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004B1 - 배선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배선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004B1
KR100560004B1 KR1019980018982A KR19980018982A KR100560004B1 KR 100560004 B1 KR100560004 B1 KR 100560004B1 KR 1019980018982 A KR1019980018982 A KR 1019980018982A KR 19980018982 A KR19980018982 A KR 19980018982A KR 100560004 B1 KR100560004 B1 KR 10056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connector
wire
opening
dra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889A (ko
Inventor
최승진
Original Assignee
현대방폭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방폭전기(주) filed Critical 현대방폭전기(주)
Priority to KR101998001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0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8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관의 몸체를 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전기배선 작업시 전선을 인입 및 인출하는 배선구를 작업자가 직접 확인하며 배선작업하는 한편 전선이 인입되어 배선된 후 인출되는 각도를 완만하게 형성하여 연결관을 단일화하는 배선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연결관은 개방부와 수직을 이루는 하부면에 전선을 인출하는 배선구가 형성되어 개방부를 통한 배선작업의 확인이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각 배선구의 용도가 전선을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배선구로 구별되어 형성되므로써 전선의 인입방향과 인출방향을 고려하여 각각에 적합한 배선구를 갖는 연결관을 선정하여 공정상의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바 본 발명은 연결관의 몸체가 종래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개방부에 대하여 30 ~ 60 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회전하여 형성되고 이에따라 개방부와 수직으로 맞닿는 면에 형성되던 배선구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원형으로 경사진 면에 형성되어 개방부를 통한 배선구의 관측이 가능해짐에 따라 배선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 경사면에 형성된 배선구의 입구가 타원을 이루어 절곡된 전선의 끝단이 인입되는 여유각을 형성하므로써 어느 배선구로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어도 배선작업이 가능해져 배관의 설계가 용이하고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는 배선용 연결관이다.

Description

배선용 연결관
본 발명은 배선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관의 몸체를 임의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전기배선 작업시 전선을 인입 및 인출하는 배선구를 작업자가 직접 확인하며 배선작업하는 한편 전선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배선구의 구분을 없애 배선구의 위치에 따라 분류되는 다양한 종류의 연결관을 단일화하는 배선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험물 취급 지역과 일반지역의 건물 또는 공장 플랜트 등 각종 건설에 사용되는 방폭, 방수 및 일반용 전선관을 전기배선 및 배관하는 작업에 배선용 연결관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연결관은 L 왼쪽 배관형 연결관(LL-TYPE)과 L 오른쪽 배관형 연결관(LR-TYPE), L 후면 배관형 연결관(LB-TYPE) 그리고 평면 배관형 연결관(T-TYPE)과 후면 배관형 연결관(TB-TYPE)등 다양한 종류의 연결관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평면 배관형(T-TYPE) 연결관을 도시한 요부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평면 배관형(T-TYPE) 연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관은 전선이 인출되는 제 1 배선구(104)와 전선이 인입되는 제 2 배선구(106)가 각각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 전면이 절개되어 전선배관 작업과 점검을 수행하는 개방부(102)와, 상기 개방부(102)의 양측단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나사공(110)이 형성되는 체결부(108)와, 상기 개방부(102)의 외주연에 대응되어 개폐하되 상기 체결부(108)의 나사공(110)에 나사(116)결합되어 몸체에서 탈착되는 덮개(112)와, 상기 개방부(102)와 덮개(112) 사이에 개재되어 틈새를 밀폐하는 고무판 패킹재(1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관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관을 사용하여 전선을 배선시 몸체 일측에 형성된 제 2 배선구(106)에 전선을 인입하고 배선하고자 하는 적절한 방향으로 전선을 절곡하여 제 1 배선구(104)로 인출하므로써 배선작업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의 몸체(100)에 형성되어 전선을 인입하는 제 2 배선구(106)와 인출하는 제 1 배선구(104)는 상호 직각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배선구(104)(106)에 배선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몸체(100)의 내측 대향면과 배선구의 사이가 짧은 거리를 이루는 단축의 제 2 배선구(106)에서 전선을 인입하여 몸체의 내측 대향면과 배선구와의 사이가 긴 거리를 이루는 장축의 제 1 배선구(104)쪽으로 완만한 포물선을 이루며 인출되도록 전선을 절곡한다. 이때 상기 전선의 끝부분은 완만한 직선으로 절곡되며 이렇게 전선을 절곡하는데 필요한 작업공간이 몸체(100)의 장축내에서 확보된다.
