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760A - 진공 채널의 벽을 구비한 강체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진공 채널의 벽을 구비한 강체 컨테이너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760A
KR20050014760A KR1020040060476A KR20040060476A KR20050014760A KR 20050014760 A KR20050014760 A KR 20050014760A KR 1020040060476 A KR1020040060476 A KR 1020040060476A KR 20040060476 A KR20040060476 A KR 20040060476A KR 20050014760 A KR20050014760 A KR 20050014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tray
food
container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챨스 웨이드 알브리턴
드자바 무스타파에브
Original Assignee
틸리아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틸리아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틸리아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1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7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0Jars, e.g. for preserving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진공 채널의 벽을 구비한 강체 컨테이너에 관한 방법 및 장치가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트레이(tray)이다. 상기 트레이는 음식물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저장 장소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은 적어도 한 부분에서 상기 내벽과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트레이는 상기 외벽과 내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내벽 또는 외벽 중 하나를 관통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채널과 외부 대기가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Description

진공 채널의 벽을 구비한 강체 컨테이너{RIGID CONTAINER WITH VACUUM CHANNEL WALLS}
본 발명은 저장기술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와 산업 용 진공기구를 위한 부속물(accessories)에 관한 것이다.
진공 및 밀폐 플라스틱 봉투(bags)를 포함하는 소비자 생산은 최근 몇년 동안 대중적으로 성장해 왔다. 사용가능한 기본적 모델은 상기 봉투를 길이방향으로 밀폐하는 밀폐 와이어 및 밀폐하기 전에 상기 봉투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진공펌프를 포함한다. 이 모델은 모방제품이 생산되어 판매될 정도로 잘 작동한다.
불행하게도, 언급된 상기 모델은 단지 플라스틱 봉투에 대해서만 진공 능력을 제공한다. 많은 음식과 유사한 재료는 항아리 형상의 용기(jar, 이하에서 "용기"는 항아리 또는 단지 형상의 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고자 한다)에 보다 잘 저장된다. 개구 또는 어떤 형태의 일 방향 배출구를 구비한 뚜껑(lid)가 있는 용기는 호스를 사용하여 진공으로 만들 수 있으나,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슬릿 형상의 개구 안으로 삽입될 수는 없다. 따라서, 진공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기본적인 용기들을 적용한다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유사하게, 어떤 음식물은 어려움 없이 플라스틱 봉투(plastic bag) 안에 쉽게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음식물은 트레이 위에 놓여질 수 있으며, 상기 음식물과 트레이를 진공 밀폐된 봉투 안에 함께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트레이에 음식물을 저장하면 냉동된 음식물을 좀 더 쉽게 재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진공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트레이를 적용한다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저장 방법론과 음식물이 저장되는 컨테이너를 통합하는 것은 유용할 것이며, 상기 방법과 포장의 효율 및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 목적의 사용을 위한 기본적인 용기 및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및 트레이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기구(vacuum appliance)에 사용될 수 있는 항아리 형상의 용기(jar)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용기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용기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트레이(tray)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트레이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트레이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기구를 구비한 트레이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기구를 갖는 항아리 형상의 용기(jar)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뚜껑(lid)에 사용될 수 있는 진공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3의 상기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뚜껑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3의 상기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뚜껑의 제1 배치를 나타낸 일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3의 상기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뚜껑의 제1 배치를 나타낸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3의 상기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뚜껑의 제2 배치를 나타낸 일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3의 상기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뚜껑의 제2 배치를 나타낸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3의 상기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뚜껑의 제3 배치를 나타낸 일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 내지 3의 상기 용기에 사용될 수 있는 뚜껑의 제3 배치를 나타낸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챔버 및 컨테이너 내부 모두를 진공처리하도록 배치된 밸브 장치를 구비한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20은 도 18의 밸브 장치의 두 가지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진공 채널의 벽을 구비한 강체 컨테이너에 관한 방법 및 장치가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음식물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저장 장소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은 적어도 한 부분에서 상기 내벽과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장치는 상기 외벽과 내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은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장치는 상기 내벽 또는 외벽 중 하나를 관통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채널과 외부 대기가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저장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트레이에 음식물을 올려 놓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방법은 상기 트레이의 벽들에 의해 한정된 공동(cavity)을 진공처리하는(evacuating)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플라스틱 봉투 안에 상기 트레이를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진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트레이이다. 상기 트레이는 음식물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저장 장소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은 적어도 한 부분에서 상기 내벽과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트레이는 상기 외벽과 내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내벽 또는 외벽 중 하나를 관통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채널과 외부 대기가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용기(jar) 안에 음식물을 저장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용기의 내부 챔버 안에 음식물을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상기 방법은 상기 용기의 벽들에 의해 한정된 공동을 진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전히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용기(jar)이다. 