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161A -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161A
KR20050026161A KR1020030063136A KR20030063136A KR20050026161A KR 20050026161 A KR20050026161 A KR 20050026161A KR 1020030063136 A KR1020030063136 A KR 1020030063136A KR 20030063136 A KR20030063136 A KR 20030063136A KR 20050026161 A KR20050026161 A KR 20050026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acking
connecting body
ring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688B1 (ko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특수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특수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특수강
Priority to KR1020030063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688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팅강관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코팅강관 내부의 압력이 높을수록 강관의 외면과 연결몸체의 패킹수용홈에 삽입된 링형 패킹의 밀착날개로 인해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고, 코팅강관의 이음부분이 어느 정도 경사진 상태로 시공되더라도 코팅강관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지 않으며, 강관의 이음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내외면 전체가 동일직경의 강관을 채택할 수 있어 최종단의 강관을 연결할 때 현장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모따기 작업만으로 마무리할 수 있고 강관이음작업의 능동적인 대처와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코팅강관의 이음장치는,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1)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內徑)을 갖는 중공부재로 마련되고 그 길이방향의 중앙내면에 형성된 링형의 스토퍼(21)와 이 스토퍼(21)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소정거리의 위치에 패킹수용홈(22)이 확장되며, 양쪽끝단의 외면에 걸림턱(23)이 형성된 연결몸체(20); 이 연결몸체(20)의 패킹수용홈(22)에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연결몸체(20)의 양쪽끝단으로부터 삽입되는 강관(11) 외면 및 패킹수용홈(22)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내면과 외면에 각각 밀착날개(41,42)가 형성된 링형 패킹(40); 상기 연결몸체(20) 양쪽끝단의 걸림턱(23)에 상응하여 걸리도록 한쪽내면에 걸림턱(3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몸체(20)의 내면으로 삽입된 강관(11)의 외면을 파지하도록 마련되며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호형으로 균등 분할되고 그 양단에 구멍을 갖는 브래킷(32a,32b)이 마련된 스파이크(30); 이 스파이크(30)를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서로 체결하는 복수의 볼트(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팅강관의 이음장치{Coupling device of Coating Steel Pipe}
본 발명은 코팅강관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관 내부의 압력이 높을수록 코팅강관의 외면과 연결몸체의 내면 사이에 삽입된 고무 링으로 인해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고 연결몸체에 강관을 스파이크로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코팅강관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pipe) 이음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강관의 끝단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수히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어있으며, 이러한 관 이음장치들 중에서 중대형의 강관이음과 관련된 두어 개만을 발췌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 강관(송수관)의 이음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10659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일측 송수관이 타측 송수관의 확장부분에 삽입되어 패킹에 의하여 밀폐되고 그 외측에 장착된 압륜의 결합공들엔 고정용 볼트가 삽입되어 그 선단의 걸림부가 타측 송수관의 플랜지에 걸려져 너트로 조여지면서 압륜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패킹을 가압시키는 조인트장치에서, 상기 일측 송수관의 외측에는 그 내측면에 요철부를 갖는 지지관이 장착되고 타측 송수관에 고정된 압륜의 외측에는 안내관이 돌출 형성되며, 지지관과 안내관들의 내/외주연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들이 서로 결합되어 일정거리 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의 강관의 이음장치는, 송수관의 내부에 과도한 수압이 발생되더라도 양측 송수관들이 지지관 및 안내관의 걸림턱들의 간격만큼 신축되어 완충되므로 과도한 수압을 견딜 수 있고, 송수관 연결부분의 지반이 침하되더라도 양측 걸림턱들 사이에 형성된 유격에 의하여 어느 정도는 굴곡되거나 상기 양측 송수관들이 신축되더라도 지지관과 압륜의 안내관들이 이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록특허공보의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에 있어서는, 다른 송수관의 끝단부분이 패킹과 함께 삽입된 송수관 한쪽의 플랜지에 압륜을 고정용 볼트로 체결하고 상기 압륜의 안내관 외면에 형성시킨 걸림턱과 지지관의 걸림턱이 서로 걸리도록 지지관을 복수의 볼트로 