이와는 반대로 장축의 제 1 배선구(104)로 인입된 전선은 단축의 제 2 배선구(106)측으로 인입되어 끝단이 급격한 직각의 경사각을 이루며 절곡되어야 하나 단축내에서 절곡에 필요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개방부(102)의 체결부(108)에 전선이 간섭되어 수작업에 의한 절곡이 곤란하다.
따라서 인입되는 제 2 배선구(106)와 인출되는 제 1 배선구(104)의 작업위치에 따라 배선구의 위치가 형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연결관이 요구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102)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개방부(102)를 통하여 각 배선구(104)(106)로의 전선의 인입과 인출을 확인하며 배선 및 배관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배선 및 배관작업이 완료된 연결관의 개방부(102)에 고무판 패킹재(118)와 덮개(112)를 순차적으로 조립하고 상기 체결부(108)의 나사공(110)에 나사(116)를 삽입하여 몸체(100)에 결합하므로써 배선 및 배관작업이 마무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관은 개방부와 수직을 이루는 하부면에 전선을 인출하는 제 2 배선구가 형성되어 개방부를 통한 배선작업의 확인이 어렵고 체결부의 간섭에 의한 작업공간의 협소에 의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각 배선구의 용도가 전선을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 2 배선구와 제 1 배선구로 구별되어 형성되므로써 이에 건설 도면 설계시부터 시공까지 전선의 인입방향과 인출방향을 고려하여 각각에 적합한 배선구를 갖는 연결관을 선정하여야 하므로써 공정상의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몸체와 덮개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밀폐하는 고무판 패킹재는 넓은 면적에 압력이 가해지므로써 균일한 밀폐압력을 유지하기 어려워 방수효과가 저하되는 것은 물론 고무판 패킹재와 덮개 및 나사가 각각 단품으로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조립되므로써 각 부품이 분실될 위험성이 높고 조립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연결관의 몸체와 덮개의 재질이 회주철(CAST IRON)로 이루어져 부식에 약하고 하중이 크므로 제품의 수명이 짧고 작업시 운반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관에 형성된 어느 배선구로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어도 배선작업이 가능해져 배관의 설계가 용이하고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이 감소되는 배선용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덮개의 후면에 홈을 형성하여 원형 패킹재를 삽입하므로써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덮개의 외주연에 고정 나사를 일체로 형성하여 덮개에 원형 패킹재 및 고정 나사가 일체화되므로써 부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배선용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 및 덮개가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부식에 강하고 하중이 가벼워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며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배선용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수평방향의 제 1 배선구와 수직방향의 제 2 배선구가 각각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전선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원형관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전선배관 작업과 점검을 수행하는 개방부의 외주연에 대응되며 탈착되는 덮개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연결관에 있어서, 개방부가 제 1 배선구의 중심선과 제 2 배선구의 중심선이 상호 만나는 면에 대하여 30 ~ 60 범위내의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 배관형(T-TYPE) 연결관을 도시한 정면도와 분해사시도이다.
전선이 인입 또는 인출되어 배선되는 연결관의 몸체(200)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배선구(206)와 제 1 배선구(204)가 형성된다.
이러한 각각의 배선구(204)(206)는 연결관의 몸체(200) 측면이나 상,하부면에 각각 형성되고 배선구의 형성 위치에 따라 왼쪽 배관형 연결관과 평면 배관형 연결관으로 분류된다.
