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501A - 압축 유닛 - Google Patents

압축 유닛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501A
KR20050016501A KR10-2004-7019676A KR20047019676A KR20050016501A KR 20050016501 A KR20050016501 A KR 20050016501A KR 20047019676 A KR20047019676 A KR 20047019676A KR 20050016501 A KR20050016501 A KR 20050016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mpression
plates
compression unit
compres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730B1 (ko
Inventor
크레우츠토마스
Original Assignee
록스텍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스텍 아베 filed Critical 록스텍 아베
Publication of KR2005001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Non-Positive 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 Electron Tubes For Measurement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Compressor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진입부, 파이프 관통부 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개별 유닛(2)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1, 1')용 압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압축 유닛은 프레임 내에 수용되는 압축 플레이트(3, 3', 4)를 포함한다. 압축 플레이트(3, 3', 4)는 프레임(1, 1')의 홈(9, 10, 9', 10')에 수용되는 돌출부(5, 5')를 갖는다. 홈은 제1 직선형 부분(9, 9') 및 제2 라운딩 부분(10, 10')을 갖는다. 압축 플레이트(3, 3', 4)를 압축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압축 플레이트(3, 3', 4)는 돌출부(5, 5')가 홈의 라운딩 부분(10, 10')에 있을 때 적합한 도구(14)의 사용에 의해 회전된다.

Description

압축 유닛{COMPRESSION UNIT}
본 발명은 케이블 진입부, 파이프 관통부 등을 위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에 사용되는 압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다양한 프레임이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프레임은 케이블 진입부, 파이프 관통부 등에서 밀봉하는데 사용된 시스템의 부분이다. 프레임에 부가하여, 시스템은 공칭적으로는 케이블 등을 기밀하게 둘러싸며 배치되는 부가의 요소를 포함한다. 이 종류의 시스템은 캐비넷, 기술 보호소, 중간 집수조 및 기계 등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이들은 자동차, 전기 통신, 발전 및 분배, 뿐만 아니라 해상 및 근해와 같은 상이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된다.
밀봉부는 유체, 가스, 화염, 설치류, 흰개미, 먼지, 수분 등에 대한 밀봉부를 가질 수 있다. 밀봉부는 전기, 통신, 컴퓨터 등을 위한 케이블, 또는 물, 압축 공기, 유압 유체 및 조리용 가스와 같은 상이한 기체 또는 액체를 위한 파이프를 수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인 형태의 이 종류의 프레임은 케이블, 파이프 등을 수용하는 개별 유닛에 압력을 인가하는데 사용된다. 압력은 포지티브 밀봉을 제공하도록 요구된다. 압축 유닛은 종종 2개의 부분을 상호 관계로 배치시키는데 사용되는 스크류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부품을 포함하고, 이 부품들은 웨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들 더욱 복잡한 압축 유닛은, 예를 들면 벽의 각각의 측면 상의 최대 압력 차이에 관한 요구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 필요하다. 그러나, 요구가 엄격하지 않으면 이러한 압축 유닛이 제조 및 취급과 관련하여 너무 복잡한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따라서, 요구가 다소 낮은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는 더 간단하지만 신뢰적인 압축 유닛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부분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프레임에 수용되는 압축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압축 플레이트와 함께 사용되는 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대향 방향으로부터 취한 도 4의 커버의 사시도.
도 6은 프레임 내의 압축 플레이트의 장착을 위한 작동 라인의 단면도.
