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996A - 관절염 치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관절염 치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996A
KR20050007996A KR1020030047657A KR20030047657A KR20050007996A KR 20050007996 A KR20050007996 A KR 20050007996A KR 1020030047657 A KR1020030047657 A KR 1020030047657A KR 20030047657 A KR20030047657 A KR 20030047657A KR 20050007996 A KR20050007996 A KR 2005000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extract
glucosamine
arthr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규
최미희
신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Priority to KR102003004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7996A/ko
Publication of KR2005000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9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8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D-galactosamine, rani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4Saccharomycetales, e.g. baker's y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관절염 치료방법이 갖는 부작용 및 효과의 한계를 극복한 관절염 및 관절손상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절 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히아루론산, 글루코사미노글리칸, 그리고 콜라겐 등의 생합성에 유효한 성분 및 성분을 함유한 소재를 이용하여 관절염의 근본적인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도록 한 약제학적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기 개발, 출시된 제품 또는 기술이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관절강내에 주사를 맞지 않으면서도 빠른시간 안에 동일한 효과를 나타냄은물론, 독성이 전혀 없는 천연의 소재로 제조되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관절염 치료 조성물{Compositions for arthritis disease}
본 발명은 관절염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골의 증식,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합성 촉진, 히아루론산의 합성촉진,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소재를 이용한 관절염치료 및 예방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연골세포(chondrocytes)에 노화등의 퇴행이 발생하여 연골세포에서 관절의 기질물질들인 유형II 콜라겐(type II collagen) 및 프로테오글리칸 등의합성이 저해됨과 동시에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 및 종야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등의 염증성사이토카인이 생성됨에 따라 관절기질을 분해하는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의 합성 및 활성이 관절세포에서 증가됨으로 인해 관절조직이 파괴됨으로써 유발되는 질병이다. 또한 관절염은 염증성사이토카인에 의한 일산화질소의 생성과 생성된 일산화질소에 의한 자가증폭적인 사이토카인의 생성으로 더욱 많은 MMP의 합성이 유발되게 되어 관절기질의 분해가 촉진됨으로써 더욱 악화된다. 이와 동시에 염증성사이토카인은 지질대사산물인 프로스타글란딘E2의 생성을 증가시켜 관절염에서 염증반응을 유발시킨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퇴행성관절염의 치료는 약물치료제(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제 등)나 연골보호제(히아루론산,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등)를 이용하거나 수술적처치(관절염수술, 경골근위부 절골술, 관절부분치환술, 슬관절 전치환술 등)에 의한다. 약물치료제의 경우는 통증이나 염증반응자체를 비특이적으로 완화시키는 효과만을 가지며 연골보호제용 주사제인 히아루론산 주사제의 경우 통증완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 경우는 일주 간격으로 5번을 관절부위에 주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관절에 직접 주사를 함으로 인하여 환자들의 기피현상과 감염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가 힘들다. 글루코사민제제의 경우 경구에 의해 투약되어 예방 및 치료를 하는 약물로서 연골의재생과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단점은 효과를 나타내기위해서는 최소한 복용 후 6-8주가 경과돼야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 개발, 출시된 제품 또는 기술이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관절강내에 주사를 맞지 않으면서도 빠른시간 안에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거나 혹은 훨씬 효과가 뛰어난 소재를 개발하여 기존의 소재 및 제품이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본 특허를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관절염치료방법이 갖는 부작용 및 효과의 한계를 극복한 관절염 및 관절손상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절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히아루론산, 글루코사미노글리칸, 그리고 콜라겐 등의 생합성에 유효한 성분 및 성분을 함유한 소재를 이용하여 관절염의 근본적인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지닌 관절염 예방 및 치료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하루텍 농도에 따른 연골세포의 증식효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하루텍 농도에 따른 연골세포의 배지내의 GAG함량 변화 그래프이다.
도 3은 하루텍 농도에 따른 연골세포의 Collagen함량 변화 그래프이다.
도 4는 하루텍 농도에 따른 연골세포의 bead내의 GAG함량 변화 그래프이다.
