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629A -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629A
KR20050023629A KR1020030060875A KR20030060875A KR20050023629A KR 20050023629 A KR20050023629 A KR 20050023629A KR 1020030060875 A KR1020030060875 A KR 1020030060875A KR 20030060875 A KR20030060875 A KR 20030060875A KR 20050023629 A KR20050023629 A KR 20050023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welder
rear end
motor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우연
이용구
유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6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3629A/ko
Publication of KR2005002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62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85Joining ends of material to continuous strip, bar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92Welding in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내 정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행재 강판 및 후행재 강판을 용접기에서 용접하는 냉연 연속라인에서의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용접기내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를 정지하고자 하는 정위치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용접기의 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의 출측을 통과하는지를 검출하는 강판검출부; 상기 용접기의 출측을 통과한 상기 선행재 강판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시키는 브라이들 롤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 상기 회전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상기 용접기의 출측위치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계산부; 상기 강판검출부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의 상기 용접기 출측 통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행재 강판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의 정지를 위한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선행재 강판의 정지이후 상기 거리계산부에서 계산된 강판의 정지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에서 상기 용접기내 정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 내 정위치까지 후진하도록 상기 모터의 후진구동을 위한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로 출력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하면, 강판을 용접기내 정위치로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어 생산효율 증대, 스트립 형상 불량방지 및 용접 불량을 방지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trip position within welder in continuous line}
본 발명은 강판의 용접기내 정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판의 연속라인 공정에서 용접기 내에 대기중인 후행재 강판의 선단부와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를 용접하기 위하여 상기 선행재 강판을 감속시켜 용접기 내의 정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내 정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냉연 연속라인 중 도금부분은 입측부, 중앙부, 후처리부 및 출측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입측부는 연속적인 운전을 위해 강판을 공급하는 설비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속라인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재 강판(4)은 상부 패스 페이 오프릴(up pass pay off reel)(1)에서부터 풀려 용접기(welder)(10)를 통과하여 텐션 브라이들 롤(14)을 지나 후공정으로 진행된다. 후행재 강판(8)은 하부 패스 페이 오프 릴(down pass pay off reel)(7)에서는 풀려 그 선단부가 상기 용접기(10) 내에 대기하고 있다. 상기 용접기(10)는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와 상기 후행재 강판(8)의 선단부를 용접함으로써 두 강판을 연결한다. 입측 전단기(shear)(3)에 의해 절단된 선행재 강판(4)은 그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10)내로 감속 이동하면서 상기 용접기(10)내의 정위치(11)에 정지하게 되고, 상기 용접기(10)내의 정위치(11)에 대기하고 있던 후행재 강판(5)의 선단부와 용접, 연결된다.
이때, 라인 운전중인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와 상기 용접기(10)내에 대기중인 후행재 강판(8)의 선단부를 용접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행재 강판(4)이 입측라인에서 감속된 후 그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10)내 정위치(11)에 정지(stop)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공정상의 특정 원인에 의해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정위치(11)를 이탈함으로 인해 상기 정위치(11)에 정확하게 정지하지 않고, 심하게는 텐션 브라이들 롤(14) 이후까지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써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에 굴곡이 발생하여(12)(13)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동 조치하게 되어 공정 진행이 지연되고, 용접 불량에 의한 중앙 라인 스톱은 물론 스크라치 발생등으로 불량 제품을 생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용접기(10)내 정위치(18)에 정확히 정지하지 않고 계속 진행될때 이러한 상태를 운전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여 입측라인을 수동으로 정지한 후 상기 후단부를 정위치(11)까지 수동으로 후진시킨다. 