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557A - 차량용 케이-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케이-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557A
KR20050017557A KR1020030056558A KR20030056558A KR20050017557A KR 20050017557 A KR20050017557 A KR 20050017557A KR 1020030056558 A KR1020030056558 A KR 1020030056558A KR 20030056558 A KR20030056558 A KR 20030056558A KR 20050017557 A KR20050017557 A KR 2005001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port
input signal
line
high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3005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7557A/ko
Publication of KR2005001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K-라인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구한 프로토콜 ID 값에 따라서 K-라인 포트에 연결된 유닛이 하이 스피드 캔(CAN; Control Area Network) 포트, 로우 스피드 캔 포트, 온/오프 주변 포트에 각각 연결된 유닛 중 어느 유닛과 통신할 것인지를 결정한 후, 입력 신호를 이들 통신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로 출력할 수 있도록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신호 처리 프로토콜이 K-라인 프로토콜과 다른 차량용 각종 유닛들을 게이트웨이의 통신 포트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K-라인 포트에 연결된 유닛이 이들 유닛들과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케이-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 입력신호 처리방법 {GATEWAY FOR PROCESSING K-LINE INPUT SIGNAL IN VEHICLES AND INPUT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서로 다른 장치들이 서로간의 제어명령, 서로간의 필요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의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 입력신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차량은 고유의 수송기능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 보다 안락하고 편리한 사무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해 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서 차량에 보다 많은 전기부품들이 장착되어 차량 설계가 점점 복잡해지고 각각의 전기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wire)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많은 차량의 전기부품 중에서 특히 차량의 바디(body)에 장착되는 것으로는, 크게 BCM(Body Control Module) 유닛, 드라이버 도어 모듈(Driver Door Module) 유닛, 어시스트 도어 모듈(Assist Door Module) 유닛, 파워 시트(Power seat) ECU 등이 있다.
상기 BCM 유닛은 차량 내의 각종 램프, 와이퍼, 각종 장치간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ECU로서, 차량의 키 삽입 유무, ACC 전원관계, 점화(Ignition) 전원관계, 발전기(Alternator) 동작관계, 스피드 연산관계, 키리스(Keyless) 동작신호 등을 제어한다.
상기 드라이버 도어 모듈 유닛은 전동 미러(Mirror)의 동작신호, 폴드(Fold)의 동작신호, 윈도우(Window)의 동작신호, 시트(Seat)와 틸트(Tilt) 제어신호, 메모리 관련 신호 등을 제어한다.
상기 어시스트 도어 모듈 유닛은 조수석 도어의 잠금 여부, 도어 개폐 여부 등과 더불어 전동 미러 제어 기능, 윈도우 개폐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파워 시트 ECU는 본래의 시트 제어 기능인 프론트 하이트 모터(front height motor) 제어, 리어 하이트 모터(rear height motor) 제어, 슬라이드 모터(slide motor) 제어, 리클라인 모터(recline motor) 제어를 담당한다.
이외에도 차량 내에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고, GP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전선을 통해 통신하는 수많은 전기부품들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 설계 시 전선의 증가를 초래하고, 더불어서 전선의 경로 문제, 부피 등의 증가로 인하여 차량의 중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고장 진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설계 변경 시에는 관련 전기부품들의 수정이 불가피하고 각각의 전기부품들의 변경에 따른 전선의 신규 설치가 요구되므로, 설계 상의 마진 확보가 어려워져 설계 변경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에는, 이러한 설계 변경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캔캔(CAN; Control Area Network) 프로토콜이나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복수개의 전기부품들을 차량용 게이트웨이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신 방식은 전기부품들간의 신호 처리 프로토콜이 동일한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전기부품들간의 신호 처리 프로토콜이 다른 경우에는 상호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신호 처리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전기부품들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해결책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K-라인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구한 프로토콜 ID 값에 따라서 K-라인 포트에 연결된 유닛이 하이 스피드 캔 포트, 로우 스피드 캔 포트, 온/오프 주변 포트에 각각 연결된 유닛 중 어느 유닛과 통신할 것인지를 결정한 후,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 로우 스피드 캔 포트, 온/오프 주변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상기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 로우 스피드 캔 포트, 온/오프 주변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를 통해 출력하도록 된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 입력신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의 일실시예는, K-라인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이 연결되는 K-라인 포트와; 하이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이 연결되는 하이 스피드 캔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K-라인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하이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는 하이 스피드 캔 드라이버와; 로우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이 연결되는 로우 스피드 캔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K-라인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로우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는 로우 스피드 캔 드라이버와; 상기 각각의 드라이버의 작동을 제어하고, 온/오프 신호를 처리하는 차량의 주변 유닛(peripheral unit)이 연결되는 온/오프 주변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K-라인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온/오프 주변 프로토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며, 상기 K-라인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구한 프로토콜 ID 값에 따라서 K-라인 포트에 연결된 유닛이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 로우 스피드 캔 포트, 온/오프 주변 포트에 각각 연결된 유닛 중 어느 유닛과 통신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K-라인 포트에 연결된 유닛이 상기 통신 포트들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차량 점화 신호(IGNITION)가 입력되면 차량용 배터리 전원(BATT+)을 일정 레벨의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의 입력신호 처리방법의 일실시예는, K-라인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의 출력 신호가 K-라인 포트를 통해 입력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구한 프로토콜 ID 값에 따라서 K-라인 포트에 연결된 유닛이 하이 스피드 캔 포트, 로우 스피드 캔 포트, 온/오프 주변 포트에 각각 연결된 유닛 중 어느 유닛과 통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할 것으로 결정되면, 하이 스피드 캔 드라이버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하이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로우 스피드 캔 포트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할 것으로 결정되면, 로우 스피드 캔 드라이버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로우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온/오프 주변 포트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할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온/오프 주변 프로토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K-라인 포트(10)에는 차량에서 K-라인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예컨대, 캔 프로토콜로 통신하지 않고 1:1 연결라인을 가지는 유닛)이 연결된다.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에는 차량에서 하이 스피드(예컨대, 500kbps) 캔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이 연결된다.