도 5는 하루텍의 관절개선효과에 대한 임상결과 그래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루코사민, 글루타민, 맥주효모, 사상자추출물, 원지추출물, 백하수오추출물, 대두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화합물 및/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원지는 안신익지, 거담이규, 소옹산결,효능이 있고, 사상자는 온신장양, 산한거풍, 조습살충 효능이 있고, 하수오는 자음, 강장, 익정보혈 효능이 있다. 글루코사민은 보통 포도당에 의해 인체 내에서 만들어지는 아미노당이다. 이것이 당단백질, 당지질과 점액성 다당류를 포함한 다수의 중요한 고분자 뮤코 다당의 원료 기질 물질로서 사용되어지고 특히 관절에서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그리칸, 그리고 콘드로이틴황산의 합성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글루코사민 고분자를 함유하는 조직은 각종 건(腱)과 인대, 연골, 활액, 점막, 안구의 몇몇 조직, 혈관 그리고 심장판막이다. 글루코사민은 관절 유통액과 주변 조직의 주요 충격완화 성분을 이루는 생화학물의 하나이다. 글루코사민과 그 작용을 하는 고분자는 관절과 척추관절내의 활액에 탄성을 부여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관절내의 조직은 이 윤활 활액이 점도를 잃을 때 손상을 입는다. 정상적 완충력이 상실되고 뼈와 연골은 서로 부딪친다. 따라서 연골은 점점 약화되어 움직이거나 굽히는데 문제를 야기한다.
글루타민은 뇌에서 글루탐산으로 전환되어 뇌기능에 필수적이며 알코올중독치료, 당분에 대한 탐낙성, 정신분열증, 임포텐스, 피로, 소화성궤양치료에 효과적이다.
맥주효모은 비타민B군, 크롬, 16가지의 아미노산, 미네랄 등이 풍부히 함유된 단세포생물로 당대사를 도우며, 습진, 심장병, 신경과민증, 피로 등에 효과가 뛰어나며 면역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두에는 올리고당, 이소플라본, 사포닌, 대두단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어 콜레스테롤저하, 정장작용, 갱년기장애, 당뇨질환 등의 에방 및 치유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다.
관절염에 유효하다고 보고되거나 출원한 자료를 조사하여보면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자료는 우슬과 창출(출원번호 10-2001-0041125)를 추출 및 발효를 통하여 관절염치료 및 예방 조성물 특허가 있으며, 우리딘을 함유하는 콜라겐 관절염(류머티스 관절염) 치료제 (출원번호 1991-0019146)이 있으며, 글루코사민, MSM, 키토산올리고당 그리고 한방 생약재를 이용한 퇴행성 관절염 개선용 음료조성물(출원번호 10-2000-0022288), 포도당과 아미노산의 상승작용에 의한 관절염 및 관절손상의 예방 및 치료제(출원번호 10-2001-0069266), 일산화질소 합성효소저해제와 글루코사민으로 구성된 관절염 치료제(미국특허 6,346,519 B1) 그리고 글루코사민,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그리고 s-adenosylmethionine으로 이루어진 관절염 치료제(미국특허 6,271, 213 B1)등이 있다.
본 발명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제용 조성물의 관련 조성 성분들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원지 추출분말 1%내지 50중량%, 사상자 추출분말 1 내지 50중량%,백하수오 추출분말 1 내지 50중량%, 글루코사민 10 내지 50중량%, 맥주효모 10내지 70중량%, 글루타민 1내지 30중량%, 대두추출물 5 내지 60중량% 범위에서 적어도 2종 이상 포함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원지 추출분말 1%내지 30중량%, 사상자 추출분말 1 내지 30중량%, 백하수오 추출분말 1 내지 30중량%, 글루코사민 10 내지 50중량%, 맥주효모 10내지 50중량%, 글루타민 1내지 15중량%, 대두추출물 5 내지 30중량% 범위 내에서 적어도 3종 이상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약재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지, 사상자, 하수오를 건조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약 10배량의 추출용매로 열수 혹은 냉침하여 3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추출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이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핵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의 선택되는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하거나 1종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여기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용매분획할 수 있다.
상기 관절염예방 및 치료제의 조성물은 약품, 약품첨가제, 건강 기능성식품,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로 사용할 수 잇으며 이를 위하여 분말, 캡슐, 정제, 과립, 산제, 액제, 음료, 죽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제의 조성물은 약품 등으로 사용할 경우 형태로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트로키(troche), 내용액제, 현탁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의 경구제로 사용할 수 잇으며 이들을 증상에 따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각종제제는 상용법으로 목적에 따라 주약에 부형제, 결합제, 방부제, 산화안정제, 붕괴제, 활택제, 교미제 등의 의약 제제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할 수 있는 기존에 알려진 담체를 사용하여제제화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담체로는 제형에 따라 통상 사용되는 것은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할 수있는데 바람직한 것은 전분, 젖당,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콘스타치, 및 무기염 등의 고형 담체, 증류수, 생리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에탄올 등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액체담체, 및 각종 동식물유, 백색바셀린, 파라핀 및 왁스 등의 유성담체가 있다.
또한, 본발명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은 조성물 자체 또는 종래 식품에 사용되던 각종성분과 혼합하여 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배합조성
원지, 사상자, 하수오 각각을 건조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약 10배량의 정제수를 넣고 100도에서 5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고형분 잔사를 제거하기 위하여 100메쉐 여과포, 그리고 5미크론의 필터를 통과시켜 분리한 후 65도에서 진공가열 농축한 후 건조하였다.