상기 용기는 음식물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는 저장 장소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은 적어도 한 부분에서 상기 내벽과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용기는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 공간을 갖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용기는 상기 내벽과 외벽 중 하나를 관통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채널과 외부 대기가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하면과 상면을 구비하는 뚜껑(lid)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하면은 상기 용기의 상부와 꼭 맞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은 상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트레이에 음식물을 올려놓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트레이의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동을 진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방법은 플라스틱 봉투 안에 상기 트레이를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진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밀폐하고 냉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개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상기 트레이 안의 음식물을 재가열하는 단계를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음식물을 담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음식물과 상기 담는 수단을 격리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장치는 상기 담는 수단을 밀폐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담는 수단을 진공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진공 채널의 벽을 구비한 강체 컨테이너에 관한 방법 및 장치가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음식물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저장 장소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은 적어도 한 부분에서 상기 내벽과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장치는 상기 외벽과 내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은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장치는 상기 내벽 또는 외벽 중 하나를 관통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채널과 외부 대기가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저장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트레이에 음식물을 올려 놓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방법은 상기 트레이의 벽들에 의해 한정된 공동을 진공처리하는(evacuating)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플라스틱 봉투 안에 트레이를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진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트레이이다. 상기 트레이는 음식물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저장 장소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은 적어도 한 부분에서 상기 내벽과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트레이는 상기 외벽과 내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내벽 또는 외벽 중 하나를 관통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채널과 외부 대기가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용기 안에 음식물을 저장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용기의 내부 챔버 안에 음식물을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용기의 벽들에 의해 한정된 공동을 진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전히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용기(jar)이다. 상기 용기는 음식물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내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는 저장 장소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은 적어도 한 부분에서 상기 내벽과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용기는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 공간을 갖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용기는 상기 내벽과 외벽 중 하나를 관통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채널과 외부 대기가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하면과 상면을 구비하는 뚜껑(lid)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하면은 상기 용기의 상부와 꼭 맞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은 상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트레이에 음식물을 올려놓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트레이의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동을 진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방법은 플라스틱 봉투 안에 상기 트레이를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진공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밀폐하고 냉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개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상기 트레이 안의 음식물을 재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음식물을 담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음식물과 상기 담는 수단을 격리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장치는 상기 담는 수단을 밀폐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담는 수단을 진공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용기(jar)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용기(100)는 채널과 챔버(130) 사이에 외층(110)과 내층(120)을 갖고 있다. 내층(120)은 내부 바닥(125)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내부 바닥(125)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층(120) 및 외층(110)은 용기(100)의 상부와 같은 어떤 위치에서 서로 결합된다. 내층(120)의 표면(150) 및 외층(110)의 표면(140)은 집합적으로 챔버(130)의 경계를 한정한다. 밸브(160)는 외층(110)을 통하여 챔버(130)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챔버(130)는 선택적으로 밸브(160)를 통하여 진공처리되고, 잠재적으로는 용기(100)를 위한 좀 더 나은 격리(insulation) 특성을 제공한다.
도 2는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용기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60)는 외층(110)에 위치하지만, 밸브(160)는 예를 들어 외층(110)과 내층(120)이 결합되는 위치와 같이 다른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용기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2의 선(3)을 따라 절단해 보면 도 3의 도면이 얻어진다. 챔버(130)는 용기(100) 전체에 뻗어 있으며, 밸브(160)는 챔버(13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잘 나타나 있다. 밸브(160)는 예를 들어 고온 또는 저온의 액체로 챔버(130)를 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밸브(160)는 바람직하게는 그 외부 끝단에서 호스 또는 튜브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장치(100)는 용기(jar)로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반면에 전체적으로 수직 측벽이라기보다는 경사진 측벽을 가지는 컵으로 쉽게 대체될 수 있다.
용기(jar)는 봉투(bag)가 사용될 수 없는 음식물의 저장을 위해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반면에, 트레이(tray)는 봉투와 함께 또는 봉투를 보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트레이(400)는 내부 바닥(410), 내부 측벽(415), 외층(420), 챔버(430), 및 밸브(46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460)는 챔버(430) 및 외부대기 또는 펌프를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챔버(430)는 내부 바닥(410)의 내면(425) 및 외층(420)의 내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트레이(400) 안에서 진공 또는 채워진 공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밸브(460)는 챔버(430)를 비우거나 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트레이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트레이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5의 라인(6)을 따라 절단하면 도 6의 도면이 얻어진다.