견고하게 체결하는 것인바 송수관의 이음작업이 번거롭고 작업공수가 비교적 많아 작업시간의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서로 이웃하는 송수관의 이음부분, 즉 송수관의 외면과 이를 수용하는 확장부분의 송수관 내면에 삼각형단면의 패킹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지반침하 등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송수관이 기울어지게 되면 패킹의 각각의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이 달라지고 이로 인해 제대로의 기밀유지가 곤란하며, 송수관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수록 송수관의 외면과 확장부분인 송수관의 내면으로부터 패킹의 내/외면을 이격시키므로 기밀이 유지되지 않고 결국에는 송수관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의 선등록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5330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연결몸체와 패킹이 가조립된 코팅강관의 끝단부분을 서로 이웃하는 코팅강관의 주강플랜지 내에 밀어 넣고 걸고리볼트의 걸림턱을 주강플랜지의 단턱에 걸어 너트를 체결하여 조립하며, 상기 걸고리볼트를 조일수록 연결몸체가 주강플랜지에 근접되므로 주강플랜지내의 패킹수용홈에 삽입된 삼각형단면의 패킹을 더욱 누르게되고 이로 인해 코팅강관의 외면과 주강플랜지의 패킹수용홈내면이 긴밀하게 밀봉된다.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의 코팅강관 이음장치 또한, 서로 이웃하는 코팅강관의 이음부분이 기울어지면 패킹의 각각의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이 달라지게 되어 제대로의 기밀유지가 곤란하였고, 코팅강관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수록 코팅강관의 외면과 주강플랜지의 패킹수용홈 내면으로부터 패킹의 내/외면을 이격시켜 기밀이 유지되지 않아 코팅강관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면엔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밀착날개와 외면엔 외부로 꺾인 밀착날개를 갖는 링형 패킹을 마련함으로써 코팅강관 내부의 압력이 높을수록 강관의 외면과 연결몸체의 패킹수용홈에 삽입된 링형 패킹의 밀착날개로 인해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고, 코팅강관의 이음부분이 어느 정도 경사진 상태로 시공되더라도 코팅강관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 코팅강관의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몸체 양단의 패킹수용홈에 패킹을 설치한 상태에서 강관의 끝단부분에 삽입할 수 있고 연결몸체 양단의 걸림턱에 걸림과 아울러 강관의 외면을 파지할 수 있는 스파이크로 마련함으로써 강관의 이음작업이 간편하며, 내외면 전체가 동일직경의 강관을 채택할 수 있어 최종단의 강관을 연결할 때 현장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모따기 작업만으로 마무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강관이음작업에 능동적인 대처와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코팅강관의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內徑)을 갖는 중공부재로 마련되고 그 길이방향의 중앙내면에 형성된 링형의 스토퍼와 이 스토퍼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소정거리의 위치에 패킹수용홈이 확장되며, 양쪽끝단의 외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연결몸체; 이 연결몸체의 패킹수용홈에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연결몸체의 양쪽끝단으로부터 삽입되는 강관 외면 및 패킹수용홈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내면과 외면에 각각 밀착날개가 형성된 패킹; 상기 연결몸체 양쪽끝단의 걸림턱에 상응하여 걸리도록 한쪽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몸체의 내면으로 삽입된 강관의 외면을 파지하도록 마련되며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호형으로 균등 분할되고 그 양단에 구멍을 갖는 브래킷이 마련된 스파이크; 이 스파이크를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서로 체결하는 복수의 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의 밀착날개는 내면에 한쪽끝단을 기준으로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면엔 외측으로 확장되어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부등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몸체의 패킹수용홈에 패킹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하여 패킹수용홈엔 링형 홈이 형성되고 패킹의 외면엔 상기 링형 홈과 상응하여 결합되는 링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는 강관외면을 파지하는 부분의 내면엔 톱니형상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의 끝단과 스파이크의 요철 사이위치의 강관외면에는 연결몸체의 내부로 삽입된 강관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칼라(color)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트의 헤드와 브래킷의 구멍은 볼트가 겉돌지 않도록 서로 상응하는 형상이면 족하고, 특히 주물제작이 용이한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의 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스파이크의 브래킷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요부인 링형 패킹에 대한 설치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팅강관(10)은 내외면 전체가 동일직경을 갖는 직선형의 강관(11)으로 마련되되, 강관(11)의 내/외면 전체에 걸쳐 부식방지소재(13,14)가 일정두께로 코팅되어 있으며, 강관(11) 외면의 부식방지부재(14)는 연결몸체(20)에 삽입되어 스파이크(30)가 물리는 양쪽끝단부분을 제외하고 코팅되어 있다.
