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355A - 치료제 - Google Patents
치료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25355A KR20050025355A KR1020057000701A KR20057000701A KR20050025355A KR 20050025355 A KR20050025355 A KR 20050025355A KR 1020057000701 A KR1020057000701 A KR 1020057000701A KR 20057000701 A KR20057000701 A KR 20057000701A KR 20050025355 A KR20050025355 A KR 200500253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 fraction
- derived
- soybean
- soy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63/00—Steroids in whic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has been modified by expansion of only one ring by one or two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5/00—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5/22—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at least one hydroxy group bound to a condensed ring system
- C07C35/44—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at least one hydroxy group bound to a condensed ring system with a hydroxy group on a condensed ring system having more than three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4—Condensed 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ings
- C07H15/256—Polyterpene radic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 글리시리진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신경성장인자 (NGF) 생산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NGF 생산증강제, 및 NGF 생산증강용 식품, 음료 및 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NGF 생산증강작용을 갖는 신규한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및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로 식용 식물에서 유래된 화합물의 생리 작용을 이용한 의약, 음식품 등에 관한 것이다.
신경 성장 인자 (NGF) 는 신경 세포의 탄생을 재촉하는 작용, 신경 세포의 생존을 유지하는 작용, 뇌의 손상시에 수복하는 작용, 뇌신경의 기능을 회복하여 뇌의 노화를 방지하는 작용 등 신경 세포의 생과 사에 밀접하게 관계하는 단백질이다. 따라서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이나 당뇨병 합병증인 신경 장애 등의 예방ㆍ치료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NGF 는 분자량이 커 혈액 뇌관문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혈액 뇌관문을 통과할 수 있는 NGF 생성 증강 물질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도 1 은, 대두 배아 수(水)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9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9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9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0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0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0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3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3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3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5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5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5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6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6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6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는,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 a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은,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 a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 a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자들은 식용 식물 유래의 NGF 생성 증강 물질로서 특정한 사포닌류 화합물, 사포게닌류 화합물 및/또는 그들의 염이 유용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에 의해, 이들 사포닌류 화합물, 사포게닌류 화합물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의약, 당해 사포닌류 화합물, 사포게닌류 화합물 및/또는 그들의 염을 고함유하는 음식품, 사료 등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NGF 생성 증강 작용」 및 「NGF 생성 증강 활성」은 각각 NGF 생성 증강을 가져오는 것 및 NGF 생성을 증강시키는 기능을 말하지만, 그 의미에 있어서 특별히 엄밀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증강」에는, 본 발명에 관한 유효성분의 작용 전에 비하여, 작용 후에 있어서 목적 물질의 양이 증가한다는 양태와 함께, 본 발명에 관한 유효성분을 작용시킴으로써 목적 물질을 생기(生起)시킨다는 양태 (유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예시하는 모든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사포닌류 화합물, 사포게닌류 화합물 및/또는 그들의 염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은, NGF 생성 증강 작용을 갖고 있으면 되고, 천연물에서 유래될 수도 있고, 합성품이나 반합성품일 수도 있다. 천연물로는 식용 식물 유래가 바람직하고, 식용 식물 유래로는 대두 등의 콩류에서 유래된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또는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감초 유래의 사포닌으로서 알려진 글리시리진을 예시할 수 있다.
대두에는 화학 구조 상 A, B, E 및 DDMP 사포닌의 4 그룹의 사포닌이 포함되어 있고, A 그룹 사포닌은, olean-12-en-3β, 21β, 22β, 24-tetraol (소야사포게놀 A) 을 아글리콘 (aglycon) 으로 하는 사포닌이고, B 그룹 사포닌은, olean-12-en-3β, 22β, 24 triol (소야사포게놀 B) 을 아글리콘으로 하는 사포닌이고, 또 E 그룹 사포닌은 olean-12-en-3β, 24-diol-22-one (소야사포게놀 E) 을 아글리콘으로 하는 사포닌이고, DDMP 사포닌은 B 그룹 사포닌을 아글리콘으로 하고, C-22 위치(位)에 2,3-디하이드로-2,5-디하이드록시-6-메틸-4H-피란-4-온 이 결합한 사포닌이다 (식품과 개발, Vol.34, No.7 8∼11 페이지, (1999)).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소야사포닌류 화합물로는 A, B, E 그룹 및 DDMP 사포닌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로는, 상기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예시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Ⅲ)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a∼n 이 예시된다.
(식 중, 점선으로 나타낸 결합자 C, D, 및 R7, R8, R9 를 표 1 에 나타낸다.)
C | D | R7 | R8 | R9 | |
화합물 a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Ara-2-AcXyl | -OH |
화합물 b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Ara-3-AcXyl | -OH |
화합물 c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Ara-4-AcXyl | -OH |
화합물 d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Ara-2,3-diAcXyl | -OH |
화합물 e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Ara-2,4-diAcXyl | -OH |
화합물 f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Ara-3,4-diAcXyl | -OH |
화합물 g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Ara-3,4,6-triAcGlc | -OH |
화합물 h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Ara-2,3,4,6-tetraAcGlc | -OH |
화합물 i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H | -H |
화합물 j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Rham | -OH | -H |
화합물 k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 | -H |
화합물 l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Rham | =O | -H |
화합물 m | 이중결합 | 단일결합 | -O-GlcUA-Gal-Glc | -O-Ara-2,3,4-triAcXyl | -H |
화합물 n | 단일결합 | 이중결합 | -OH | -OH | -H |
또, 상기 화합물 a∼g 및 n, 즉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본 발명에 의해 처음으로 얻어진 화합물로서, NGF 생성 증강 작용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서는, 당해 화합물, 및 당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해 화합물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도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로는 대두나 감초 유래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두 유래가 아니어도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 또는 글리시리진,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면 그 유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AcXyl 은, 아세틸화된 자일로오스 잔기를 의미한다. AcGlc 은, 아세틸화된 글루코오스 잔기를 의미한다. Rham 은, 람노오스 잔기를 의미한다. 또한,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이란 소야사포닌류 화합물에 있어서 당 잔기를 갖지 않은 아글리콘 또는 그 이성체를 의미한다.
