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990A - 식음료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식음료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990A
KR20090006990A KR1020070070526A KR20070070526A KR20090006990A KR 20090006990 A KR20090006990 A KR 20090006990A KR 1020070070526 A KR1020070070526 A KR 1020070070526A KR 20070070526 A KR20070070526 A KR 20070070526A KR 20090006990 A KR20090006990 A KR 20090006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packaging container
channel
beverag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덕열
Original Assignee
(주) 성광
허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성광, 허덕열 filed Critical (주) 성광
Priority to KR102007007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990A/ko
Publication of KR20090006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0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 B65D77/2016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the cover being maintained by projections or recesses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21/00Small packaging specially adapted for product samples, single-use packages or échantill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1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 B65D2543/00175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four straight sides, e.g. trapezium or diamond
    • B65D2543/0019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having straight sides, e.g. with curved corners four straight sides, e.g. trapezium or diamond square or 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음료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 박판재를 진공성형하여 제조되는 용기부(10)와 뚜껑부(100)가 각각의 외주연부의 밀폐테두리(11,101)에 의하여 기밀끼움되는 식음료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테두리(11,101) 중,
내측에 끼움되는 웅형 밀폐테두리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길이(L)로 함입한 채널(Channel) 형상의 탄발채널(C)을 가지는 탄발결합부(R)를 1 개소 이상 더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뚜껑부와 용기부의 결합구성을 개선하여 긴밀한 결합을 도모하고, 공기팽창에 의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근원적인 해결책을 제공하고 있다.
Figure P1020070070526
식음료, 포장용기, 진공성형

Description

식음료 포장용기{A Disposable container for foods or beverage}
본 발명은 식음료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식품, 또는 음료를 수납하는 식음료 포장용기, 특히 배달용 등의 일회용 포장용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구성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포장용기, 특히 진공성형 등의 방법으로 단위당 가격이 저렴하게 제조되어 각종의 식품업체 및 외식업체의 배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의 용기는 통상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박판의 합성수지재를 진공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고, 그 사용의 편리성과 가격의 저렴화 및 개선된 소재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성의 증대 등으로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일회용의 식음료 포장용기는 종래 그 내구성과 강도의 문제로 인하여 대부분 크기가 소형의 것이 반찬류, 국물류 등의 포장에 사용되었으나 근래에 들어 소재의 개발과 기구적인 구성의 개량, 보강리브의 채용 등의 설계상의 개선에 힘입어 대용량의 탕류, 배달용의 식품류 등을 위한 용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외식산업이 발달하고 독신가구의 증대에 따라서 각종의 탕이나 식품 등 배달용의 포장용기가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대부분의 포장용기는 운반이나 배달, 진열 중의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게 하거나 일회용 용기라도 사용 후에 재보관을 위하여 밀폐끼움이 가능한 뚜껑부와 이 뚜껑부와 결합하는 용기부를 형성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종래의 일회용의 포장용기가 대형화됨에 따라서 단순한 일 회의 사용에 그치지 않고 냉장고 등에서의 잔여 음식물의 보관 등을 위하여 수회 반복하여 사용하는 일이 증대하고 있음에 기인한다.
종래로부터의 이러한 식음료 포장용기는 박판재의 합성수지체로 진공성형하여 구성하므로 대형화되는 경우 내구성이나 강도에 문제가 있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구성의 개선과 소재물성의 개선, 보강구성의 개선 등에 따라서 박판체로 하여도 강도상의 문제는 해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포장용기의 경우, 평면형상을 사각형상 등의 다각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많고 그에 따라 취약한 부분이 발견된다.
