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96Y1 - 전선 배관용 컨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배관용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96Y1
KR200488996Y1 KR2020180004495U KR20180004495U KR200488996Y1 KR 200488996 Y1 KR200488996 Y1 KR 200488996Y1 KR 2020180004495 U KR2020180004495 U KR 2020180004495U KR 20180004495 U KR20180004495 U KR 20180004495U KR 200488996 Y1 KR200488996 Y1 KR 200488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ipe
vertical
electric wire
pip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명은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은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은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4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배관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선 배관용 컨넥터에 있어서,
입구 측에 연결용 나선 구조를 가진 수직 입구 배관(20)과, 수직 입구 배관(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출구 측에 연결용 나선 구조를 가진 수직 출구 배관(23)과, 수직 입구 배관(20)과 수직 출구 배관(23) 사이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출구 측에 연결용 나선 구조를 가진 수평 출구 배관(24)과, 수평 출구 배관(24)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밀봉재를 사이에 둔 커버(25)에 의해 밀봉되는 상하 방향의 개구부(26)를 포함하고,
수평 출구 배관(24)은 수직 출구 배관(23) 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며,
수평 출구 배관(24)이 시작되는 부분의 내부면(29, 30)은 걸림턱(28)의 단부까지 내부로 만곡되는 만곡면 또는 경사면이며,
개구부(26)는 수직 입구 배관(20)과 수직 출구 배관(23)에 대해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면, 본 고안은 개구부를 통해 전선의 단부를 수평으로 개구부를 통해 수평 출구 배관 쪽으로 밀어 넣을 때에 전선을 구부리는 정도를 작게 할 수 있고 전선의 단부가 미끄러지면서 잘 배출되게 하며, 수평 출구 배관 쪽에서 나온 전선을 잡아당길 때에 전선의 외피가 손상되지 않게 하는 전선 배관용 컨넥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선 배관용 컨넥터{Connector for Electric Wire Pipe}
본고안은 전선 배관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발성 위험물을 취급하는 정유시설 등과 같은 대규모 시설에서는 폭발시에 각종 전선(예: 전력 공급 전선이나 신호 전송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철재 방폭 배관 내부에 이러한 전선들이 내장되게 하는데, 배관 내부 전선들이 하부로 직행하는 전선되는 것도 있고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진행하는 전선도 있는 경우에 종래기술에서는 도1과 같은 외형의 상하 대칭형 전선 배관용 컨넥터가 사용되고, 도2에 이러한 상하 대칭형 전선 배관용 컨넥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상하 대칭형 컨넥터에서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직 입구 배관(10)을 통해 하향하고자 하는 전선(11)은 작업자가 전선(11)을 수직 입구 배관(10)으로 계속 밀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수직 출구 배관(13) 쪽으로 하향하여 수직 출구 배관(13)으로 전선(11)이 나오게 된다.
그러나, 직각으로 구부려서 수평 출구 배관(14)으로 나와야 하는 전선(12)은 작업자가 전선(12)을 수직 입구 배관(10)에서 계속 밀어 넣어도 자동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수평 출구 배관(14) 쪽으로 갈 수 없기 때문에, 도4와 같이 작업자가 커버(15)를 열어서 개구부(16) 쪽으로 전선(12)의 단부를 빼내고 나서 빼낸 전선(12)을 구부려서 개구부(16)를 통해 전선(12)의 단부를 수평으로 수평 출구배관(14) 쪽으로 밀어 넣어서 전선(12)의 단부가 수평 출구 배관(14)에서 나오게 한 후에, 도5와 같이 전선(12)의 단부 쪽을 잡아 당겨서 전선(12)을 정리하고 필요한 길이만큼 전선(12)을 수평 출구 배관(14)에서 빼내고 나서 커버(15)를 닫고 나사로 체결하게 된다.
