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1242A -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242A
KR20050011242A KR1020030050250A KR20030050250A KR20050011242A KR 20050011242 A KR20050011242 A KR 20050011242A KR 1020030050250 A KR1020030050250 A KR 1020030050250A KR 20030050250 A KR20030050250 A KR 20030050250A KR 20050011242 A KR20050011242 A KR 20050011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witching
color mode
black
agc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307B1 (ko
Inventor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3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이 개시된다. 본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은, 피사체의 밝기에 기초한 컬러 모드 및 흑백 모드 절환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장치에서, 현재의 모드가 컬러 모드인지 흑백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흑백 모드로 판단된 경우, 피사체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들이는 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인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저조도 값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저조도 값이 소정의 저조도 임계값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저조도 값이 저조도 임계값 이하인 경우, 흑백 모드를 컬러 모드로 절환하는단계를 구비한다. 그리고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신호의 휘도값을 증폭 및 감쇄시키는 기능을 하는 AGC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AGC 이득이 소정의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AGC 이득이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인 경우, 컬러 모드로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컬러모드로의 절환시 휘도 레벨과, 흑백모드로의 절환시 휘도 레벨의 차이를 충분히 크게 하여, 컬러모드 및 흑백모드 상호 전환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Method for converting color mode of camera}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는 컬러모드 및 흑백 모드 절환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에서 컬러 모드 및 흑백 모드 절환 시점을 개선하여 촬상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의모드절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시용 촬영기는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 렌즈 전면부의 필터를 절환하여 최적화된 영상을 얻고자 하는 낮/밤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낮기능에 대응하여 컬러 모드를 선택하고, 밤기능에 대응하여 흑백 모드를 선택한다. 컬러모드는 렌즈 전면부에 위치하는 IR(Infra-Red) 필터를 온(on)함으로서 선택되고, 흑백모드는 렌즈 전면부의 IR(Infra-Red) 필터를 오프(off)함으로서 선택된다. IR 필터의 오프는 곧 초점용 필터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컬러모드 및 흑백모드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AE(Auto Exposure) 기능에 기초하여 산출된 피사체의 휘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AE(Auto Exposure) 기능이란 조리개와 AGC(Auto Gain Control) gain 및 셔터속도, 즉 저조도를 조절하여, 촬영된 영상이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피사체가 소정의 기준 밝기에 비해 어두울 경우 조리개를 열어 받아들이는 빛의 양을 많게하고, AGC 이득(gain)을 증가시켜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값을 증폭시키며, 저조도를 증가시켜 셔터속도를 느리게하여 오랫동안 빛을 받아들여 영상을 밝게 만든다. 그리고 피사체가 소정의 기준 밝기에 비해 밝을 경우에는, 조리개와 AGC 이득 및 저조도를 반대로 조절하여 영상이 적정 정도의 밝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컬러모드 및 흑백모드 자동 절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AE 데이터로부터 영상의 휘도 레벨을 읽어들인다(S100). 그리고 현재 설정되어 있는 모드가 컬러 모드인지 흑백 모드인지 확인한다(S110). 만약 컬러모드일 경우 모드를 흑백모드로 절환하여야 하는가를 확인하여야 한다(S120). 일반적으로 컬러모드를 흑백모드로 절환하는 기준이 되는 휘도 레벨을 사용자는 기 설정해 놓는데, 보통 40 내지 60IRE 정도의 값을 가진다. 여기서, IRE(Institute of Radio Engineer)는 비디오 신호의 크기를 표현하는 단위로서, 100 IRE는 최고 백색 진폭을, 0 IRE는 흑색 레벨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모드를 흑백모드로 절환하는 흑백모드 절환 레벨을 50IRE 라고 설정하면, S100 단계에서 산출된 휘도 레벨이 50IRE 보다 작은가를 확인한다. 만약 작을 경우 흑백모드로 절환한다(S130). 그리고, S110 단계에서 흑백모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산출된 휘도 레벨이 컬러모드로 절환하는 임계값인 컬러모드 절환 레벨 보다 큰가를 확인한다(S140). 일반적으로 컬러모드 절환 레벨은 90 내지 110 IRE 정도의 레벨을 가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모드 절환 레벨을 100 IRE로 결정한다. 만약 현재 영상의 휘도 레벨이 100 IRE 이상일 경우, 컬러모드로 절환한다(S150). 이와 같은 컬러모드 전환 또는 흑백 모드 전환에 따라 영상의 휘도 레벨은 소정 기준 레벨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AE 데이터에서 읽어들인 휘도 레벨에만 기초하여 컬러 모드 또는 흑백 모드 전환 시점을 결정할 경우, 늘 일정한 휘도를 유지하려는 AE 기능때문에, 컬러 모드 전환 레벨과 흑백 모드 전환 레벨의 차이를 소정치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할로겐 전등과 같은 광원을 사용할 경우, 컬러모드에서 흑백모드로 절환하면 영상의 휘도 레벨이 약 80 내지 120 IRE정도가 증가하게 되고, 그 증가된 휘도 레벨은 컬러모드에서 흑백모드로 절환하는 흑백 모드 절환 레벨인 90 내지 120 IRE 이상이 되기 때문에 다시 컬러 모드로의 절환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컬러모드 절환 결과 영상의 휘도 레벨이 초기 40 IRE 이하가 됨으로 또 흑백모드로 절환되는 과정이 계속하여 반복되는 플레슁(Flish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러 모드에서 흑백 모드 또는 흑백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 절환하는 두 임계값의 차이를 종래보다 크게 함으로서, 외부 광원의 종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프래싱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컬러모드 및 흑백 모드 절환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컬러모드 및 흑백모드 자동 절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의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모드전환 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렌즈 210 : 필터부