당 잔기를 구성하는 당으로는, 단당이어도 되고 당사슬이어도 되며, 또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글루크론산, 자일로오스, 람노오스, 갈락토오스, 트레오스(threose), 리보스, 아피오스, 알로오스(allose), 아라비노오스, 아라비노피라노오스, 리블로오스(ribulose), 만노오스, 탈로오스(talose), 푸코오스, 프룩토오스(fructose),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 및 이들의 당에 의해 구성되는 당사슬을 예시할 수 있다. 당사슬 중의 당의 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란 관점에서 2∼5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당은 아세틸화, 에스테르화 등의 수식이 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에스테르 등, 체내에서 용이하게 가수분해되어 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유도체 (프로드러그) 를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프로드러그의 조제는 공지의 방법에 따르면 된다. 또, 이러한 유도체는, 그들의 염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있어서, 염으로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염으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유기염기와의 염 등이 예시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생물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무독이고, 또한 NGF 생성 증강 작용을 갖는 화합물의 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화합물의 염으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암모늄 또는 프로톤화된 벤자틴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콜린,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메그라민 (N-메틸글루카민), 베네타민 (N-벤질페네틸아민), 피페라진 또는 트로메타민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학 이성체, 케토-엔올 호변 이성체, 기하 이성체 등의 각종 이성체, 각 이성체의 단리된 것이라도, NGF 생성 증강 작용을 갖는 한 모두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란, 본 발명이 원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는 한, 그 유도체, 이성체 및 그들의 염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시판되고 있으면 그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조제할 수도 있고, 당해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식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추출하여 정제함으로써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천연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공지의 제조 방법을 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 또는 그들의 염의 함유물, 예를 들어, 대두 등의 식물로부터 당해 화합물을 추출하여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대두를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대두의 배아, 어린 잎을 원료로 사용한다. 추출 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친수성 또는 친유성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액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온도나 시간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추출 조작은 원한다면 수회 반복해도 된다. 정제 수단으로는 화학적 방법, 물리적 방법 등의 공지의 정제 수단을 사용하면 되고, 겔 여과법, 분자량 분획막에 의한 분획법, 용매 추출법, 이온 교환 수지 등을 사용한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의 종래 공지된 정제 방법을 조합하여,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목적하는 화합물을 농축하거나 단리하거나 하면 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의약 등은, 단리한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화합물의 농축물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글리시리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시판되는 것이나 감초로부터 추출, 정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글리시리진의 추출 및 정제는, 상기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등에 대해서 기재한 방법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글리시리진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을 합성품 또는 반합성품으로서 얻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공지의 방법에 준하여 원하는 화합물을 합성하면 된다.
원하는 화합물이 얻어졌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질량 분석법, 핵자기 공명법 등에 의해 구조를 결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치료 또는 예방에 NGF 생성 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가 제공된다.
NGF 는 신경 세포의 생존이나 기능을 유지시키거나, NGF 의 농도 구배에 따라서 신경 세포를 신장시키거나 하는 내인성(內因性) 성장 인자로서, NGF 의 생성을 증강시킴으로써 알츠하이머병 등의 노인 치매증이나 말초 신경 장애, 뇌혈관 장애, 뇌종양, 뇌첨(惱尖), 두부 외상 변성 질환, 마취 약물 중독 등에 의한 신경 기능의 수복ㆍ재생을 필요로 하는 질환을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약제 장애성 말초 신경 장애, 당뇨병성 말초 신경 장애, 파킨슨병, 감각 신경 장애, 색소성 망막증, 황반 변성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도 유용하다. 즉, 본 발명의 의약, 후술하는 음식품, 사료를 투여, 섭취함으로써 상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의약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처음으로 얻어진,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해 화합물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가 포함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 글리시리진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이것을 공지의 의약용 담체와 조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에서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치료 등의 대상이 되는 질환, 사용 양태 등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지만, 통상 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 정도이다.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고체상의 담체와 배합하고, 또 목적에 따라 용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등을 첨가하여, 정제, 과립제, 산제, 분말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 통상적인 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액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사용하기 전에 적당한 담체를 첨가함으로써 액상으로 될 수 있는 건조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는, 경구제나, 주사제, 점적 용제 등의 비경구제 중 어떠한 형태로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투여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여기에 적용되는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어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으로, 통상 인간에서는 1 일당 1㎍∼1g/㎏ 체중, 바람직하게는 10㎍∼200㎎/㎏ 체중 정도이다. 물론 투여량은 각종 조건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넘어서 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투약 기간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의약은 그대로 경구 투여하는 것 외에, 임의의 음식품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NGF 생성 증강제를 제공한다. 당해 증강제로는, 상기 유효성분 그 자체여도 되고, 또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의 염은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다. NGF 생성 증강제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성분을 당해 유효성분과 같은 용도로 사용 가능한 다른 성분 등과 배합하여,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통상 사용되는 시약의 형태로 제조하면 된다. 이러한 증강제에서의 상기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당해 증강제의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GF 생성 증강제 중의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으로는, 통상 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 정도이다. 또한, 그 증강제의 사용량도, 본 발명이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생체에 투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투여량 범위 내에서 유효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NGF 생성 증강제는, NGF 생성 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에 있어서의 당해 성장인자의 증강에 유용하다. 또한, 당해 증강제는 NGF 에 관련되는 질환에 대한 약품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그리고 당해 증강제는, NGF 또는 신경 세포의 물리적 변화에 관한 기능 연구에도 유용하다.
