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944A -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 Google Patents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944A
KR20050022944A KR1020030059565A KR20030059565A KR20050022944A KR 20050022944 A KR20050022944 A KR 20050022944A KR 1020030059565 A KR1020030059565 A KR 1020030059565A KR 20030059565 A KR20030059565 A KR 20030059565A KR 20050022944 A KR20050022944 A KR 20050022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vascular
thorny
acanthopanax senticosus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환
안덕균
최호영
Original Assignee
김형환
장수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환, 장수군 filed Critical 김형환
Priority to KR102003005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2944A/ko
Publication of KR2005002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9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물을 용매로 이용하여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에 에틸아세틸에테르를 용매로 첨가하여 에틸아세틸에테르층을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가시오가피의 에틸아세틸에테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시오가피의 에틸아세틸에테르 추출물은 혈관 수축 억제 능력이 뛰어나므로 고혈압, 동맥경화, 뇌경색, 심근경색 및 말초혈관의 수축으로 인한 손발저림과 같이 혈관의 폐색으로 야기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Preventing or treating agent of blood vessel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Acanthopanax senticosus}
본 발명은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약학적 조성물의 이용이 의약품 개발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을 비롯한 중국과 일본에서도 전통적으로 한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생약재로부터 인체에 유용한 물질을 찾으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수천년 동안 민간에서의 경험적 처방 및 임상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생약재들의 효능과 안정성이 입증되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화학합성에 의한 접근보다 기술적인 장점이 크다.
이러한 생약재 중 오가과(Araliaceae)에 속하는 가시오가피나무(Acanthopanax senticosus (Rupr. et MAXIM.) MAXIM.)은 옛부터 『신농본초경』, 『본초강목』에는 뿌리껍질(根皮)을 심복산기통(心腹疝氣腹痛), 익기요벽, 소아삼세불능행(小兒三歲不能行), 남자음위, 낭하습(囊下濕), 보중익정(補中益精), 견근골(堅筋骨), 경신내노(輕身耐老), 보오노칠상(補五勞七傷) 등에 사용한다고 기재되어 있다(安德均, 韓國本草圖鑑, 서울, 敎學社, 1998, 736; 李昌福, 大韓植物圖鑑, 서울, 鄕文社, 1999, 574; 李永魯, 韓國植物圖鑑, 서울, 敎學社, 1996, 544; 陸昌洙, 藥用五加皮, 서울, 경원미디어, 2001, 108; 國家中醫藥管理局 「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6, 5, 765-775). 최근에 연구된 실험에서는 항스트레스작용, 악조건에 대한 저항력증강작용,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을 증강하는 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최근에 빈혈성뇌혈관병(貧血性腦血管病), 만성기관지염(慢性氣管支炎), 백혈구감소증(白血球減少症), 신경쇠약(神經衰弱), 당뇨병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 약으로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를 포함한 동아시아권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J. N. Fang et al., Phytochemistry, 1985, 24(11), 2619-2622; B. Glatthaar-Saalmuller et al., Antivir. Res., 2001, 50, 223-228; T. Fujikawa et al., Phytother. Res., 2002, 16, 474-478; J. M. Yi et al., J. Ethnopharmacol., 2002, 79, 347-352).
최근 산업화가 진행되고 식생활이 고지방, 고단백질의 형태로 전환되면서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동맥경화증, 고지혈증과 같은 혈관 질환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고지혈증이나 동맥경화가 발생하면 혈압이 높아지게 되며 당뇨나 간장질환도 연계되어 각종 성인병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압을 강하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혈관 이완의 원활한 작용이 필수적이다.
혈관의 강력한 수축성 인자로 알려진 5-하이드록시트립트아민(5-Hydroxytryptamine, 이하 "5-HT"라 약칭함)은 포유동물의 소화계, 평활근의 수축반응 및 이완반응 등에서 다양한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J. B. Furness and M. Costa, Springer-Verlag, Berlin, Heideberg, New York, 1982, 383-460). 5-HT에 대한 약리학적 작용은 5-HT1, 5-HT2, 5-HT3 및 5-HT4 수용체 등 여러 가지 수용체아형의 활성에 의하여 다양하게 나타난다(K. H. Buchheit et al., Naunyn-Schmiedeb. Arch. Pharmacol, 1985, 329, 36-41; A. Dumuis et al., Naunyn-Schmiedeb. Arch. Pharmacol, 1989, 340, 403-410; R. Hendriks et al., Naunyn-Schmiedeb. Arch. Pharmacol, 1989, 339, 409-414).
