고, 삽입 또는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관들의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고정구는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는 가압부재에 이동부재가 삽입되어 왕복 이동되면 가압부재의 일단부가 확장되거나 복귀하면서 관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이루어졌다. 여기서, 가압부재는 대략 원기둥형상이면서 확장되는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절개홈이 형성된 일단부가 이동부재의 왕복이동에 의해 확장 또는 복귀되면서 관의 내면과 밀착 또는 밀착해제됨으로써 관들이 상호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되어 스틱의 길이가 가변되어 고정되었다.
하지만, 가압부재의 일부위만 확장 또는 복귀되기 때문에 확장범위가 한정됨은 물론 관의 내면과의 밀착면적이 협소하기 때문에 순간 외력이 가압부재와 관의 밀착력을 극복하게 되면 스틱의 길이가 의도치 않게 변하게 되었다.
또한, 가압부재의 확장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절개홈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가압부재가 장시간 반복적으로 확장 및 복귀되면 피로도가 상승하면서 파손의 위험 역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압부재가 분할체로 제작됨으로써,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한 가압부재의 확장범위가 확대되고, 관의 내면과의 밀착면적이 향상되는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는, 상부관 및 하부관을 포함한 다수의 관이 상호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길이가 가변되는 스틱에 있어서, 상부관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하부관의 상부관측 일단부에 장착되는 이동부재; 이동부재에 의해 상부관 내면과 밀착 또는 밀착해제를 위해 확장되거나 또는 복귀하도록 이동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감싸게 배치되는 제1분할체와 제2분할체 및, 제1분할체와 제2분할체의 상호 인접된 일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편을 포함하는 가압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동부재는, 하부관에 끼워지는 길이를 제한하도록 외향 돌출된 제한턱 및, 하부관의 끼워지는 일단부에 내향 돌출된 걸림돌기와 정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고정부; 고정부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외면에 형성된 제1체결부; 제1체결부의 끝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 및 이탈방지돌기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고, 테이퍼형상의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가압면을 포함하는 제1가압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한턱의 높이는 제한턱까지 끼워진 하부관의 외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아 상부관에 삽입되는 정도이다.
또한, 고정부의 외면에는 하부관에 회전하면서 끼워지도록 하부관의 일단부에 내향 돌출된 결합돌기가 정합되고,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이 더 형성된다.
가압부재에는 제1분할체와 제2분할체가 이동부재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호 접혀진 형상에서, 제1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내면에 형성된 제2체결부; 이동부재가 제1체결부과 제2체결부를 통해 후퇴하면 이탈방지돌기와 접촉되어 이동부재가 가압부재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제2체결부의 끝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턱; 이동부재가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을을 통해 전진하면 제1가압면과 접촉되어 외향으로 밀리도록 형성된 테이퍼형상의 제2가압면과, 제2가압면이 형성된 부위가 확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제2가압부; 및 가압부재의 일단면이면서 제2체결부의 끝단에 형성된 삽입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삽입구의 내경은 제한턱의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이동부재에 의해 확장되는 가압부재는 상호 분할되어 벌어지기 때문에 확장범위가 최대한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재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 및 제한턱이 가압부재에 형성된 이탈방지턱 및 일단면과 간섭되어 이동부재와 가압부재의 분리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압부재의 펼쳐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구가 스틱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구가 길이 가변형 스틱에 장착되어 작동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구성>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압부재의 펼쳐진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구가 스틱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100)는 이동부재(200), 가압부재(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동부재(200)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210)와, 제1체결부(220)와, 이탈방지돌기(230) 및, 제1가압부(2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동부재(200)의 고정부(210)는 하부관(20)에 끼워져 결합되는 부위로, 제한턱(211)과, 다수의 걸림홈(212) 및, 결합홈(213)이 형성된다.