도 7은 사용시의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압축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프레임의 부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압축 플레이트의 사시도.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압축 유닛은 견딜 수 있는 압력과 관련하여 밀봉에 대한 중간 또는 더 낮은 요구를 갖는 프레임을 주로 의도한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단순하지만 강건한 프레임용 압축 유닛을 배열하는 것이고, 이 압축 유닛은 비교적 사용이 용이해야 한다. 다른 목적은 압축 유닛이 가능한한 소수의 부분을 갖도록 하여 압축 유닛의 제조 및 일반적인 취급 모두를 단순화하는 것이다. 더욱이, 압축 유닛은 상이한 프레임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압축 유닛이 고장의 위험이 적거나 없으면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진입부, 파이프 관통부 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개별 유닛을 수용하는 프레임용 압축 유닛이 배열된다. 상기 압축 유닛은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압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압축 플레이트 및 프레임은 돌출부 및 홈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부가의 목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할 때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을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이하에 설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표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및 유사한 표현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을 가리킨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프레임이 사용시에 임의의 배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진입부, 파이프 관통부 등의 형태의 하나 이상의 개별 유닛(2)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1)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프레임(1)은 밀봉 방식으로 벽, 천정 등의 개구를 통해 케이블, 파이프 등을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1)은 2개의 프레임 부분(8)의 형태이다. 프레임(1)은 2개의 부분(8)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프레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프레임(1)이 단지 하나의 단일의, 2개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것이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은 벽 등에 대한 지지를 위한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프레임 부분(8)은 함께 모여 벽, 천정 등의 한 측면에 고정된다. 프레임(1)은 적합한 체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구멍(11)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트(12)가 체결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벽에 대한 프레임(1)의 견고한 고정을 제공하는 임의의 체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리벳, 용접, 납땜, 아교 등, 또는 상이한 체결 수단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1) 내부에는, 다수의 개별 유닛(2)이 수용된다. 상기 개별 유닛(2)은 케이블 진입부, 파이프 관통부 등의 형태를 갖는다. 개별 유닛(2)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압력 하에 놓일 때 밀봉 효과를 제공한다. 개별 유닛(2)의 상이한 열 사이에는, 격벽(13a, 13b)이 배열된다. 격벽(13a, 13b)은 프레임(1) 내에서 격벽이 프레임(1)과 관련하여 미끄러질 수도 있도록 배열된다. 더욱이, 압축 플레이트(3)가 프레임(1) 내에 수용된다. 최상측 격벽(13a), 즉 압축 플레이트(3)와 접촉하는 격벽은 종종 격벽(13b)의 나머지보다 강하게 제조된다. 이는 공칭적으로는 상기 최상측 격벽(13a)이 격벽(13b)의 나머지보다 더 두껍게 제조되어 성취된다.
압축 플레이트(3)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압축 플레이트(3)의 각각의 짧은 측면에는 돌출부(5)가 배열된다. 각각의 돌출부(5)는 압축 플레이트(3)의 짧은 측면의 연장부와 정렬된 긴 및 짧은 측면을 갖고 형성된다. 압축 플레이트(3)의 긴 측면은 경사면(7)을 갖는다. 더욱이, 압축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6)인 개구(6)를 갖는다. 압축 플레이트(3)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임의의 재료로 형성되어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 플레이트(3)의 정확한 형태는 다양할 수 있지만 압축 플레이트(3)를 수용하는 프레임(1)의 형태로 적용된다.
압축 플레이트(3)의 돌출부(5)는 프레임(1)의 홈(9, 10)과 협동한다. 프레임(1)의 홈은 라운딩 부분(10)으로 진행하는 직선형 도입부(9)를 갖는다. 홈(9, 10)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홈이 아니고, 따라서 라운딩 부분(10)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홈은 프레임의 한 측면으로부터 압축 플레이트(3)의 삽입을 허용하는 관통 홈일 수 있다. 이러한 관통 홈에서, 라운딩 부분(10)은 양 측면에 직선형 부분(9)을 갖고 중앙에 공칭적으로 배치된다. 압축 플레이트(3)의 돌출부 및 프레임(1)의 홈(9, 10)의 치수는, 압축 플레이트(3)가 프레임(1) 내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더욱이, 홈의 라운딩 부분(10)은 로킹 기능, 즉 압축 플레이트(3)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홈(9, 10)을 따라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압축 플레이트(3)는 프레임(1)의 일반적인 연장부에 주로 수직으로 지향된 프레임(1) 내로 도입된다. 홈(9, 10)은 프레임(1)의 상측 부분에 배열된다. 홈(9, 10)은, 압축 플레이트(3)가 프레임(1) 내에서 회전할 때 프레임(1)의 상측 수직 부분에 대해 압축 플레이트(3)를 가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위치된다. 압축 플레이트(3)가 접하여 프레임(1)의 상측 부분에 대해 가압되어, 압축 플레이트(3)는 압축 플레이트(3)의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1)의 개별 유닛(2)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압축 플레이트(3')를 수용하는 프레임(1')의 홈은 상이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홈에서, 홈의 직선형 부분(9')과 라운딩 부분(10') 사이에는 연결부가 없다. 이들 형태의 홈은 비교적 가요성 프레임(1')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압축 플레이트(3')를 장착하기 위해, 플레이트의 돌출부(5')는 홈의 직선형 부분(9') 내에 먼저 도입된다. 돌출부(5')를 홈의 라운딩 부분(10') 내로 유도하기 위해, 프레임(1')은 돌출부(5')가 홈의 직선형 부분(9')으로부터 라운딩 부분(10')으로 통과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하게 만곡된다. 홈의 라운딩 부분(10') 내의 돌출부(5')에 의해, 압축 플레이트(3')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부가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홈은 직선형 부분을 갖지 않으며, 이 경우, 플레이트(3')의 돌출부(5')는 프레임을 만곡시킴으로써 라운딩 부분 내로 직접 유도된다. 압축 플레이트(3')의 돌출부(5')는 종종 개별 직선형 및 라운딩 부분을 갖는 홈과 협동할 때 원형 형태를 갖는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돌출부(5) 및 홈(9, 10)의 정확한 형태 및 위치가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프레임(1) 내에 압축 플레이트(3)를 도입하고 이어서 프레임(1) 내의 개별 유닛(2)에 압력을 인가하는 위치로 압축 플레이트(3)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야 하는 것만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플레이트(3)는 돌출부(5) 및 홈(9, 10)에 의해 수직 위치에 로킹되어야 한다.
