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656A -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656A
KR20050026656A KR1020030063386A KR20030063386A KR20050026656A KR 20050026656 A KR20050026656 A KR 20050026656A KR 1020030063386 A KR1020030063386 A KR 1020030063386A KR 20030063386 A KR20030063386 A KR 20030063386A KR 20050026656 A KR20050026656 A KR 20050026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cattering
photosensitive member
scattering prevent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6825B1 (ko
Inventor
김정선
전인철
발레리 크라스노슬로보드체브
도기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825B1/ko
Priority to US10/841,446 priority patent/US7058334B2/en
Publication of KR2005002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7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of the cleaning unit
    • G03G21/0076Plural or sequential clean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05Cleaning of residual toner
    • G03G2221/001Plural sequential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상롤러의 하류에 비산방지부재를 설치하고, 인쇄시에는 현상롤러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여 비산하는 현상제를 흡착한다. 계속되는 인쇄로 비산방지부재에 비산된 현상제가 쌓이면, 제어부가 비산방지부재에 인쇄시보다 큰 전압을 인가하여 현상제가 감광체의 비인쇄영역으로 이송되도록함으로써 비산방지부재에 쌓인 현상제를 주기적으로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기내오염 및 화상오염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machine having a function for preventing toner scatterring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시에 발생하는 현상제의 비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1성분 비자성 현상제를 사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현상부를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전기(2)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1)의 표면은 레이저 스캔유닛(3)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빔(4)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비자성 현상제(8)는 현상제 공급롤러(6)에 의해 현상롤러(5)로 공급된다. 현상롤러(5)는 감광체(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대향 설치되고, 화살표 방향(D1)으로 회전한다. 현상제 호퍼(hopper)(10) 안에는 현상롤러(5)와 접촉되도록 현상제 공급롤러(6)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공급롤러(6)는 스테인레스 등의 코어 샤프트(core shaft)에 우레탄 폼(urethane foam) 등의 탄성부재로 피복되어 있다. 현상제 공급롤러(6)는 현상롤러(5)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D3)으로 접촉회전하여 현상제 호퍼(10)안의 비자성 현상제(8)를 현상롤러(5) 표면에 공급하여 도포함과 동시에 현상되지 않고 돌아온 현상제를 현상롤러(5) 표면으로부터 긁어낸다. 현상롤러(5)와 현상제 공급롤러(6)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현상제가 현상제 공급롤러(6)로부터 현상롤러(5)로 이동한다. 여기서 22번은 현상제 공급롤러(6)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이다. 층규제부재(7)는 현상제 공급롤러(6)의 다음이고 현상영역 전의 위치에 현상롤러(5)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현상롤러(5)로 이송된 현상제는 층규제부재(7)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박층화가 되는 동시에 현상롤러(5)의 표면과 층규제부제(7)에 의하여 고마찰대전되어 전하를 띠게 된다. 층규제부제(7)를 통과한 현상제는 감광체(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이때, 현상롤러(5)와 감광체(1)는 일정한 간격(현상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현상롤러(5)에는 전원(21)으로부터 직류(DC)가 중첩된 교류(AC)의 사각파(구형파)가 인가되기 때문에 현상롤러(5)에 의해 현상영역으로 이송된 현상제는 현상간격 사이를 왕복운동하면서 감광체(1) 표면의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정전잠상을 현상한 현상제는 전사롤러(11)에 의해 용지(13)로 전사되고 정착기(17)에 의해 정착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또 인쇄용지(13)에 전사된 후 감광체(1)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는 클리너(cleaner,15)에 의해 제거되어 폐현상제 회수통(16)으로 수납된다.