고정부(210)의 제한턱(211)은 하부관(20)이 끼워지는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고정부(210)의 제1체결부(220)측 끝단에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한턱(211)의 높이는 제한턱(211)까지 끼워진 하부관(20)의 외면과 동일하거나 더 낮아 상부관(10)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즉, 제한턱(211)의 높이는 대략 하부관(20)의 두께 정도 이하로 형성된다.
고정부(210)의 걸림홈(212)은 하부관(20)의 일단부에 내향 돌출된 걸림돌기(21)와 정합되도록 형성된다. 이 걸림홈(212)은 고정부(21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부(210)의 결합홈(213)은 고정부(210)가 하부관(20)에 삽입되어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때 결합해제를 어렵게 하기 위해 회전하면서 끼워지도록 고정부(210)의 외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 물론, 결합홈(213)에 정합되어 안내되도록 하부관(20)의 내면에 결합돌기(22)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또한, 이동부재(200)의 제1체결부(220)는 후술될 가압부재(300)의 제2체결부(340)와 치합되도록 고정부(210)의 제한턱(211)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갖도록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부재(200)의 왕복 이동은 제1체결부(220)와 제2체결부(340)의 치합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체결부(220)와 제2체결부(340)의 체결은 제1체결부(220)를 제2체결부(340)에 끼워서 전진시킨 후 회전하여 걸리도록 이루어진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부재(200)의 이탈방지돌기(230)는 가압부재(300)에 대해 회전 이동하는 이동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될 가압부재(300)의 이탈방지턱(350)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이탈방지돌기(230)는 도면상에서 이동부재(200)가 하향으로 회전 이동할 때, 가압부재(300)로부터 이동부재(200)가 하향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동부재(200)의 제1가압부(240)는 테이퍼형상의 제1가압면(241)을 포함하고, 후술될 가압부재(300)의 제2가압부(360)를 외향으로 확장시키도록 형성된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동부재(200)가 회전 이동하여 도면상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면, 제1가압면(241)이 후술될 가압부재(300)의 제2가압부(360)가 상부관(10)의 내면에 밀착되게 확장되도록 제2가압면(361)를 가압하는 부위이다. 여기서, 제1가압부(240)에는 이탈방지돌기(230)와 제1가압면(241) 사이에 평평한 제1평면(242)이 형성된다.
한편, 가압부재(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가 연결편(330)에 의해 이어지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연결편(330)이 꺽이면서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가 상호 대응되도록 접히게 되면 대략 중공을 갖는 원기둥형상이 된다. 이때,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는 제2체결부(340)가 제1체결부(220)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가압부재(300)를 설명하는데 이해하기 쉽도록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가 접힌 상태를 기초로 설명한다. 가압부재(300)는 제2체결부(340)와, 이탈방지턱(350)과, 제2가압부(360) 및, 삽입구(37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가압부재(300)의 제2체결부(340)는 이동부재(200)의 제1체결부(220)와 치합되도록 하부관(20)측 일단에서 일정 길이로 내면에 형성된다. 이때, 이동부재(200)의 왕복 이동은 제1체결부(220)와 제2체결부(340)의 치합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체결부(220)와 제2체결부(340)는 치합을 위해 각각 암나사 또는 수나사로 이루어진다.
가압부재(300)의 이탈방지턱(350)은 제2체결부(340)의 끝단에 형성되고, 이동부재(200)의 이탈방지돌기(230)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이동부재(200)가 제1체결부(220)와 제2체결부(340)에 대해 도면상에서 하향으로 회전 이동할 때, 이동부재(200)가 가압부재(300)로부터 하향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돌기(230)와 접촉되는 부재이다.