혈관내피의 유무에 따라서 혈관의 생리적 기능은 많은 변화를 보인다. 혈관이완은 내피세포 의존적인 경우와 내피세포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완반응이 일어나는 비의존적인 경우가 있다. 특히,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등은 혈관 내피세포에서 내피세포이완인자(EDRF)의 유리에 관여한다고 생각하였고, 이들 이완인자들은 내피세포 의존성과 비의존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P. K. Moore et al., Br. J. Pharmacol., 1990, 99, 408-412; R. F. Furchgott, Ann. Rev. Pharmacol. Toxicol., 1984, 24, 175-197). 오갈피속 식물의 성분에 대한 연구는 최근까지 계속되어 왔고, 아칸토사이드(acanthoside) A, B, C, D 및 리그난 글루코사이드(lignan glucoside)로서 제닌(genin)은 시린가레시놀(syringaresinol), β-시토스테롤-D-글루코사이드(β-sitosterol-D-glucoside)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고, 가시오가피나무 뿌리에는 일루써로사이드(eleutheroside) A, B, B1, C, D, E, I, K, L, 센티코사이드(senticoside) A∼F 등의 성분이 보고되었고, 세자민(sesamin)도 알려져 있다. 가시오가피의 잎에는 시우지아노사이드(ciwujianoside) A1∼A2, B, C1∼C4, D1∼D2, E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다. 가시오가피 속의 잎에는 치이사노사이드(chiisanoside), 디바로사이드(divaroside), 22-α-하이드록시-치이사노사이드(22-α-hydroxy-chiisanoside), 우지아포사이드(wujiaposide) A, 아칸코레오사이드(acankoreoside) A∼D, 치이사노제닌(chiisanogenin) 등과 그 밖에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사이드(flavonoid glycoside),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트리테르페닉 사포닌(triterpenic saponin), 플라본(flavone), 비타민(vitamine)과 미네랄(mineral) 등의 성분이 보고되었다(S. Szolomicki et al., Phytother. Res., 2000, 14, 30-35; B. T. Gaffney et al., Life Sci, 2001, 70, 431-442; M. W. Schmolz et al., Phytother. Res., 2001, 15, 268-270; M. Minkova et al., Radiobiol. Radiother., 1982, 23(H.6), 675-678; C. J. Shao et al., Chem. Pharm. Bull., 1989, 37(1), 42-45; S. Nishibe et al., Chem. Pharm. Bull., 1990, 38(6), 1763-1765; A. Umeyama et al., J. Pharm. Sci., 1992, 81(7), 661-662; N. N. Rege et al., Phytother. Res., 1999, 13, 275-291; Y. E. Choi et al., Plant Sci., 2001, 160, 1183-1190).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지역 및 부위에서 채취한 가시오가피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혈관 수축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본 결과, 뛰어난 혈관 이완 작용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오가피 에틸아세틸에테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에틸아세틸에테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물을 용매로 이용하여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에 에틸아세틸에테르를 용매로 첨가하여 에틸아세틸에테르층을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가시오가피의 에틸아세틸에테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상기 가시오가피는 중국의 흑룡강성 또는 대한민국의 장수를 원산지로 하는 가시오가피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시오가피의 채취 부위는 근(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중국의 흑룡강성, 연변, 대한민국의 장수 및 백두산에서 채취한 가시오가피의 근, 근피, 근심, 수피 및 엽을 물에 넣어 가열한 뒤 추출하여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각 지역별 및 부위별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혈관 수축 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중국의 흑룡강성과 대한민국의 장수 지역에서 채취한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의 혈관 수축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근(뿌리) 추출물의 혈관 수축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3 및 도 4 참조).