220 : CCD 230 : CDS/AGC부
24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50 : 제어부
260 : 디스플레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의 밝기에 기초한 컬러 모드 및 흑백 모드 절환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장치의 컬러 모드 절환 방법은, 현재의 모드가 상기 컬러 모드인지 상기 흑백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흑백 모드로 판단된 경우, 피사체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들이는 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인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저조도 값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기 저조도 값이 소정의 저조도 임계값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저조도가 상기 저조도 임계값 이하일 경우, 흑백 모드를 컬러 모드로 절환하는단계를 포함 한다.
상기 저조도 값은, 최적의 노출 설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노출(AE: Auto Exposure) 기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저조도 임계값은, 상기 촬상장치기 갖을 수 있는 상기 저조도 값의 최대 값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컬러모드 절환 방법은, 상기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신호의 휘도값을 증폭 및 감쇄시키는 기능을 하는 AGC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기 AGC 이득이 소정의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AGC 이득이 상기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컬러 모드로 절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AGC 이득은, 최적의 노출 설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 노출(AE:Auto Exposure)기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GC 이득 임계값은, 상기 촬상장치가 갖을 수 있는 AGC 이득 중 최소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컬러 모드 절환은, 상기 촬상 장치의 필터를 IR(Infra-red) 필터로 절환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상기 컬러 모드로 판단될 경우, 자동 노출 기능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 레벨이 소정의 흑백 모드 절환 레벨 이하일 경우 흑백모드로 절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흑백 모드 절환은, 상기 촬상 장치의 필터를 초점용 필터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촬상 장치는, 감시용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의 밝기에 기초하여 컬러 모드 및 흑백 모드를 절환하는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컬러 모드로 절환하는 다른 방법은, 현재의 모드가 상기 흑백 모드인지 상기 컬러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흑백 모드로 판단된 경우, 영상 신호의 휘도값을 증폭 및 감쇄시키는 기능을 하는 AGC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기 AGC 이득이 소정의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AGC 이득이 상기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컬러 모드로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AGC 이득은, 최적의 노출 설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 노출(AE:Auto Exposure)기능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GC 이득 임계값은, 상기 촬상장치가 갖을 수 있는 상기 AGC 이득 중 최소값인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컬러 모드 절환은, 상기 촬상 장치의 필터를 IR(infra-red) 필터로 절환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모드 판단 단계에서, 상기 컬러 모드로 판단될 경우, 자동 노출 기능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레벨이 소정의 흑백 모드 절환 레벨 이하일 경우 흑백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흑백 모드 절환은, 상기 촬상 장치의 필터를 초점용 필터로 절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촬상 장치는, 감시용 카메라인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감시용 카메라는 렌즈(200), 필터(210), CCD(charge-coupled device)(220), CDS/AGC(correlated double sampling hold and automatic gain control)부(230), 디지털 신호 처리부(240), 제어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구비한다.
렌즈(200)는 외부 물체의 광하적 상을 입력받는다. 필터(210)는 렌즈(200)로부터 입력된 광학적 상에 대하여 소정의 필터링을 하는데, 여기서 필터(210)는 입력받는 영상의 휘도에 따라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IR 필터나 초점용 필터중 적합한 필터가 사용된다. CCD(220)는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결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CDS/AGC부(230)는 CCD(220)로 부터 수신받은 전기적 영상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영상을 일정 밝기를 유지하도록 AGC gain을 조정하여 최적화된 영상신호를 추출한다. A/D 변환부(미도시)는 CDS/AGC부(230)에서 수신받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40)는 A/D 변환부로부터 수신받은 영상신호의 처리하며, 특히 영상의 AE 데이터로부터 휘도 레벨을 산출한다.