가압부재(300)의 제2가압부(360)는 테이퍼형상의 제2가압면(361)을 포함하고, 이동부재(200)의 제1가압부(240)에 의해 외향으로 확장되는 부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가압부(360)는 이동부재(200)가 회전 이동하여 도면상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면, 제2가압면(361)이 제1가압면(241)과 접촉되고, 이로 인해 상부관(10)의 내면에 밀착되게 확장되는 부위이다. 여기서, 제2가압부(360)에는 이탈방지턱(350)과 제2가압면(361) 사이에 제2평면(362)이 형성된다. 또한, 제2가압부(360)에는 제2가압부(360)가 외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절개부(363)가 더 포함된다. 절개부(363)는 평면상 대략 십자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방사상 형상으로 더 많은 절개부(36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가압부(360)은 도 2에서와 같이 제2가압면(361)으로부터 연장된 부위가 더 형성되고, 이는 상부관(10)의 내면과의 밀착면적을 더 넓히기 위함이다.
가압부재(300)의 삽입구(370)는 가압부재(300)의 이동부재(200)측 단면이면서 제2체결부(340)의 끝단에 형성된다. 또한, 삽입구(370)은 도 2에서처럼,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직사각형으로 보이지만,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가 합체된 상태에서는 도 1에서처럼 원형이 된다. 또한, 삽입구(370)의 내경은 제2체결부(34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크고, 제한턱(211)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결합>
이하에서는, 상부관(10), 하부관(20), 이동부재(200) 및, 가압부재(30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관(10)과 하부관(20), 이동부재(200)와 하부관(20) 및 이동부재(200)와 가압부재(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하부관(20)의 일단부에 이동부재(200)의 고정부(210)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고정부(210)에 형성된 사선의 결합홈(213)에 하부관(20)의 내향 돌출된 결합돌기(22)가 정합되면, 하부관(20)이 회전하면서 제한턱(211)까지 삽입되고, 하부관(20)에 형성된 걸림돌기(21)가 고정부(210)의 걸림홈(212)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하부관(20)의 회전은 결합돌기(22)가 사선의 결합홈(213)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발생된다.
다음으로, 이동부재(200)의 제1체결부(220)가 가압부재(300)의 제2체결부(340)와 치합되도록 이동부재(200)와 가압부재(300)가 체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가압부재(300)의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가 반쯤 접혀진 상태에서 삽입구(370)를 통해 제1체결부(220)가 삽입되어 제2체결부(340)와 치합된다. 이때, 제1가압면(241)과 제2가압면(361)의 접촉이 회피된 상태로 제1가압부(240)가 제2가압부(360)에 수용된다.
이후,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가 완전히 접혀 제2체결부(340)에 제1체결부(220)가 치합되면서 감싸도록 배치되면, 하부관(20)과 더불어 가압부재(300) 및 이동부재(200)가 상부관(10)에 삽입된다.
이로써, 이동부재(200), 가압부재(300)와 더불어 하부관(20)과 상부관(10)의 체결이 완료된다.
<분리>
이하에서는 상부관(10), 하부관(20), 이동부재(200) 및, 가압부재(300)의 분리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관(10)과 하부관(20), 이동부재(200)와 하부관(20) 및 이동부재(200)와 가압부재(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설명한다. 상부관(10)에 이동부재(200)와 가압부재(300)가 장착된 하부관(20)이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관(20)이 상부관(10)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가압부재(300)의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가 반쯤 펼쳐지면, 제1체결부(220)와 제2체결부(340)의 치합이 해제되고, 가압부재(300)로부터 이동부재(200)가 삽입구(370)를 통해 분리된다.
이후, 이동부재(200)가 회전되면서 하부관(2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이동부재(200)의 걸림홈(212)과 하부관(20)의 걸림돌기(21)의 걸합력을 극복할 만큼의 외력이 제공되면서 결합홈(213)을 따라 회전되어 이동부재(200)와 하부관(20)이 분리된다.
이로써, 이동부재(200), 가압부재(300)와 더불어 하부관(20)과 상부관(10)의 분리가 완료된다.