이에, 혈관 수축 억제 효과가 뛰어난 가시오가피 근의 물 추출물에 에틸아세틸에테르와 물을 넣어 에틸아세틸에테르 추출물을 수득하고, 남은 물층에 n-부탄올을 넣어 부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용매별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혈관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에틸아세틸에테르를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혈관 수축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7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가시오가피 추출물은 혈관 수축 억제 효과 즉, 혈관 이완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흑룡강성 또는 장수 지역의 가시오가피 근으로부터 에틸아세틸에테르를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이 가장 뛰어난 혈관 이완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시오가피 추출물은 혈관 이완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는 실제 임상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가시오가피 에틸아세틸에테르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에 있어서, 가시오가피 에틸아세틸에테르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1∼1000 mg/kg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10∼300 mg/kg 이며, 1~3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는 고혈압, 동맥경화, 뇌경색, 심근경색, 말초혈액순환장애 또는 허혈성 뇌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우주의 약리학강의에서는 5-HT 수용체 봉쇄약물인 케탄세린(Ketanserin)은 말초혈관저항의 감소를 일으켜 혈압을 하강시키므로 고혈압 치료약물로 사용한다라고 밝히고 있다(이우주의 약리학강의, 김경환 엮음, 의학문화사, p. 464). 따라서, 혈관을 이완시킬수 있는 약물을 투여하게 되면 혈압을 강하하게 하여 혈압의 상승으로 유도되는 혈관질환들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도 혈압 및 혈관성 질환인 고혈압, 동맥경화, 뇌경색, 심근경색, 말초혈액순환장애 또는 허혈성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제조
<1-1>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의 제조
한국산 및 중국산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장수 가시오가피(전라북도 장수군 농업과학기술센타), 흑룡강성 가시오가피(파진바이오텍), 연변 가시오가피(연변야생동식물연구소) 및 백두산 가시오가피(백두산, 야생)를 채취하여 이를 근(뿌리), 근피, 근심, 수피, 옆으로 구분한 뒤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하였다. 근(뿌리)과 줄기는 세절하였고, 잎은 조말하여 음건하였다. 지역별 및 부위별로 분류하여 준비한 상기 가시오가피 100 g을 물 2000 ㎖과 함께 환류추출기(Duksan, Korea)에 넣은 뒤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지(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기(rotary evapoarator)(Eyela, Japan)로 감압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기(freeze-drier)에 넣어 동결건조시켰다. 동결건조된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의 분말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1-2>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로부터 용매 분획 분리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한 동결건조된 가시오가피 물추출물에 에틸아세틸에테르와 물을 동량 가한 후 진탕 방치하여 에틸아세틸에테르 층을 수득하였다. 에틸아세틸에테르 층을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틸에테르 분획을 얻었다. 상기 에틸아세틸에테르 층을 수득하고 남은 물층에 n-부탄올을 가해 진탕 방치한 다음 n-부탄올 층을 수득하였다. n-부탄올 층을 감압 농축하여 n-부탄올 분획을 얻었다. 상기 n-부탄올 층을 수득하고 남은 물층을 감압 농축하여 물 분획을 얻었다. 상기 각각의 용매 분획은 동결건조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쥐 대동맥 혈관 조직의 혈관 수축
<2-1> 쥐의 혈관조직절편 제작
330∼350 g 내외의 스프라그-도우리계(Sprague-Dawley) 수컷 흰쥐(샘타코 실험동물, 한국)를 고형사료(샘타코 실험동물용 배합사료, 한국)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2주 이상 실험실 환경(22 ±2℃, 밤/낮=12시간)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흰쥐의 경동맥을 절제하여 출혈사시킨 다음 복부중앙선을 따라 개복하고 흉부대동맥과 장간막동맥을 적출하여 산소가 포화된 4℃의 생리영양액(Physiological salt solution, PSS)(NaCl 130 mM, KCl 4.7 mM, NaH2PO4 1.18 mM, MgSO4 1.17 mM, CaCl2 1.6 mM, NaHCO3 14.9 mM, 글루코스 5.5 mM, pH 7.38)에 침지시켰다. 산소를 계속 공급하면서 주위의 지방조직과 결체조직을 깨끗이 제거한 다음 약 1.5∼2 mm의 길이가 되도록 횡으로 절단하여 고리절편을 만들었다.