이때, 강판(4) 선단부에 굴곡부 등 불량부분이 발생한 경우는 입측 전단기(3)부분까지 후진으로 이동후 상기 불량부분을 제거하고 다시 후단부를 정위치(11)로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우 강판이 용접기 내 정위치에 정확히 정지하지 않음으로 인해 공정처리 속도가 떨어지고 불량제품이 발생하며 대형 설비사고까지 연결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강판의 용접기 내 이탈 및 정위치 제어장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용접기(10) 전단에 설치된 강판 검출센서(6)(9)에 의한 검출신호(21) 및 상,하부 패스 페이 오프릴(1)(7)의 회전수에 의한 강판의 이동거리 신호(22)(23)가 스트립 이동연산 및 제어부(24)에 수신되면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여 외부신호(25)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트립 이동연산 및 제어부(24)는 모터 구동제어(26)를 통해 강판의 정위치 자동 이송제어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트립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의 경우, 상기 강판(4)이 이동되어 용접기의 정위치에 왔을 때 운전자에 의한 외부신호(25)에 인가를 통해 상기 강판(4)을 정지하도록 해야하고, 또한 상기 강판(4)의 용접기(10) 내 정위치(11) 이탈을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외부신호(25)를 인가하여 다시 정위치로 재차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재 강판을 용접기 내 정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하지 못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가 용접기 출측을 통과하게 되면 선행재 강판의 이송을 중지시키고 이송중지된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와 용접기내 정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강판의 후단부를 정위치까지 후진시킴으로써 강판의 용접기 이탈에 따른 교정을 빠른 속도로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는, 선행재 강판 및 후행재 강판을 용접기에서 용접하는 냉연 연속라인에서의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용접기내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를 정지하고자 하는 정위치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기 용접기의 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의 출측을 통과하는지를 검출하는 강판검출부; 상기 용접기의 출측을 통과한 상기 선행재 강판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시키는 브라이들 롤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 상기 회전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상기 용접기의 출측위치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계산부; 상기 강판검출부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의 상기 용접기 출측 통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행재 강판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의 정지를 위한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선행재 강판의 정지이후 상기 거리계산부에서 계산된 강판의 정지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에서 상기 용접기내 정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 내 정위치까지 후진하도록 상기 모터의 후진구동을 위한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로 출력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강판검출부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의 상기 용접기 출측 통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행재 강판이 감속하여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의 감속구동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로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기능 및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위치 제어장치는, 상부 패스 페이 오프 릴(1)에서 풀려 진행되는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와 하부 패스 페이 오프 릴(7)에서 풀려 진행되는 후행재 강판(8)의 선단부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10),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을 통과하는지를 검출하는 강판검출부(17),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을 통과한 상기 선행재 강판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시키는 브라이들 롤(14)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6), 상기 모터(16)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15), 상기 모터(16)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32), 상기 회전수검출부(15)에서 검출된 상기 모터(16)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위치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계산부(34) 및 상기 강판검출부(17)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의 상기 용접기(10) 출측 통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행재 강판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16)의 정지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32)로 출력하고, 상기 선행재 강판의 정지이후 상기 거리계산부(34)에서 계산된 강판의 정지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 내 정위치(11)까지 후진하도록 상기 모터의 후진구동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32)로 출력하는 주제어부(36)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기술하였듯이, 상기 용접기(10)에서 상기 두 강판(4)(8)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10) 내의 정위치(11)에 미리 정지하여 대기하고 있는 후행재 강판(8)의 선단부에 정확하게 정지해야 한다. 그러나, 공정의 특성 변화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는 상기 용접기(10) 내 정위치(11)를 이탈하여 용접기(10)의 출측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강판검출부(17)는 상기 용접기(10)내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을 벗어나는지를 검출한다. 상기 강판검출부(17)은 바람직하게는 포토센서(photo sensor)를 포함한다. 상기 강판검출부(17)는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정위치(11)로부터 상기 용접기의 출측방향으로 일정한 거리(L)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상기 용접기(10)에서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와 상기 후행재 강판(8)의 선단부를 용접하고자 할 때, 상기 선행재 강판(4)의 선단부는 이미 상기 용접기(8)를 통과하여 후공정으로 특정 속도로 이송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접기(10) 출측에서의 상기 선행재 강판(4)의 이송속도는 약 15~25mpm/sec이다. 즉, 상기 선행재 강판(4)은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에 설치된 브라이들 롤(14)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약 15~25mpm/sec 속도로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에서 상기 선행재 강판(4)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브라이들 롤(14)은 구동모터(16)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브라이들 롤(14)은 상기 구동모터(16)의 전진 또는 후진 구동동작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이로써, 선행재 강판(4)은 후공정으로 전진하거나 용접기(10)내로 다시 후진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6)는 모터제어부(32)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된다. 