상기 연결몸체(20)는 강관(11)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內徑)을 갖는 중공부재로 마련되되 그 길이방향의 중앙내면에 링형의 스토퍼(21)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21)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소정거리의 위치에 패킹수용홈(22)이 확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재 양쪽끝단의 외면에 걸림턱(23)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패킹수용홈(22)의 내면엔 패킹(40)의 안정적인 안착이 이뤄지도록 링형 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몸체(20)의 패킹수용홈(22)에는 링형 패킹(40)이 안착 설치되며, 이 링형 패킹(40)은 적어도 상기 연결몸체(20)의 양쪽끝단으로부터 삽입되는 강관(11)의 외면 및 패킹수용홈(22)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내면과 외면에 밀착날개(41,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밀착날개(41,42)는 강관(11)이 연결몸체(20)의 양단으로부터 삽입될 때, 한쪽끝단을 기준으로 내면엔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면엔 외측으로 확장되어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부등호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패킹(40)의 외면엔 상기 패킹수용홈(22)에 안정적인 안착이 이뤄지도록 상기 링형 홈(22a)과 상응하여 결합되는 링형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킹수용홈()내면과 패킹()외면에 링형 홈과 링형 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링형 홈과 링형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상태로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스파이크(30)는 상기 연결몸체(20) 양쪽끝단의 걸림턱(23)에 상응하여 걸리는 걸림턱(31)이 한쪽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몸체(20)의 내면으로 삽입된 강관(11)의 외면을 파지하도록 캡형 단면의 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파이크(30)는 조립성을 고려하여 2개가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균등 분할되어 호형으로 형성되고 그 호형의 양단엔 상기 스파이크(3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브래킷(32a,3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32a,32b)엔 스파이크(30)를 볼트(34)로 체결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32a,32b)중 한쪽의 구멍은 도 3과 같이, 카운터보어형의 구멍(33a)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원형구멍(3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30)에서 강관(11)외면을 파지하는 부분의 내면에 강관(11)을 파지하였을 때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톱니형상의 요철(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34)는 카운터보어형의 구멍(33a)에 삽입 안착되었을 때 볼트(34)의 겉돌음을 방지하고 주물제작이 용이한 타원형의 헤드로 된 볼트이다. 상기 브래킷(32a,32b)의 구멍(33a)과 볼트(34)의 헤드는 볼트(34)의 겉돌음이 방지되면서 브래킷(32a)의 구멍(33a)과 상응하는 형상이면 족하나 통상 사각형, 육각형인 기존의 볼트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코팅강관의 이음장치에 사용되는 코팅강관(10)의 생산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공장의 생산라인에서 내외면 전체가 동일직경인 직선형 강관(11)을 채택하고 그 내/외면전체를 부식방지소재(13,14)로 코팅하되 연결몸체(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부분의 외면을 벗겨 제거한 다음 방청처리를 위해 액상의 에폭시수지도료를 코팅한다.
이렇게 코팅강관(10)을 마련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본 발명의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연결몸체(20) 양쪽의 패킹수용홈(22)에 패킹(40)을 끼워 안착시킨 다음, 연결하고자 하는 코팅강관(10)의 끝단부분이 삽입되도록 연결몸체(20)의 내부로 끼워 넣되 중간의 스토퍼(21)에 강관(11)의 끝단이 닿도록 삽입하고 상기 연결몸체(20)의 다른 한쪽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삽입한다. 이때, 연결몸체(20)의 내부로 강관(11)이 삽입되면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도 2 및 도 4b와 같은 상태로 패킹(40) 내면의 밀착날개(41)가 확장되면서 강관(11)외면과 밀착됨과 아울러 패킹(40) 외면의 밀착날개(42)는 패킹수용홈(22)의 내면에 의해 패킹(40)의 중심을 향하여 꺾이므로 패킹(40) 외면의 밀착날개(42)가 패킹수용홈(22)의 내면과 밀착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스파이크(30)의 걸림턱(31)이 연결몸체(20)의 걸림턱(23)을 감싸면서 걸림은 물론 다른 한쪽의 요철(35)은 강관(11)을 감싸도록 스파이크(30)로 체결하여 조립한다. 이때, 스파이크(30)는 2개가 쌍을 이루어 하나의 원으로 조립되며, 스파이크(30)의 브래킷(32a,32b)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브래킷(32b)의 구멍(33b)으로 볼트(34)를 관통시켜 견고하게 체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 브래킷(32a)의 구멍(33a)엔 볼트(34)의 헤드부분이 삽입 안착되도록 원형구멍(33b)으로 볼트(34)를 관통시키되 브래킷(32b)의 원형구멍(33b)으로부터 도출된 볼트(34)끝단에 너트(36)를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스파이크(30)가 강관(11)을 견고하게 파지한다. 이때, 브래킷(32a)의 구멍(33a)과 볼트(34)의 헤드부분이 서로 상응하는 형상, 즉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볼트(34)에 체결된 너트(36)를 회전시키더라도 볼트(34)의 겉돌음 없이 조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강관(11)이 연결되어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코팅강관(10)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일정압력이 가해지면, 강관(11)내부의 유체는 강관(11)끝단을 통해 그 외면과 연결몸체(20)의 패킹수용홈(22)부분으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체의 압력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형 패킹(40)의 밀착날개(41,42)에 전달되므로 링형 패킹(40)의 밀착날개(41,42)가 내/외부로 확장되게되며, 이로 인하여 연결몸체(20)의 패킹수용홈(22) 내면과 코팅강관(10)의 외면에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게된다.