도 7은 진공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한조각(치킨 다리로 도시됨)이 트레이(400)의 내부 바닥(410)에 놓여지고, 봉투(470)는 상기 트레이(400) 및 그 안에 배치된 음식물 전체에 걸쳐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레이(400)는 상기 트레이(400)와 어떤 외부면 하부 사이를 격리(insulation)시키기 위하여 밸브(460)를 통하여 진공처리된다. 한편, 다양한 구성요소의 위치와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둥근 트레이 또는 측벽이 없는 트레이가 사용될 수도 있고, 밸브(460)는 편리하다면 어떤 장소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음식물은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경우처럼 트레이(400) 위에서 가열될 수 있다. 테스트를 해 보면, 트레이(400)처럼 진공처리된(evacuated) 트레이를 사용한다면 거기에 위치한 음식물의 가열을 촉진하며 더 빠르고 효율적인 가열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이크로파는 트레이 및 그 위의 제품에 더욱 집중될 수 있다고 기대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가 다리(legs) 위에 놓여질 때 특히 그러하다. 더욱이, 봉투 안에 트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좀 더 편리하고 운반가능한 음식물 포장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음식물이 소비될 때 플레이트(plate) 또는 유사한 물건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4 내지 7의 트레이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3의 트레이를 사용하는 방법이 유용할 수 있다. 도 8은 진공기구를 구비한 트레이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블록(810)에서, 음식물은 상기 용기(jar) 안에 놓여진다. 블록(820)에서 (예를 들어 챔버(130)와 같은) 상기 용기 안의 챔버는 (예를 들어 밸브(160)를 통하는 것처럼) 진공처리된다. 블록(830)에서, (예를 들어 뚜껑(77)처럼) 상기 용기는 뚜껑(lid)으로 밀폐된다. 블록(840)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는 (예를 들어 뚜껑(77)을 통하여) 진공처리된다. 블록(850)에서, 상기 용기는 오랜 기간동안 저장을 위하여 냉동된다. 블록(860)에서, 상기 용기는 개봉되는데, 이로써 내부의 음식물에 접근가능하게 되고, 용기 안의 진공상태가 공기로 채워진다. 블록(870)에서, 음식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의 다양한 블록들이 재배치되거나 생략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용기 내의 챔버는 음식물이 상기 용기에 넣어지기 전에 진공처리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전혀 진공처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사하게, 상기 용기는 예를 들어 냉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용기와 관련하여, 도 4 내지 7의 트레이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진공기구와 함께 트레이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블록(910)에서, 음식물은, 예를 들어 트레이(400)와 같이, 트레이 위에 놓여진다. 블록(920)에서, 예를 들어 밸브(460)를 통하여 진공처리된 챔버(430)와 같이, 트레이 내의 챔버는 진공처리된다. 블록(930)에서, 상기 트레이는, 예를 들어 봉투(970)와같이, 봉투 안에 넣어진다. 블록(940)에서, 상기 봉투는 진공처리된다. 블록(950)에서, 진공처리된 봉투는 밀폐된다. 블록(960)에서, 밀폐되고 진공처리된 봉투는 장기간 저장을 위하여 냉동된다. 블록(970)에서, 상기 봉투는 개봉되어, 그 안의 내용물에 접근이 허용된다. 블록(980)에서, 상기 음식물은 트레이 위에서 전자레인지로 가공된다. 블록(990)에서, 상기 음식물은 사용된다.