즉, 상기 모터제어부(32)는 상기한 주제어부(36)으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16)의 전진 또는 후진 구동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6)에는 상기 구동모터(16)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1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수검출부(15)는 설정된 주기로 상기 구동모터(16)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를 상기한 거리계산부(34)로 출력한다. 상기 회전수검출부(15)는 바람직하게는 펄스 발생기(PLG)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계산부(34)는 상기 주제어부(36)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수검출부(15)에서 검출되는 상기 모터(16)의 회전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에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즉,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10) 내 정위치(11)를 이탈하여 용접기(10)의 출측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강판검출부(17)에서 이를 검출하게 되고 상기 주제어부(36)로부터 상기 강판(4) 후단부의 용접기 출측 통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을 통과하는 시점부터 상기 강판(4)의 후단부가 이동한 거리를 계산한다. 이때, 상기 이동거리 계산은 상기 회전수검출부(15)에서 검출한 모터(16)의 회전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되며 상기 거리계산은 공지된 기술로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주제어부(36)는 상기 강판검출부(17)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4) 후단부의 상기 용접기(10) 출측 통과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상기 통과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10)내 정위치를 지나 출측을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송중인 상기 선행재 강판(4)을 감속시켜 정지시키도록 상기 모터(16)의 정지를 위한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32)로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주제어부(36)는 상기 선행재 강판(4)가 정지한 이후에 상기 거리계산부(34)에서 계산된 상기 용접기(10) 출측위치에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에서 상기 용접기(10)내 정위치(11)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거리만큼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를 상기 용접기(10) 내 정위치(11)까지 후진하도록 상기 모터(16)의 후진구동을 위한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32)로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와 후행재 강판(8)의 선단부를 용접기(10)를 이용하여 용접하기 위해 상기 용접기(10) 내에 후행재 강판(8)의 선단부가 미리 정지하여 대기하고 있는 정위치(11)로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를 상기 용접기(10) 내로 이송한다(S402).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10) 내 정위치(11)를 지나쳐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을 통과하는지를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에 설치된 강판검출부(17)에서 검출한다(S4014). 상기 강판검출부(17)는 바람직하게는 포토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강판검출부(17)에서 상기 강판(4) 후단부의 용접기(10) 출측 통과신호를 검출하면(S406), 상기 용접기(10) 출측에서 상기 선행재 강판(4)을 이송시키는 브라이들 롤(14)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6)를 제어하여 상기 강판(4)의 이송속도를 감속시켜(S408) 최종적으로 상기 선행재 강판(4)을 정지시킨다(S410). 상기 선행재 강판(4)의 정지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강판검출부(17)에서 상기 선행재 강판(4) 후단부의 상기 용접기(10) 출측 통과를 검출하게 되면 상기 검출신호는 주제어부(36)로 입력된다. 이어, 상기 주제어부(36)는 상기 검출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모터제어부(32)로 모터를 점차 감속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제어부(32)는 상기 주제어부(36)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16)의 속도를 점차 감소시킨다. 이로써 브라이들 롤(14)은 회전속도는 점차 감소하게 되어 선행재 강판(4)의 이송속도가 점차 감소하게 되고 결국 상기 선행재 강판(4)은 정지하게 된다.
상기 거리계산부(34)는 상기 용접기(10) 출측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S412). 따라서, 상기 선행재 강판(4)이 정지한 이후에 상기 용접기(10) 출측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까지의 정지거리를 계산하게 되고 상기 계산결과를 상기 주제어부(36)로 전송한다. 상기 주제어부(36)는 상기 전송된 계산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에서 용접기(10) 내 정위치(11)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S414). 즉,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에서 상기 용접기(10) 내 정위치(11)까지의 거리는 상기 용접기(10) 출측위치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까지의 거리에서 상기 용접기(10) 출측 위치에서 상기 용접기(10) 내 정위치(11)까지의 거리를 더함으로써 계산된다. 이때, 상기 용접기(10) 출측 위치에서 상기 용접기(10) 내 정위치(11)까지의 거리는 고정된 값으로 미리 알 수 있는 값이다.
계속하여, 상기 주제어부(36)는 상기 계산된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에서 상기 용접기(10) 내 정위치(11)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6)의 후진구동을 지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모터제어부(32)로 출력한다(S416). 상기 신호를 수신한 모터제어부(32)는 상기 모터(16)의 후진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모터(16)를 후진구동시킨다(S418). 상기 모터(16)의 후진구동에 따라 상기 브라이들 롤(14)은 후진구동되어 상기 용접기(10) 출측으로 벗어난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를 상기 용접기(10) 내 정위치(11)로 이송된다(S420).
이어, 상기 용접기(10) 내 정위치(11)로 정확하게 이송된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와 상기 용접기(10)내 정위치(11)에 미리 정지하여 대기하고 있는 후행재 강판(8)의 선단부를 용접한다(S822).