다음으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식품, 음료 (이하, 음식품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사료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식품 또는 사료에 있어서 함유란, 함유, 첨가 및 희석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음식품 또는 사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이다. 그 음식품 등은, 그 NGF 생성 증강 작용에 의해, 치료 또는 예방에 NGF 생성 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증상 개선 및 예방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생체의 항상성 유지에도 유용하다.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의 염으로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음식품 또는 사료에서 말하는 「함유」란, 음식품 등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성분이 함유된다는 양태를 말하고, 첨가란, 음식품 등의 원료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성분을 첨가한다는 양태를 말하며, 희석이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성분에 음식품 등의 원료를 첨가한다는 양태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제조된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본 발명의 화합물이 유효성분으로서 고함유되어 있으면 되고, 통상적인 음식품, 사료보다 고함유되어 있으면 된다. 즉, 본 발명의 음식품 또는 사료는, 통상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그 원료로부터 농축 또는 단리하여, 그것을 공지의 음식품 또는 사료에 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농축 또는 단리에는 유효성분을 합성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원료를, 거기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이 고함유가 되도록 처리 가능하다면, 그 원료가 인간의 식용으로 제공될 수 있는 한 얻어지는 처리물을 그대로 본 발명의 음식품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 처리물로는, 농축 과즙, 야채즙 등을 들 수 있다. 또, 여기서 고함유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원료, 예를 들어 대두의 단위 중량당 본 발명의 화합물 중량보다도,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단위 중량당 본 발명의 화합물 중량쪽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량이란 고형분 중량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곡물 가공품 (예, 소맥분 가공품, 전분류 가공품, 프리믹스 가공품, 면류, 마카로니류, 빵류, 팥소류, 메밀류, 밀기울, 쌀국수, 당면, 포장떡 등), 유지 가공품 (예, 가소성 유지, 튀김유, 샐러드유, 마요네즈류, 드레싱 등), 대두 가공품 (예, 두부류, 된장, 대두발효품 등), 식육 가공품 (예, 햄, 베이컨, 프레스햄, 소시지 등), 수산제품 (예, 냉동 다진 어육, 어묵, 관 모양 어묵, 다진 어육, 기름에 튀긴 어육, 어육 볼, 시뉴(sinew), 어육 햄, 소시지, 가다랭이포, 어란 가공품, 수산 통조림, 해산물을 간장으로 조린 반찬 (쯔꾸다니) 등), 유제품 (예, 원유, 크림, 요구르트, 버터, 치즈, 연유, 분유, 아이스크림 등), 야채ㆍ과일 가공품 (예, 페이스트류, 잼류, 절임채소류, 과일 음료, 야채 음료, 믹스 음료 등), 과자류 (예, 초컬릿, 비스켓류, 과자빵류, 케이크, 떡과자, 쌀과자류 등), 알코올류 (예, 정종, 중국술, 와인, 위스키, 일본 증류주 (소주), 보드카, 브랜디, 진, 럼주, 맥주, 청량 알코올 음료, 과일주, 리큐어 등), 기호 음료 (예, 녹차, 홍차, 우롱차, 커피, 청량음료, 락트산 음료 등), 조미료 (예, 간장, 소스, 식초, 미림 등), 통조림ㆍ병조림ㆍ조림 포장 식품 (예, 쇠고기 야채 덮밥, 쇠고기 야채 솥밥, 팥밥, 카레라이스, 기타 각종 조리 완제품 등), 반건조 또는 농축 식품 (예, 리버페이스트, 기타 스프레드, 메밀국수ㆍ우동의 국물, 농축 스프류 등), 건조 식품 (예, 즉석 면류, 즉석 카레, 인스탄트 커피, 분말 쥬스, 분말 스프, 즉석 된장국, 조리 완제 식품, 조리 완제 음료, 조리 완제 스프 등), 냉동 식품 (예, 스끼야끼, 챠완무시 (일식 계란찜), 장어구이, 햄버거 스테이크, 슈마이, 교자 (만두), 각종 스틱, 후르츠칵테일 등), 고형 식품, 액체 식품 (예, 스프 등), 향신료류 등의 농산ㆍ임산 가공품, 축산 가공품, 수산 가공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품 중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사료란, 예를 들어, 가축용, 양식어용, 가금용, 애완동물용 사료이고,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간 이외의 생물의 인공 식료 또는 음료를 의미한다. 음료로는, 가축용 등의 음료수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NGF 생성 증강용 사료 첨가제가 제공된다. 그 첨가제는, 예를 들어, 통상의 사료에 첨가하거나, 또는 생물을 침지하는 수중 (양식어를 양식하기 위한 수중 등) 에 첨가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사료 중의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 정도이다. 상기 첨가제 중의 유효성분의 함유량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용도에 따라 원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본 발명의 사료 (상기 첨가제를 포함한다) 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말상, 액상 또는 고형상이어도 된다. 또,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의 염으로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약, 음식품, 사료 중의 본 발명의 화합물 함량은 상기한 바와 같고, 그 투여, 섭취 등에 의해 생체 내에서 NGF 생성이 증강되는 양이면 되고, 통상적인 음식품 중의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 및 글리시리진의 함유량 이상의 양으로 고함유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화합물에 독성은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포닌류 화합물, 글리시리진 또는 그들의 염을 마우스 (수컷, 6 주령) 에 경구 투여 (1000mg/㎏ 체중) 한 경우, 독성은 보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NGF 생성 증강 작용을 갖는 상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신규한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및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도 제공한다.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지만,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당해 실시예를 참고로 제조할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천연물에서 유래된 안전한 NGF 생성 증강 물질을 이용한 치료 또는 예방에 NGF 생성 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용 의약, 당해 화합물을 고(高)함유하는 음식품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을 개설하면, 본 발명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발명은, 하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신규 화합물 또는 그 염, 당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당해 화합물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제,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식 중, 점선으로 나타낸 결합자 중 A 가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B 가 단일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R1 은 -O-GlcUA-Gal-Glc 를 나타내고, R2 는 -O-Ara-2-AcXyl, -O-Ara-3-AcXyl, -O-Ara-4-AcXyl, -O-Ara-2,3-diAcXyl, -O-Ara-2,4-diAcXyl, -O-Ara-3,4-diAcXyl, 또는 -O-Ara-3,4,6-triAcGlc 를 나타내고, 또 R3 은 -OH 를 나타낸다. 또한 A 가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B 가 이중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R1 은 -OH 를 나타내고, R2 는 -OH 를 나타내고, 또한 R3 은 -H 를 나타낸다. 그리고, GlcUA 는 글루크론산 잔기, Ga1 은 갈락토오스 잔기, Glc 는 글루코오스 잔기, Ara 는 아라비노오스 잔기, AcXyl 은 아세틸화된 자일로오스 잔기, AcGlc 는 아세틸화된 글루코오스 잔기를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제 5, 제 6 및 제 7 발명은, 소야사포닌 (soyasaponin) 류 화합물, 소야사포게닌 (soyasapogenin) 류 화합물, 글리시리진 (glycyrrhizin)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제, 및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제 6 및 제 7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및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식 중, 점선으로 나타낸 결합자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R4 는 -OH 또는 -O- 당 잔기를 나타내고, R5 는 -OH, =O 또는 -O- 당 잔기를 나타내고, R6 은 -OH 또는 -H 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가지고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의 분획
(1) 건조 대두 배아 9.6㎏ 에 증류수 25 리터를 첨가하여 1 시간 침지한 후, 블렌더에 의해 파쇄하였다. 이어서, 증류수 40 리터를 첨가하여 2 시간 교반한 후, 5000g 을 7 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 1 및 상등액 1 (54 리터) 을 얻었다. 침전 1 에 증류수 40 리터를 첨가하여 2 시간 교반한 후, 5000g 을 7 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 2 (19.7㎏) 및 상등액 2 (36 리터) 를 얻었다. 상등액 1 및 상등액 2 를 혼합하여, 대두 배아 수추출액 90L 를 얻었다.