특히, 뚜껑부와 용기부의 각 변이 만나는 모서리 부의 긴밀한 끼움을 보장할 수 있는 진공성형이 용이하지 않고, 성형과정에서의 발생하는 오차에 기인하여 기밀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뚜껑부와 용기부가 만나는 테두리부분을 상호 끼움되는 한 쌍의 자웅(雌雄)체 형상만으로서 구성하여 끼움 시의 탄성강도나 탄발력이 부족하여 용이하게 뚜껑부가 이탈하거나 배달중 벗겨져 내용물이 유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달용의 포장용기에 수납되는 음식물은 조리에 의하여 가열된 경우가 많아, 내용물의 수납 이후에 뚜껑부를 용기부에 끼워 배달 중에 내부 고온에 의한 공기의 팽창으로 뚜껑부가 벗겨져 버리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대용량의 포장용기의 경우 발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는 상기하는 제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뚜껑부와 용기부의 결합구성을 개선하여 긴밀한 결합을 도모하고,
공기팽창에 의한 문제점 역시 해결한 구성의 뚜껑부를 더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는;
합성수지 박판재를 진공성형하여 제조되는 용기부와 뚜껑부가 각각의 외주연부의 밀폐테두리에 의하여 기밀끼움되는 식음료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테두리 중, 내측에 끼움되는 웅형 밀폐테두리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길이로 함입한 채널(Channel) 형상의 탄발채널을 가지는 탄발결합부를 1 개소 이상 더 부여하고,
상기 포장용기의 뚜껑부의 판에 저면 용기부 쪽으로 함입한 오버플로우채널을 1 개 이상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우채널의 저면에 1개 이상의 천공인 오버플로우핀홀을 가지는 것을 기본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의 구성으로서 종래 포장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 고 특히, 뚜껑부와 용기부의 결합구성을 개선하여 긴밀한 결합을 도모하고, 공기팽창에 의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근원적인 해결책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식음료 포장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뚜껑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의 사시도, 도 2 은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뚜껑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포장용기의 전체 구성의 사시도, 도 3 는 도 2 의 뚜껑부 만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용기부 만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의 요부인 용기부의 탄발결합부를 도시하는 도 2의 A 부의 확대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의 뚜껑부의 개선된 구성을 도시하는 도 3 의 B 부 확대사시도이다.
제공되는 도면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기에 적합한 구성으로서,
개략 평면 사각형상의 식음료 포장용기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시된 형상의 포장용기는 단순히 하나의 예로서 제시되고, 육각형,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모든 진공성형가능한 식음료 포장용기에 적용이 가능함은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과 마찬가지이다.
투명, 반투명, 유색 등의 합성수지 박판을 금형에 취입(吹入)시켜 진공성형하는 일회용 등의 식음료 용의 종래의 포장용기(C0)는 도 1 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하방의 식음료를 수용하는 함입한 컨테이너인 용기부(10)와, 이 용기부(10)에 끼움되어 커버를 형성하는 뚜껑부(100)를 가지고, 용기부(10)와 뚜껑부(100)는 각각의 외주연부를 따라서 형성된 자웅(雌雄) 끼움형상의 밀폐테두리(11,101)에 의하여 끼움고정되면서 밀폐를 위한 기밀도 수행된다.
이러한 끼움고정을 위하여 밀폐테두리(11,101)는 , 단면 개략 "ㄷ" 형상의 절곡된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하는 기본적인 구성에서 용기부(10)에는 대용량의 용기를 수행하기 위하여 내구성과 강도를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용기측벽(15)에 상,하수직 배설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등 간격으로 함입 및 돌출함으로서 박판재로 성형함에도 불구하고 내용물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보강리브(12)를 다수 개 일체 성형하여 가지고 뚜껑부(100)에도 다양한 형상의 보강리브(102)를 구비한다.
뚜껑부(100)와 용기부(10)의 일 측 모서리 등의 위치에는 개방 시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오픈플랩(13,103)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의 종래로부터의 식음료 포장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을 위한 밀폐테두리(11,101)의 제공과 이 밀폐테두리(11,101)의 상호 결합에도 불구하고 대용량의 경우 결합 및 기밀력이 약하여 특히 모서리부에서 이탈이 유발되고, 더욱이 모서리부는 진공성형 시에 치수관리가 매우 까다로운 부분으로서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밀폐테두리(11,101)의 대응하는 한 쌍이 정확하게 진공 성형되기가 어려움에 따라서 이 부분에서의 벗겨짐이나 액체의 유출이 빈발한다.