이상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경, 수정 및 치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가 용접기내 정위치를 이탈할 경우 이를 즉시 검출하여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를 용접기 내 정위치로 다시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속라인 공정에서의 생산효율이 증대되고 공정의 라인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이탈을 즉시 검출하여 이를 교정하기 때문에 강판이 장시간 동안 정위치 이탈로 인해 야기되는 스트립 형상 불량을 막을 수 있고 이로써 스트립 형상 불량에 따른 조치시간 및 공정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이탈에 따른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속라인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트립의 용접기 내 이탈 및 정위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선행재 강판 8 : 후행재 강판
10 : 용접기 11 : 용접기 내 정위치
17 : 강판검출부 14 : 브라이들 롤
15 : 회전수검출부 16 : 구동모터
32 : 모터제어부 34 : 거리계산부
36 : 주제어부

Claims (3)

  1. 용접기를 이용하여 선행재 강판 및 후행재 강판을 용접하는 냉연 연속라인에서의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용접기(10)내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를 정지하고자 하는 정위치(11)로부터 일정한 거리(L)만큼 이격된 상기 용접기의 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을 통과하는지를 검출하는 강판검출부(17);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을 통과한 상기 선행재 강판(4)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시키는 브라이들 롤(14)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6);
    상기 모터(16)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15);
    상기 모터(16)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32);
    상기 회전수검출부(15)에서 검출된 상기 모터(16)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상기 용접기(10)의 출측위치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계산부(34); 및
    상기 강판검출부(17)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의 상기 용접기(10) 출측 통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행재 강판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16)의 정지를 위한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선행재 강판(4)의 정지이후 상기 거리계산부(34)에서 계산된 강판의 정지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에서 상기 용접기(10)내 정위치(11)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선행재 강판(4)의 후단부가 상기 용접기 내 정위치(11)까지 후진하도록 상기 모터(16)의 후진구동을 위한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로 출력하는 주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강판검출부(17)로부터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의 상기 용접기(10) 출측 통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행재 강판이 감속하여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의 감속구동 신호를 상기 모터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재 강판의 후단부의 용접기 내 정위치(11)까지의 후진거리(K)는 하기 수식 1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
    [수식 1]
    K = L + M
    (여기서, L은 용접기내 정위치(11)로부터 출측위치까지의 거리, M은 용접기 출측위치로부터 강판의 후단부가 정저한 위치까지의 거리)
KR1020030060875A 2003-09-01 2003-09-01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 KR20050023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875A KR20050023629A (ko) 2003-09-01 2003-09-01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875A KR20050023629A (ko) 2003-09-01 2003-09-01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629A true KR20050023629A (ko) 2005-03-10

Family

ID=3723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875A KR20050023629A (ko) 2003-09-01 2003-09-01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36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91B1 (ko) * 2008-07-25 2011-01-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박스의 패스 라인 이상 발생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91B1 (ko) * 2008-07-25 2011-01-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박스의 패스 라인 이상 발생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5067A (en) Panel forming line
JP2000271641A (ja) ストリップの巻取方法
CN110732557B (zh) 冷轧连退机组全自动甩尾控制方法及系统
KR20100080940A (ko) 금속 스트립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50023629A (ko) 연속라인 강판의 용접기 내 정위치 제어장치
CN104785532A (zh) 一种穿带控制方法及装置
CN111570529B (zh) 全连续热轧薄带线断带的紧急情况下卷取机的自动控制方法
US7057131B2 (en) Stationary welding device and method for longitudinal welding of profiles
CN113102556B (zh) 用于棒材矫直系统的自动送料控制方法及系统
JP3999349B2 (ja) スパイラル鋼管の成形装置
JP2915551B2 (ja) 鋼板尾端位置制御方法
KR20120073469A (ko)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JP3650434B2 (ja) 搬送鋼材の接合装置
US20220305585A1 (en) Wel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welding apparatus
CN108296308B (zh) 对中检测设备
JPH0649212B2 (ja) 帯板の巻戻し方法およびその設備
JP3682790B2 (ja) 走間接合装置の位置決め方法及び装置
CN111545575B (zh) 五机架冷连轧机动态变规格阶段的厚度控制方法
JPS5854888B2 (ja) アツエンキノジドウセイギヨソウチ
KR200201356Y1 (ko) 용융아연 도금용 가열로 내부에서의 스트립 텐션 조정장치
JP3610090B2 (ja) 金属帯のタンデム冷間圧延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016855B2 (ja) 圧延機の制御方法
KR200282926Y1 (ko) 언코일러의 스트립 테일 풀림 방지장치_
JPS60206505A (ja) 冷間連続圧延方法
JPH08174023A (ja) ホットストリップミルにおける接合点破断の検出及び処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