(2) 실시예 1-(1) 에서 얻어진 대두 배아 수추출액 90 리터에 대하여, 에탄올 39 리터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5000g 을 7 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 3 및 상등액 3 (90 리터) 을 얻었다. 상등액 3 을 로터리 증발기에 의해 18 리터로 농축하고, 등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교반 후, 5000g 을 7 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 4 및 상등액 4 (15 리터) 를 얻었다. 상등액 4 를 농축하여, 대두 배아 수추출 농축액 1.7 리터를 얻었다.
(3) 실시예 1-(2) 에서 얻어진 대두 배아 수추출 농축액 110mL 에 증류수 500mL 를 첨가한 것에 대해서,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수지는 코스모실 140 C18-OPN (나카라이테스크사 제조: 수지량 300mL) 을 사용하였다. 전개 용매로서 각각 1500mL 의 증류수, 30% 에탄올 수용액, 50% 에탄올 수용액, 100% 에탄올을 사용하고, 그 순서대로 용출, 분획하여, 각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코스모실 용출 분획을 조제하였다.
(4) 실시예 1-(3) 에서 얻어진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코스모실 30% 에탄올 용출 분획을 감압 농축 후, 3 배량의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5000g 을 7 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 5 및 상등액 5 를 얻었다.
(5) 실시예 1-(4) 에서 얻어진 상등액 5 를 농축 건조 고화시킨 후, 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 (용량비; 이하 동일) = 8:3:2 (10mL) 에 용해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이하에 그 조건에 관해서 나타낸다. 실리카 겔에는 BW-300 SP (후지실리시아화학사 제조: 수지량 300mL) 를 사용하였다. 전개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물 = 8:3:2 (1000mL), 에탄올:물 = 5:1 (500mL) 를 사용하고, 그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 0 (300mL), 분획 1 (200mL), 분획 2 (200mL), 분획 3 (100mL), 분획 4 (150mL), 분획 5 (200mL), 분획 6 (120mL) 의 순서대로 용출 분획을 얻었다. 각 용출액을 감압 농축 후, 각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실리카 칼럼 분획 0∼6 을 얻었다.
(6) 실시예 1-(5) 에서 얻어진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실리카 칼럼 분획 5 를 증류수 60mL 에 용해하고, 이어서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이하에 그 조건에 대해서 서술한다. 칼럼은 TSK gel ODS-80Ts (21.5㎜×30㎝: 토소사 제조) 를 사용하였다. 용매 A (증류수와 아세토니트릴을 용량비 3 대 1 로 혼합한 것) 와 용매 B (증류수와 아세토니트릴을 용량비 1 대 3 으로 혼합한 것) 의 용출비는 0∼10 분까지는 용매 A 비(比)를 100% 로 유지하고, 10∼25 분까지는 용매 B 비를 직선적으로 0∼30% 로, 이어지는 25∼40 분까지는 용매 B 비를 직선적으로 30∼100% 로, 이어지는 15 분간은 용매 B 비를 100% 로 유지하였다. 용출 속도는 5mL/분, 검출은 215㎚ 에서 실시하였다. 용출액의 자외선 흡수를 지표로,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1 을 분획하였다.
실시예 2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2-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6)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유지 시간 32.4 분의 검출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 (MS) 을 질량 분석계 (DX302: 닛뽄덴시사 제조) 에 의해 FAB-MS 수법으로 측정하였다. 매트릭스에는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m/z 1279(M-H)- 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도 1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 에 있어서, 가로축은 m/z 값, 세로축은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을 핵자기 공명 (NMR) 스펙트럼 장치 (AVANCE 600 형: 부루카ㆍ바이오스핀사 제조) 를 사용하여 각종 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구조를 해석하였다. 이하에 NMR 의 귀속 신호를 나타낸다.
단, 1H-NMR 에서는 샘플은 중(重)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잔류 프로톤의 화학 시프트값을 2.51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2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단, 13C-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화학 시프트값을 40.2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3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을 1N H2SO4 (디옥산과 물의 용량비 1:3 의 용액) 와 혼합하고, 80℃, 4 시간 가온하여, 당성분과 비당성분을 발생시켰다. 비당부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메르크사 제조 Silica gel 60 F254, 전개 용매 A: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10:1 로 혼합) 한 결과, 소야사포게놀 A (Soyasapogenol A) 와 동일한 Rf 값을 갖는 스폿을 검출하였다. 당성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B: 물과 아세토니트릴을 3:17 로 혼합) 한 결과, 아라비노오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를 검출하였다.
이상,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에 대해서 실시한 질량 스펙트럼, NMR 스펙트럼 해석, 및 산가수분해 후의 비당성분과 당성분의 해석에 의해,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이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2-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분자량 1280)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a 이다.
