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05Y1 - 전구 교체 장치 - Google Patents

전구 교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005Y1
KR200488005Y1 KR2020170002316U KR20170002316U KR200488005Y1 KR 200488005 Y1 KR200488005 Y1 KR 200488005Y1 KR 2020170002316 U KR2020170002316 U KR 2020170002316U KR 20170002316 U KR20170002316 U KR 20170002316U KR 200488005 Y1 KR200488005 Y1 KR 200488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bulb
variable body
diamet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255U (ko
Inventor
백정훈
Original Assignee
백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훈 filed Critical 백정훈
Priority to KR2020170002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00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4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changing light source, e.g. turr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3/00Apparatus or processes adapted to the manufacture, installing, removal, or maintenance of incandescent lamps or parts thereof
    • H01K3/32Auxiliary devices for cleaning, placing, or removing incandescent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직경이 크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의 전구 파지부와, 상기 전구 파지부와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변 몸체부와, 상기 가변 몸체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몸체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구 파지부가 전구에 접촉된 후에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전구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구 교체 장치{Bulb change device}
본 고안은 전구 교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높은 곳에 설치된 전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전구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구는 대개 천장과 같이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구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의자 등을 놓고 직접 의자에 올라선 상태로 전구를 교체하고 있어 전구의 교체작업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여성들의 경우 전기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체에 많은 위험부담과 함께 높은 곳에 올라 작업을 함으로 정신적인 불안으로 의자에서 낙상을 하거나 또는 전구와 함께 바닥에 떨어져 안전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축공사장 또는 업소 사무실의 실내장식을 바꿀 때에 많은 전구를 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소켓위치로 사다리를 이동하고 여기에 올라 전구를 체결하게 됨으로 많은 작업시간과 함께 작업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05577호
본 고안은 높은 곳에 설치된 전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전구 교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부 직경이 크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의 전구 파지부와, 상기 전구 파지부와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변 몸체부와, 상기 가변 몸체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몸체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구 파지부가 전구에 접촉된 후에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전구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교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변 몸체부는 상기 봉 형상인 상부 가변 몸체부재와, 상기 상부 가변 몸체부재가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하부 가변 몸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변 몸체부재는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에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를 받아서 상기 오목홈의 내측에 위치되는 만곡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변 몸체부재에는 상기 만곡돌기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구 파지부는 상부의 직경이 크고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부분과, 상기 깔때기부분과 길이 가변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진공 흡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 흡착부는 상기 깔때기부분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결되는 배출 통로와, 상기 배출 통로에 형성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온오프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오프 버튼부의 온 버튼을 누르면 진공 펌프가 작동되어 배출 통로를 통하여 전구와 깔때기부분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파지부 전동 회전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 전동 회전부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온오프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오프 버튼부의 온 버튼을 누르면 구동부를 통해 기어부를 작동시켜서 깔때기부분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깔때기부분에 전구와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 재질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 또는 복수개의 돌출 막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깔때기부분은 하부에 결합나사부분이 형성된 큰 깔때기부분과 작은 깔때기부분으로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나사부분과 결합되는 결합나사홈이 형성되며, 큰 깔때기부분이 형성된 상태에서 작은 전구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 큰 깔때기부분을 회전시켜서 결합나사부분을 결합나사홈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작은 깔때기부분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깔때기부분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깔때기 상부 부재와, 상기 깔때기 상부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탄성판 부재 및, 상기 탄성판 부재와 연결되는 깔때기 하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 상부 부재의 하부 직경은 깔때기 하부 부재의 상부 직경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연결 탄성판 부재는 힘이 가해지면 탄성 범위 내에서 휘어지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깔때기부분은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와, 상기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와 연결되는 깔때기 고정 하부 부재 및 상기 깔때기 고정 하부 부재의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의 