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368A - 전열히터 - Google Patents

전열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368A
KR20050025368A KR1020030062392A KR20030062392A KR20050025368A KR 20050025368 A KR20050025368 A KR 20050025368A KR 1020030062392 A KR1020030062392 A KR 1020030062392A KR 20030062392 A KR20030062392 A KR 20030062392A KR 20050025368 A KR20050025368 A KR 20050025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ter
heat
heat transf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579B1 (ko
Inventor
박창호
한인철
장길상
민도식
김원회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자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자화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5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5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35Structures comprising heat spreading elements in the form of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52Frame constructions
    • F24H3/0464Two-piece frames, e.g. two-shell frames, also including frames as a central body with two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24H9/1872PT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4Positive or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s, e.g. PTC, N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수단을 개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다량의 전도성 액체 및 금속이 투입될 경우에 전기적 사고 및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발열수단의 구성 부품들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열전달을 향상시키고, 구성 부품들간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열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열히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크기의 통과공을 갖는 프레임과; 양측부를 관통하여 일정한 크기의 관통공이 다수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발열체 지지부재와, 상기 관통공을 막도록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의 일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를 관통하는 단자부를 구비되며 절연재에 의해 감싸여진 도전성 재질의 전도체와, 상기 관통공내에 안착되어 상기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이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피티씨(P.T.C) 소자와, 상기 피티씨 소자와 전도체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측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피티씨 소자와 전도체중의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방열핀을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내에 상기 통과공을 커버링하도록 적층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다수개의 발열수단과; 상기 프레임을 가압하여 적층 설치된 발열수단들의 상호 접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열히터{A electric heater}
본 발명은 전열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수단을 개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다량의 전도성 액체 및 금속이 투입될 경우에 전기적 사고 및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발열수단의 구성 부품들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열전달을 향상시키고, 구성 부품들간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열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열히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의 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한 응축기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며 자동차의 실내의 각 부위와 덕트에 의해 연결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기와 실외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기 유니트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송풍기 유니트(15)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20)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코어(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20)는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와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며, 상기 히터코어(30)는 엔진의 냉각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엔진 냉각수단과 연결관(3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실내의 난방은 엔진을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히터코어(30)가 흐르는 상태에서 송풍기 유니트(15)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히터코어(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난방은 엔진에 의해 냉각수가 충분히 가열된 상태를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냉각수가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풍이 차실내로 공급되어 난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특히, 외기의 온도가 매우 낮은 동절기에는 엔진과 냉각수가 영하의 온도로 냉각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엔진의 구동으로 냉각수의 온도를 난방이 안정화되는 온도까지 높이는데는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엔진이 디젤엔진인 경우에는 가솔린 엔진에 비하여 발열량이 낮으므로 동절기의 실내 초기 난방은 더욱 어렵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기 유니트(15)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보조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PTC(Positive Thermister Coefficient)소자를 이용한 전열히터(40)를 구비한다.
그리고, 공기조화장치는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열히터(40)를 온,오프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에 의한 시동초기의 난방은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전열히터(40)를 이용하여 보조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열히터(40)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1a)(42a)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일정한 길이의 상,하 부재(41)(42)와, 상기 상,하 부재(41)(42) 사이에 다수개 적층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함과 아울러 일단에 단자부(53a)를 구비한 다수개의 발열수단(50)과, 상기 상,하 부재(41)(42)의 각 일단부에 결합되는 일측 결합부재(44)와, 상기 상,하 부재(41)(42)의 각 타단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단자부(53a)들이 삽입되는 타측 결합부재(45)와, 상하단이 상기 상,하 부재(41)(42)의 중앙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발열수단(50)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바(4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열히터(40)의 구성중 발열수단(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기 공급되면 발열하는 피티씨 소자(P.T.C)(51)와, 상기 피티씨 소자(51)가 안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안착홈(52a)이 다수개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지지 프레임(52)과, 상기 단자부(53a)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52)의 일측면에 상기 피티씨 소자(5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도전체(53)와, 상기 도전체(53)의 외측면과 상기 지지 프레임(52)의 일측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방열핀(54)이 내장된 열전도부재(5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열전도부재(55)는 상기 지지 프레임(52)에 형성된 후크(52b)에 의해 록킹되어 지지 프레임(52)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 