나아가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대용량에 기인하는 고온의 내용물의 수분이 기화하면서 이 압력에 의한 뚜껑부(100)의 탈락이 빈발하여 배달과정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
상술하는 기본적인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가 적용되는 구성의 포장용기에 구현되고 제반의 종래 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2 ,3, 4에 연속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기(C)는 뚜껑부(100)와 용기부(10)가 결합하는 수단인 밀폐테두리(11,101)에 있어서 용기부(10)의 밀폐테두리(11) 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탄발결합부(R)를 1 개소 이상, 바람직하게는 다각형의 경우 다각의 수 이상을 부여하는 것을 구성적인 특징으로 한다.
그 구성상 용기부(10)의 밀폐테두리(11)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수한 경우에는 뚜껑부(100)의 밀폐테두리(101)에도 적용이 될 수 있고 어느 쪽에 형성이 되던 내방으로 끼움되는 웅형(雄型) 단면의 밀폐테두리에 적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탄발결합부(R)는 도 4 와 5 에서와 같이,
용기부(10)의 밀폐테두리(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L) 만큼 깊이 방향으로 함입한 채널(Channel) 형상의 탄발채널(C)을 부여하도록 진공성형한 것이다.
이 탄발채널(C)은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박판으로 성형되어 있어 진공성 형 이후에도 고유의 탄성계수로서 스프링처럼 측방으로 펼쳐 지려는 탄성력(f1,f2)이 밀폐테두리(11)를 가로질러서 부여된다.
따라서, 상방에서 덮어져 끼움되는 뚜껑부(100)의 밀폐테두리(101)의 내면 측으로 탄발채널(C)에 의한 긴밀한 탄성력이 인가된다.
개략 단면 "ㄷ"형상의 밀폐테두리를 가로질러 탄발채널(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발결합부(R)의 전체적인 단면형상은 도 6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M " 이 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러한 작용으로서 종래 단순한 끼움형상체인 밀폐테두리(11,101)가 외방으로 탄발하려는 탄성이 부여되면서 끼움되어 있어 결합력이 대폭 증대하고 종래와 같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아니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의 모서리부를 가지지 아니하는 원형상의 포장용기에도 역시 동일하게 다수 개 부여함으로서 동일한 효과를 발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기(C)의 또 다른 구성적인 특징이 뚜껑부(100)에 구현되어 있다.
뚜껑부의 부분확대도인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기(C)의 뚜껑부(100)는 뚜껑부(100)의 판부(110) 저면에 용기부쪽으로 함입한 오버플로우채널(OC)를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등간격과 사각형상 등의 기하학적인 배열을 가지도록 다수 개 부여한다.
오버플로우채널(OC)의 형성은 뚜껑부(100)의 진공 성형 시에 금형의 구성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오버플로우채널(OC)의 저면에는(b)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 이 1 개 이상의 오버플로우핀홀(H)을 천공체로서 가지며 이 오버플로우핀홀(H) 역시 금형 상의 핀(pin)의 배설로서 진공성형 시에 동시에 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하는 1개 이상의 오버플로우채널(OC)및 오버플로우채널(OC)에 구성된 오버플로우핀홀(H)의 역할은 하기와 같다.
상술한 종래 구성의 문제점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포장용기(C)를 구성하는 경우, 용기부(10)에 수용되고 조리가 막 종료된 식음료의 경우, 고온과 내부 증기로 인하여 팽창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뚜껑부(100)의 벗겨짐의 우려가 높다.
그러나 오버플로우핀홀(H)을 경유하여 용기 내방의 증기는 서서히 외방으로 누출되므로 내방 압력상승이 방지되고 배달 시에 이 오버플로우핀홀(H)의 존재로 인하여 미소한 양의 식음료 액체가 누출되어도 오버플로우채널(OC)에 수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묻거나 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대부분의 포장용기(C)가 근거리의 배달 식음료에 사용되므로 배달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 다량의 액체류가 오버플로우핀홀(H)로 누출되는 문제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식음료 포장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뚜껑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의 사시도.