하이 스피드 캔 드라이버(25)는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에 연결되어 상기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하이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로 출력한다.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에는 차량에서 로우 스피드(예컨대, 10kbps) 캔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이 연결된다.
로우 스피드 캔 드라이버(35)는 상기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에 연결되어 상기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로우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로 출력한다.
온/오프 주변 포트(40)에는 온/오프 신호를 처리하는 차량의 주변 유닛(peripheral unit; 예컨대, 에어백 충격센서 등)이 연결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50)는 상기 각각의 드라이버(25,35)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는 온/오프 주변 포트(40)에 연결되어 상기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온/오프 주변 프로토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온/오프 주변 포트(40)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는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구한 프로토콜 ID 값에 따라서 K-라인 포트(10)에 연결된 유닛이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 온/오프 주변 포트(40)에 각각 연결된 유닛 중 어느 유닛과 통신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K-라인 포트(10)에 연결된 유닛이 상기 통신 포트들(20,30,40)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하도록 제어한다.
전원 공급부(65)는 차량 점화 신호(IGNITION)가 입력되면 차량용 배터리 전원(BATT+)을 일정 레벨의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6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신호 처리방법에 의해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차량에서 K-라인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특정한 유닛의 출력 신호가 상기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되면(S10),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는 먼저 이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프로토콜 ID 값을 구한다(S20).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는 구해진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 ID 값에 따라서 상기 K-라인 포트(10)에 연결된 특정한 유닛이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 온/오프 주변 포트(40)에 각각 연결된 유닛 중 어느 유닛과 통신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30,S40).
만약,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 ID 값이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판별되면(S30),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는 상기 하이 스피드 캔 드라이버(25)로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전달하며, 이때 상기 하이 스피드 캔 드라이버(25)는 먼저, 이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하이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한 다음(S32), 하이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한 후(S34),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로 출력한다(S36).
이에 따라서, 차량에서 K-라인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상기 특정한 유닛이 차량에서 하이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특정한 유닛과 통신하게 된다.
만약,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 ID 값이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판별되면(S40),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는 상기 로우 스피드 캔 드라이버(35)로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전달하며, 이때 상기 로우 스피드 캔 드라이버(35)는 먼저, 이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로우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한 다음(S42), 로우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한 후(S44),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로 출력한다(S46).
이에 따라서, 차량에서 K-라인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상기 특정한 유닛이 차량에서 로우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특정한 유닛과 통신하게 된다.
만약,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 ID 값이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것도 아니고, 상기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것도 아닌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는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 ID 값이 상기 온/오프 주변 포트(40)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판별한다.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는 먼저,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온/오프 주변 프로토콜 변환한 다음(S50), 온/오프 주변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한 후(S52), 온/오프 주변 포트(40)로 출력한다(S54).