하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수직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가 교체할려고 하는 전구에 비해 큰 경우에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를 수직 로드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깔때기 고정 하부 부재가 전구에 접하도록 하여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깔때기부분은 깔때기부분 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접철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철부재는 중앙접철부와, 상기 중앙접철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접철부와, 상기 중앙접철부와 측면접철부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힌지핀 및, 상기 측면접철부와 인접한 깔때기부분 몸체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힌지핀을 포함하며, 작은 전구를 교체할 때는 접철부재가 접철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가변 몸체부의 하부 가변 몸체부재와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높은 천장에 설치된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난 전구를 사다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부 가변 몸체부재를 하부 가변 몸체부재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가 필요한 높이만큼 상부 가변 몸체부재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만곡돌기부를 관통구멍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부 가변 몸체부재를 하부 가변 몸체부재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깔때기부분의 내측에 전구와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마찰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깔때기부분의 내측에 복수개의 돌출 막대부가 형성되어 전구와 마찰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깔때기부분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조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깔때기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수동으로 전구 교체 장치 전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온오프 버튼부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전구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제1변형 깔때기부분의 구조를 통하여 큰 전구나 작은 전구 모두에 적용가능한 전구 교체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제2변형 깔때기부분을 통하여 작은 전구를 교체할 경우에 수직 로드를 따라서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은 전구의 교체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제3변형 깔때기부분의 접철 구조를 통하여 전구의 크기와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전구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구 교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구 교체 장치를 이용하여 전구를 교체하기 전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에서 전구 교체 장치를 이용하여 전구를 돌리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 과정을 통하여 전구를 소켓에서 분리하여 아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가변 몸체부의 길이 조절 부재가 형성된 상태에서 가변 몸체부를 분리한 개략 분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 가변 몸체부를 합체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서 깔때기부분이 회전되는 구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6의 (a)는 깔때기부분의 내측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깔때기부분의 내측에 복수개의 돌출 막대부가 형성된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연결부재에 진공 펌프 구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큰 깔때기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큰 깔때기부분을 연결부재에서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8의 (c)는 작은 깔때기부분을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전구의 직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제1변형 깔때기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 상태에서 제1변형 깔때기부분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깔때기 상부 부재가 작은 전구의 둘레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10의 (b)는 깔때기 상부 부재가 눌리면서 연결 탄성판 부재가 휘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10의 (c)는 깔때기 상부 부재가 뒤집혀지면서 연결 탄성판 부재도 완전히 꺾인 상태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10의 (d)는 깔때기 하부 부재가 작은 전구의 둘레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전구의 직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제2변형 깔때기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서 깔때기 상부 부분이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11의 (c)는 도 11의 (b)에 대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의 (a)는 전구의 직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제3변형 깔때기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 상태에서 직경이 감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12의 (c)는 도 12의 (a)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 정면도이고, 도 12의 (d)는 도 12의 (b)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 정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의 손잡이부를 변형한 변형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투입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전구 교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구 교체 장치를 이용하여 전구를 교체하기 전의 개략 정면도이며, 도 3의 (a)는 도 2에서 전구 교체 장치를 이용하여 전구를 돌리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 과정을 통하여 전구를 소켓에서 분리하여 아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본 고안인 전구 교체 장치(100)는 도 1과 같이 개략 깔때기 형상의 전구 파지부(200)와, 상기 전구 파지부(200)와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변 몸체부(300)와, 상기 가변 몸체부(300)와 연결되는 손잡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구 파지부(200)는 상부의 직경이 크고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부분(210)과, 상기 깔때기부분(210)과 길이 가변 몸체부(300)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깔때기부분(210)은 내측벽이 전구(110)의 표면과 마찰을 일으켜서 전구(1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 등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한다.