<작동>
이하에서는 상부관(10)과 하부관(20), 이동부재(200)와 하부관(20) 및 이동부재(200)와 가압부재(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관(10)이 하부관(20)에 삽입되어 길이가 가변되고, 이동부재(200), 가압부재(300)에 의해 가변된 길이가 고정 및 유지되는 작동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론, 이동부재(200)와 가압부재(300) 만으로도 상부관(10)과 하부관(20)의 길이 가변 및 고정이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고정구가 길이 가변형 스틱에 장착되어 작동되는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4a에는 이동부재(200)가 후퇴되어 제1가압면(241)과 제2가압면(361)의 접촉이 회피되면서 가압부재(300)와 상부관(10)의 내면밀착이 해제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하부관(20)이 상부관(10)으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는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부재(200)가 후퇴하게 되면 이동부재(200)의 하면이 제한턱(211)에 접촉되어 후퇴를 제한하게 된다. 또한,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를 잇는 연결편(330)이 도 1에서와 같이 하향으로 접혀졌을 때, 연결편(330)의 접힌 부분과 제한턱(211)이 접촉됨으로써, 이동부재(200)의 후퇴가 제한된다.
다음으로, 하부관(20)이 상부관(10)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상부관(10)과 하부관(20)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에서 하부관(20)을 상부관(10)에 대해 회전시키게 된다. 하부관(20)의 회전과 더불어 이동부재(200)가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되면, 제1가압면(241)이 제2가압면(361)을 가압하게 되고, 제2가압면(361)이 형성된 제2가압부(360)가 확장되면서 상부관(10)의 내면과 밀착하게 된다. 이때, 제2가압부(360)가 확장되면,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 역시 상호 분리되면서 확장되어 상부관(10)의 내면과 밀착하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제2가압부(360)와 더불어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의 밀착으로, 길이가 가변된 하부관(20)과 상부관(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고정력은 종래의 일부위만 상부관의 내면에 밀착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당연히 월등히 높다. 또한, 이동부재(200)의 전진은 제2가압부(360)와 상부관(10)이 밀착되어 견고히 고정되면 멈추게 된다. 물론, 이동부재(200)가 최대 전진된 상태에서 제2가압부(360)는 물론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가 확장되어 상부관(1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제1체결부(220)와 제2체결부(340)의 치합은 유지된다.
이로써, 고정구(100)의 작동에 따라 상부관(10) 및 하부관(20)의 전체 길이를 가변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상부관 11...제2결합부,
20...하부관 21...걸림돌기,
22...결합돌기 100...고정구,
200...이동부재 210...고정부,
220...제1체결부 230...이탈방지돌기,
240...제1가압부 300...가압부재,
310, 320...제1,2분할체 330...연결편,
340..제2체결부 350...이탈방지턱,
360...제2가압부 370...삽입구.

Claims (6)

  1. 상부관(10) 및 하부관(20)을 포함한 다수의 관이 상호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길이가 가변되는 스틱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10)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상기 하부관(20)의 상기 상부관(10)측 일단부에 장착되는 이동부재(200); 및
    상기 이동부재(200)에 의해 상기 상부관(10) 내면과 밀착 또는 밀착해제를 위해 확장되거나 또는 복귀하도록 상기 이동부재(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감싸게 배치되는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 및, 상기 제1분할체(310)와 제2분할체(320)의 상호 인접된 일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편(330)을 포함하는 가압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200)는,
    상기 하부관(20)에 끼워지는 길이를 제한하도록 외향 돌출된 제한턱(211) 및, 상기 하부관(20)의 끼워지는 일단부에 내향 돌출된 걸림돌기(21)와 정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12)을 포함하는 고정부(210);
    상기 고정부(210)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외면에 형성된 제1체결부(220);
    상기 제1체결부(220)의 끝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30); 및
    상기 이탈방지돌기(230)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고, 테이퍼형상의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가압면(241)을 포함하는 제1가압부(2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턱(211)의 높이는 상기 제한턱(211)까지 끼워진 하부관(20)의 외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아 상기 상부관(10)에 삽입되는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의 외면에는 상기 하부관(20)에 회전하면서 끼워지도록 상기 하부관(20)의 일단부에 내향 돌출된 결합돌기(22)가 정합되고,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21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300)에는 상기 제1분할체(310)와 상기 제2분할체(320)가 이동부재(200)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호 접혀진 형상에서,