<2-2> 쥐 혈관조직의 등장성 수축 측정
쥐 흉부대동맥 및 쥐 장간막동맥 혈관조직의 등장성 수축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95% O2-5% CO2로 포화된 37℃의 생리영양액 5 ㎖이 달려있는 근실(organ chamber)의 바닥에 장치된 고리에 상기 실시예 <2-1>에서 적출한 흉부대동맥 및 장간막동맥 혈관의 한쪽 부분을 걸고 다른쪽 부분은 부하 대체 변환기(force-displacement transducer)에 매달아 등장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생리기록계(polygraph, Grassinstrument Co., U.S.A)에 기록하였다. 약물실험을 하기 전에 흉부대동맥 혈관 2 g과 장간막동맥 1.5 g의 한쪽 부분을 근실(organ chamber)의 아래쪽에 설치된 고리에 걸고 다른쪽 부분은 부하 대체 변환기에 매달아 혈관절편에 2 g의 힘을 가함으로써 기저긴장도를 부하하였으며, 매 20분마다 신선한 생리영양액으로 바꿔주면서 90분간 평형을 유지시켰다. 일정한 기저선이 유지되면 KCl 100 mM이 함유된 생리영양액을 투여하여 수축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최대 수축력이 유도되었을때 혈관수축제인 5-HT(5-hydroxytryptamine)(Sigma, U.S.A.) 또는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NE)를 10-10 M ~ 10-4 M 농도의 범위로 투여하면서 대동맥 혈관이 수축하는 크기를 생리기록계로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성적은 평균치 ± 평균의 표준오차(Mean ± SEM)로 나타내었으며, EC50은 엑셀(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결과에 대한 수식(exponential curve)을 계산한 후 50%의 성장 억제를 하는 농도 값으로 결정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과의 평균의 차이를 검정할 때에는 스튜던트 t-테스트(Student's t-test)로 검정하여 P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흉부대동맥 혈관은 100 mM KCl의 최대 수축에 대해 5-HT의 투여 농도에 의존적으로 수축하였다. 5-HT의 투여 농도 -log[M]이 9, 8, 7, 6, 5 및 4로 증가함에 따라 각각 0, 0, 0, 27.6, 89.9 및 103.7%로 수축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5-HT와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최대 수축력은 각각 103.7% 및 83.6%이고, 반수 유효농도값인 EC50의 값은 각각 5.72 및 7.58로 나타났다(도 1 및 표 1).
또한, 5-HT 혈관수축에 대한 iNOS 억제제인 L-NMMA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흉부대동맥에 L-NMMA 10-5 M을 전처치한 후 100 mM KCl의 최대 수축에 대한 5-HT(10-9 ~ 10-4 M) 유도성 혈관수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5-HT의 투여 농도 -log[M]이 9, 8, 7, 6, 5 및 4로 증가함에 따라 각각 0, 0, 0, 27.6, 89.9 및 103.7%로 수축력이 증가하여 나타나던 것이 L-NMMA를 전처치한 경우 수축반응이 증가되었다. 즉, 5-HT의 최대 수축력은 103.7%였으나 L-NMMA를 전처치하면 최대 수축력이 119.8%로 증가하고, 또한 EC50 값도 각가 5.72와 6.04로 나타났다(도 2 및 표 1).
약물 최대수축력(%) EC50(-log[M])
5-HT 103.7 5.72
L-NMMA + 5-HT 119.8 6.04
노르에피네프린 83.6 7.58
<실시예 3>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혈관 수축 반응에 미치는 영향
<3-1> 지역별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혈관 수축 반응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2-2>에서 쥐 흉부대동맥 혈관 조직을 최대로 수축시킴을 확인한 5-HT를 10-4 M 농도로 투여하여 혈관 수축을 유도하였다. 최대 수축에 도달했을 때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한 지역별 가시오가피 추출물인 흑룡강성, 연변, 백두산 및 장수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을 10-3 , 10-2, 10-1, 1 및 10 ㎎/㎖의 농도까지 투여하여 수축된 혈관에 대한 이완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L-NMMA 10-5 M을 전처치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혈관 수축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iNOS 억제에 의해 본 발명의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혈관 수축 억제가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먼저 지역별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10 ㎎/㎖의 투여 농도에서 흑룡강성, 연변, 백두산 및 장수 가시오가피는 각각 93.5%, 83.5%, 92.8% 및 93.7%의 혈관수축반응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EC50은 각각 4.59, 6.47, 6.10 및 5.14 ㎎/㎖로 나타났다(도 3 및 표 2). 따라서, 흑룡강성 및 장수 가시오가피의 혈관수축반응 억제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NMMA를 전처치한 경우는 흑룡강성, 연변, 백두산 및 장수 가시오가피의 혈관수축반응 억제효과가 각각 74.9%, 42.3%, 53.6% 및 61.5%로 나타났고, EC50은 각각 6.15, 13.75, 9.13 및 8.08 ㎎/㎖로 나타났다(표 2).