기술에 의한 발열수단(50)을 구성하는 방열핀(54)이 구비된 열전도부재(55)와 도전체(53)등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다량의 전도성 액체 및 금속이 투입될 경우에 전기적 사고 및 화재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 기술에서는 상,하 부재(41)(42)에 발열수단(5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41a)(42a)을 두었으나, 중앙 부위가 측면에 비하여 스프링(41a)42a)이 탄성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이를 보강하기 위해 지지바(46)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지지바(46)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전열히터(40)의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배불림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는 발열수단(50)을 구성하는 열전도부재(55)와 도전체(53) 및 피티씨 소자(51)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피티씨 소자(51)에 발생된 열이 열전도부재(55)로 전부 전달되지 못하는 등 열전달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발열수단을 개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다량의 전도성 액체 및 금속이 투입될 경우에 전기적 사고 및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발열수단의 구성 부품들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열전달을 향상시키고, 구성 부품들간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열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열히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크기의 통과공을 갖는 프레임과; 양측부를 관통하여 일정한 크기의 관통공이 다수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발열체 지지부재와, 상기 관통공을 막도록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의 일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를 관통하는 단자부를 구비되며 절연재에 의해 감싸여진 도전성 재질의 전도체와, 상기 관통공내에 안착되어 상기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이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피티씨(P.T.C) 소자와, 상기 피티씨 소자와 전도체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측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피티씨 소자와 전도체중의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방열핀을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내에 상기 통과공을 커버링하도록 적층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다수개의 발열수단과; 상기 프레임을 가압하여 적층 설치된 발열수단들의 상호 접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열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열히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가압수단과 프레임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열히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열히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전열히터에 적용되는 발열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서 가압수단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서 발열체 지지부재와 방열핀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열히터는 크게 일정한 크기의 통과공(101)을 갖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10)내에 상기 통과공(101)을 커버링하도록 적층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다수개의 발열수단(300)과, 상기 프레임(100)을 가압하여 적층 설치된 발열수단(300)들의 상호 접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압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두 개의 부재(110)(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의 부재를 서로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두 개의 부재(110)(120)는 서로 대칭되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발열수단(300)의 적층된 양측면을 지지하는 양측면 지지부(410)(420)와, 상기 양측면 지지부(410)(420)의 상하단중 어느 한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상하부측 어느 한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부(430)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양측면 지지부(410)(420)의 나머지 단부는 상기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부(430)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양측면 지지부(410)(420)의 단부에는 걸림공(411)(42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411)(421)에 걸려 록킹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는 돌기(10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400)의 표면에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절연수단을 구비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발열수단(300)과 전기적으로 절연을 가능케하여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돌기(10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두 개의 부재(110)(120)가 서로 맞대어 접촉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11)(121)에 분리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1)(121)는 서로 요입 결합되어 결합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부(430)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양측면 지지부(410)(420)의 단부에는 삽입공(41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413)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0)에는 관통공(10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413)을 통해 관통공(104)에는 결합핀(450)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04)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두 개의 부재(110)(120)가 서로 맞대어 접촉되는 접촉부에 각각 분리 형성된다.
상기 발열수단(300)은,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를 관통하여 일정한 크기의 관통공(310a)이 다수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발열체 지지부재(310)와, 상기 관통공(310a)을 막도록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310)의 일측면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310)의 일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부를 관통하는 단자부(300a)를 구비하며 절연재에 의해 감싸여진 도전성 재질의 전도체(320)와, 상기 관통공(310a)내에 안착되어 상기 전도체(32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이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피티씨(P.T.C) 소자(330)와,상기 피티씨 소자(330)와 전도체(320)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310)의 적어도 일측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피티씨 소자(330)와 전도체(320)중의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방열핀(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열핀(340)을 상기 피티씨 소자(330)와 전도체(320)중의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한 이유는 외부로부터 다량의 전도성 액체 및 금속이 투입될 경우에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여 전기적인 사고 및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에 있다.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3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면에 상기 방열핀(340)이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310b)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방열핀(340)의 외부에는 열전도부재(341)를 더 감싸도록 설치하여 열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전도시킴과 아울러 방열핀(34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수단(300)의 외측면과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면 사이에는 탄발수단(500)이 상기 프레임(100)을 관통하여 설치할수도 있다.