상기 각각의 배선구(204)(206)는 몸체(200)에 대하여 상호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의 몸체(200)에는 배선 및 배관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시야와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개방부(202)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202)는 제 1 배선구(204)와 제 2 배선구(206)가 상호 수직으로 만나 이루는 면을 기준으로 30 ~ 60 범위내의 경사를 이루며 몸체(200)가 회전하여 형성되고 이에따라 개방부(202)도 수직방향에 대하여 몸체(202)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 2 배선구(206)는 몸체(200)가 경사지며 형성된 면에 천공되어 정면에서의 가시면적이 증대되고 개방부(202)가 경사져 형성되므로써 몸체(200) 상부면과의 간섭이 배제되는 동시에 만곡된 연결관의 경사면을 따라 제 2 배선구(206)의 내측 입구가 타원을 이루며 형성되어 타측의 제 1 배선구(204)에서 인입된 전선의 끝단을 절곡하여 인입하는 각도가 완만해지므로써 상기 제 2 배선구(206)를 통하여 전선이 인출된다.
또한 상기 개방부(202)와 덮개(210)가 상호 고정나사(212)로 체결되는 나사공(208)이 형성된 부위로 개방부(202)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종래의 체결부(108)를 없애고 각각의 나사공(208)을 개방부(202) 외주연을 따라 형성하므로써 전선작업시 체결부(108)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의 몸체 측면에 형성된 제 1 배선구(204)와 하면에 형성된 제 2 배선구(206) 중 어디를 통하든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전선의 절곡이 자유로워 인입 배선구나 인출 배선구의 구별이 없어지고 이에따라 인입 배선구와 인출 배선구의 위치로 분류되던 L 왼쪽 배관형 연결관(L LEFT TYPE)과 L 오른쪽 배관형 연결관(L RIGHT TYPE) 그리고 왼쪽 후면 배관형 연결관(LEFT BACK TYPE)이 배선구의 종류에 상관없이 L 배관형 연결관(L TYPE)으로, 평면 배관형 연결관(T TYPE)과 후면 배관형 연결관(T BACK TYPE)은 평면 배관형 연결관(T TYPE)으로 단일화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방부 덮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도 6의 A - A선 및 B - B선 단면도이다.
상기 개방부(202)의 외주연에는 나사공(208)이 천공되고 이와 대응되어 개방부(202)를 개폐하는 덮개(210)가 상기 나사공(208)과 고정나사(212)로 체결된다.
상기 덮개(210)의 배면에는 테두리부를 따라 홈(214)이 형성되고 상기 홈(214)에 억지끼움되는 원형 패킹재(216)가 삽입되어 덮개(210)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210)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나사공(208)의 입구내측에만 암나사산(222)을 형성하고 출구내측에는 원형홀(224)을 형성하므로써 고정나사(212)의 숫나사산(226)이 입구의 암나사산(222)에 걸려 고정나사(212)가 빠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덮개(210)에 고정나사(2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나사(212)는 끝단에만 숫나사산(226)이 형성되고 나사머리와 숫나사산(226) 사이에 와셔(218)가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00)의 개방부(202)를 개폐하는 덮개(210) 배면 부위에 개방부(202)와의 체결시 상호 맞물려 결합위치를 선정하는 동시에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단턱(220)을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관의 몸체(200)와 덮개(210)는 구리가 포함되지 않은 알루미늄합금(Coffer free aluminium alloy)으로 이루어져 하중 및 부식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연결관에 의한 전선작업 과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관의 몸체(200) 전면에 형성되는 개방부(202)가 작업자의 정면에서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의 몸체(200)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 2 배선구(206)는 상기 몸체(200)의 경사면에 걸쳐 형성되므로써 개방부(202)의 전면에서 배선하는 작업자의 관측범위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직접 확인하며 배선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만곡된 경사면을 따라 제 2배선구(206)가 형성되므로써 제 2 배선구(206)의 내측 전선 인입구 부위가 진원이 아닌 타원을 이루고 이에 타측 제 1 배선구(204)에서 인입된 전선이 상기 제 2 배선구(206)측으로 절곡되는 각도가 완만해져 전선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장축의 제 1 배선구(204)로 전선이 인입되어 단축의 제 2 배선구(206)로 인출되거나 단축의 제 2 배선구(206)로 인입되어 장축의 제 1 배선구(204)로 인출되더라도 전선의 절곡각도의 완만함과 작업공간의 확보에 따라 절곡작업이 가능하여 연결관의 각 배선구(204)(206)에 대한 형성방향이 배제되고 이에따라 다양한 종류의 연결관이 단일화된다.