가시오가피 최대 수축력(%) EC50(-log[M])
5-HT 처리 L-NMMA 전처리 5-HT 처리 L-NMMA 전처리
흑룡강성 가시오가피 93.5 74.9 4.59 6.15
연변 가시오가피 83.5 42.3 6.47 13.75
백두산 가시오가피 92.8 53.6 6.10 9.13
장수 가시오가피 93.7 61.5 5.74 8.08
<3-2> 부위별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혈관 수축 반응에 미치는 영향
가시오가피 추출 부위에 따른 추출물이 혈관 수축 억제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한 근, 근피, 근심 및 수피의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혈관 수축 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근, 근피, 근심 및 수피의 가시오가피 추출물 10 ㎎/㎖을 투여하면 혈관 수축에 대한 억제 효과가 각각 93.5%, 87.8%, 34.7% 및 32.1%로 나타나고 근과 근피의 EC50 값은 각각 4.59와 4.15 ㎎/㎖로 근과 근피의 혈관 수축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그 중에서 근 추출물의 혈관 수축 억제 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도 4).
따라서, 혈관수축반응 억제 효과가 뛰어난 가시오가피 추출물은 흑룡강성 또는 장수 지역에서 채취한 가시오가피의 추출물이고, 근에서 추출한 가시오가피 추출물임을 알 수 있었다.
<3-3>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혈관 수축 억제 반응에 혈관내피의 존재가 미치는 영향
혈관의 내피세포가 혈관운동의 반응(vasomotor response, 수축과 이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내피세포를 제거한 경우와 내피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생리기록계로 비교분석하였다. 흰쥐의 흉부대동맥 혈관과 장간막동맥 혈관의 안으로 면봉의 예리한 끝부분을 돌려서 내피세포를 직접적으로 제거하였으며, 신선한 생리영양액으로 세척하였다. 내피세포가 제대로 제거되었는지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근실 내에 100 mM의 KCl을 투여하여 혈관 수축을 유도한 뒤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10-6 M을 투여하여 이완반응이 일어나는지 여부를 측정하여 내피세포의 유무를 파악하였다. 이때 아세틸콜린에 의한 이완이 KCl에 의한 수축의 50% 이상을 넘을 때는 내피세포가 손상받지 않았다고 판정하였다. 실험을 마치고 60분이 지난 후에 내피세포가 제거된 혈관과 제거되지 않은 혈관에 흑룡강성 가시오가피근 추출물 10 ㎎/㎖을 투여하여 혈관 수축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흰쥐의 흉부대동맥과 장간막동맥 혈관은 내피가 있을 때는 혈관 수축 억제 효과가 각각 95.2% 및 94.6%로 나타났고, 내피가 없을때는 각각 93.5%와 92.5%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피가 있을 때의 EC50값은 각각 3.79 및 3.09 ㎎/㎖이고, 내피가 없을 때의 EC50값은 각각 4.59 및 4.38 ㎎/㎖로 나타났다(도 5).
<실시예 3> 용매 분획에 따른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혈관 수축 억제 반응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자들은 용매 분획에 따른 가시오가피 추출물이 혈관 수축 억제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가시오가피의 에틸아세틸에테르 분획, 부탄올 분획 및 물 분획을 10-2, 10-1, 1, 3 및 10 ㎎/㎖로 투여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혈관 수축 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3 및 10 ㎎/㎖ 농도에서 혈관 수축 억제 효과가 물층 분획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부탄올 분획은 각각 0, 8.0 및 54.8%로 나타났고, 에틸아세틸에테르 분획은 각각 0.6, 31.3 및 94.8%로 나타났다. 또한, 부탄올 분획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EC50 값이 각각 9.44와 5.41 ㎎/㎖로 나타났다(도 6). 따라서, 가시오가피근의 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틸에테르 분획의 혈관 수축 억제 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로부터 에틸아세틸에테르를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혈관 수축 억제 작용 즉, 혈관 이완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혈압, 동맥경화, 뇌경색, 심근경색, 말초혈액순환장애 또는 허혈성 뇌질환의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쥐 흉부대동맥에 대한 KCl의 최대 수축에 대하여 농도별로 투여한 5-HT 및 노르에피네프린에 의한 혈관 수축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5-HT에 의한 쥐 흉부대동맥의 혈관 수축에 L-NMMA의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지역별로 채취한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혈관 수축 억제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백두산, △: 연변, □: 장수, ○: 흑룡강성
도 4는 부위별(근, 근피, 근심, 줄기)로 채취한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혈관 수축 억제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쥐 흉부대동맥과 장간막동맥에 대한 5-HT의 수축 반응에 대하여 혈관내피 존재 유무에 따른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수축 억제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 흉부대동맥, 내피세포 없음, ●: 흉부대동맥, 내피세포 있음,
□: 장간막동맥, 내피세포 없음, ■: 장간막동맥, 내피세포 있음
도 6은 가시오가피 뿌리 물 추출물로부터 용매별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분석한 혈관 수축 억제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물 추출물, △: n-부탄올 추출물, □: 에틸아세틸에테르 추출물

Claims (4)