본 발명의 관절염에 유효한 조성물의 조성 및 성분 배합비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원지 추출분말 1%내지 50중량%, 사상자 추출분말 1 내지 50중량%, 백하수오 추출분말 1 내지 50중량%, 글루코사민 10 내지 50중량%, 맥주효모 10내지 70중량%, 글루타민 1내지 30중량%, 대두추출물 5 내지 60중량% 범위에서 적어도 2종 이상 포함되도록 하는 경우, 유의한 관절염 예방 및 치료활성이 나타났으며, 상기 성분이 모두 포함되도록 한 경우에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인 실험결과의 확인을 위해서 사용한 조성 및 배합비율은 다음과 같다.
원지 15중량%, 사상자 15중량%, 백하수오 15중량%,맥주효모 20중량%, 대두추출물분말 5중량%, 글루타민 5중량%, 글루코사민 25중량%이다.
상기 제조된 퇴행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을 경질캅셀에 500mg이 되도록 충진하여 캅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연골세포의 증식촉진
1.연골 세포분리
3~4주령 토끼에서 무균상태에서 연골조직을 분리한 후 0.2% collagenase type II로 37℃ 4시간 처리한후 100um filter로 filtering하여 연골 세포를 얻었다. 세포는 37℃, 5% CO2에서 연골세포배지(DMEM/F12, 10%FBS, Insulin, nonessential amino acid, penicillin, Gibco BRL products)로 2일마다 교체해주었다.
2.proliferation assay
연골조직에서 분리된 연골세포를 96-well plate에 3x10^3/ml로 seeding하고 세포가 plate에 완전히 붙은 후 1%FBS-DMEM와 실시예1의 배합조성물이 첨가된 배지로 48시간 배양한 후 cell proliferation kit(XTT, Roche)를 사용하여 세포 증식실험을 하였다.
결과를 그림1에 나타냈다.
실시예2)배지내 Glycosaminoglycan의 함량
1.bead 만들기
연골세포가 2x10^6/ml가 되게 1.5% alginate solution과 혼합한 후 102mM CaCl2solution(pH7.4)내로 주사기를 이용하여 한방울씩 떨어뜨려 chondrocyte-bead를 제작한 후 0.15M NaCl로 씻어주었다. bead는 37도, 5% CO2에서 연골배양배지(DMEM/F12, Insulin, nonessential amino acid, penicillin, Gibco BRL products)로 실험 전까지 2일마다 교체해주었다.
2. GAG assay
bead 배양액을 10% or 5%FBS가 첨가된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한 후 실시예1의 배합조성물을 첨가하여 48시간 후 배양액을 얻었다. 배양액내의 total GAG양은 bead 배양액내에 분비된 GAG를 Dimethylmethylene blue dye와 결합시킨 후 발색하여 (blyscan GAG kit, Biocolor) spectro photometer에서 656nm 파장에서 읽어 확인하였다..
결과를 그림2에 나타냈다.
실시예3) 콜라겐 합성
bead 배양액을 10% or 5%FBS가 첨가된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한 후실시예1의 배합조성물을 첨가하여 48시간 후 배양액을 얻었다. 배양액내의total collagen양은 배양액내에 분비된collagen을 Sircol red dye와 결합시킨 후 발색하여(sircol collagen assay kit,biocolor) spectro photometer에서 540nm 파장에서 읽어내어 확인하였다. 결과를 그림3에 나타냈다.
실시예4) bead내 GAG 함량
bead를 실시예1의 배합조성물과 함께 연골배양배지(DMEM/F12, 10%FBS, Insulin, nonessential amino acid, penicillin, Gibco BRLproducts)로 2주간 배양한 후 PBS로 씻어주었다. 4도에서 1%alcian blue(sigma)로 24시간 염색시킨 후 4도에서 48시간동안 4M GUHCL(guanidin hydrochloride)으로 bead내 GAG extraction하여 spectrophotometer에서 656nm 파장에서 읽어 확인하였다. 결과를 그림4에 나타냈다.