즉, 작업시 인입되는 제 2 배선구(206)와 인출되는 제 1 배선구(204)의 형성위치에 따라 분류되던 L 왼쪽 배관형 연결관과 L 오른쪽 배관형 연결관 그리고 왼쪽 후면 배관형 연결관이 L 배관형 연결관 하나로 대체되고 평면 배관형 연결관과 후면 배관형 연결관은 평면 배관형 연결관으로 대체된다.
또한 개방부(20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덮개(210)가 체결되는 나사공(110)을 형성하는 종래의 체결부(108)를 없애고 나사공(208)을 개방부(202)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하므로써 전선작업시 발생하는 체결부(110)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므로써 작업공간을 확보한다.
이렇게 배선작업이 완료된 후 개방부(202)에 대응하여 덮개(210)를 위치하여 연결관의 몸체(200)를 밀폐하므로써 배선작업을 완료한다.
즉, 덮개(210)의 배면에 형성된 단턱(220)을 상기 개방부(202)에 위치하여 개방부(202)와 단턱(220)의 측면이 상호 맞물리도록 하여 개방부(202)가 닫힌 상태에서 덮개(210)의 나사공(208)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나사(212)를 상기 개방부(202)에 형성된 나사공(208)에 삽입하여 상호 체결한다.
이때 상기 덮개(210)에 형성된 나사공(208)은 고정나사(212)가 삽입되는 부위에는 암나사산(222)이 형성되고 고정나사(212)가 인출되는 부위에는 원형홀(224)을 형성하므로써 일단 고정나사(212)의 숫나사산(226)이 상기 암나사산(222)에 나사체결되어 원형홀(224)에 위치하면 반대방향으로는 암나사산(222)과 맞물려 빠지지 않는다.
이러한 고정나사(212)의 나사머리와 숫나사산(226) 사이에 와셔(218)가 끼워져 체결력을 증대시킨다.
이렇게 개방부(202)에 체결된 상기 덮개(210) 배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홈(214)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원형 패킹재(216)가 삽입되어 개방부(202)와 덮개(210)간의 틈새가 밀폐된다.
상기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선용 연결관은 개방부를 통한 배선구의 가시화에 따라 배선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 전선의 절곡이 자유로와져 어느 배선구를 통해서도 전선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배관의 설계가 용이하고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이 감소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덮개의 후면에 원형 패킹재가 삽입된 홈을 일체로 형성하여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덮개에 원형 패킹재 및 고정 나사가 일체화되므로써 부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벼운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부식방지에 의한 제품의 수명 연장 및 운반이 용이해지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면 배관형(T-TYPE) 연결관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평면 배관형(T-TYPE) 연결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배관형(T-TYPE) 연결관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 배관형(T-TYPE) 연결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 배관형(T-TYPE) 연결관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개방부 덮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 - 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 몸체, 102,202 : 개방부,
104,204 : 제 1 배선구, 106,206 : 제 2 배선구,
108 : 체결부, 110,114,208 : 나사공,
112,210 : 덮개, 116 : 나사,
212 : 고정나사, 214 : 홈,
216 : 원형 패킹재, 218 : 와셔,
222 : 암나사산, 224 : 원형홀.

Claims (4)

  1. 수평방향의 제 1 배선구(104)와 수직방향의 제 2 배선구(106)가 각각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전선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원형관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측면일부가 절개되어 전선배관 작업과 점검을 수행하는 개방부(102)의 외주연에 탈착되는 덮개(112)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연결관에 있어서,
    개방부(202)가 제 1 배선구(204)의 중심선과 제 2 배선구(206)의 중심선이 상호 만나는 면에 대하여 30 ~ 60 범위내의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연결관.
