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386A - 디스플레이장치 및 절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절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386A
KR20050007386A KR10-2004-7017761A KR20047017761A KR20050007386A KR 20050007386 A KR20050007386 A KR 20050007386A KR 20047017761 A KR20047017761 A KR 20047017761A KR 20050007386 A KR20050007386 A KR 2005000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power
mode
power suppl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158B1 (ko
Inventor
사또시 마쯔바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절전모드에서 저전력을 소모하는 표시장치 및 절전 제어기가 개시된다. 화상표시를 수행하도록 컴퓨터본체(200)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100)는, 전력을 디스플레이(100)에 공급하는 전원부(110), 화상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20), 동기신호에 따라 전원부(110)가 온 되는 통전모드와 전원부(110)가 오프되는 절전모드 사이의 변화를 제어하는 절전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절전 제어장치{DISPLAY AND POWER-SAVING CONTROLLER}
종래, 컴퓨터 본체에 접속되어 화상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투입되고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도 컴퓨터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소비 전력이 적은 절전모드로 이행시킴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절전모드 시에도, 통상 5W∼3W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최근, 환경 보전, 자원 보호의 견지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시의 소비 전력을 1W 이하로 저감시키려는 기운이 세계적으로도 높아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사정에 의해 현상황에서는 그 실현은 어렵다.
현상황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표시 파라미터의 제어, 화면조정 기능버튼 입력신호의 검출 등, 최적 표시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을 아울러 구비한 마이크로컴퓨터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 마이크로컴퓨터를 중심으로 하는 절전 제어회로에 의해 절전모드의 제어를 행하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절전모드 시에도 마이크로컴퓨터를 중심으로 하는 절전 제어회로에의 전원 공급이 필요하고, 그 때문에 현상황에서는 최저 약 5W∼3W 정도의 전력 소비는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절전모드시의 소비 전력이 적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용되는 절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에 접속되어 화상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용되는 절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전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컴퓨터 본체에 접속되어 화상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신호에 포함되는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가 온 상태에 있는 통전모드와, 전원공급부가 오프 상태에 있는 절전모드와의 전환을 제어하는 절전제어부와,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주변 기기용의 보조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절전모드로부터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지의 여부를 상기 절전제어부를 대신하여 판정하여,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적어도 상기 절전제어부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상기 절전제어부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절전종료 판정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따르면, 절전종료 판정회로가 절전제어부를 대신하여 통전모드로의 복귀의 지시를 검출하므로, 종래 절전모드 시에도 전력을 소비하였던 절전제어부는 절전모드 시에는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절전모드 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소비 전력을 종래의 방식보다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전종료 판정회로는,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절전제어부를 상기 보조 전원에 의해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고,
상기 절전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원에 의해 온 상태로 복귀된 경우에,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절전모드로부터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지의 여부를 재차 판정하여,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고, 상기 절전모드를 계속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보조 전원에 의한 온 상태로의 복귀를 취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절전 종료 판정을 위한 회로에 엄밀한 판정 기능을 갖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단한 회로로 절전 종료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절전 제어장치는,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가 온 상태에 있는 통전모드와, 상기 전원공급부가 오프 상태에 있는 절전모드와의 전환을 제어하는 절전 제어장치로서,
상기 화상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통전모드와 상기 절전모드와의 전환을 제어하는 절전제어부와,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주변 기기용의 보조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절전모드로부터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지의 여부를 상기 절전제어부를 대신하여 판정하여,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적어도 상기 절전제어부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상기 절전제어부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절전종료 판정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전 제어장치에 따르면, 절전종료 판정회로가 절전제어부를 대신하여 통전모드로의 복귀의 지시를 검출하므로, 종래, 절전모드 시에도 전력을 소비하였던 절전제어부는 절전모드 시에는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절전 제어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모드 시의 소비 전력을 종래의 방식보다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절전 제어장치에 따르면, 절전모드 시의 소비 전력이 적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절전 제어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신호 케이블(101)에 의해 컴퓨터 본체(200)에 접속되어 화상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교류전원 케이블(102)을 통하여 교류 전원이 공급된다.