상기 가변 몸체부(300)는 상기 연결부재(220)와 연결되며 봉 형상인 상부 가변 몸체부재(310)와, 상기 상부 가변 몸체부재(310)가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하부 가변 몸체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가변 몸체부재(320)는 내측이 빈 원통형 형상이고 상부 가변 몸체부재(310)는 하부가 상기 하부 가변 몸체부재(320)의 내측으로 인출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가변 몸체부(300)의 길이가 변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구 교체 장치(100)는 도 2와 같이 교체가 필요한 전구(110)의 하부에서 깔때기부분(210)이 전구(110)에 접촉되도록 상방으로 이동된 후에 도 3의 (a)와 같이 전구(110)가 소켓(112)으로부터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서 전구(110)도 회전되면서 도 3의 (b)와 같이 풀리게 된다.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인 전구 교체 장치(100)는 높은 천장에 설치된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난 전구(110)를 사다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4의 (a)는 가변 몸체부의 길이 조절 부재가 형성된 상태에서 가변 몸체부를 분리한 개략 분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 가변 몸체부를 합체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가변 몸체부(300)에 도 4의 (a)와 같이 길이 조절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가변 몸체부재(310)의 하부에 오목홈(312)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312)에 스프링의 탄성부재(316)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316)에 지지를 받아서 상기 오목홈(312)의 내측에 위치되는 만곡돌기부(31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가변 몸체부재(310)에는 상기 오목홈(312)의 외측 둘레에 스톱퍼부분(318)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돌기부(314)에는 상기 스톱퍼부분(318)에 걸리는 플랜지부분(3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만곡돌기부(314)는 오목홈(312)의 내측에서 탄성부재(316)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으면서 플랜지부분(315)이 스톱퍼부분(318)에 접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가변 몸체부재(320)에는 상기 만곡돌기부(314)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322, 324, 326)이 하부에서 상부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고안은 도 4의 (b)와 같이 상부 가변 몸체부재(310)를 하부 가변 몸체부재(320)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가 필요한 높이만큼 상부 가변 몸체부재(31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만곡돌기부(314)를 관통구멍(322, 324, 326)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부 가변 몸체부재(310)를 하부 가변 몸체부재(320)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본 고안은 깔때기부분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서 깔때기부분이 회전되는 구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5와 같이 깔때기부분(210)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파지부 전동 회전부(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 전동 회전부(230)는 깔때기부분(210) 하부에 위치되는 연결부재(220)에 형성되며 베벨기어 등의 기어부(234)와, 상기 기어부(234)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부(232)와, 상기 구동부(232)와 연결되는 나선형으로 구부러진 링 형상의 신축형 연결전선부(236)와, 상기 신축형 연결전선부(236)와 연결되는 손잡이부(400)에 형성되는 온오프 버튼부(237, 238)를 포함한다.
상기 온오프 버튼부(237, 238)의 온 버튼(237)을 누르면 신축형 연결전선부(236)를 통하여 구동부(232)를 작동시키고, 상기 구동부(232)는 기어부(234)를 작동시켜서 깔때기부분(210)이 회전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온오프 버튼부(237, 238)의 오프 버튼(238)을 누르면 신축형 연결전선부(236)를 통하여 구동부(23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작업자가 깔때기부분(21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수동으로 전구 교체 장치(100) 전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온오프 버튼부(237, 238)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전구(110)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6은 깔때기부분의 내측에 전구와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6의 (a)는 깔때기부분의 내측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은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깔때기부분의 내측에 복수개의 돌출 막대부가 형성된 개략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6의 (a)와 같이 깔때기부분(210)의 내측에 전구(110)와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돌기(21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12)는 전구(110)와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구(110)의 구 형상은 복수개의 돌기(212)와 접촉되어 마찰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의 (b)와 같이 깔때기부분(210)의 내측에 복수개의 돌출 막대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막대부(214)는 깔때기부분(210)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구(110)의 구 형상은 복수개의 돌출 막대부(214)와 접촉되어 마찰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도 7은 연결부재에 진공 펌프 구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7과 같이 깔때기부분(210)의 하부에 진공 펌프(254) 구조가 형성된 진공 흡착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착부(250)는 깔때기부분(21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결되는 배출 통로(252)와, 상기 배출 통로(252)에 형성되는 진공 펌프(254)와, 상기 진공 펌프(254)와 연결되는 나선형으로 구부러진 링 형상의 신축형 연결전선부(256)와, 상기 신축형 연결전선부(256)와 연결되는 손잡이부(400)에 형성되는 온오프 버튼부(257, 258)를 포함한다.