도 9의 방법은 상당부분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910)에서 트레이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기 전에 블록(920)에서 트레이의 챔버를 진공처리하는 것처럼, 도 9의 블록들은 적절한 방식으로 재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트레이는 상기 봉투 안에 넣어지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어떤 실시예에서는 블록들(930 내지 970)이 생략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상기 봉투는 냉동되지 않거나(블록(960)의 생략) 상기 음식물은 전자레인지로 가공되지 않는다(블록(980)의 생략). 더욱이, 상기 트레이의 챔버는 블록(920)에서 진공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3의 용기(jar) 및 도 4 내지 7의 트레이는 밸브에 적용될 수 있는 진공기구와 함께 사용된다. 도 10은, 진공 호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jar) 또는 트레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진공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10은 진공기구(20)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버튼들(66)(68)은 각각 진공펌프 및 가열 밀폐와이어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진공기구(20)에 제공된다. 지시기들(56)(57)은 각각 진공 또는 가열 밀폐가 진행 중인지를 지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 실시예로서, 용기, 트레이 또는 용기의 뚜껑과 같은 다른 장치의 밸브에 진공기구(20)의 진공펌프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진공 호스(85)는 개구 또는 밸브(86)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7은 컨테이너(78)를 선택적으로 진공처리할 목적으로 진공기구(20)의 진공펌프와의 연결에 적합한 컨테이너(78)용 뚜껑부(77)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뚜껑부(77)는 환상의 뚜껑 어댑터(adapter)(79), 및 컨테이너(78)의 상부 플랜지(81)에 정적 밀폐를 형성하기 위해 그 아래를 밀폐하는 환상의 탄성 밀폐부재(elastomeric seal)(8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뚜껑부(77)는, 뚜껑 어댑터(79) 위에 형성된 환상의 돌출부(84)의 외면을 반경방향으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그 아래를 밀폐시키는 환상의 밀폐부재(83)를 구비하는 환상의 커넥터(82)를 포함한다.
유연한 플라스틱 튜브(85)는 커넥터(82) 및 진공기구(20)의 상부 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 또는 커넥터(86) 사이에 부착된다(도 10). 커넥터(86)는 튜브/호스(85) 및 진공기구(20)의 진공펌프의 연결 또는 조립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17과 관련하여, 나비너트(thumb nut)(88)는 뚜껑 어댑터(79)의 중앙에 형성된 넥(neck)(89)에 나사 체결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90)의 형태로 표시된 지시 화살표(indicia)는, 나비너트의 세 가지 작동위치, 즉 뚜껑 어댑터(79)에 표시된 것처럼 ″진공″, ″닫힘″, 또는 ″열림″ 중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나비너트 위에 형성된다.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너트가 ″진공″ 위치를 가리키고 있을 때, 사용자는 컨테이너(78)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 진공기구(20)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버튼(66)을 누르는 것이가능하다.
특히, 플라스틱 디스크(91)는 나비너트(88) 안에 ″느슨하게″ 장착되고, 튜브(85)(도 10 및 11) 안에 형성된 진공과 상기 컨테이너(78)를 개방연결하는 밸브 요소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공은, 디스크의 상면에 형성되며 중앙부에 배치된 통로(93)를 관통하여 형성된 횡단 슬롯(92)을 통해 유도되며, 상기 통로(93)는 넥을 관통하여 형성된다.진공이 적용되면 진공상태 형성을 위하여 통로(93) 위에 위치한 디스크(91)가 들어올려진다.
반경 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훅 형상의 다수의 돌기(finger) 또는 유지 부재(94)는, 조립 구멍을 관통하여 직립상태로 뻗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에 필수적으로 형성되고, 유지 목적을 위하여 나비너트 위에 형성된 플랜지(95) 위에 놓여진다. 상기 유지 부재(94)들은 나비너트를 관통하여 중앙부에 형성된 조립 구멍으로부터 부재들이 훅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하고 탄성이 있다. 도 13에서, 유연한 멈춤쇠(96)는, 넥(89)의 외부에 형성된 그루브(97)와 탈착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뻗어 있는 나비너트의 측벽 즉 스커트 부분에 필수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멈춤쇠 배치는 도 12에 도시된 ″진공″ 위치에서 상기 나비너트를 탈착가능하게 유지할 것이다. 또한, 멈춤쇠 배치는 ″닫힘″(도 14와 15) 및 ″열림″(도 16과 17) 위치에서 각각 나비너트를 탈착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유사하게 제공된다. 달리 말하면, 원주 방향으로 (120° 마다) 위치한 세 개의 멈춤쇠(96) 및 이에 대응하는 그루브(97)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나비너트 및 넥에 형성된다. 컨테이너(78)가 진공처리되는 동안에, 뚜껑 어댑터(79) 및 커넥터(82) 사이에 한정된 커다란 챔버와 저장소(reservoir)는 컨테이너로부터 나온 액체 및 분말을 모으고 이것들이 튜브(85)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컨테이너가 진공처리된 후에 커넥터(82)가 제거되며, 나비너트(88)는 통로(93)폐쇄를 위해 디스크(91)의 평평한 하면을 넥(89)에 장착된 오링 밀폐부재(98)측으로 압축하기 위하여 도 14 및 15에 도시된 ″닫힘″ 위치로 전환된다. 커넥터가 제거될 때, 나비너트(88)가 돌려질 때까지 진공을 유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안의 진공은 밀폐부재(98)에 대항하여 디스크(91)를 끌어당긴다. 디스크(91)를 상기 밀폐부재에 대항하여 압축하기 위하여, 환상의 안착부(99)는 디스크(91)의 상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나비너트의 플랜지(95) 하부에 형성된다. 직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좁은 슬롯(92)은 이러한 닫힘 기능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가 컨테이너 안의 진공 상태의 해제를 선택할 때, 밀폐부재(98)로부터 디스크(91)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플랜지(95)가 유지 부재(94)의 훅 끝단 아래에서 맞물리어 나비너트(88)는 도 16 및 17의 위치로 해제된다. 