상기와 같은 비접촉 현상방법은 현상시(도 3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타이밍도의 VDO-data가 형성된 화상영역 구간)에 현상롤러(5)에 직류(DC)가 중첩된 교류(AC)전압을 인가하기 때문에 일정한 현상간격을 현상제가 날리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히 대전되지 않은 현상제는 감광체(1)와 현상롤러(5) 사이의 현상간격에 형성된 전계에 구속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현상제(T)와 같이 기내에 비산하게 된다. 특히 인쇄속도가 빨라지면 감광체(1)와 현상롤러(5)의 회전에 의한 기류(F)가 강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류에 의해 비산되는 현상제(T)가 더욱 증가하여 기내를 오염시킬 뿐만아니라 화상을 오염시켜 인쇄품질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시 현상영역에서 날리는 현상제가 현상영역을 벗어나 기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비산 현상제를 주기적으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와 대향하며 현상제를 감광체로 이송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롤러의 하류측에 감광체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비산방지부재와, 비산방지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감광체로 이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비산방지부재와 감광체 사이의 간격은 현상롤러와 감광체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감광체의 비화상영역에 해당하는 일정 시점에 주기적으로 비산방지부재에 인가된 전압을 제어하여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가 감광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는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감광체로 이송시킬 경우 비산방지부재에 인가되는 청소전압과 현상롤러로부터 현상제를 감광체로 이송시키는 인쇄작업 중에 비산방지부재에 인가되는 비산방지전압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청소전압이 비산방지전압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감광체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감광체의 비화상영역에 일정 면적의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정전잠상이 비산방지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비산방지부재에 상기의 청소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산방지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은 현상롤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으로부터 인가되거나 또는 별도의 독립된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원은 교류와 직류가 중첩된 전원이거나 또는 직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목적은, 현상롤러로부터 감광체로 이송되는 중에 비산되는 현상제가 현상롤러의 하류측에 설치된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되는 비산 현상제 부착단계와,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감광체의 비인쇄영역으로 이송시키는 현상제 청소단계, 및 감광체의 비인쇄영역에 부착된 현상제를 폐현상제 회수통으로 수납시키는 현상제 수납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현상제 청소단계는, 감광체의 비인쇄영역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정전잠상이 비산방지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오면 비산방지부재에 청소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정전잠상이 비산방지부재를 벗어나면 비산방지부재에 비산방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상제 청소단계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일정 매수의 인쇄를 행한 후에 수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인쇄작업완료 후 메인 모터가 정지하기 직전에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부 구성과 제어부의 일부 기능이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1), 현상롤러(40) 및 비산방지부재(50)를 구비하는 현상부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감광체(1)의 표면에는 레이저 스캔유닛에서 출사된 레이저빔(4)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40)는 감광체(1)와 대향하여 일정한 거리(gap1) 이격되어 설치되며, 현상제를 감광체(1)와 현상롤러(40)가 마주보는 영역(이하, '현상영역'이라 함)으로 이송시킨다. 현상롤러(40)와 감광체(1) 사이의 간격(gap1)은 통상 150 ~ 300㎛이다. 현상롤러(40)는 현상제가 수납된 현상제 호퍼(hopper)에 설치되며, 현상제 호퍼의 안에 설치된 현상제 공급롤러(6)와 접촉하여 일정한 닙(nip)을 형성한다. 현상롤러(40)는 탄성롤러로서 통상 NBR 고무로 성형되며, 표면거칠기는 3~9㎛, 저항은 1X105 ~ 5X106 Ω이다. 또 현상롤러(40)에 인가되는 전압은 직류(DC)가 중첩된 교류(AC)전압이다. 인가되는 전압의 일예는 교류 Vpp = 1.8kV, f = 2.0kHz, Duty(-) = 35%, 직류 Vdc = -500V이다. 현상롤러(4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의 다른 예로는 현상롤러(40)에 직류(DC)전압만 인가되도록 직류전원만을 사용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롤러(6)는 스테인레스로 된 샤프트(shaft)에 우레탄 폼(urethane foam)이나 실리콘 폼(silicone foam) 등의 탄성부재로 피복되어 있다. 현상제 공급롤러(6)에 인가되는 전압은 후술하는 현상 바이어스(bias)와 동기이고, 직류전압은 Vdc = -700V로 하고 교류성분은 현상 바이어스와 같게 하여 현상제를 현상롤러(40)로 공급한다.
감광체(1)와 현상제 공급롤러(6) 사이에는 현상롤러(40)에 의해 이송되는 현상제를 일정한 두께로 규제하는 층규제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층규제부재(7)는 스테인레스 판재이고 현상롤러(40)에 10~50g/cm의 압력으로 접촉하고 있으며, 현상롤러(40)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제는 비자성 현상제로서 열가소성 수지(Polyester)에 착색제를 혼합하고, 분쇄·분급한 분쇄 현상제를 사용하고, 평균입경은 8.0㎛인 것을 사용한다.