상기 온오프 버튼부(257, 258)의 온 버튼(257)을 누르면 신축형 연결전선부(256)를 통하여 진공 펌프(254)를 작동시키고, 상기 진공 펌프(254)는 배출 통로(252)를 통하여 전구(110)와 깔때기부분(21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상태가 되도록 유도하여 전구(110)가 깔때기부분(210)에 밀착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온오프 버튼부(257, 258)의 오프 버튼(258)을 누르면 신축형 연결전선부(256)를 통하여 진공 펌프(25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작업자가 깔때기부분(21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수동으로 전구 교체 장치(100) 전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온오프 버튼부(257, 258)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전구(110)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8의 (a)는 큰 깔때기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큰 깔때기부분을 연결부재에서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8의 (c)는 작은 깔때기부분을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교체하고자 하는 전구(110)의 크기에 따라서 깔때기부분(210)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즉, 깔때기부분(210)을 큰 깔때기부분(210a)과 작은 깔때기부분(210b)으로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깔때기부분(210a, 210b)의 하부에는 결합나사부분(210a-1, 210b-1)이 형성되고, 연결부재(220)에는 결합나사홈(220a-1, 220b-1)이 형성된다.
도 8의 (a)와 같은 큰 깔때기부분(210a)이 형성된 상태에서 작은 전구(110b)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 도 8의 (b)와 같이 큰 깔때기부분(210a)을 회전시켜서 결합나사부분(210a-1)을 결합나사홈(220a-1)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도 8의 (c)와 같이 작은 깔때기부분(210b)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전구의 직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제1변형 깔때기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 상태에서 제1변형 깔때기부분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서 전구(110)의 직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제1변형 깔때기부분(410)은 깔때기 상부 부재(412)와, 상기 깔때기 상부 부재(412)와 연결되는 연결 탄성판 부재(416) 및, 상기 탄성판 부재(416)와 연결되는 깔때기 하부 부재(414)를 포함한다.
상기 깔때기 상부 부재(412)는 상부 부분의 직경이 크고 하부 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상기 깔때기 하부 부재(414)도 상부 부분의 직경이 크고 하부 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진다.
그리고 상기 깔때기 상부 부재(412)의 하부 직경은 깔때기 하부 부재(414)의 상부 직경보다 직경이 크다.
또한, 상기 깔때기 상부 부재(41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한 이상의 힘에 의해 뒤집어 질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 탄성판 부재(416)는 깔때기 상부 부재(412)와 깔때기 하부 부재(414) 사이를 연결해주도록 형성되며 일정 범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탄성 범위 내에서 휘어지는 성질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1변형 깔때기부분(410)은 깔때기 상부 부재(412)에 맞는 큰 전구(110a)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도 9의 (a)와 같이 깔때기 상부 부재(412)를 이용하고, 깔때기 하부 부재(414)에 맞는 작은 전구(110b)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깔때기 상부 부재(412)가 뒤집어 짐과 동시에 연결 탄성판 부재(416)도 변형되어 깔때기 상부 부재(412)가 깔때기 하부 부재(414)의 하방에 위치된 후에 9의 (b)와 같이 깔때기 하부 부재(414)를 이용하여 교체한다.
도 10의 (a)는 깔때기 상부 부재가 작은 전구의 둘레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10의 (b)는 깔때기 상부 부재가 눌리면서 연결 탄성판 부재가 휘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10의 (c)는 깔때기 상부 부재가 뒤집혀지면서 연결 탄성판 부재도 완전히 꺾인 상태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10의 (d)는 깔때기 하부 부재가 작은 전구의 둘레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제1변형 깔때기부분(410)을 통하여 도 10과 같이 작은 전구(110b)를 교체할 때 자동적으로 깔때기 상부 부재(412)가 도 10의 (a)와 같이 작은 전구(110b)의 둘레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10의 (b)와 같이 깔때기 상부 부재(412)가 눌리면서 연결 탄성판 부재(416)가 휘어지는 상태가 되며, 이 후에 도 10의 (c)와 같이 깔때기 상부 부재(412)가 뒤집혀지면서 연결 탄성판 부재(416)도 완전히 꺾인 상태로 변형되어 결과적으로 도 10의 (d)와 같이 깔때기 하부 부재(414)가 작은 전구(110b)의 둘레에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작은 전구(110b)의 크기에 맞는 전구 교체 장치(100)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1변형 깔때기부분(410)의 구조를 통하여 큰 전구(110a)나 작은 전구(110b) 모두에 적용가능한 전구 교체 장치(100)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1의 (a)는 전구의 직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제2변형 깔때기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에서 깔때기 상부 부분이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11의 (c)는 도 11의 (b)에 대한 개략 사시도이다.