도 2 은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뚜껑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포장용기의 전체 구성의 사시도.
도 3 는 도 2 의 뚜껑부 만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용기부 만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의 요부인 용기부의 탄발결합부를 도시하는 도 2의 A 부의 확대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식음료 포장용기의 뚜껑부의 개선된 구성을 도시하는 도 3 의 B 부 확대사시도.

Claims (4)

  1. 합성수지 박판재를 진공성형하여 제조되는 용기부(10)와 뚜껑부(100)가 각각의 외주연부의 밀폐테두리(11,101)에 의하여 기밀끼움되는 식음료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테두리(11,101) 중, 내측에 끼움되는 웅형 밀폐테두리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길이(L)로 함입한 채널(Channel) 형상의 탄발채널(C)을 가지는 탄발결합부(R)를 1 개소 이상 더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포장용기.
  2. 합성수지 박판재를 진공성형하여 제조되는 용기부(10)와 뚜껑부(100)가 각각의 외주연부의 밀폐테두리(11,101)에 의하여 기밀끼움되는 식음료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C)의 뚜껑부(100)의 판부(110)에 저면 용기부 쪽으로 함입한 오버플로우채널(OC)을 1 개 이상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우채널(OC)의 저면에 1개 이상의 천공인 오버플로우핀홀(H)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포장용기.
  3. 합성수지 박판재를 진공성형하여 제조되는 용기부(10)와 뚜껑부(100)가 각각의 외주연부의 밀폐테두리(11,101)에 의하여 기밀끼움되는 식음료 포장용기에 있어 서,
    상기 밀폐테두리(11,101) 중, 내측에 끼움되는 웅형 밀폐테두리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정된 길이(L)로 함입한 채널(Channel) 형상의 탄발채널(C)을 가지는 탄발결합부(R)를 1 개소 이상 더 부여하고,
    상기 포장용기(C)의 뚜껑부(100)의 판부(110)에 저면 용기부 쪽으로 함입한 오버플로우채널(OC)을 1 개 이상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우채널(OC)의 저면에 1개 이상의 천공인 오버플로우핀홀(H)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포장용기.
  4.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탄발결합부(R)의 단면형상이 개략 "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 포장용기.
KR1020070070526A 2007-07-13 2007-07-13 식음료 포장용기 KR20090006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526A KR20090006990A (ko) 2007-07-13 2007-07-13 식음료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526A KR20090006990A (ko) 2007-07-13 2007-07-13 식음료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990A true KR20090006990A (ko) 2009-01-16

Family

ID=4048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526A KR20090006990A (ko) 2007-07-13 2007-07-13 식음료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9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59U (ko) 2016-08-19 2017-07-07 이호열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59U (ko) 2016-08-19 2017-07-07 이호열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8367B (zh) 一种用于容器的盖和容器盖的系统
US11447302B2 (en) Injection molded lid
EP1993926B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MX2007010251A (es) Un recipiente.
CN110719878A (zh) 具有蒸汽排出部的烹饪容器
KR200406266Y1 (ko) 도시락 용기
KR20090006990A (ko) 식음료 포장용기
AU2008100288A4 (en) Disposable Container
KR100926708B1 (ko) 밀폐용기
JP7407958B2 (ja) カップ蓋
US20050242092A1 (en) Resealable divided plate
KR200469248Y1 (ko) 도시락 용기
KR200480741Y1 (ko) 발효식품용 누름 캡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1576662B1 (ko) 용적변화가 이루어져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EP2186484A1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test tubes
JPH043967Y2 (ko)
JP7393786B2 (ja) 食缶
KR20060133281A (ko) 식품 포장 용기
JP2017176317A (ja) 弁当箱
JP2003040300A (ja) 密封容器
JP2000118548A (ja) 容 器
JPH074356U (ja) 食品容器
KR20090007028U (ko) 밀폐용기용 패킹의 구조
KR200356841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식음료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