    상기 제1체결부(220)와 체결되도록 내면에 형성된 제2체결부(340);
    상기 이동부재(200)가 상기 제1체결부(220)과 상기 제2체결부(340)를 통해 후퇴하면 상기 이탈방지돌기(230)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부재(200)가 상기 가압부재(30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체결부(340)의 끝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턱(350);
    상기 이동부재(200)가 상기 제1체결부(220)와 상기 제2체결부(340)을을 통해 전진하면 상기 제1가압면(241)과 접촉되어 외향으로 밀리도록 형성된 테이퍼형상의 제2가압면(361)과, 상기 제2가압면(361)이 형성된 부위가 확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개부(363)를 포함하는 제2가압부(360); 및
    상기 가압부재(300)의 일단면이면서 상기 제2체결부(340)의 끝단에 형성된 삽입구(37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370)의 내경은 상기 제한턱(211)의 외경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KR2020110003095U 2011-04-12 2011-04-12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KR200465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095U KR200465999Y1 (ko) 2011-04-12 2011-04-12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095U KR200465999Y1 (ko) 2011-04-12 2011-04-12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53U KR20120007253U (ko) 2012-10-22
KR200465999Y1 true KR200465999Y1 (ko) 2013-04-05

Family

ID=4751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095U KR200465999Y1 (ko) 2011-04-12 2011-04-12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9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30B1 (ko) * 2015-04-01 2017-01-20 황선호 폴샤프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348Y1 (ko) * 1988-11-07 1991-05-20 지연자 포올(pole)거리 조절구
KR100383229B1 (ko) * 2001-03-15 2003-05-12 라제건 등산용 지팡이의 조립장치
KR20050026734A (ko) * 2003-09-06 2005-03-16 라제건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KR101028165B1 (ko) 2010-08-25 2011-04-08 주식회사 지앤드에이엠티 파이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348Y1 (ko) * 1988-11-07 1991-05-20 지연자 포올(pole)거리 조절구
KR100383229B1 (ko) * 2001-03-15 2003-05-12 라제건 등산용 지팡이의 조립장치
KR20050026734A (ko) * 2003-09-06 2005-03-16 라제건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KR101028165B1 (ko) 2010-08-25 2011-04-08 주식회사 지앤드에이엠티 파이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53U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21790A5 (ko)
US20220373012A1 (en) Plastic anchor for drywall, plaster, brick and concrete
US20160002949A1 (en) Collapsible Gazebo Frame with Single Activation Feature
US11071362B2 (en) Adjustable and retractable rod apparatus
EP2893831B1 (en) Retractable structure of umbrella rib
KR101366722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10986903B2 (en) Walking stick
US11140955B2 (en) Locking mechanism for foldable pole and foldable pole
KR101235960B1 (ko) 우산용 러너 고정 디바이스
CN104728230B (zh) 一种伸缩管结构
KR200465999Y1 (ko) 길이 가변형 스틱의 고정구
RU2616991C2 (ru) Безопасный шприц
KR101031537B1 (ko)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연결관 절첩구조
JP3112709U (ja) 伸縮パイプ構造
CN206234588U (zh) 同心伸缩杆
CN205640134U (zh) 伸缩杆及可伸缩的自拍装置
US9364058B1 (en) Telescopic stick mechanism for automatic umbrella
KR200430967Y1 (ko) 조립식 지팡이
KR200483476Y1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US20140373886A1 (en) Contraction structure of center post of self-opening umbrella
RU2794458C2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и втягиваемое стержн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JP5025706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JP5824174B1 (ja) 伸縮機能付きステッキ
KR200476588Y1 (ko) 다단 파이프 인출식 지팡이의 이중 고정장치
US20030221714A1 (en) Umbre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