본 고안 중 전구(110)의 직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제2변형 깔때기부분(510)은 도 11의 (a)와 같이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512)와, 상기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512)와 연결되는 깔때기 고정 하부 부재(514)를 포함한다.
상기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512)는 상부의 직경이 크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이고, 깔때기 고정 하부 부재(514)도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512)의 하부보다 직경이 작은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깔때기 고정 하부 부재(514)에는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512)의 하부가 연결되는 3개의 수직 로드(516)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 로드(516)의 상단에는 탄성 재질의 상부 스톱퍼(519)가 형성되고, 수직 로드(516)의 하단에는 하부 스톱퍼(520)가 형성된다.
상기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512)의 하부에는 수직 로드(516)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로드 연결 구멍(51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변형 깔때기부분(510)은 도 11의 (a)와 같은 상태에서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512)가 교체할려고 하는 전구(110)에 비해 큰 경우에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512)를 수직 로드(516)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도 11의 (b)와 같이 깔때기 고정 하부 부재(514)가 전구(110)에 접하도록 하여 교체작업을 진행한다.
본 고안은 제2변형 깔때기부분(510)을 통하여 작은 전구(110b)를 교체할 경우에 수직 로드(516)를 따라서 깔때기 승하강 상부 부재(512)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은 전구(110b)의 교체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2의 (a)는 전구의 직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제3변형 깔때기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 상태에서 직경이 감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12의 (c)는 도 12의 (a)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 정면도이고, 도 12의 (d)는 도 12의 (b)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서 전구(110)의 직경에 따라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제3변형 깔때기부분(610)은 깔때기부분(210) 몸체의 4개 부분에 형성되는 접철부재(611)를 포함한다.
상기 4개의 접철부재(611)는 중앙접철부(612, 622, 632, 642)와, 상기 중앙접철부(612, 622, 632, 64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접철부(614, 616, 622, 624, 626, 634, 636, 644, 646) 및 중앙접철부(612)와 측면접철부(614, 616)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힌지핀(612a, 612b) 및, 측면접철부(614, 616)와 인접한 깔때기부분(210) 몸체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힌지핀(614a, 616b)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도 12의 (a) 및 도 12의 (c)와 같이 접철부재(611)가 모두 전개된 상태에서는 제3변형 깔때기부분(610)의 직경이 큰 상태가 되고, 도 12의 (b) 및 도 12의 (d)와 같이 접철부재(611)가 모두 접철된 상태에서는 제3변형 깔때기부분(610)의 직경이 작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직경이 큰 전구(110a)를 교체할 때는 사용자가 제3변형 깔때기부분(610)을 도 12의 (a) 및 도 12의 (c)와 같이 접철부재(611)가 모두 전개된 상태에서 사용하고, 직경이 작은 전구(110b)를 교체할 때는 사용자가 제3변형 깔때기부분(610)을 도 12의 (b) 및 도 12의 (d)와 같이 접철부재(611)가 모두 접철된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제3변형 깔때기부분(610)의 접철 구조를 통하여 전구(110)의 크기와 상관 없이 다양한 형태의 전구(110)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3의 (a)는 도 1의 손잡이부를 변형한 변형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서 변형 손잡이부(400)는 도 13의 (a)와 같이 상기 가변 몸체부(300)의 하부 가변 몸체부재(320)와 손잡이부(400)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328)과, 상기 힌지축(328)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 손잡이(41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도 13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전구 교체 장치(1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13의 (b)와 같이 손잡이(410)를 힌지축(328)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후에 한 손으로는 하부 가변 몸체부재(320)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손잡이(410)를 잡은 후에 전구(110) 교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하부 가변 몸체부재(320)를 중심으로 손잡이(410)를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전구(110) 교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전구 교체 장치 110: 전구
200: 전구 파지부 210: 깔때기부분
210a-1: 결합나사부분 220a-1: 결합나사홈
220: 연결부재 232: 구동부
237: 온 버튼 254: 진공 펌프
300: 가변 몸체부 310: 상부 가변 몸체부재
312: 오목홈 316: 탄성부재
320: 하부 가변 몸체부재 400: 손잡이부

Claims (6)

  1. 상부 직경이 크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의 전구 파지부와,
    상기 전구 파지부와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변 몸체부와,