그런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대칭형 컨넥터에서는 수평 출구 배관(14)을 중심으로 상부의 수직 입구 배관(10) 쪽과 하부의 수직 출구 배관(13) 쪽이 동일 형상의 대칭 구조이고 개구부(16) 역시 수평 출구 배관(14)의 수평 중심선에 대해 상하로 거의 동일한 대칭적인 수직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도4와 같이 전선(12)을 상당히 크게 구부러지게 하여 개구부(16)를 통해 전선(12)의 단부를 수평으로 수평 출구 배관(14) 쪽으로 밀어 넣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전선(12)의 굵기가 굵어서 도4처럼 크게 구부리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어렵게 되어 배관 작업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원래 전선(12)는 권선되어 있는 상태에서 풀어서 사용되는 것이라서 풀렸을 때에 약간 구부러진 상태가 되어, 개구부(16)를 통해 전선(12)의 단부를 수평으로 수평 출구 배관(14 )쪽으로 밀어 넣을 때에 전선(12)은 직선 형상이 아니라 약간 곡선 형태가 되어, 전선(12)의 굵기가 굵을수록 전선(12)의 단부가 걸림턱(17)(추후 수평 출구(14)에 끼워지는 배관이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한 걸림턱)에 잘 걸려서 전선(12)이 수평 출구 배관(14)에서 잘 배출되지 않게 되어 걸림턱(17)에 전선(12)의 단부가 걸리지 않게 재시도하는 횟수가 증가하므로 작업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도4와 같은 상태에서 도5와 같이 전선(12)을 잡아당기면서 수직 입구 배관(10) 쪽에서 전선(12)을 밀어 넣어 원하는 길이만큼의 전선(12)을 빼낼 때에, 모서리(18) 부분에서 전선(12)이 큰 압력으로 마찰되면서 당겨지기 때문에 잡아당길 때에 전선(12)의 외피가 손상될 수가 있고 걸림턱(17)에서도 전선(12)의 외피가 큰 압력으로 마찰되어 손상이 되고, 이러한 전선(12)의 외피 손상은 배관 내부의 전선들이 밀집되어 있어서 힘껏 당겨야 하는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5954호(2012. 5. 7일 등록)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개구부를 통해 전선의 단부를 수평으로 수평 출구 배관 쪽으로 밀어 넣을 때에 전선을 구부리는 정도를 작게 할 수 있고 전선의 단부가 미끄러지면서 잘 배출되게 하며, 수평 출구 배관 쪽에서 나온 전선을 잡아당길 때에 전선의 외피가 손상되지 않게 하는 전선 배관용 컨넥터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선 배관용 컨넥터에 있어서,
입구 측에 연결용 나선 구조를 가진 수직 입구 배관(20)과, 수직 입구 배관(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출구 측에 연결용 나선 구조를 가진 수직 출구 배관(23)과, 수직 입구 배관(20)과 수직 출구 배관(23) 사이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출구 측에 연결용 나선 구조를 가진 수평 출구 배관(24)과, 수평 출구 배관(24)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밀봉재를 사이에 둔 커버(25)에 의해 밀봉되는 상하 방향의 개구부(26)를 포함하고,
수평 출구 배관(24)은 수직 출구 배관(23) 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며,
수평 출구 배관(24)이 시작되는 부분의 내부면(29, 30)은 걸림턱(28)의 단부까지 내부로 만곡되는 만곡면 또는 경사면이며,
개구부(26)는 수직 입구 배관(20)과 수직 출구 배관(23)에 대해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면, 본 고안은 개구부를 통해 전선의 단부를 수평으로 개구부를 통해 수평 출구 배관 쪽으로 밀어 넣을 때에 전선을 구부리는 정도를 작게 할 수 있고 전선의 단부가 미끄러지면서 잘 배출되게 하며, 수평 출구 배관 쪽에서 나온 전선을 잡아당길 때에 전선의 외피가 손상되지 않게 하는 전선 배관용 컨넥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하 대칭형 컨넥터의 외형을 도시함.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하 대칭형 컨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함.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하 대칭형 컨넥터에서 수직 출구 배관으로 진출하는 전선을 도시함.
도4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하 대칭형 컨넥터에서 개구부로 나와서 구부려져서 수평 출구 배관으로 진출하는 전선을 도시함.
도5는 도4의 종래기술에 따른 상하 대칭형 컨넥터에서 수평 출구 배관으로 진출한 전선을 잡아당기는 것을 도시함.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배관용 컨넥터의 외형을 도시함.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배관용 컨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함.
도8은 고안에 따른 전선 배관용 컨넥터에서 전선의 단부가 만곡면과 접촉하는 경우를 도시함.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배관용 컨넥터에서 개구부로 나와서 구부려져서 수평 출구 배관으로 진출하는 전선을 도시함.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배관용 컨넥터에서 수평 출구 배관으로 진출한 전선을 잡아당기는 것을 도시함.
도11, 12,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배관용 컨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배관용 컨넥터의 외형을 도시하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배관용 컨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7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배관용 컨넥터는 도2에 나타난 종래기술과 달리, 수평 출구 배관(24)이 수직 출구 배관(23) 쪽으로 치우치는 비대칭적인 형태로 설치되고, 도7,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 출구 배관(24)이 시작되는 부분의 내부면(29, 30)은 내부로 만곡되는 만곡면이다.