(2) 화합물 a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측정하였다. 마우스 섬유아 세포 L-M 세포 (ATCC CCL-1.2) 를 0.5% 의 박토펩톤 (기부코사 제조) 을 함유하는 M199 배지 (바이오위타카사 제조) 에서 1.5×105세포/mL 로 현탁하고, 96 웰 플레이트에 0.1mL 씩 뿌려 무균적으로 배양하였다. 3 일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0.5% 의 소혈청 알부민 (시그마사 제조) 을 함유하는 M199 배지로 바꿔 놓았다. 여기에 화합물 a 를 첨가하여, 20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양액 중의 NGF 농도를 효소면역검정법 (NGF Emax Immuno Assay System: 프로메가사 제조) 으로 측정하였다. 첨가량은 최종 농도로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실험은 2 연속으로 실시하여, 그 평균치를 채용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a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739ng/mL 였다. 컨트롤은, 화합물 a 를 첨가하지 않은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액 중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하, 동일하다.
실시예 3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3-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6)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9 (유지 시간 34.2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매트릭스에는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였다. 질량 분석에 의해 m/z 1279(M-H)- 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도 4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9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 에 있어서, 가로축은 m/z 값, 세로축은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9 의 NMR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NMR 의 귀속 신호를 이하에 나타낸다.
단, 1H-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잔류 프로톤의 화학 시프트값을 2.51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5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9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단, 13C-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화학 시프트값을 40.2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6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9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9 를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처리하여, 당성분과 비당성분을 발생시켰다. 비당부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A) 한 결과, 소야사포게놀 A 와 동일한 Rf 값을 갖는 스폿을 검출하였다. 당성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B) 한 결과, 아라비노오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를 검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9 가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3-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분자량 1280)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b 이다.
(2) 화합물 b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b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739ng/mL 였다.
실시예 4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4-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6)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0 (유지 시간 35.6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매트릭스에는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였다. 질량 분석에 의해 m/z 1279(M-H)- 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도 7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0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7 에 있어서, 가로축은 m/z 값, 세로축은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0 의 NMR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NMR 의 귀속 신호를 이하에 나타낸다.
단, 1H-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잔류 프로톤의 화학 시프트값을 2.51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8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0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8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단, 13C-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화학 시프트값을 40.2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9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0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9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0 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처리하여, 당성분과 비당성분을 발생시켰다. 비당부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A) 한 결과, 소야사포게놀 A 와 동일한 Rf 값을 갖는 스폿을 검출하였다. 당성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B) 한 결과, 아라비노오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를 검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0 이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4-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분자량 1280)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c 이다.
(2) 화합물 c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c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739ng/mL 였다.
실시예 5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2,3-디-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6)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 (유지 시간 38.2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매트릭스에는 m-니트로벤질알코올을 사용하였다. 질량 분석에 의해 m/z 1321(M-H)- 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도 10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0 에 있어서, 가로축은 m/z 값, 세로축은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 의 NMR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NMR 의 귀속 신호를 이하에 나타낸다.
단, 1H-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잔류 프로톤의 화학 시프트값을 2.51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11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1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단, 13C-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화학 시프트값을 40.2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12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2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 를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처리하여, 당성분과 비당성분을 발생시켰다. 비당부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A) 한 결과, 소야사포게놀 A 와 동일한 Rf 값을 갖는 스폿을 검출하였다. 당성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B) 한 결과, 아라비노오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를 검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2 가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2,3-디-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분자량 1322)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d 이다.
(2) 화합물 d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d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739ng/mL 였다.
실시예 6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2,4-디-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6)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3 (유지 시간 38.9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매트릭스에는 m-니트로벤질알코올을 사용하였다. 질량 분석에 의해 m/z 1321(M-H)- 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도 13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3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3 에 있어서, 가로축은 m/z 값, 세로축은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3 의 NMR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NMR 의 귀속 신호를 이하에 나타낸다.
단, 1H-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잔류 프로톤의 화학 시프트값을 2.51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14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3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4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단, 13C-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화학 시프트값을 40.2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15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3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5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3 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처리하여, 당성분과 비당성분을 발생시켰다. 비당부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A) 한 결과, 소야사포게놀 A 와 동일한 Rf 값을 갖는 스폿을 검출하였다. 당성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B) 한 결과, 아라비노오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를 검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3 이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2,4-디-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분자량 1322)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e 이다.
(2) 화합물 e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e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578ng/mL 였다.
실시예 7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3,4-디-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6)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5 (유지 시간 40.3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매트릭스에는 m-니트로벤질알코올을 사용하였다. 질량 분석에 의해 m/z 1321(M-H)- 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도 16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5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6 에 있어서, 가로축은 m/z 값, 세로축은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5 의 NMR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NMR 의 귀속 신호를 이하에 나타낸다.
단, 1H-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잔류 프로톤의 화학 시프트값을 2.51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17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5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7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단, 13C-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화학 시프트값을 40.2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18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5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8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5 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처리하여, 당성분과 비당성분을 발생시켰다. 비당부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A) 한 결과, 소야사포게놀 A 와 동일한 Rf 값을 갖는 스폿을 검출하였다. 당성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B) 한 결과, 아라비노오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를 검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5 가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3,4-디-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분자량 1322)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f 이다.
(2) 화합물 f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f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578ng/mL 였다.
실시예 8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3,4,6-트리-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6)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6 (유지 시간 41.0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매트릭스에는 m-니트로벤질알코올을 사용하였다. 질량 분석에 의해 m/z 1393(M-H)- 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도 19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6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9 에 있어서, 가로축은 m/z 값, 세로축은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6 의 NMR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NMR 의 귀속 신호를 이하에 나타낸다.
단, 1H-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잔류 프로톤의 화학 시프트값을 2.51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20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6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0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단, 13C-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화학 시프트값을 40.2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21 에,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6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1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6 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처리하여, 당성분과 비당성분을 발생시켰다. 비당부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A) 한 결과, 소야사포게놀 A 와 동일한 Rf 값을 갖는 스폿을 검출하였다. 당성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B) 한 결과, 아라비노오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를 검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6 이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3,4,6-트리-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분자량 1394)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g 이다.