    상기 가변 몸체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몸체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구 파지부가 전구에 접촉된 후에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전구가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가변 몸체부는 봉 형상인 상부 가변 몸체부재와, 상기 상부 가변 몸체부재가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하부 가변 몸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구 파지부는 상부의 직경이 크고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부분과, 상기 깔때기부분과 가변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진공 흡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 흡착부는 상기 깔때기부분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결되는 배출 통로와, 상기 배출 통로에 형성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온오프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오프 버튼부의 온 버튼을 누르면 진공 펌프가 작동되어 배출 통로를 통하여 전구와 깔때기부분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파지부 전동 회전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 전동 회전부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온오프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오프 버튼부의 온 버튼을 누르면 구동부를 통해 기어부를 작동시켜서 깔때기부분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교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분에 전구와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 재질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 또는 복수개의 돌출 막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교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부분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깔때기 상부 부재와,
    상기 깔때기 상부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탄성판 부재 및,
    상기 탄성판 부재와 연결되는 깔때기 하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 상부 부재의 하부 직경은 깔때기 하부 부재의 상부 직경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연결 탄성판 부재는 힘이 가해지면 탄성 범위 내에서 휘어지는 성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교체 장치.
  6. 청구항 1,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가변 몸체부의 하부 가변 몸체부재와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교체 장치.
KR2020170002316U 2017-05-11 2017-05-11 전구 교체 장치 KR200488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16U KR200488005Y1 (ko) 2017-05-11 2017-05-11 전구 교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16U KR200488005Y1 (ko) 2017-05-11 2017-05-11 전구 교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55U KR20180003255U (ko) 2018-11-21
KR200488005Y1 true KR200488005Y1 (ko) 2018-12-03

Family

ID=6455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316U KR200488005Y1 (ko) 2017-05-11 2017-05-11 전구 교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00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69Y1 (ko) * 2000-02-12 2000-07-15 문승동 긴막대기를 이용한 전구교체기
JP2011070784A (ja) * 2009-09-24 2011-04-07 Machiko Kagawa 電球交換器具
KR101349250B1 (ko) * 2012-07-30 2014-01-10 (주)한화육삼시티 램프 교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577B1 (ko) 2001-09-18 2003-11-14 김학근 삼파장 형광전구 및 이에 사용되는 형광전구 교체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69Y1 (ko) * 2000-02-12 2000-07-15 문승동 긴막대기를 이용한 전구교체기
JP2011070784A (ja) * 2009-09-24 2011-04-07 Machiko Kagawa 電球交換器具
KR101349250B1 (ko) * 2012-07-30 2014-01-10 (주)한화육삼시티 램프 교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55U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1019A1 (en) Electric spreading device for a parasol
CA2565975C (en) Customizable light bulb changer
EP2325552B1 (en) Collapsible light
US7856907B2 (en) Customizable light bulb changer
CA2640008C (en) Customizable light bulb changer with suction cup and control
EP2153124B1 (en) Telescopic supporting column and floodlight using the same
US9857048B2 (en) Portable lighting device
EP1602878B1 (en) Telescopic lantern
CN106794708B (zh) 脚轮及含脚轮的白板
US20160250608A1 (en) Head for a mixing apparatus
US7314287B2 (en) Candle lamps having solar illuminating devices
CN209842309U (zh) 一种按压式柔光箱
KR200488005Y1 (ko) 전구 교체 장치
CN110691537B (zh) 口红容器
KR101412728B1 (ko) 전구형 형광등 교체장치
KR200442281Y1 (ko) 삼파장 형광램프 교체장치
CN212055194U (zh) 一种折叠风扇
JP2016048082A (ja) 吸盤
KR200395605Y1 (ko) 천정등 교체기구
KR100488770B1 (ko) 조립식 지팡이의 잠금장치
KR20160105048A (ko) 우산
US20030051748A1 (en) Umbrella supporting mount
JP2012243440A (ja) 電球着脱用具
CN109578945A (zh) 一种路灯扳扣机构
CN107726264B (zh) 灯具框架及工作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