또한, 도7,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개구부(26)는 수평 출구 배관(24)의 하단 정도에서 시작하고, 수평 출구 배관(24)에서 볼 때에 상부로 상당히 치우치는 비대칭적인 형태이며, 개구부(26)의 하단(31)은 바람직하게는 만곡면(30)의 중간 정도 높이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개구부(26)에 고무판 등의 밀봉재를 덮은 후에 커버(25)를 덮고 나서 나사로 체결하여 개구부(26)을 밀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수직 출구배관(23)으로 향하는 전선은 수직 입구 배관(20)에서 전선을 밀어 넣기면 하면 자동적으로 수직 출구 배관(23)에서 나오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핵심 사항인 수평 출구 배관(24)으로 전선을 빼내는 경우에 대해 도8,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구부(26)로 전선(22)을 빼내서 구부려서 전선(22)의 단부(27)를 수평 출구 배관(24)로 넣을 때에, 수평 출구 배관(24)이 수직 출구배관(23) 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므로 종래기술인 도4에 비해 전선(22)을 구부리는 정도가 작게 되어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이제 작업자가 전선(22)의 단부(27)를 수평 출구 배관(24) 쪽으로 넣을 때에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대충 밀어 넣어서 전선(22)이 수평에서 상부로 약간 치우쳐서 전선(22)의 단부(27)가 수평 출구 배관(24)의 중심선에서 약간 상부로 치우쳐서 단부(27)가 만곡면(29)에 접촉한다고 해도, 작업자가 계속 밀어 넣는 힘을 가하면 만곡면(29)에서 단부(27)가 미끄러져서 결국 도9와 같이 전선(22)의 단부(27)가 용이하게 수평 출구 배관(24)에서 배출되게 된다.
물론, 작업자가 대충 밀어 넣을 때에 전선(22)가 개구부(26)의 하단(31)에 접촉하면서 수평에서 하부로 약간 치우쳐서 전선(22)의 단부(27)가 수평 출구 배관(24)의 중심선에서 약간 하부로 치우친다고 해도, 여전히 단부(27)가 만곡면(30)에 접촉하게 되어 작업자가 계속 밀어 넣는 힘을 가하면 만곡면(30)에서 단부(27)가 미끄러져서 결국 전선(22)의 단부(27)가 용이하게 수평 출구 배관(24)에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만곡면(29, 30)에 잘 미끄러지게 하는 코팅 처리를 하거나 그리스를 바르는 등의 처리를 하면 전선(22)의 단부(27)가 만곡면(29, 30)에서 보다 잘 미끄러지게 되어 전선(22)의 단부(27)가 보다 용이하게 수평 출구배관(24)에서 배출되게 된다.
결국, 수평 출구 배관(24)의 시작 부분이 내부로 만곡되는 만곡면 형상이므로 작업자가 수평 출구 배관(24) 쪽으로 전선(22)을 대충 수평으로 밀어 넣어도, 전선(22)의 단부(27)가 만곡면(29, 30)에 접촉하면서 미끄러져서 전선(22)의 단부(27)가 용이하게 수평 출구 배관(24)에서 배출되게 된다.
특히, 개구부(26)의 하단(31)이 만곡면(30)의 중간 정도 높이가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선(22)을 개구부(26)의 하단(31)에 걸치면서 수평으로 개구부(26)을 통해 밀어 넣더라도 단부(27)은 만곡부(30)의 중간 정도 높이에 접촉하게 되어 계속 밀어 넣는 힘에 의해 단부(27)이 만곡부(30)에서 미끄러지면서 수평 출구 배관(24)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제, 9도의 상태에서 전선(22)을 정리하고 원하는 전선(22) 길이만큼 배출시키게 하기 위하여, 전선(22)을 수직 입구 배관(22)쪽으로 밀어 넣으면서 전선(22)의 단부(27) 쪽에서 전선(22)을 잡아당기고 원하는 전선(22) 길이만큼 배출이 되면 고무패킹을 덮고 커버(25)를 덮어서 나사로 체결하여 도10도의 상태가 되고, 이러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전선(22)이 만곡면(29)에 의해 넓게 접촉되므로 전선(22)의 외피가 매우 작은 압력으로 마찰되므로 전선(22)의 외피 손상이 매우 작아지게 된다.