  2. 청구항 1 에 있어서,
    덮개(210)는 배면의 테두리면을 따라 형성된 홈(214)과,
    임의높이로 돌출되어 개방부(202)의 내측면과 상호 면접촉되는 단턱(220)과,
    상기 홈(214)에 억지끼움된 원형 패킹재(216)가 일체화되어 몸체(200)와 덮개(21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연결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덮개(210)는 일측단에 암나사산(222)이 형성되고 타측단에 원형공(224)이 형성되는 나사공(208)이 다 수개 천공되고 상기 나사공(208)에 나사체결되어 암나사산(222)과의 간섭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는 고정나사(21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연결관.
  4. 청구항 1 에 있어서,
    몸체(200)와 덮개(210)의 재질은 구리가 포함되지 않은 알루미늄합금(Copper-free Aluminum)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연결관.
KR1019980018982A 1998-05-26 1998-05-26 배선용 연결관 KR10056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982A KR100560004B1 (ko) 1998-05-26 1998-05-26 배선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982A KR100560004B1 (ko) 1998-05-26 1998-05-26 배선용 연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889A KR19980081889A (ko) 1998-11-25
KR100560004B1 true KR100560004B1 (ko) 2006-06-28

Family

ID=3718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982A KR100560004B1 (ko) 1998-05-26 1998-05-26 배선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142A (ko) * 2000-01-13 2000-06-05 이원철 전선관용 와이형 아답터
KR200488996Y1 (ko) * 2018-09-28 2019-04-15 명은전기 주식회사 전선 배관용 컨넥터
KR102085475B1 (ko) * 2019-03-11 2020-03-05 주식회사 한양오씨에스 양면 개방형 전선배선용 배관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405A (ko) * 1989-05-25 1990-12-24 이우에 사또시 Fm스테레오 수신기
JPH0727234U (ja) * 1993-07-26 1995-05-19 株式会社カネシロ 電線管の露出配管用ボツクス
KR19980066092A (ko) * 1997-01-20 1998-10-15 박효석 강관 및 전선관
JPH11168816A (ja) * 1997-12-02 1999-06-22 Sankei Seisakusho:Kk 電線管用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405A (ko) * 1989-05-25 1990-12-24 이우에 사또시 Fm스테레오 수신기
JPH0727234U (ja) * 1993-07-26 1995-05-19 株式会社カネシロ 電線管の露出配管用ボツクス
KR19980066092A (ko) * 1997-01-20 1998-10-15 박효석 강관 및 전선관
JPH11168816A (ja) * 1997-12-02 1999-06-22 Sankei Seisakusho:Kk 電線管用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889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2752A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method of making
CN1068980C (zh) 线缆接线盒
JP5416141B2 (ja) 一体化された圧縮ユニット付き移行フレーム
US7281932B2 (en) Ground wire connector
US6733345B2 (en) Rugged electrical junction box and method
US20090218131A1 (en) Conduit connector
US5769659A (en) Plastic terminal box
USRE35075E (en) Extension for electrical junction box
US7040916B2 (en) Plug housing with improved cable sealing
KR100560004B1 (ko) 배선용 연결관
US5169013A (en) Electrical condulet extension box
KR100671730B1 (ko) 압축 유닛
US11371691B2 (en) Waterproof decorative lamp
RU230134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екцией щитовой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крепи
KR20220138521A (ko) 케이블 방수 커넥터
CN2462560Y (zh) 线缆连接器组合
KR200403590Y1 (ko) 단자함
CN112802724A (zh) 电连接盒
KR102066134B1 (ko) 방폭성능 향상형 방폭등
CN1283873A (zh) 太阳能电池组件的布线结构
CN210325469U (zh) 变压器线槽结构和变压器
CN211063952U (zh) 一种外进线型嵌入式电控箱
CN209309742U (zh) 三防灯及灯具组件
CN222028766U (zh) 一种防爆标志灯
CN219797142U (zh) 一种防水型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