따라서, 코팅강관(10)의 이음부분이 연결몸체(20) 내경과 강관(11)외경의 차이로 인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경사진 상태로 시공되거나 지반이 침하된다하더라도 패킹(40)의 밀착날개(41,42)가 강관(11)내부의 압력으로 인해 항시 확장되어 강관(11) 외면과 패킹수용홈(22)의 내면에 항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패킹(40)의 밀착날개(41,42)에 의해 강관(11)외면과 연결몸체(20)사이의 기밀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코팅강관(10)내부의 유체가 누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강관의 이음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 예의 도면으로서, 상기 연결몸체(20)의 끝단과 스파이크(30)의 요철(35) 사이위치의 강관(11)외면에 코팅강관(10)과 연결몸체(20) 및 스파이크(30)가 서로 걸려 견고하고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한 칼라(color,15)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 예의 구성에 의하면, 강관(11)외면의 칼라(15)로 인해 코팅강관(10)과 연결몸체(20) 및 스파이크(30)가 서로 걸린 상태로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연결몸체(20)로부터 코팅강관(10)이 빠질 염려 없고 대/소구경관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대구경관(예를 들어, 직경이 600㎜이상)의 코팅강관(10)에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팅강관의 이음장치는, 코팅강관 내부의 압력이 높을수록 강관(송수관)외면과 패킹수용홈(확장부분)사이에 설치된 링형 패킹을 이격시키려는 힘으로 작용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내면엔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밀착날개와 외면엔 외부로 경사진 밀착날개를 갖는 링형 패킹을 마련함으로써 강관 내부의 압력이 높을수록 강관의 외면과 연결몸체의 패킹수용홈에 삽입된 패킹의 밀착날개로 인해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고, 코팅강관의 이음부분이 어느 정도 경사진 상태로 시공되더라도 코팅강관 내부의 유체가 누출될 염려가 없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몸체 양쪽의 패킹수용홈에 패킹을 설치한 상태에서 강관의 끝단부분에 삽입할 수 있고 연결몸체 양단의 걸림턱에 걸림과 아울러 강관의 외면을 파지할 수 있는 스파이크로 마련함으로써 강관의 이음작업이 간편하며, 내외면 전체가 동일직경의 강관을 채택할 수 있어 최종단의 강관을 연결할 때 현장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모따기 작업만으로 마무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강관이음작업에 능동적인 대처와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강관의 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스파이크의 브래킷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링형 패킹에 대한 설치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코팅강관의 이음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코팅강관 11: 강관
13,14: 부식방지소재 15: 칼라
20: 연결몸체 21: 스토퍼
22: 패킹수용홈 22a: 링형 홈
23,31: 걸림턱 30: 스파이크
32a,32b: 브래킷 33a: 구멍
33b: 원형구멍 34: 볼트
35: 요철 40: 패킹
41,42: 밀착날개 43: 링형돌기

Claims (5)

  1.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1)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內徑)을 갖는 중공부재로 마련되고 그 길이방향의 중앙내면에 형성된 링형의 스토퍼(21)와 이 스토퍼(21)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소정거리의 위치에 패킹수용홈(22)이 확장되며, 양쪽끝단의 외면에 걸림턱(23)이 형성된 연결몸체(20);
    이 연결몸체(20)의 패킹수용홈(22)에 설치되어 적어도 상기 연결몸체(20)의 양쪽끝단으로부터 삽입되는 강관(11) 외면 및 패킹수용홈(22)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내면과 외면에 각각 밀착날개(41,42)가 형성된 링형 패킹(40);
    상기 연결몸체(20) 양쪽끝단의 걸림턱(23)에 상응하여 걸리도록 한쪽내면에 걸림턱(3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몸체(20)의 내면으로 삽입된 강관(11)의 외면을 파지하도록 마련되며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호형으로 균등 분할되고 그 양단에 구멍을 갖는 브래킷(32a,32b)이 마련된 스파이크(30);
    이 스파이크(30)를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서로 체결하는 복수의 볼트(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0)의 밀착날개(41,42)는 강관(11)이 연결몸체(20)의 양단으로부터 삽입될 때, 한쪽끝단을 기준으로 내면엔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면엔 외측으로 확장되어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부등호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20)의 패킹수용홈(22)에 패킹(40)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하여 패킹수용홈(22)엔 링형 홈(22a)이 형성되고 패킹(40)의 외면엔 상기 링형 홈(22a)과 상응하여 결합되는 링형 돌기(4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20)의 끝단과 스파이크(30)의 요철 사이위치의 강관(11)외면에는 연결몸체(20)의 내부로 