상기 탄발수단(500)은 일정한 길이의 플레이트(510)와, 이 플레이트(510)에 라운딩되게 돌출된 탄성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100)의 측부에 상하로 형성된 슬라이드 삽입공(106)을 통해 탄발수단(500)을 슬라이드 삽입한다.
이후, 프레임(100)의 관통공(101)의 내부에 발열수단(300)을 적층 배치하되, 이의 단자부(300a)가 프레임(100)의 관통공(107)을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한다.
이렇게 하여 프레임(100)내에 발열수단(300)들을 설치 완료한다.
다음으로, 가압수단(400)의 양측면 지지부(410)(420) 사이로 프레임(100)을 삽입하여 프레임(100)의 하면이 가압수단(400)의 텐션부(430)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양측면 지지부(410)(420)에 형성된 걸림공(411)(421)에 프레임(100)의 돌기(103)가 걸려지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가압수단(400)의 텐션부(43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이 상하로 가압되어 적층 설치된 발열수단(300)들의 상호 접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탄발수단(500)이 부가적으로 사용되는데,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탄발수단(500)의 탄발력을 충분히 이기고 프레임(100)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전열히터의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여 발열수단들간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제까지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조립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구조만 상이할뿐 조립 방법은 도 6과 거의 유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열히터에 따르면, 발열수단을 개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다량의 전도성 액체 및 금속이 투입될 경우에 전기적 사고 및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발열수단의 구성 부품들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열전달을 향상시키고, 구성 부품들간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열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종래 기술에 관련된 전열히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열히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압수단과 프레임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열히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열히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전열히터에 적용되는 발열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가압수단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 발열체 지지부재와 방열핀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01 : 통과공
103 : 돌기 110, 120 : 부재
111,121 : 결합부 300 : 발열수단
300a : 단자부 310 : 발열체 지지부재
310a : 관통공 310b : 고정홈
320 ; 전도체 330 : 피티씨 소자
340 : 방열핀 341 : 열전도부재
400 : 가압수단 410,420 : 양측면 지지부
411.421 : 걸림공 413 : 체결공
430 : 텐션부 450 : 결합핀
500 : 탄발수단

Claims (14)

  1. 일정한 크기의 통과공(101)을 갖는 프레임(100)과;
    양측부를 관통하여 일정한 크기의 관통공(310a)이 다수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발열체 지지부재(310)와;, 상기 관통공(310a)을 막도록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310)의 일측면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310)의 일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부를 관통하는 단자부(300a)를 구비되며 절연재에 의해 감싸여진 도전성 재질의 전도체(320)와, 상기 관통공(310a)내에 안착되어 상기 전도체(32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이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피티씨(P.T.C) 소자(330)와, 상기 피티씨 소자(330)와 전도체(320)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310)의 적어도 일측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피티씨 소자(330)와 전도체(320)중의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방열핀(340)을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110)내에 상기 통과공(101)을 커버링하도록 적층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다수개의 발열수단(300)과;
    상기 프레임(100)을 가압하여 적층 설치된 발열수단(300)들의 상호 접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압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일체로 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서로 대칭되는 두 개의 부재(110)(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재(110)(120)는 서로 대칭되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발열수단(300)의 적층된 양측면을 지지하는 양측면 지지부(410)(420)와;
    상기 양측면 지지부(410)(420)의 상하단중 어느 한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상하부측 어느 한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텐션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부(430)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양측면 지지부(410)(420)의 나머지 단부는 상기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430)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양측면 지지부(410)(420)의 단부에는 걸림공(411)(42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411)(421)에 걸려 록킹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는 돌기(10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00)의 표면에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전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03)는 상기 프레임(100)의 두 개의 부재(110)(120)가 서로 맞대어 접촉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11)(121)에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1)(121)는 서로 요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430)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양측면 지지부(410)(420)의 단부에는 결합공(41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413)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0)에는 관통공(10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413)을 통해 관통공(104)에는 결합핀(45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04)은 상기 프레임(100)의 두 개의 부재(110)(120)가 서로 맞대어 접촉되는 접촉부에 각각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지지부재(310)는, 그 양측면에 상기 방열핀(340)이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310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13.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340)의 외부에는 열전도부재(341)가 더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300)의 외측면과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면 사이에는 탄발수단(500)이 상기 프레임(10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히터.