더욱이, 프레임(1) 내의 압축 플레이트(3)의 영역을 밀봉하기 위해 압축 플레이트(3)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커버(15)가 배열된다. 커버(15)는 압축 플레이트(3)와 동일한 일반적인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외향으로 대면하도록 의도된 커버(15)의 측면은 약간 경사지고, 따라서 커버(15)의 짧은 측면은 하나의 좁은 단부(16) 및 하나의 넓은 단부(17)를 갖는다. 커버(15)의 넓은 단부(17)에는 노치(18)가 형성되고, 이 노치(18)는 커버(15)의 하측의 긴 측면을 따라 진행한다. 노치(18)는 최상측 격벽(13a)을 따라 배치된다. 커버(15)의 한 측면에는, 널(knurl)(19)이 제공되어 압축 플레이트(3)의 개구(6)에 수용된다. 커버(15)는 또한 돌출 림 및 돌출부(20)를 가지며, 이 돌출부(20)는 홈의 직선형 부분(9)에 수용된다. 커버(15)의 노치(18), 림, 널(19) 및 돌출부(20)는 프레임(1)에 대한 상기 커버(15)의 고정에 기여한다. 커버(15)는 공칭적으로는 고무 또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압축 플레이트(4)는 또한 커버의 기능을 충족한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플레이트(4)는 상술한 압축 플레이트(3)와 동일한 일반적인 형태를 갖는다. 더욱이, 이는 돌출부(5), 도구용 개구(6) 및 경사 측면(7)을 갖는다. 상술한 압축 플레이트(3)와의 차이점은 압축 플레이트(4)가 밀봉부(21, 22)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하나의 밀봉부(21)는, 압축 플레이트(4)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프레임에 수용된 부분(13a) 또는 프레임(1)과 접촉하여 위치된 모든 측면의 중앙으로 진행한다. 더욱이, 하나의 밀봉부(22)는 각각의 돌출부(5) 둘레의 원에 배치된다. 밀봉부(21, 22)는 압축 플레이트(4) 내의 홈에 수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압축 플레이트(4)의 표면에 직접 밀봉부(21, 22)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커버가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개구(6)는 로크 등(도시 생략)에 의해 커버되어야 한다.
압축 플레이트(3, 4)가 프레임(1)(도 6a) 내로 도입될 때, 돌출부(5)는 홈(도 6b)의 직선형 부분(9)으로 먼저 진행한다. 돌출부(5)가 홈의 직선형 부분(9) 내에 있는한, 압축 플레이트(3)를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개별 라운딩 및 직선형 부분을 갖는 실시예에서, 압축 플레이트는 공칭적으로 직선형 부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돌출부(5)가 홈의 라운딩 부분(10)에 도달할 때, 압축 플레이트가 회전될 수 있다. 압축 플레이트(10)가 회전함에 따라, 이는 프레임 내의 개별 유닛(2)에 압력을 인가하고 또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로킹할 수 있다. 압력은 최상측 격벽(13a)으로부터 개별 유닛(2) 및 부가의 격벽(13b)을 경유하여 개별 유닛(2)의 최하측 열로 전달될 수 있다. 주로 수직 위치로, 즉 프레임(1)의 주 연장부에 평행하게 압축 플레이트(3, 4)를 회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구(14)가 개구(6)(도 6c)에 배치된다. 도구(14)는 단순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약간 각형성된 단부를 갖는 로드일 수 있다. 그러나,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압축 플레이트(3, 4)를 회전시키는데 충분한 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한, 임의의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압축 플레이트(3, 4)의 경사 측면(7)은 압축 플레이트(3, 4)를 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플레이트(3)가 정확한 위치에 있을 때, 커버(15)는 압축 플레이트(3)(도 6d)를 덮는 프레임(1) 내에 배치된다. 커버(15)는 압축 플레이트(2)의 개구(6) 내의 널(19) 및 프레임(1)의 홈(9) 내의 돌출부(20)에 의해 배치된다. 커버(15)의 노치(18)는 최상측 격벽(13a)에 배치된다. 따라서, 압축 플레이트(3)상에 배치될 때, 커버(15)는 프레임(1)(도 6e)과 관련하여 압축 플레이트(3)를 밀봉할 수 있다.