비산방지부재(50)는 현상롤러(40)와 감광체(1)의 회전으로 생기는 기류의 하류, 즉 현상롤러(40)의 하류에 감광체(1)와 일정한 간격(gap2)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비산방지부재(50)와 감광체(1) 사이의 간격(도 5, gap2)은 현상롤러(40)와 감광체(1) 사이의 간격(도 5, gap1) 이상이면서 가능한한 감광체(1)에 가깝게 되도록 정한다. 비산방지부재(50)의 형상은 현상영역에서 벗어난 현상제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감광체(1)의 표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산방지부재(50)는 스테인레스와 같이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산방지부재(5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51)은 현상롤러(4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41)과 별도의 전원을 사용한다. 이때, 비산방지부재(50)에 인가되는 전압은 직류(DC)가 중첩된 교류(AC)전압으로 하거나 직류(DC)전압만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도 8에 도시된 제어 타이밍도(timing diagram)와 같이 메인 모터(main motor, 미도시)와 현상롤러(40)의 구동에 따라 비산방지부재(50)와 현상롤러(4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제어부(60)는 인쇄시 현상롤러(40)로부터 현상제가 감광체(1) 표면으로 이송되는 경우, 현상영역에서 비산되는 현상제를 흡착하기 위해 비산방지부재(50)에 인가하는 전압(이하, 비산방지전압(Vb)이라 한다)과 비산방지부재(50)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를 감광체(1)로 이송하는 청소작업시 비산방지부재(50)에 인가되는 전압(이하, 청소전압(Vc)이라 한다)의 크기를 다르게 제어한다. 이때, 청소전압의 절대값이 비산방지전압의 절대값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60)는 |Vb| < |Vc|를 만족하도록 비산방지전압을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인쇄신호를 받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모터가 구동되어 현상롤러(40) 및 감광체(1)도 함께 구동된다. 또한, 감광체(1)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바이어스(bios)가 온(ON)되어 감광체(1) 표면이 일정한 전위(일예로서, 도 7a에서 Vs=-650V)를 띠게 한다. 그 다음에 레이저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빔(4)에 의해 감광체(1)의 표면이 노광되어 잠상(일예로서, 도 7a에서 V1=-100V)를 형성한다. 감광체(1)의 화상영역이 현상영역으로 진입하면 제어부(60)는 현상롤러(40)에 현상 바이어스(bias)를 인가한다. 이때 현상 바이어스는 교류(AC)에 직류(DC)가 중첩된 전압이다. 일예로서, 층규제부재(7)를 지나면서 현상롤러(40)에 일정한 두께로 박층화된 비자성 일성분 현상제는 (-)극성을 띠게 된다. 현상 바이어스(bias)가 교류전압이기 때문에 (-)극성의 현상제는 현상롤러(40)와 감광체(1)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대전이 충분히 되지 않은 현상제들은 현상롤러(40)와 감광체(1)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대한 구속력이 약하게 된다. 따라서 감광체(1)와 현상롤러(4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의 영향으로 기류를 따라 비산되게 된다. 그러나 비산된 현상제는 현상롤러(40)의 하류에 감광체(1)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현상 바이어스(bias)와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어 있어 감광체(1)와 전계를 형성하는 비산방지부재(50)에 의해 구속되게 된다. 즉, 현상영역에서 비산된 현상제의 극성에 따라 일부는 감광체(1) 표면에 부착되고 일부는 비산방지부재(50)에 부착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화상의 배경부 전위(Vs=-650V)에서는 (-)현상제에 대한 전계가 현상전계(Eds)보다 회수전계(Ers)가 크므로 (-)현상제는 비산방지부재(50)에 부착된다. 또한, 화상의 노광부 전위(V1=-100V)에서는 현상전계(Ed1)가 회수전계(Er1)보다 크므로 (-)현상제가 감광체(1) 쪽으로 이동하여 노광부를 현상한다. 일반적으로 인쇄화상은 5~15% 커버리지(coverage)화상을 사용하므로 감광체(1)의 전위는 인쇄되는 한면(page) 내에서 배경부 전위(Vs)가 노광부 전위(V1)보다 훨씬 많은 면적을 차지하므로 비산되는 현상제 중 (-)극성의 현상제는 대부분 비산방지부재(50)에 부착되게 된다. 역으로 (+)극성의 현상제는 감광체(1) 쪽으로 재부착된다.
따라서, 인쇄를 계속하게 되면 비산방지부재(50)에 (-)현상제가 많이 쌓이게 된다. 이때, All black과 같은 넓은 면적의 화상을 인쇄하게 되면 비산방지부재(50)에 쌓여 있던 (-)현상제가 감광체(1)의 All black부 전위 쪽으로 많은 량이 이동하면서 화상부 및 배경부로 흩어져 날리는 현상을 유발한다. 즉, 화상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산방지부재(50)에 쌓이는 현상제를 주기적으로 청소해 줄 필요가 있다.