(2) 화합물 g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g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739ng/mL 였다.
실시예 9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6)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8 (유지 시간 42.7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 NMR 스펙트럼, 당부분 및 비당부분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두 배아 수추출물 유래 프랙션 18 이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분자량 1436)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h 이다.
(2) 화합물 h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h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898ng/mL 였다.
실시예 10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의 분획
(1) 실시예 1-(1) 에서 얻어진 침전 2 (5.6㎏) 에 8.4 리터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5000g 을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 6 및 상등액 6 을 얻었다. 침전 6 에 70% 에탄올 10 리터를 첨가하여 1 시간 교반한 후, 5000g 을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 7 및 상등액 7 을 얻었다. 상등액 6 및 상등액 7 을 혼합하여 감압 농축하여,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 농축물을 얻었다.
(2) 실시예 10-(1) 에서 얻어진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 농축물을 500mL 의 70% 에탄올에 용해한 후, 5000g 을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 8 및 상등액 8 을 얻었다. 상등액 8 을 감압 농축 후, 1000mL 의 증류수에 현탁하여, 여과 후의 잔류물을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수불용성 분획으로서 얻었다.
(3) 실시예 10-(2) 에서 얻어진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수불용성 분획의 0.4 용량(容)을 2mL 메탄올, 10mL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용매에 용해하고, 실리카 칼럼을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이하에 그 조건에 대해서 나타낸다. 실리카 겔에는 BW-300SP (수지량 300mL) 를 사용하였다. 전개 용매로서 클로로포름:메탄올:아세트산 = 100:20:1 (400mL), 클로로포름:메탄올 = 2:1 (400mL), 에탄올:물 = 10:1 (200mL) 을 사용하고, 그 순서대로 용출하여, 분획 1∼10 까지 100mL 마다 분획을 회수하였다. 각 용출 분획을 감압 농축하여,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실리카 칼럼 분획 1∼10 을 얻었다.
(4) 실시예 10-(3) 에서 얻어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실리카 칼럼 분획 4, 5 를 합하여 농축 후, 에탄올 12mL 에 용해하고, 이어서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이하에 그 조건에 대해서 서술한다. 칼럼은 TSK gel ODS-80Ts (21.5㎜×30㎝) 를 사용하였다. 용매 A (증류수와 아세토니트릴을 용량비 3 대 1 로 혼합한 것) 과 용매 B (증류수와 아세토니트릴을 용량비 1 대 3 으로 혼합한 것) 의 용출비는 0∼25 분까지는 용매 B 비를 직선적으로 40∼70% 로, 이어지는 25∼26 분까지는 용매 B 비를 직선적으로 70∼100% 로, 이어지는 5 분간은 용매 B 비를 100% 로 유지하였다. 용출 속도는 5mL/분, 검출은 215㎚ 에서 실시하였다. 용출액의 자외선 흡수를 지표로,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1∼10 을 분획하였다.
실시예 11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B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0-(4)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6 (유지 시간 24.8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 NMR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6 을 2M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N HCl (1:1) 에 혼합하고, 기상하, 100℃ 에서 4 시간 가온하여, 당성분과 비당성분을 발생시켰다. 비당부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A) 한 결과, 소야사포게놀 B (Soyasapogenol B) 와 동일한 Rf 값을 갖는 스폿을 검출하였다. 당성분에 대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B) 한 결과,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를 검출하였다. 그 결과,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6 이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B (분자량 958)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i 이다.
(2) 화합물 i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i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948ng/mL 였다.
실시예 12
3-O-[α-L-람노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B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0-(4)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유지 시간 27.4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 NMR 스펙트럼, 당부분 및 비당부분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예 1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7 이 3-O-[α-L-람노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B (분자량 942)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j 이다.
(2) 화합물 j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j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948ng/mL 였다.
실시예 13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E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0-(4)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8 (유지 시간 29.3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 NMR 스펙트럼, 당부분 및 비당부분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예 1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8 이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E (분자량 956)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k 이다.
(2) 화합물 k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k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924ng/mL 였다.
실시예 14
3-O-[α-L-람노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E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0-(4)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9 (유지 시간 31.7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 NMR 스펙트럼, 당부분 및 비당부분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예 1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9 가 3-O-[α-L-람노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E (분자량 940)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l 이다.
(2) 화합물 l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l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924ng/mL 였다.
실시예 15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2,3,4-트리-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0-(3) 에서 얻어진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실리카 칼럼 분획 3 을 에탄올 5mL 에 용해하고, 이어서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이하에 그 조건에 대해서 서술한다. 칼럼은 TSK gel ODS-80Ts (21.5㎜×30㎝) 를 사용하였다. 용매 A (증류수와 아세토니트릴을 용량비 3 대 1 로 혼합한 것) 과 용매 B (증류수와 아세토니트릴을 용량비 1 대 3 으로 혼합한 것) 의 용출비는 0∼15 분까지는 용매 B 비를 직선적으로 40∼45% 로, 이어지는 15∼20 분까지는 용매 B 비를 직선적으로 45∼100% 로, 이어지는 5 분간은 용매 B 비를 100% 로 유지하였다. 용출 속도는 5mL/분, 검출은 215㎚ 에서 실시하였다. 용출액의 자외선 흡수를 지표로, 프랙션을 분획하였다.
(2) 실시예 15-(1) 에서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실리카 칼럼 분획 3 을 분획하여 얻은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A (유지 시간 19.5 분의 검출의 피크를 포함한다) 의 질량 스펙트럼, NMR 스펙트럼, 당부분 및 비당부분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예 1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프랙션 A 가 3-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갈락토피라노실-(1→2)-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22-O-[2,3,4-트리-O-아세틸-β-D-자일로피라노실(1→3)-α-L-아라비노피라노실]소야사포게놀 A (분자량 1364)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m 이다.