프레임(1)이 새로운 케이블, 파이프 등을 수용하면, 상술한 작동 순서가 반전된다. 따라서, 커버(15)는 사용되는 경우 먼저 제거된다. 다음, 압축 플레이트(3, 4)가 일반적으로 수평 위치로 회전되고, 이에 의해 돌출부(5)가 홈의 라운딩 부분(10)에서 회전할 수 있다. 압축 플레이트(3, 4)가 회전될 때, 개별 유닛(2) 상의 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새로운 케이블, 파이프 등을 수용하는 개별 유닛(2) 상에 배치된 격벽(13a, 13b)은 상향으로 미끄러져 소정의 유닛(2)으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개별 유닛(2)은 케이블, 파이프 등으로부터 취출되고, 이어서 도입되며 개별 유닛은 새로운 케이블, 파이프 등에 적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는 적절한 수의 시트를 개별 유닛(2)으로부터 박리하여 수행된다. 그 후에, 유닛(2)은 케이블, 파이프 등을 둘러싸는 프레임 내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압축 플레이트(3)가 재차 수직 위치로 회전하여 프레임(1) 내에 수용된 개별 유닛(2)에 압력을 인가한다. 유도된 압력에 의해, 개별 유닛(2)은 케이블, 파이프 등을 밀봉할 수 있다. 손상에 의해 및 치수가 변경되는 등에 의해 개별 유닛(2)의 하나 이상을 교체하는 경우에 동일한 작동 라인이 수행된다.

Claims (13)

  1. 케이블 진입부, 파이프 관통부 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개별 유닛(2)을 수용하는 프레임(1, 1')용 압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압축 유닛은 상기 프레임(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압축 플레이트(3, 3', 4)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플레이트(3, 3', 4)와 프레임(1, 1')은 돌출부 및 홈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 5')는 상기 압축 플레이트(3, 3', 4)의 짧은 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압축 플레이트(3, 3', 4)의 돌출부(5, 5')와 협동하기 위한 홈(9, 10, 9', 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프레임(1, 1')의 한 측면을 향해 개방된 제1 직선형 부분(9, 9')과, 상기 프레임(1, 1')의 에지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종료되는 제2 라운딩 부분(10, 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플레이트(3, 4)의 돌출부(5) 및 상기 프레임(1)의 홈(9, 10)은, 상기 돌출부(5)가 상기 홈의 직선형 부분(9) 내에 있을 때 상기 압축 플레이트(3, 4)가 회전될 수 없고 상기 돌출부(5)가 상기 홈의 라운딩 부분(10) 내에 있을 때 상기 압축 플레이트(3, 4)가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상기 압축 플레이트(3')의 돌출부(5')가 상기 프레임(1')의 만곡에 의해 상기 홈의 라운딩 부분(10') 내로 도입되기에 충분하게 만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플레이트(3, 3', 4)는, 상기 압축 플레이트(3, 3', 4)가 상기 프레임(1, 1')의 일반적인 연장부와 일반적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상기 프레임(1, 1') 내에서 회전할 때, 상기 프레임(1, 1')의 한 측면에 접하며 그에 의해 상기 프레임(1, 1') 내에 수용된 개별 유닛(2)에 압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1, 1')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플레이트(3, 3', 4)는 직사각형 연장부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3, 3', 4)의 긴 측면은 경사지고(7), 상기 압축 플레이트(3, 3', 4)는 상기 개별 유닛(2)을 압력하에 있게 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3a, 13b)은 케이블 진입부, 파이프 관통부 등의 하나 이상의 개별 유닛(2)의 열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1, 1') 내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13a, 13b)은 상기 프레임(1, 1')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프레임(1, 1')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플레이트(3, 3', 4)는 상기 프레임(1, 1') 내에서 압축 플레이트(3, 3', 4)를 회전시키기 위한 도구(14)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 내에서 상기 압축 플레이트(3)를 덮는 커버(1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는 상기 압축 플레이트(3)의 개구(6)와 협동하기 위한 널(19)을 한 측면에 갖고 상기 커버(15)의 한 하측 측면을 따르는 노치(18)를 가지며, 상기 커버(15)의 한 측면은 경사져서 상기 노치(18)와 관련하여 넓은 단부(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12.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는 고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13.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부(21, 22)가 상기 압축 플레이트(4) 상에 배열되고, 상기 밀봉부(21, 22)는 상기 압축 플레이트(4)가 압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레임(1) 및 상기 프레임 내에 수용된 부분(13a)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닛.