따라서, 공기는 슬롯(92)과 통로(93)를 경유하여 컨테이너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세하고 복잡한 밸브가 도 10 내지 17에 대하여 설명된 반면에, 보다 단순한 밸브는 예를 들어 밸브(160 또는 460)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밸브는, 예를 들어 용기(100) 또는 트레이(400) 안에 형성된 챔버들의 진공처리를 위하여, 예를 들어 호스(85)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8 내지 20에 대하여, 챔버 및 컨테이너 내부를 동시에 진공처리하는 것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도 18은 밀폐된 챔버(202) 및 일 방향 밸브(204)를 구비한 컨테이너(200)를 도시한다. 상기 일 방향 밸브(204)는 상기 챔버(202)내의 공기를 컨테이너(2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일 방향 밸브(204)는, 일 방향 밸브(204)를 통한 진공처리가 컨테이너(200)의 내부 및 챔버(202) 모두를 진공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챔버(202)의 내부 및 상기 컨테이너(200)의 내부 모두를 연결하는 어떤 장치에 의한다.
도 19는 밸브(204′)를 구비한 컨테이너(200′)를 도시한다. 상기 밸브(204′)는 상기 챔버(202)를 관통하여 상기 컨테이너(200′)의 내부로 연결된다. 상기 밸브(204′)는 상기 챔버(202) 및 컨테이너(200′)의 내부 안에 흡입구(intake)를 갖는다.
도 20은 두 개의 밸브(204″)(206)를 구비하는 컨테이너(200″)을 도시한다. 상기 밸브(204″)는 상기 챔버(202) 안에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200″) 밖으로 배출구를 갖는 일 방향 밸브이다. 상기 밸브(206)는 상기 컨테이너(200″) 안에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챔버의 내측에 배출구를 갖는 일 방향 밸브이다. 도 19 또는 도 20의 실시예부터 상기 챔버 및 컨테이너의 동시 진공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인 용기 또는 트레이를 진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포장, 저장,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가 있게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는 도해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되고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경우에, 참고는 다양한 또는 어떤 실시예들에 나타날 것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졌지만, 이러한 특징들은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 반드시 제한을 가하는 것은 아니다. 도해와 설명에서, 구조들(structures)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마찬가지로, 방법들은 일차원적 공정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의 범위 안에서 병렬적으로 재배열되거나 보충되는 작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지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7)

  1. 진공기구(vacuum appliance)에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음식물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내벽;
    상기 내벽과 적어도 한 부분에서 연결되고, 저장 장소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외벽;
    상기 외벽과 내벽에 의하여 한정되며,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 공간을 갖는 채널; 및
    상기 내벽과 외벽 중 하나를 관통하며, 상기 채널과 외부 대기가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밸브;
    를 포함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재료와 상기 외벽의 재료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재료와 상기 외벽의 재료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면 및 상기 컵의 상부와 꼭 맞도록 형성되는 하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뚜껑(li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항아리 형상의 용기(j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면 및 상기 용기의 상부와 꼭 맞도록 형성되는 하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뚜껑(li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트레이(tr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및 미리 정해진 양의 음식물 전체의 둘레에 꼭 맞는 크기의 플라스틱 봉투(bag)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트레이에 있어서,
    음식물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내벽;
    상기 내벽과 적어도 한 부분에서 연결되고, 저장 장소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외벽;
    상기 외벽과 내벽에 의하여 한정되며,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 공간을 갖는 채널; 및
    상기 내벽과 외벽 중 하나를 관통하며, 상기 채널과 외부 대기가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밸브;
    를 포함하는 트레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외벽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기울어진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외벽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기울어진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외벽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14. 진공기구에 사용되는 항아리 형상의 용기(jar)에 있어서,
    음식물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내벽;
    상기 내벽과 적어도 한 부분에서 연결되고, 저장 장소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외벽;
    상기 외벽과 내벽에 의하여 한정되며,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 공간을 갖는 채널; 및
    상기 내벽과 외벽 중 하나를 관통하며, 상기 채널과 외부 대기가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밸브;
    를 포함하는 용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면 및 상기 컵의 상부와 꼭 맞도록 형성되는 하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뚜껑(li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용기(jar)에 음식물을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측 챔버에 음식물을 넣는 단계; 및