이에 따라서, 차량에서 K-라인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상기 특정한 유닛이 차량에서 온/오프 주변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특정한 유닛과 통신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는 신호 처리 프로토콜이 K-라인 프로토콜과 다른 차량용 각종 유닛들을 게이트웨이의 통신 포트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K-라인 포트에 연결된 유닛이 이들 유닛들과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 입력신호 처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의 입력신호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K-라인 포트 20: 하이 스피드 캔 포트
25: 하이 스피드 캔 드라이버 30: 로우 스피드 캔 포트
35: 로우 스피드 캔 드라이버 40: 온/오프 주변 포트
50: 마이크로 컨트롤러 60: 전압 레귤레이터
65: 전원 공급부

Claims (2)

  1. K-라인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이 연결되는 K-라인 포트(10)와;
    하이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이 연결되는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에 연결되어 상기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하이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는 하이 스피드 캔 드라이버(25)와;
    로우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이 연결되는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에 연결되어 상기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로우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는 로우 스피드 캔 드라이버(35)와;
    상기 각각의 드라이버(25,35)의 작동을 제어하고, 온/오프 신호를 처리하는 차량의 주변 유닛(peripheral unit)이 연결되는 온/오프 주변 포트(40)에 연결되어 상기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온/오프 주변 프로토콜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며, 상기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구한 프로토콜 ID 값에 따라서 K-라인 포트(10)에 연결된 유닛이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 온/오프 주변 포트(40)에 각각 연결된 유닛 중 어느 유닛과 통신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K-라인 포트(10)에 연결된 유닛이 상기 통신 포트들(20,30,40)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50); 및
    차량 점화 신호(IGNITION)가 입력되면 차량용 배터리 전원(BATT+)을 일정 레벨의 정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6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6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2. K-라인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유닛의 출력 신호가 K-라인 포트(10)를 통해 입력되면(S10), 마이크로 컨트롤러(50)가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구한 프로토콜 ID 값에 따라서 K-라인 포트(10)에 연결된 유닛이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 온/오프 주변 포트(40)에 각각 연결된 유닛 중 어느 유닛과 통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S20,S30,S40)와;
    상기 하이 스피드 캔 포트(20)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할 것으로 결정되면, 하이 스피드 캔 드라이버(25)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하이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S32)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는 단계(S34,S36)와;
    상기 로우 스피드 캔 포트(30)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할 것으로 결정되면, 로우 스피드 캔 드라이버(35)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로우 스피드 캔 프로토콜로 변환하고(S42)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는 단계(S44,S46); 및
    상기 온/오프 주변 포트(40)에 연결된 유닛과 통신할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0)가 상기 입력 신호의 프로토콜을 온/오프 주변 프로토콜 변환하고(S50) 변환된 프로토콜로 입력 신호를 새롭게 셋팅하여 출력하는 단계(S52,S5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K-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의 입력신호 처리방법.
KR1020030056558A 2003-08-14 2003-08-14 차량용 케이-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KR20050017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558A KR20050017557A (ko) 2003-08-14 2003-08-14 차량용 케이-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558A KR20050017557A (ko) 2003-08-14 2003-08-14 차량용 케이-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557A true KR20050017557A (ko) 2005-02-22

Family

ID=3722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558A KR20050017557A (ko) 2003-08-14 2003-08-14 차량용 케이-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7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08B1 (ko) * 2007-12-18 2010-01-19 오토에버시스템즈 주식회사 데이터를 중계 및 기록하는 방법 및 데이터를 중계 및기록하는 관문기록장치
CN103368801A (zh) * 2013-08-02 2013-10-23 常州市新科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高低速can总线兼容装置及其工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08B1 (ko) * 2007-12-18 2010-01-19 오토에버시스템즈 주식회사 데이터를 중계 및 기록하는 방법 및 데이터를 중계 및기록하는 관문기록장치
CN103368801A (zh) * 2013-08-02 2013-10-23 常州市新科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高低速can总线兼容装置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34117A1 (en) Vehicular wire harness structure
JPH03128543A (ja) 親および子処理装置間の交信システム
US20160277208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24216A (ko) 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캔 메세지 우선순위 변경 방법
KR20030010890A (ko) 캔(can)프로토콜을 이용한 자동차의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90061B1 (ko) Can과 통합된 bcm을 테스트하는 장치
CN114165132A (zh) 马达模块、管理模块、车载装置控制系统
KR101866725B1 (ko) 차량 전자 모듈의 통신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88791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C power to an outside electrochromic mirror (OEC) using a pulse width modulated (PWM) input
KR100517180B1 (ko) 차량용 하이 스피드 캔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WO2006112161A1 (ja) 車載通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594171B1 (ko) 차량용 로우 스피드 캔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CN201989733U (zh) 一种用于汽车智能控制的网络拓扑结构及汽车
KR20050017557A (ko) 차량용 케이-라인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US7647147B2 (en) Multi-platform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self-recognizing and self-learning of the host vehicle
KR20050018227A (ko) 차량용 온/오프 주변 입력신호 처리 게이트웨이 및 그입력신호 처리방법
KR20050018228A (ko) 차량용 게이트웨이 및 그 입력신호 처리방법
US201402450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n item of wake-up information in users of a can bus system
WO2013081096A1 (ja) 車載制御システム
KR102632188B1 (ko) 레이더 센서 시스템 및 레이더 센서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Stelzer LIN bus-an emerging standard for body control applications
CA2568114C (en) Multi-platform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self-recognizing and self-learning of the host vehicle
KR20140026101A (ko) 자동차용 통신 모듈 및 그 구동 장치
KR20030015019A (ko) 랩뷰(Labview)를 이용한 차량용 모듈 제어장치
JP2012054688A (ja) 車載通信システム、入出力装置及び車載機器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