청소작업은 제어부(60)가 설정된 조건에 따라, 비산방지부재(5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비산방지부재(50)에 부착된 현상제를 감광체(1)의 비화상영역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제어부(60)가 청소작업을 하는 일예를 도 8의 제어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2매의 인쇄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감광체(1)의 비화상영역에 일정면적의 All black 잠상을 형성한다(도 8의 VDO-DATA의 A부). 그리고 그 부위가 비산방지부재(50)에 대응하는 위치(도 8의 비산방지부재의 B부)로 오면, 제어부(60)는 정상적인 인쇄작업시의 인가전압보다 큰 전압(청소전압)을 비산방지부재(50)에 인가하여 비산방지부재(50)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가 감광체(1)의 All black부로 많은 량이 이동되도록 한다. 청소전압을 크게 하는 것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pp2를 도 7a의 Vpp보다 크게 하거나 Vdc의 절대값을 도 7a 보다 크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 현상롤러(40)에 인가되는 전원은 오프(off)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은 청소작업은 인쇄가 완료되고 메인 모터가 정지하기 전에 수행하거나, 또는 일정 매수의 인쇄작업이 완료된 후 주기적으로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청소작업에 의해 비산방지부재(50)로부터 감광체(1) 표면에 재부착된 현상제는 도 9에 도시된 클리너(15)에 의해 감광체(1)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폐현상제 회수통(16)으로 수납된다. 도 9의 미설명된 부호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비산방지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을 현상롤러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전원(41)을 사용하여 인가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전원(41)으로부터 비산방지부재(50)와 현상롤러(40)에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60')가 청소작업시 비산방지부재(50)에 전압을 인가하면 현상롤러(40)에도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는 것 외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는 정상적인 인쇄작업시 비산방지부재(50)에 현상롤러(40)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와 동일한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화상영역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롤러(40)로부터 감광체(1)로 현상제가 이송되는 중에 현상영역으로부터 비산되는 현상제가 현상롤러(40)의 하류측에 설치된 비산방지부재(50)에 부착되게 된다(비산 현상제 부착단계)(S10).
이어서, 제어부는 비산방지부재(50)에 부착된 현상제를 감광체(1)의 비인쇄영역으로 이송시켜 비산방지부재(50)를 청소한다(현상제 청소단계)(S20). 이때, 제어부는 설정된 현상제 청소단계 개시조건에 따라 비산방지부재(50)의 청소를 행한다. 현상제 청소단계(S20)의 개시조건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일정 매수의 인쇄(예를 들면, 2매의 용지 인쇄)를 행한 후에 수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인쇄작업이 완료된 후 메인 모터가 정지하기 직전에 수행되도록 제어부에 설정할 수 있다.
현상제 청소단계(S20)에서 감광체(1)의 비인쇄영역에 부착된 현상제는 감광체(1)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클리너(15)에 의해 감광체(1)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폐현상제 회수통(16)으로 수납된다(현상제 수납단계)(S30).
여기서, 제어부가 현상제 청소단계(S20)를 수행하는 과정의 일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는 레이저 스캔유닛(3)을 제어하여 감광체(1)의 비인쇄영역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S21). 이때, 제어부는 비산방지부재(50)에 부착된 현상제가 감광체(1)의 표면에 많이 부착될 수 있도록 All black으로 되는 일정 면적의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어부는 감광체(1)의 회전에 의해 정전잠상이 비산방지부재(50)와 대향하는 위치에 오면 비산방지부재(50)에 청소전압을 인가한다(S22). 이때, 제어부는 비산방지부재(50)에 인가되는 청소전압이 인쇄시에 비산방지부재(50)에 인가되는 전압, 즉 비산방지전압 보다 크도록 제어한다. 감광체(1)가 계속적으로 회전하여 정전잠상이 비산방지부재(50)를 벗어나면, 제어부는 비산방지부재(50)에 비산방지전압을 인가한다(S23).