KR1020030062392A 2003-09-06 2003-09-06 전열히터 KR100992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92A KR100992579B1 (ko) 2003-09-06 2003-09-06 전열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92A KR100992579B1 (ko) 2003-09-06 2003-09-06 전열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368A true KR20050025368A (ko) 2005-03-14
KR100992579B1 KR100992579B1 (ko) 2010-11-08

Family

ID=3738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392A KR100992579B1 (ko) 2003-09-06 2003-09-06 전열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5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215B1 (ko) * 2005-07-05 200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히터코어유닛
US20100270536A1 (en) * 2004-09-16 2010-10-28 Etamota Corporation Concentric Gate Nanotube Transistor Devices
KR101137264B1 (ko) * 2005-03-21 2012-04-20 자화전자 주식회사 보조히터
US8872075B2 (en) 2008-12-05 2014-10-28 Hyundai Motor Company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rod assembly
US8895898B2 (en) 2008-12-05 2014-11-25 Hyundai Motor Company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rod assembly and PTC heater using the same
KR101484458B1 (ko) * 2013-07-24 2015-02-10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전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282A (ja) * 1990-05-10 1992-01-22 Shibata Ind Co Ltd 異方導電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H0521134A (ja) * 1991-07-02 1993-01-29 Sumitomo Metal Ind Ltd Ptcサーミスタ発熱体
JP2891109B2 (ja) * 1994-07-08 1999-05-17 株式会社デンソー 加熱装置
JP3191655B2 (ja) * 1996-01-26 2001-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正特性サーミスタ発熱体
KR100334619B1 (ko) * 1997-02-06 2002-06-20 오카베 히로무 전기히터가구비된열교환기의코어유닛및그제작방법
JP3855507B2 (ja) * 1998-12-16 2006-12-13 株式会社デンソー 暖房用熱交換器
DE10121568A1 (de) * 2001-04-25 2002-10-31 Behr France Sarl Elektrische Heizeinrichtung mit in einem Rahmen gehaltenem Heizblock
KR100388129B1 (ko) * 2001-08-28 2003-06-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차량용 제상장치
KR100737347B1 (ko) * 2001-08-30 2007-07-09 대일공업주식회사 피티씨 소자를 이용한 발열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0536A1 (en) * 2004-09-16 2010-10-28 Etamota Corporation Concentric Gate Nanotube Transistor Devices
KR101137264B1 (ko) * 2005-03-21 2012-04-20 자화전자 주식회사 보조히터
KR100683215B1 (ko) * 2005-07-05 200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히터코어유닛
US8872075B2 (en) 2008-12-05 2014-10-28 Hyundai Motor Company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rod assembly
US8895898B2 (en) 2008-12-05 2014-11-25 Hyundai Motor Company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rod assembly and PTC heater using the same
DE102009025474B4 (de) * 2008-12-05 2016-09-22 Hyundai Motor Co. PTC-Heizstab-Anordnung und PTC-Heizgerät
DE102009025474C5 (de) 2008-12-05 2019-07-18 Hyundai Motor Co. PTC-Heizstab-Anordnung und PTC-Heizgerät
KR101484458B1 (ko) * 2013-07-24 2015-02-10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전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579B1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191B1 (ko) 피티씨 로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피티씨 히터
JP5461549B2 (ja) 車両用バッテリーのためのバッテリー冷却
WO2012020614A1 (ja) バッテリ温度調節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温度調節ユニット
KR101114583B1 (ko) 피티씨 로드 조립체
KR101132979B1 (ko) 프리 히터 조립체
JPH0734390B2 (ja) 正特性サーミスタ装置
KR20050018831A (ko) Ртс 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용 히터
KR100992579B1 (ko) 전열히터
KR100926315B1 (ko) 전열히터
KR100926312B1 (ko) 전열히터
US20220097485A1 (en) Heater device
KR100926316B1 (ko) 전열히터
KR100926314B1 (ko) 전열히터
KR20070040110A (ko) 자동차용 전열히터의 단자 조립구조
KR10097209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전열히터
KR20050006711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전열히터
KR20120032795A (ko) 자동차용 전열 히터 장치
KR100926313B1 (ko) 전열히터
KR100981817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전열히터
KR101037608B1 (ko) 전열히터
KR100558836B1 (ko)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KR100972095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전열히터
KR101115952B1 (ko) 전열히터의 전원 공급구조
KR100479187B1 (ko) 자동차용 보조난방장치
KR100705472B1 (ko) 자동차용 프리 히터의 히터 하우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