KR1020047019676A 2002-06-05 2003-05-12 압축 유닛 KR100671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201704-4 2002-06-05
SE0201704A SE524043C2 (sv) 2002-06-05 2002-06-05 Kompressionsenhet
PCT/SE2003/000772 WO2003104701A1 (en) 2002-06-05 2003-05-12 Compression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501A true KR20050016501A (ko) 2005-02-21
KR100671730B1 KR100671730B1 (ko) 2007-01-22

Family

ID=2028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676A KR100671730B1 (ko) 2002-06-05 2003-05-12 압축 유닛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50115733A1 (ko)
EP (1) EP1509718B1 (ko)
JP (1) JP4313303B2 (ko)
KR (1) KR100671730B1 (ko)
CN (1) CN100485241C (ko)
AT (1) ATE352001T1 (ko)
AU (1) AU2003237726A1 (ko)
BR (1) BR0311316A (ko)
DE (1) DE60311258T2 (ko)
DK (1) DK1509718T3 (ko)
ES (1) ES2279124T3 (ko)
NO (1) NO20045157L (ko)
PL (1) PL204180B1 (ko)
PT (1) PT1509718E (ko)
RU (1) RU2282775C2 (ko)
SE (1) SE524043C2 (ko)
WO (1) WO2003104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7843C2 (sv) * 2004-06-03 2006-06-20 Roxtec Ab Brandskydd för kabelgenomföringar
DE102005062655B3 (de) * 2005-12-21 2007-03-01 Gk-System Gmbh Vorrichtung zum Abdichten von eingesetzten Kabeln, Leitungen bzw. Rohren
DE102005062656B3 (de) * 2005-12-21 2007-03-08 Gk-System Gmbh Vorrichtung zum Abdichten von eingesetzten Kabeln, Leitungen bzw. Rohren
FI20105720A0 (fi) * 2010-06-22 2010-06-22 Trelleborg Ind Products Finlan Kaapeliläpivientilaippa
DE102010037465A1 (de) 2010-09-10 2012-03-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Rahmen für Kabeldurchführungssysteme und Rahmenteile hierfür
DE102011000124B3 (de) * 2011-01-13 2011-12-2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orrichtung zur Fixierung eines Kabels an einen Kabelabgangsstutzen
DE102011054294A1 (de) 2011-10-07 2013-04-1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abeldurchführ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abeldurchführung
SE539784C2 (en) * 2015-05-04 2017-11-28 Roxtec Ab Indication means of a wedge of a lead-through system
DE202015102280U1 (de) * 2015-05-05 2016-05-10 Conta-Clip Verbindungstechnik Gmbh Anordnung mit einer Wanddurchführung für mehrere Kabel und Bausatz
SE539322C2 (en) * 2015-11-18 2017-07-04 Roxtec Ab Transition and module
DE202016103494U1 (de) * 2016-06-30 2017-07-06 Conta-Clip Verbindungstechnik Gmbh Kabelwanddurchführung und Bausatz
DE202017102147U1 (de) * 2017-04-10 2017-05-05 Igus Gmbh Leitungsdurchführung, insbesondere Zugentlastung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WO2019077387A1 (en) * 2017-10-17 2019-04-25 Framatome CABLE-CONDUCTIVE THROUGH ASSEMBLY, ELECTRICAL ASSEMBLY, ELECTRICAL CABINET AND METHOD THEREOF
DE202017106818U1 (de) * 2017-11-09 2018-11-14 Conta-Clip Verbindungstechnik Gmbh Anordnung für eine Kabeldurchführung
SE543692C2 (en) * 2019-10-23 2021-06-08 Roxtec Ab Compressible round seal for a lead-through maintaining the shape of a rectangular through hole when compresse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226A (en) * 1956-01-24 Brattberg
US4079559A (en) * 1976-11-01 1978-03-21 Kim Lighting, Inc. Hinged base for lighting pole
NL8403650A (nl) * 1984-11-30 1986-06-16 Johannes Alfred Beele Doorvoerinrichting.