    상기 용기의 벽들에 의해 한정된 공동을 진공처리하는(evacuating)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뚜껑으로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의 내측 챔버를 진공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음식물을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트레이에 음식물을 올려 놓는 단계;
    상기 트레이의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동을 진공처리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를 플라스틱 봉투(bag) 안에 넣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진공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및 음식물을 담고 있는 플라스틱 봉투를 밀폐하고 냉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음식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트레이에 상기 음식물을 올려 놓는 단계;
    상기 트레이의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동을 진공처리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를 플라스틱 봉투 안에 넣는 단계; 및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진공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밀폐하고 냉동시키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 봉투를 개봉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 내의 음식물을 재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음식물을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기(jar) 안에 음식물을 넣는 단계;
    상기 용기의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동을 진공처리하는(evacuating) 단계;
    상기 용기를 뚜껑(lid)으로 밀폐하는 단계;
    상기 뚜껑에 있는 밸브를 통하여 상기 용기를 진공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냉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진공기구(vacuum appliance)에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음식물을 담는 수단; 및
    상기 담는 수단과 음식물을 격리시키는(insulating)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담는 수단을 밀폐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담는 수단을 진공처리하는(evacuating)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진공포장에 사용되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밀폐된 챔버를 갖는 벽, 및 상기 밀폐된 챔버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진공처리할 수 있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KR1020040060476A 2003-07-31 2004-07-30 진공 채널의 벽을 구비한 강체 컨테이너 KR200500147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178403A 2003-07-31 2003-07-31
US60/491,784 2003-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760A true KR20050014760A (ko) 2005-02-07

Family

ID=3722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476A KR20050014760A (ko) 2003-07-31 2004-07-30 진공 채널의 벽을 구비한 강체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476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06U (ko) * 1995-06-02 1997-01-21 김영석 협지구가 형성된 옷걸이
JPH10310182A (ja) * 1997-05-07 1998-11-24 Nippon Sanso Kk 合成樹脂製二重壁構造断熱器物の製造方法
KR100241949B1 (ko) * 1995-05-10 2000-03-02 쓰치야 히로오 합성수지제 단열 이중벽 용기
JP2002347849A (ja) * 2001-03-09 2002-12-04 Jun-Jon An 日付表示真空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949B1 (ko) * 1995-05-10 2000-03-02 쓰치야 히로오 합성수지제 단열 이중벽 용기
KR970000306U (ko) * 1995-06-02 1997-01-21 김영석 협지구가 형성된 옷걸이
JPH10310182A (ja) * 1997-05-07 1998-11-24 Nippon Sanso Kk 合成樹脂製二重壁構造断熱器物の製造方法
JP2002347849A (ja) * 2001-03-09 2002-12-04 Jun-Jon An 日付表示真空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0346B2 (en) System for packaging, storing and transporting agricultural produce
CN101065294B (zh) 可通气容器组件、可施加微波的容器组件及可通气盖
AU2003230991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3945534A (en) Food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US3526335A (en) Storage and serving container for foodstuffs such as chilled desserts and the like
WO2008018730A1 (en) Multipurpose closure of vacuum receptacle
AU2002226647A1 (en) A system for packaging, storing & transporting agricultural produce
AU2007226721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US20060000733A1 (en) Rigid container with vacuum channel walls
CN111698925A (zh) 食品储存容器
JP2022501169A (ja) ポータブルランチボックス
KR20050014760A (ko) 진공 채널의 벽을 구비한 강체 컨테이너
US20030052117A1 (en) Food warmer and preserver
WO2002068277A2 (en) Reusable vacuum lid
US962710A (en) Cover for receptacles.
KR20170027945A (ko) 조리 용기를 위한 보관 덮개
CN208086464U (zh) 一种真空保鲜罐
JP3044652B2 (ja) 複段重ね密封容器
KR200406683Y1 (ko) 체적 가변형 밀폐 용기
KR200301898Y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용기
KR20060007957A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EP3569521B1 (en) Vacuum container
KR100554354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JP3113186U (ja) 弁当
KR20090006990A (ko) 식음료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