제어부(250)는 AE 기능에 기초하여 영상의 휘도 레벨이 항상 일정한 정도를 유지하도록 조리개, 필터, CDS/AGC부(23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240)를 제어한다. 즉, 영상이 일정 기준레벨 이하일 경우 CDS/AGC부(230)를 제어하여 AGC gain을 조절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240)를 제어하여 셔터 속도를 조절함으로서 저조도를 추가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AE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휘도와 AGC 이득(gain), 그리고 저조도에 기초하여 컬러모드 및 흑백 모드를 전환한다.
즉,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으면서 현재 흑백모드라면, AGC 이득과 저조도가최대값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저조도가 소정의 저조도 임계값 이하로 작아질 경우는 영상이 밝아지는 경우로서, 제어부(250)는 현재 모드를 컬러모드로 절환한다. 이때 저조도 임계값은 최대 저조도의 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대 저조도 레벨이 128배일 경우 저조도 임계값을 64배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고 흑백모드라면, 흑백모드 전환시점에는 AGC 이득이 최대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이때 AGC 이득이 소정의 AGC 이득 임계값 이하가 될 경우, 영상이 밝아진 것으로 판단하고, 컬러모드로 절환한다. 여기서 AGC 이득 임계값은 본 촬상 장치가 갖을 수 있는 최소한의 AGC 이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현재 컬러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종래와 동일하게 디지털 신호 처리부(240)으로부터 AE 데이터에서 읽어들이 휘도값에 기초하여 현재 휘도값이 소정의 흑백모드 절환 레벨 이하인경우 흑백 모드로 절환한다. 컬러모드 절환에 대응하여 렌즈(220) 전면부의 필터(210)를 IR 필터로 절환하고, 흑백모드 절환에 대응하여 필터(210)를 초점용 필터로 절환한다.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흑백모드에서 컬러모드로 전환할 경우, 이 전환시점의 휘도값은 종래 100 IRE보다 2 내지 3배 가량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흑백모드로의 전환시 임계값에 변화가 없다고 하더라도, 두 레벨의 차이가 종래의 두 레벨의 차이의 2배 가량이 되어 종래와 같은 프래싱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D/A 변환부(미도시)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40)로부터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부(260)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모드전환 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AE 데이터로 부터 휘도 레벨을 산출한다(S300). 그리고, 현재 컬러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흑백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310).
만약 흑백모드로 설정되어 있는경우,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320).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의 저조도가 소정의 저조도 임계값 이하인지 판별한다(S330). 만약 소정의 저조도 임계값 이하일 경우, 흑백모드를 컬러 모드로 절환한다(S340). 그리고 만약 저조도값이 저조도 임계값보다 클 경우, 모드 절환은 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때 저조도 임계값은 조절할 수 있는 저조도값의 최대 값의 절반 가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조도 값을 2배 내지 최고 128배까지 조절 가능할 경우, 저조도 임계값은 1배 내지 64배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S320 단계에서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현재 AGC 이득이 소정의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인가를 확인한다(S350). 이때 소정의 AGC 이득 임계값은 본 촬상장치가 갖을 수 있는 최소 AGC 이득인 것이 바람직하다. AGC 이득이 소정의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일 경우, 컬러모드로 전환하고, 이상인 경우 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에서 컬러모드 절환은 필터(210)를 IR 필터로 절환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한편, S300 단계에서 컬러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S300 단계에서 산출된 휘도레벨이 소정의 흑백모드 절환 레벨 보다 작은지 확인하여(S360), 작을 경우 흑백모드로 절환한다(S370). 만약 클 경우는 절환을 수행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흑백모드로의 절환은 컬러모드에 대응하는 필터(210)인 IR 필터를 흑백모드에 대응하는 초점용 필터로 절환함으로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과 컬러모드에서 흑백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이 동일하기 때문에 두 흑배모드 절환 레벨은 동일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흑백모드를 컬러모드로 절환하는 시점의 휘도 레벨은 종래 휘도 레벨의 2배가량이 된다. 종래와 같이 오직 AE 데이터에 기초하면, 컬러 모드로 변환하는 시점의 휘도 레벨을 100IRE정도로 유지할 수 밖에 없는 반면, 본 발명은 AGC gain 및 저조도를 통해 컬러모드 절환 시점을 감지함으로서, 절환시의 휘도레벨을 종래의 2배이상 크게 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은 흑백 모드 절환시 휘도 레벨과 컬러모드 절환시 휘도 레벨의 간격을 충분히 넓게 잡아줌으로서, 종래의 프래싱 현상과 같은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장치의 컬러모드 및 흑백 모드를 전환하는 두 휘도 레벨의 간격을 충분히 넓게 하여, 외부 조명에 따라 흑백모드와 컬러모드의 상호 전환이 반복하여 나타나는 프래싱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오동작을 방지함으로서, 촬영된 영상의 화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1)

  1. 피사체의 밝기에 기초한 컬러 모드 및 흑백 모드 절환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에 있어서,
    (a) 현재의 모드가 상기 컬러 모드인지 상기 흑백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흑백 모드로 판단된 경우, 피사체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들이는 시간을 제어하는 기능인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저조도 값을 산출하는 단계;
    (d) 산출된 상기 저조도 값이 소정의 저조도 임계값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저조도 값이 상기 저조도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흑백 모드를 상기 컬러 모드로 절환하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조도 값은,