상기와 같이 제어부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인쇄시 현상영역에서 날리는 현상제가 기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인쇄시에 현상제가 기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화상의 오염이 없는 고화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감광체와 클리너를 이용하여 비산방지부재에 쌓인 현상제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나 장치가 불필요하다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타이밍도,
도 4는 도 1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영역에서 현상제가 비산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a은 인쇄 중에 도 5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7b는 도 5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청소할 때 현상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8은 도 5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타이밍도,
도 9는 도 5의 현상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11은 도 10의 현상제 청소단계의 일예를 나타내 보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감광체 2; 대전기
3; 레이저 스캔유닛 4; 레이저빔
6; 현상제 공급롤러 7; 층규제부재
8; 현상제 10; 현상제 호퍼
11; 전사롤러 13; 인쇄용지
15; 클리너 16; 폐현상제 회수통
17; 정착기 40; 현상롤러
50; 비산방지부재 41,51; 전원
60,60'; 제어부

Claims (11)

  1.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와 대향하며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의 하류측에 상기 감광체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비산방지부재;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재와 상기 감광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광체의 비화상영역에 해당하는 일정 시점에 주기적으로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인가된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가 상기 감광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시킬 경우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인가되는 청소전압과 상기 현상롤러로부터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시키는 인쇄작업 중에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인가되는 비산방지전압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전압이 상기 비산방지전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감광체의 비화상영역에 일정 면적의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이 상기 비산방지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왔을 때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상기 청소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부재의 전압은 상기 현상롤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이나 또는 별도의 전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교류와 직류의 중첩전원이거나 또는 직류전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9. 현상롤러로부터 감광체로 이송되는 중에 비산되는 현상제가 상기 현상롤러의 하류측에 설치된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되는 비산 현상제 부착단계;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부착된 현상제를 상기 감광체의 비인쇄영역으로 이송시키는 현상제 청소단계;
    상기 감광체의 비인쇄영역에 부착된 현상제를 폐현상제 회수통으로 수납시키는 현상제 수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청소단계는,
    상기 감광체의 비인쇄영역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전잠상이 상기 비산방지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오면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청소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정전잠상이 상기 비산방지부재를 벗어나면 상기 비산방지부재에 비산방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청소단계는 일정량의 인쇄를 행한 후에 수행되거나 또는 인쇄작업완료 후 메인 모터가 정지하기 직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제어방법.
KR1020030063386A 2003-09-09 2003-09-09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KR10054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386A KR100546825B1 (ko) 2003-09-09 2003-09-09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US10/841,446 US7058334B2 (en) 2003-09-09 2004-05-10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preventing toner for scattering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386A KR100546825B1 (ko) 2003-09-09 2003-09-09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656A true KR20050026656A (ko) 2005-03-15
KR100546825B1 KR100546825B1 (ko) 2006-01-26

Family

ID=3422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386A KR100546825B1 (ko) 2003-09-09 2003-09-09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58334B2 (ko)
KR (1) KR100546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5408B2 (ja) * 2005-04-18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300482A (ja) * 2008-06-10 2009-12-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US8942587B2 (en) * 2012-12-21 2015-01-27 Fuji Xerox Co., Ltd. Electrostatic imag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904742B2 (ja) * 2017-03-16 2021-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5562A (ja) * 1983-10-31 1985-05-28 Canon Inc 現像装置
JPS6114674A (ja) * 1984-06-29 1986-01-22 Canon Inc 現像剤飛散防止装置
JPS6114664A (ja) * 1984-06-29 1986-01-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現像剤飛散防止装置
JPS62269180A (ja) 1986-05-16 1987-11-21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電子写真記録装置
DE3751137T2 (de) * 1986-12-02 1995-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ntwicklungsvorrichtung.
US5177533A (en) * 1991-04-23 1993-01-05 Mit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5249823A (ja) * 1992-10-30 1993-09-28 Canon Inc 現像装置
US5581336A (en) * 1993-12-17 1996-12-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eventing scattering of developing agent by conductive member
JP3073931B2 (ja) * 1996-07-10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911098A (en) * 1997-01-28 1999-06-08 Minolta Co., Ltd. Develop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electively applied AC voltages
JP3595667B2 (ja) 1997-12-09 2004-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0330377A (ja) * 1999-05-21 2000-11-30 Minolta Co Ltd 現像装置
KR100421988B1 (ko) 2001-12-18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비산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6825B1 (ko) 2006-01-26
US7058334B2 (en) 2006-06-06
US20050053392A1 (en)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313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bias control feature
US78223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7703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7517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738803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charging an image carrier
JP2006259198A (ja) 画像形成装置
US78050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46825B1 (ko)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US79410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cleaner-less image carrier cleaning system
JP200732263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33768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4225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19654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48785A (ja) 画像形成装置
JP4348935B2 (ja) 画像形成装置
US1147446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294714B2 (ja) 画像形成装置
JP4816355B2 (ja) 画像形成装置
JP3877272B2 (ja) 画像形成装置
US98804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leaning mode using AC voltage
CN106502068B (zh) 显影设备、处理盒和图像形成装置
KR100465218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2003295728A (ja) 画像形成装置
JPH08190330A (ja) 画像形成装置
JP4164325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