SE461887B (sv) * 1986-04-28 1990-04-02 Lycab Ab Spaennanordning foer en kabelgenomfoering
DE9000975U1 (ko) * 1990-01-29 1990-04-05 Wolff, Anton, Dipl.-Ing., 3492 Brakel, De
US5783776A (en) * 1991-10-29 1998-07-21 O-Z Gedney Company Llc Electrical cable penetration seal with compliant module
GB2275577B (en) * 1993-02-26 1996-05-29 Hawke Cable Gland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ansits
DE4340343C1 (de) * 1993-11-26 1995-03-02 Nord Systemtechnik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beldurchführungen
NL9400745A (nl) * 1994-05-04 1995-12-01 Beele Eng Bv Doorvoerinrichting.
US6313406B1 (en) * 1999-04-20 2001-11-06 Arlington Industries, Inc. Cable support
US6637166B2 (en) * 2000-01-13 2003-10-28 R. A. Phillips Industries, Inc. Integrated communications and connection system for truck tractors
NL1015023C2 (nl) * 2000-04-26 2001-11-06 Faget Electrische Meetinstrume Verbindingsdoos.
JP3914399B2 (ja) * 2001-06-12 2007-05-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防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282775C2 (ru) 2006-08-27
EP1509718B1 (en) 2007-01-17
ES2279124T3 (es) 2007-08-16
DE60311258D1 (de) 2007-03-08
JP4313303B2 (ja) 2009-08-12
KR100671730B1 (ko) 2007-01-22
DK1509718T3 (da) 2007-03-19
BR0311316A (pt) 2005-02-15
CN1659398A (zh) 2005-08-24
PL372775A1 (en) 2005-08-08
WO2003104701A1 (en) 2003-12-18
EP1509718A1 (en) 2005-03-02
PL204180B1 (pl) 2009-12-31
DE60311258T2 (de) 2007-07-05
NO20045157L (no) 2004-11-25
RU2004139120A (ru) 2005-06-27
CN100485241C (zh) 2009-05-06
JP2005528570A (ja) 2005-09-22
SE0201704D0 (sv) 2002-06-05
SE0201704L (sv) 2003-12-06
ATE352001T1 (de) 2007-02-15
PT1509718E (pt) 2007-03-30
SE524043C2 (sv) 2004-06-22
US20050115733A1 (en) 2005-06-02
AU2003237726A1 (en) 200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730B1 (ko) 압축 유닛
US7427714B1 (en) Conduit junction box replacement cover
JP5416141B2 (ja) 一体化された圧縮ユニット付き移行フレーム
US5234119A (en) Plastic box for ceiling fan support
US8507798B2 (en) Sealing grommet
US7495907B2 (en) Moun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KR100846552B1 (ko) 다양한 프레임에 적용 가능한 파이프 관통부 등을 위한압축 유닛
US4262166A (en) Sealed inlet for bunched conductors
USRE35075E (en) Extension for electrical junction box
US5820401A (en) Wire guide assembly for use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jack screw
US8563877B2 (en) Frame
JP4523649B2 (ja) フレーム及びケーブル導入口、パイプ貫通口又は同等なもののための一個以上の弾性モジュールを圧縮する方法
US20190128299A1 (en) Tube locking device for fire suppression system
JP3974582B2 (ja) 破断可能な保護部を具備するケーブル挿入等のための構造
EP3819961A1 (en) Battery case structure
CN210416948U (zh) 一种空调箱体及船用空调器
FI84533B (fi) Taet doerr foer en elektrisk kopplingsanordning.
KR100560004B1 (ko) 배선용 연결관
CN216080414U (zh) 一种面板壳体及热水器
JPH04220947A (ja) バッテリのコード端子接続構造
JP2006185690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