(3) 화합물 m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m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898ng/mL 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 NGF 생성량 (%) | |||
시료 농도 (mM) | ||||
0 | 0.5 | 1.0 | 2 | |
화합물 a | 100 | 228.3 | 231.6 | 212.6 |
화합물 b | 100 | 220.9 | 251.2 | 272.3 |
화합물 c | 100 | 255.1 | 289.2 | 323.7 |
화합물 d | 100 | 255.8 | 281.1 | 276.5 |
화합물 e | 100 | 214.0 | 233.7 | 230.1 |
화합물 f | 100 | 204.5 | 208.8 | 218.5 |
화합물 g | 100 | 295.4 | 277.2 | 247.6 |
화합물 h | 100 | 273.3 | 301.7 | 307.2 |
화합물 i | 100 | N.T. | 116.8 | 169.4 |
화합물 j | 100 | 138.2 | 176.4 | 212.5 |
화합물 k | 100 | N.T. | 115.9 | 456.3 |
화합물 l | 100 | N.T. | 145.9 | 531.2 |
화합물 m | 100 | 263.3 | 250.9 | 233.4 |
시료 무첨가 (컨트롤) 의 NGF 생성량을 100% 로 하고, 시료 첨가구의 NGF 생성량을 % 로 나타낸다.N.T. 는 시험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
실시예 16
13(18)-올레아넨-3,22,24-트리올 (13(18)-oleanene-3,22,24-triol)의 NGF 생성 증강 활성
(1) 실시예 10-(2) 에서 얻은 대두 배아 70% 에탄올 추출물 유래 수불용성 분획의 0.04 용량에 대해서, 50% 메탄올, 2N 염산, 80℃ 의 조건하에 3 시간 가열하였다. 다음에 반응액과 등량의 디에틸에테르에 의해 합계 3 회 추출하고, 얻어진 에테르층을 감압 농축하여 백색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말을 헥산으로 세정하여,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을 얻었다.
(2) 실시예 16-(1) 에서 얻어진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이하에 그 조건에 대해서 나타낸다. 실리카 겔에는 BW-300SP (수지량 100mL) 를 사용하였다. 전개 용매로서 클로로포름:메탄올 = 100:1 을 사용하여 용출하여,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실리카 칼럼 분획 1 (550mL), 분획 2 (300mL), 분획 3 (250mL) 의 순서대로 용출 분획을 얻었다.
(3) 실시예 16-(2) 에서 얻어진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실리카 칼럼 분획 2 를 4mL 의 에탄올에 용해하고,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이하에 그 조건에 대해서 서술한다. 칼럼은 TSK gel ODS-80Ts (21.5㎜×30㎝) 를 사용하였다. 용매에는 물과 아세토니트릴을 용량비 1:9 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용출 속도는 5mL/분, 검출은 215㎚ 에서 실시하였다. 용출액의 자외선 흡수를 지표로,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을 분획하였다.
(4) 실시예 16-(3) 에서 분획한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 a (용출 시간 37.5 분의 피크를 포함하는 프랙션) 의 질량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매트릭스에는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였다. 질량분석에 의해 m/z 457(M-H)- 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도 22 에,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 a 의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2 에 있어서, 가로축은 m/z 값, 세로축은 상대 강도를 나타낸다.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 a 의 NMR 스펙트럼을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NMR 의 귀속 신호를 이하에 나타낸다.
단, 1H-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잔류 프로톤의 화학 시프트값을 2.51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23 에,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 a 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3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단, 13C-NMR 에서는 샘플은 중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하고, 중디메틸술폭시드의 화학 시프트값을 40.2ppm 으로 나타내었다. 도 24 에,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 a 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4 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학 시프트값, 세로축은 시그널 강도를 나타낸다.
이상,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 a 에 대해서 실시한 MS 스펙트럼, NMR 스펙트럼 해석의 결과, 대두 배아ㆍ산가수분해물 유래 프랙션 a 가 13(18)-올레아넨-3,22,24-트리올 (분자량 458) 인 것을 확정하였다. 또, 당해 화합물은 상기 표 1 에서의 화합물 n 이다.
(5) 화합물 n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배지에 대한 첨가량은 최종 농도로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n 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3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372ng/mL 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 NGF 생성량 (%) | ||
시료 농도 (mM) | |||
0 | 25 | 50 | |
화합물 n | 100 | 197.9 | 522.6 |
시료 무첨가 (컨트롤) 의 NGF 생성량을 100% 로 하고, 시료 첨가구의 NGF 생성량을 % 로 나타낸다. |
실시예 17
글리시리진의 NGF 생성 증강 활성
글리시리진 (와코쥰야쿠공업사 제조) 의 NGF 생성 증강 활성을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배지에 대한 첨가량은 최종 농도로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그 결과, 글리시리진에 NGF 생성 증강 활성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표 4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또, 컨트롤의 NGF 생성량은 0.484ng/mL 였다.
본 발명의화합물 | NGF 생산량 (%) | ||
시료농도 (mM) | |||
0 | 25 | 50 | |
화합물 n | 100 | 197.9 | 522.6 |
시료 무첨가 (컨트롤) 의 NGF 생성량을 100% 로 하고, 시료 첨가구의 NGF 생성량을 % 로 나타낸다. |
본 발명에 의해, 식용 식물에서 유래된 안전한 사포닌류 화합물, 사포게닌류 화합물 또는 그들의 염을 고함유하는 의약, 음식품 및 사료가 제공된다. 이들은 그 NGF 생성 증강 작용에 의해 뇌신경계 질환의 치료, 예방, 증상의 개선에 유용하다. 특히 음식품은 일상적으로 사포닌류 화합물 등의 일정량을 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생체의 항상성 유지용 음식품, NGF 생성 증강용 음식품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11)
- 하기 일반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염.[화학식 1](식 중, 점선으로 나타낸 결.합자 중 A 가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B 가 단일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R1 은 -O-GlcUA-Gal-Glc 를 나타내고, R2 는 -O-Ara-2-AcXyl, -O-Ara-3-AcXyl, -O-Ara-4-AcXyl, -O-Ara-2,3-diAcXyl, -O-Ara-2,4-diAcXyl, -O-Ara-3,4-diAcXyl, 또는 -O-Ara-3,4,6-triAcGlc 를 나타내고, 또 R3 은 -OH 를 나타낸다. 또한 A 가 단일결합을 나타내고, B 가 이중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R1 은 -OH 를 나타내고, R2 는 -OH 를 나타내고, 또한 R3 은 -H 를 나타낸다. 그리고, GlcUA 는 글루크론산 잔기, Ga1 은 갈락토오스 잔기, Glc 는 글루코오스 잔기, Ara 는 아라비노오스 잔기, AcXyl 은 아세틸화된 자일로오스 잔기, AcGlc 는 아세틸화된 글루코오스 잔기를 의미한다.)