삽입된 강관(11)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칼라(15)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4)는 헤드가 타원형으로 마련되고 스파이크(30)의 구멍은 평면상 타원인 카운터보어형의 구멍(33a)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KR1020030063136A 2003-09-09 2003-09-09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KR10058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136A KR100586688B1 (ko) 2003-09-09 2003-09-09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136A KR100586688B1 (ko) 2003-09-09 2003-09-09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043U Division KR200336030Y1 (ko) 2003-09-09 2003-09-09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161A true KR20050026161A (ko) 2005-03-15
KR100586688B1 KR100586688B1 (ko) 2006-06-12

Family

ID=3738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136A KR100586688B1 (ko) 2003-09-09 2003-09-09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6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56B1 (ko) * 2010-07-16 2011-09-30 주식회사 평화 난형관 접속받침장치
WO2022071628A1 (ko)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이엔에스 스냅 링
KR20220102053A (ko) 2021-01-12 2022-07-1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도관용 스파이크링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2052A (ko) 2021-01-12 2022-07-1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도관용 스파이크링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757B1 (ko) 2009-01-03 2011-12-01 (주)위더스 걸림턱 없는 쐐기식 소켓 조인트
KR101007442B1 (ko) 2010-04-02 2011-01-12 김진희 관 연결장치
KR101181414B1 (ko) * 2012-02-24 2012-09-19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상하수도관용 신축이음장치
KR102522327B1 (ko) * 2022-05-10 2023-04-14 박명수 파이프 결속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결속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56B1 (ko) * 2010-07-16 2011-09-30 주식회사 평화 난형관 접속받침장치
WO2022071628A1 (ko)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이엔에스 스냅 링
KR20220102053A (ko) 2021-01-12 2022-07-1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도관용 스파이크링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2052A (ko) 2021-01-12 2022-07-1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수도관용 스파이크링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6688B1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1576A (en) Connector and coupling means
KR101313479B1 (ko) 파이프 조인트 로킹 장치
KR100586688B1 (ko)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CN111878490A (zh) 一种免螺纹连接的三通连接结构
KR200336030Y1 (ko)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CN218408858U (zh) 一种穿壁管线密封结构
KR101137895B1 (ko)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KR200332892Y1 (ko)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US20090290951A1 (en) Sleeve For a T-Bolt and a Sleeve and T-Bolt Combination to Prevent T-Bolt Rotation
KR101143365B1 (ko) 유체이송관의 배관을 위한 이음구
GB2305481A (en) Pipe coupling with gasket and housing
KR200257366Y1 (ko) 플랜지와 슬리브형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200251657Y1 (ko) 균등안전대가 형성된 접이형 플랜지를 이용한 파이프의연결구조
KR100526893B1 (ko) 밀폐가 확실하고 연결이 간편한 지관이음용 커플링
KR101113814B1 (ko)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KR200363189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216504Y1 (ko) 클립 플랜지를 이용한 관이음장치
KR102300286B1 (ko) 주관 밀폐력이 향상된 분기관 연결장치
KR20040052723A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216805Y1 (ko)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0354969Y1 (ko) 이경관 체결구
JP3015865U (ja) 管継手のシール構造
KR200315330Y1 (ko) 코팅강관의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