1) 물을 용매로 이용하여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에 에틸아세틸에테르를 용매로 첨가하여 에틸아세틸에테르층을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가시오가피의 에틸아세틸에테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제 1항에 있어서, 가시오가피는 흑룡강성 또는 장수 지방을 원산지로 하는 가시오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제 1항에 있어서, 가시오가피는 가시오가피의 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제 1항에 있어서, 혈관 질환은 고혈압, 동맥경화, 뇌경색, 심근경색, 말초혈액순환장애 및 허혈성 뇌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KR1020030059565A 2003-08-27 2003-08-27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KR20050022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565A KR20050022944A (ko) 2003-08-27 2003-08-27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565A KR20050022944A (ko) 2003-08-27 2003-08-27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944A true KR20050022944A (ko) 2005-03-09

Family

ID=3723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565A KR20050022944A (ko) 2003-08-27 2003-08-27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29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579A1 (ko) * 2011-10-18 2013-04-25 (주)아모레퍼시픽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sirt 1 활성화제
KR20170041997A (ko) 2015-10-08 2017-04-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섬오갈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9770A (ko) * 2020-11-03 2022-05-10 백일광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579A1 (ko) * 2011-10-18 2013-04-25 (주)아모레퍼시픽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sirt 1 활성화제
US9913823B2 (en) 2011-10-18 2018-03-13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US9999611B2 (en) 2011-10-18 2018-06-19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US10022351B2 (en) 2011-10-18 2018-07-17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US11096921B2 (en) 2011-10-18 2021-08-24 Amorepacific Corporation SIRT 1 activator including syringaresinol
KR20170041997A (ko) 2015-10-08 2017-04-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섬오갈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9770A (ko) * 2020-11-03 2022-05-10 백일광 혈액순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71083C (zh) 从竹子中提取的三萜总皂甙元的组成、方法及其用途
KR20080104600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촉진, 혈관신생촉진, 및허혈성 심질환 치료용 조성물
US20070160626A1 (en) Medicinal composition for liver diseases
KR101906720B1 (ko) 구기자, 감초, 회향, 대두 및 갈근의 조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질환 및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05801B1 (ko) 틸리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4161909A (zh) 一种祛黄褐斑的药物组合物
CN101235038B (zh) 甘草醇在制备免疫抑制剂和相关药物中的应用
CN102258598B (zh) 以木瓜有效部位制成的药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03479963A (zh) 一种治疗类风湿关节炎的中药胶囊及其制备方法
KR0160108B1 (ko) 조각자나무로부터 추출한 생약 성분으로 된 항암제
KR100948281B1 (ko) 식물생약제를 이용한 추출물로된 다이어트용 식품의 제조방법
KR20050022944A (ko)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KR101023487B1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33096B1 (ko) 데커신 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하는 혈관이완제
KR20050047579A (ko) 혼합생약재를 이용한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050097614A (ko) 대황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CN108743654B (zh) 一种用于治疗缺血性心脏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29991B1 (ko) 간염 치료제 및 예방제 또는 간보호제로 유용한 섬오갈피추출물
KR101667873B1 (ko) 한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7115372B (zh) 一种含有罗布麻叶总黄酮的抗肿瘤药物组合物
CN115844933B (zh) 忧遁草总黄酮在制备抗心力衰竭药物中的应用
KR100787174B1 (ko)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Nwoke et al. Comparative antihyperglycemic potentials of different fractions of Detarium senegalense stem bark extract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Wistar rats
KR100588651B1 (ko)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암 또는 두경부암 예방 및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