    최적의 노출 설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 노출(AE:Auto Exposure)기능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서 컬러모드 절환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조도 임계값은,
    상기 촬상장치가 갖을 수 있는 상기 저조도 값의 최대 값의 절반 정도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저조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신호의 휘도값을 증폭 및 감쇄시키는 기능을 하는 AGC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기 AGC 이득이 소정의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AGC 이득이 상기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컬러 모드로 절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GC 이득은,
    최적의 노출 설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 노출(AE:Auto Exposure)기능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서 컬러모드 절환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GC 이득 임계값은,
    상기 촬상장치가 갖을 수 있는 AGC 이득 중 최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모드 절환은,
    상기 촬상 장치의 필터를 IR(Infra-red) 필터로 절환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컬러 모드로 판단될 경우,
    자동 노출 기능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 레벨이 소정의 흑백 모드 절환 레벨 이하일 경우, 상기 흑백모드로 절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흑백 모드 절환은,
    상기 촬상 장치의 필터를 초점용 필터로 절환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감시용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서 컬러모드 절환 방법.
  11. 피사체의 밝기에 기초하여 컬러 모드 및 흑백 모드를 교체하는 것에 절환하는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컬러 모드 절환 방법에 있어서,
    (a) 현재의 모드가 상기 흑백 모드인지 상기 컬러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흑백 모드로 판단된 경우, 영상 신호의 휘도값을 증폭 및 감쇄시키는 기능을 하는 AGC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c) 산출된 상기 AGC 이득이 소정의 AGC 이득 임계값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d) 산출된 상기 AGC 이득이 상기 gain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컬러 모드로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KR1020030050250A 2003-07-22 2003-07-22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KR10096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50A KR100962307B1 (ko) 2003-07-22 2003-07-22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250A KR100962307B1 (ko) 2003-07-22 2003-07-22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42A true KR20050011242A (ko) 2005-01-29
KR100962307B1 KR100962307B1 (ko) 2010-06-10

Family

ID=3722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250A KR100962307B1 (ko) 2003-07-22 2003-07-22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1549A (zh) * 2016-07-07 2016-11-09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昼夜自动切换方法、装置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1925B (zh) * 2015-05-14 2019-03-01 聚晶半导体股份有限公司 图像获取装置及其复合式的图像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469A (ja) 1999-02-03 2000-08-11 Sony Corp 撮像装置
KR100367594B1 (ko) 2000-07-06 2003-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씨씨디 카메라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1549A (zh) * 2016-07-07 2016-11-09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昼夜自动切换方法、装置及系统
CN106101549B (zh) * 2016-07-07 2019-04-30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昼夜自动切换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307B1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1550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72583B2 (ja) 撮像装置
KR100367594B1 (ko) 씨씨디 카메라의 제어 방법
JP2017063245A (ja) 撮像装置
JP2003219254A (ja) 撮影モード切換え機能付きカメラ
JP4577446B2 (ja) 撮像装置
WO2018146945A1 (ja) 動体監視装置および動体監視システム
KR101716818B1 (ko) 초저조도용 cctv 카메라 시스템
JP2004120202A (ja) 撮像装置,撮像モード切替方法
KR100962307B1 (ko) 촬상 장치에서 컬러 모드 절환 방법
US7633529B2 (en)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chromatic and monochromatic modes of an imaging apparatus
KR101101484B1 (ko) 자동 초점 보조광을 이용한 촬상 장치 및 방법
JP2007060327A (ja) 撮像装置
JP4026890B2 (ja) 電子カメラ及びその電子シャッター制御方法
JP2010093525A (ja) 撮像装置
JP4440562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6033577A (ja) 監視カメラ
JP2020120164A (ja) 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の撮像制御方法
JP2013126037A (ja) 撮像装置および電子情報機器
JP4724467B2 (ja) カメラおよび撮像システム
US20220321764A1 (en) Illumination control device, imag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JP5050162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6197499A (ja) 撮像装置
JP3639498B2 (ja) 監視カメラ
JPH099833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