실시예5) 임상결과
병원에서 중증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통제를 복용하지 않고는 생활이 힘든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본발명에 의해 개발된 실시예1의 조성물을 1일 6그람씩 한달을 복용케 한 후 관절개선 효과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그림5에 나타내었는데,90%에 달하는 환자에게서 통증과 활동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관절염치료방법이 갖는 부작용 및 효과의 한계를 극복한 관절염 및 관절손상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관절 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히아루론산, 글루코사미노글리칸, 그리고 콜라겐 등의 생합성에 유효한 성분 및 성분을 함유한 소재를 이용하여 관절염의 근본적인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기 개발, 출시된 제품 또는 기술이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됨은 물론, 관절강내에 주사를 맞지 않으면서도 빠른시간 안에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뿐만아니라, 독성이 전혀 없는 천연의 소재로구성되었으며, 임상결과 90%에 달하는 환자군에서 통증완화 및 활동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7)

  1. 글루코사민, 글루타민, 대두추출물, 맥주효모, 사상자추출물, 원지추출물, 백하수오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2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히알루론산 생합성, 연골 또는 조골세포의 증식,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생합성 및 콜라겐의 생성 유도 및/또는 촉진 활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활성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보습 활성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안구 건조증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글루코사민, 글루타민, 대두추출물, 맥주효모, 사상자추출물, 원지추출물, 백하수오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각 성분 함량비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원지 추출분말 1%내지 50중량%, 사상자 추출분말 1 내지 50중량%, 백하수오 추출분말 1 내지 50중량%, 글루코사민 10 내지 50중량%, 맥주효모 10내지 70중량%, 글루타민 1내지 30중량%, 대두추출물 5 내지 60중량%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각 성분 함량비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원지 추출분말 1%내지 30중량%, 사상자 추출분말 1 내지 30중량%, 백하수오 추출분말 1 내지 30중량%, 글루코사민 10 내지50중량%, 맥주효모 10내지 50중량%, 글루타민 1내지 15중량%, 대두추출물 5 내지 30중량%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물 추출물은 열수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는 락토오스(Lactose), 미세결정 셀룰로오즈(Microcrystalline Cellulose), 마그네슘 스테아린산(Magnesium Stearate) 등의 기제성분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용 음료 또는 식품의 형태로서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에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제산제를 추가로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정제, 산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현탁제, 주사용 제제, 유화액, 좌약제, 비경구 투여용의 단위 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형 제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7. 제 16 항 내지 제 18 항에 있어서, 활성성분의 함량이 성인 체중 1Kg 당 250~10,000mg/일 범위로 투여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KR1020030047657A 2003-07-14 2003-07-14 관절염 치료 조성물 KR20050007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657A KR20050007996A (ko) 2003-07-14 2003-07-14 관절염 치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657A KR20050007996A (ko) 2003-07-14 2003-07-14 관절염 치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996A true KR20050007996A (ko) 2005-01-21

Family

ID=3722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657A KR20050007996A (ko) 2003-07-14 2003-07-14 관절염 치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79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053B1 (ko) * 2013-05-24 2015-04-08 김영봉 우슬, 마가목 및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 통증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20160042484A (ko) 2014-10-10 2016-04-20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퇴행성 신경계질환에 유효한 오공을 포함하는 복합약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약침
US9549958B2 (en) 2011-04-29 2017-01-2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xtracts of Cynanchum sp. and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therein in use of arthritis treatment
WO2021201503A1 (en) * 2020-04-03 2021-10-07 Medihelpline Co., Ltd. An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the treatment or alleviation of arthritis disease and the use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9958B2 (en) 2011-04-29 2017-01-2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xtracts of Cynanchum sp. and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therein in use of arthritis treatment
KR101508053B1 (ko) * 2013-05-24 2015-04-08 김영봉 우슬, 마가목 및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 통증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20160042484A (ko) 2014-10-10 2016-04-20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퇴행성 신경계질환에 유효한 오공을 포함하는 복합약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약침
WO2021201503A1 (en) * 2020-04-03 2021-10-07 Medihelpline Co., Ltd. An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the treatment or alleviation of arthritis disease and the us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38432A (ja) ヒアルロン酸蓄積促進剤
KR101073854B1 (ko)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우리딘 및 우리딘 유도체
KR20090035180A (ko) 엽산이 혼입된 대두 발효 고분자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조성물
JP4234017B2 (ja) リパーゼ阻害薬及びグルコマンナンを含む医薬組成物
JP4420358B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0595735B1 (ko) 연골 재생 및 골관절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060001877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4420357B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1092304B1 (ko)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의생합성을 촉진하는 대두추출물
CN109498659B (zh) 沙虫酶解物在制备防治骨关节炎药物或保健品中的应用
KR20050007996A (ko) 관절염 치료 조성물
KR100977475B1 (ko)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의생합성을 촉진하는 우리딘 및 우리딘 유도체
KR101023487B1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119553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抗老化剤およびしわ改善剤
KR20050047579A (ko) 혼합생약재를 이용한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
KR20190085748A (ko) 세리신, 사상자 추출물 및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20180086935A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0153B1 (ko)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477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413272B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2011126814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並びにコラーゲン産生促進およ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6861955B2 (ja) 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KR101230935B1 (ko) 경구용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CN112870250B (zh) 防治器官纤维化的组合物及其应用与制剂
KR102482128B1 (ko) 관절염 치료효과가 증가된 새로운 메틸설포닐메탄(msm)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