- 제 1 항에 기재된 화합물 및/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해 화합물에 감수성을 나타내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 제 1 항에 기재된 화합물 및/또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제.
- 제 1 항에 기재된 화합물 및/또는 그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
- 제 4 항에 있어서,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용인 식품, 음료 또는 사료.
-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 글리시리진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 제 6 항에 있어서,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및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및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인 치료제 또는 예방제.[화학식 2](식 중, 점선으로 나타낸 결합자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나타내고, R4 는 -OH 또는 -O- 당 잔기를 나타내고, R5 는 -OH, =O 또는 -O- 당 잔기를 나타내고, R6 은 -OH 또는 -H 를 나타낸다.)
-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 글리시리진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제.
- 제 8 항에 있어서,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및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이 제 7 항에 기재된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및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인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제.
-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 글리시리진 및 그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
- 제 10 항에 있어서,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및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이 제 7 항에 기재된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소야사포닌류 화합물 및 소야사포게닌류 화합물인 성장 인자 생성 증강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209320 | 2002-07-18 | ||
JPJP-P-2002-00209320 | 2002-07-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5355A true KR20050025355A (ko) | 2005-03-14 |
Family
ID=3076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0701A KR20050025355A (ko) | 2002-07-18 | 2003-07-17 | 치료제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250715A1 (ko) |
EP (1) | EP1535891A1 (ko) |
JP (1) | JPWO2004009521A1 (ko) |
KR (1) | KR20050025355A (ko) |
CN (1) | CN1668561A (ko) |
AU (1) | AU2003252655A1 (ko) |
CA (1) | CA2492941A1 (ko) |
TW (1) | TW200410927A (ko) |
WO (1) | WO200400952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55432B2 (ja) * | 2004-10-28 | 2009-04-15 | 株式会社ファンケル | 異常蛋白質除去用組成物 |
JP5798289B2 (ja) * | 2009-09-15 | 2015-10-21 | 株式会社ファンケル | 異常蛋白質除去用組成物 |
JP2012041294A (ja) * | 2010-08-18 | 2012-03-01 | Fuji Oil Co Ltd | 脊髄損傷修復促進剤 |
CN106819365A (zh) * | 2016-12-28 | 2017-06-13 | 新昌县赛因斯生物科技有限公司 | 促生产用家畜饲料添加剂 |
CN110381736B (zh) * | 2017-03-01 | 2021-12-28 | 花王株式会社 | 豆科植物生长促进剂 |
JP2019182845A (ja) * | 2018-04-02 | 2019-10-24 | 学校法人藤田学園 | キヌレニンアミノトランスフェラーゼ2(kat2)阻害剤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00295A (ja) * | 1995-06-13 | 1997-04-15 | Toray Ind Inc | 新規トリテルペノイドサポニン類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神経突起伸展作用を有する治療剤 |
US6261565B1 (en) * | 1996-03-13 | 2001-07-17 |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isoflavones |
JPH1143440A (ja) * | 1997-07-29 | 1999-02-16 | Kitasato Inst:The | 脳機能改善剤 |
-
2003
- 2003-07-17 CN CNA038170809A patent/CN1668561A/zh active Pending
- 2003-07-17 WO PCT/JP2003/009060 patent/WO2004009521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7-17 US US10/521,447 patent/US2005025071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7-17 AU AU2003252655A patent/AU200325265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7-17 CA CA002492941A patent/CA249294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7-17 KR KR1020057000701A patent/KR200500253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7-17 JP JP2004522738A patent/JPWO2004009521A1/ja not_active Ceased
- 2003-07-17 EP EP03765309A patent/EP153589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3-07-18 TW TW092119701A patent/TW200410927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668561A (zh) | 2005-09-14 |
AU2003252655A1 (en) | 2004-02-09 |
EP1535891A1 (en) | 2005-06-01 |
TW200410927A (en) | 2004-07-01 |
JPWO2004009521A1 (ja) | 2005-11-17 |
US20050250715A1 (en) | 2005-11-10 |
CA2492941A1 (en) | 2004-01-29 |
WO2004009521A1 (ja) | 2004-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8860B1 (ko) | 신경성장인자 생산증강용 식품, 사료, 음료 및 조성물 | |
US20030203857A1 (en) | Remedies | |
EP2438923B1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related diseases mediated by the activation of ampk and including 2,5-bis-aryl-3,4-dimethyltetrahydrofuran lignans as active ingredients | |
JPWO2004078741A1 (ja) | アディポネクチン発現促進剤 | |
EP1254658B1 (en) | Remedies for the treatment of nerve diorders | |
JPWO2004100969A1 (ja) | 治療剤 | |
JP5175442B2 (ja) | ヤーコン由来の抗ガン剤 | |
KR20050025355A (ko) | 치료제 | |
KR101724569B1 (ko) | 루부소사이드 생산하는 신규 제조방법 | |
JP7229513B2 (ja) | 脳の機能改善剤および脳の機能改善用飲食品 | |
JP4592249B2 (ja) | リウマチの症状改善用飲食品および医薬 | |
KR102586723B1 (ko) | 꽃새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794924B1 (ko) | 퉁퉁마디 유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이소람네틴의 분리방법 | |
KR100715927B1 (ko) | 치료제 | |
JP2010031033A (ja) | リウマチの症状改善用飲食品 | |
KR20060111341A (ko) |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 |
KR101848285B1 (ko) | 오디 과실 유래 람노아라비노갈락투로난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2019205386A (ja) | α−グルコシダ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血糖値上昇抑制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