물론, 만곡면(29, 30)에 매끄러운 코팅 처리를 하거나 그리스를 바르는 등의 처리를 하면 전선(22)이 만곡면(29, 30)에서 보다 잘 미끄러져서 전선(22)의 외피 손상이 보다 작아지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는 도6, 7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수평 출구 배관(24)이 시작되는 부분의 내부면(29, 30)이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11과 같이 상부는 만곡면이고 하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12, 13과 같이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도6, 7에 따른 본 고안에서 수직 출구 배관(23)으로 전선이 통과 가능한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전선 배관이 설치되는 장소가 일교차가 큰 지역(예: 해안 지역)인 경우가 많아서 전선 배관 내의 습기가 응결되어 전선 배관 내에 약간의 물이 차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직 출구 배관(23)을 배수관으로 사용하여 평상시에는 볼트로 체결해 막아 놓았다가 유지 보수 기간에 볼트를 풀어서 배수를 한 후에 다시 볼트로 체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7에 따른 본 고안에서는 수직 출구 배관(23)에도 수직의 걸림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보다 원활한 전선 통과를 위해 경사면 또는 만곡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6)

  1. 입구 측에 연결용 나선 구조를 가진 수직 입구 배관(20)과, 수직 입구 배관(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출구 측에 연결용 나선 구조를 가진 수직 출구 배관(23)과, 수직 입구 배관(20)과 수직 출구 배관(23) 사이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출구 측에 연결용 나선 구조를 가진 수평 출구 배관(24)과, 수평 출구 배관(24)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밀봉재를 사이에 둔 커버(25)에 의해 밀봉되는 상하 방향의 개구부(26)를 포함하는 전선 배관용 컨넥터에 있어서,
    수평 출구 배관(24)은 수직 출구 배관(23) 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며,
    수평 출구 배관(24)이 시작되는 부분의 내부 단면(29, 30)은, 수평 출구 배관(24)의 나선 구조에 연결되는 배관이 더 이상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걸림턱(28)의 개구부(26)쪽 단부까지, 내부로 만곡되는 만곡면이거나 직선적인 경사면이며,
    개구부(26)는, 수직 입구 배관(20)과 수직 출구 배관(23)에 대해 대칭적으로 설치되고 수평 출구 배관(24)의 수평 중심선에 대해 수직인 개구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용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6)는 개구부(26)의 하단(31)의 높이가 상기 만곡면 또는 경사면의 전체 높이의 중간 정도 높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용 컨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면 또는 경사면에는 전선(22)이 잘 미끄러지게 하는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용 컨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잘 미끄러지게 하는 처리는 코팅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용 컨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잘 미끄러지게 하는 처리는 그리스 도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용 컨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출구 배관(23)의 나선 구조는 수직 출구 배관(23)의 내측에 설치되고 이 나선 구조에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배관용 컨넥터.
KR2020180004495U 2018-09-28 2018-09-28 전선 배관용 컨넥터 KR200488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95U KR200488996Y1 (ko) 2018-09-28 2018-09-28 전선 배관용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95U KR200488996Y1 (ko) 2018-09-28 2018-09-28 전선 배관용 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996Y1 true KR200488996Y1 (ko) 2019-04-15

Family

ID=6610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495U KR200488996Y1 (ko) 2018-09-28 2018-09-28 전선 배관용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9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7511A (ja) * 1994-10-10 1998-07-21 ホーキンス,デイヴィット,フレデリック コネクタ
KR19980081889A (ko) * 1998-05-26 1998-11-25 최승진 전선관 연결구
KR20000019328U (ko) * 1999-04-09 2000-11-15 이헌철 전선배관용 유니버설 휫팅
KR101145954B1 (ko) 2011-03-10 2012-05-15 남일선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7511A (ja) * 1994-10-10 1998-07-21 ホーキンス,デイヴィット,フレデリック コネクタ
KR19980081889A (ko) * 1998-05-26 1998-11-25 최승진 전선관 연결구
KR20000019328U (ko) * 1999-04-09 2000-11-15 이헌철 전선배관용 유니버설 휫팅
KR101145954B1 (ko) 2011-03-10 2012-05-15 남일선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90193A (en) Pipe clamp
US9800030B2 (en) Conduit receivers
US4983784A (en) Cabl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EP2018692A1 (en) An enclosure with a lead-through and a grommet
US4278836A (en) Repair coupling for flexible electrical conduit
KR102066605B1 (ko) 배관연결장치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US10763654B2 (en) Quick lock system for joining and aligning tubes, conduits and junction boxes
KR200488996Y1 (ko) 전선 배관용 컨넥터
US10483734B2 (en) Quick lock system for joining and aligning tubes, conduits and junction boxes
KR102161551B1 (ko) 오링의 손상을 방지하는 파이프 고정용 그립링과 너트의 조립체
KR20110096898A (ko) 파이프 압착 체결 장치
US1902229A (en) Pipe connecter
KR200479231Y1 (ko) 와이어 커넥터
KR20040017760A (ko) 유체 이송용 관의 연결장치
US201102395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wire including use of flexible metal conduit
CN210179171U (zh) 一种燃气管道钢塑转换接头用抗沉降剪切力护套管
KR200236479Y1 (ko) 원터치식배관연결장치
CN109716607B (zh) 用于柔性金属导管的附接的基于销的非金属配装件
US11283251B2 (en) Electrical conduit socket for a round-top locking hub nut
US11239603B2 (en) Smooth-bore electrical conduit locking nut with rounded rim to avoid wire insulation damage
KR200496804Y1 (ko) 앵커형 관체 연결구
US11996683B2 (en) Compressible condulet devices,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raceway fabrication
RU2146325C1 (ru) Протектор клиновой
CN217301636U (zh) 一种粉末颗粒输送用对夹式气动膨胀式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