컴퓨터 본체(20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에, 조작자에 의한 지시를 컴퓨터 본체(200)에 전하기 위한 키보드(201) 및 마우스(202) 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 본체(200)에는 교류전원 케이블(203)을 통하여 교류전원이 공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컴퓨터 본체(200)에 접속되어 화상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전원공급부(110)와, 표시부(120)와, 절전제어부(130)와, 절전종료 판정회로(140)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공급부(1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고, 표시부(120)는, 컴퓨터 본체(200)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것이고, 절전제어부(130)는,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110)가 온 상태에 있는 통전모드와, 전원공급부(110)가 오프 상태에 있는 절전모드와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이고, 절전종료 판정회로(140)는, 컴퓨터 본체(200)로부터 공급되는 주변기기용의 보조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 복귀할지의 여부를 절전제어부(130)를 대신하여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절전종료 판정회로(140)는,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전원공급부(110)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절전제어부(130)를 보조 전원에 의해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고, 절전제어부(130)는, 보조 전원에 의해 온 상태로 복귀된 경우에,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 복귀할지의 여부를 재차 판정하여,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10)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고, 절전모드를 계속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보조 전원에 의한 온 상태로의 복귀를 취소하는 것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교류전원 입력용의 교류 입력단자(1), 교류전원을 온·오프 상태로 하는 전원 스위치(2),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기(6),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부에서 이용되는 각종 제어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7),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 및 주변 기기용의 보조 전원을 수취하는 VGA(Video Graphics Array) 커넥터(9), VGA 커넥터(9)를 통하여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R(적), G(녹), B(청)의 각 비디오 신호, HS(수평 동기신호), 및 VS(수직 동기신호)로 이루어지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표시부·표시 제어부(8), 화상표시의 표시모드 및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제어하는 표시모드·파라미터 설정제어부(24),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110)(도 2 참조)가 온 상태에 있는 통전모드와, 전원공급부(110)가 오프 상태에 있는 절전모드와의 전환을 제어하는 절전제어부(21), 및 절전종료 판정회로(14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기용 전원으로서 VGA 커넥터(9)로부터의 +5V 전원 공급단자가 내장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한 종류의 절전모드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또한, 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의 교류 입력단자(1), 전원스위치(2), 정류기(6), 및 전원생성부(7)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전원공급부의 일례에 상당하는 것이고, 또한 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의 표시부·표시제어부(8) 및 표시모드·파라미터 설정제어부(24)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표시부의 일례에 상당하는 것이다.
절전종료 판정회로(140)는, 제1 릴레이 mg1의 코일(3), 제2 릴레이 mg2의 b 접점(4), 제1 릴레이 mg1의 a 접점(5), 제1 플립플롭(10), 제2 릴레이 mg2의 코일(11), 제1 트랜지스터(12), 제1 AND 게이트(13), OR 게이트(14), 제2 플립플롭(15), 제2 AND 게이트(16), 제3 플립플롭(17), 제2 트랜지스터(18), 제3 릴레이 mg3의 코일(19), 제3 릴레이 mg3의 a 접점(20), 역류 방지 다이오드(22), 및 제3릴레이 mg3의 b 접점(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절전종료 판정회로(140)는, 절전제어부(130)의 소비전력보다도 적은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제1 릴레이 mg1, 제2 릴레이 mg2, 및 제3 릴레이 mg3으로서, 코일과 접점을 갖는 기계식 릴레이를 이용하고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초기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초기동작"이란, 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VGA 커넥터(9)를 통하여 컴퓨터 본체와 접속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 스위치(2)는 오프 상태대로,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투입된 경우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의미한다.
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컴퓨터 본체로부터 VGA 커넥터(9)를 통하여, R(적), G(녹), B(청)의 각 비디오 신호, HS(수평 동기신호), 및 VS(수직 동기신호)로 이루어지는 화상신호, 및 주변 기기용의 +5V의 보조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전원공급부(110)가 오프 상태에서도 절전종료 판정회로(140)는 VGA 커넥터(9)를 통하여 공급되는 보조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절전종료 판정회로(140)의 제1 플립플롭(10)은, 절전제어부(21)로부터의 *PSCL(파워 세이브 클럭)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한, 출력(Q)는 0 레벨로 유지되므로, 제1 트랜지스터(12) 및 제2 릴레이 mg2의 코일(11)은 동작하지 않고, 따라서 제2 릴레이 mg2의 b 접점(4)은 폐쇄된 상태이다. 여기서, *PSCL 신호란, 절전제어부(21)가 절전종료 판정회로(140)의 제1 플립플롭(10)에 대하여, 절전모드로의 전환의 개시를 지시하는 신호이다.
절전종료 판정회로(140)에서는, 제1 플립플롭(10)의 출력(Q)와, VGA 커넥터(9)로부터의 VS(수직 동기신호)가, 제1 AND 게이트(13)에 입력되지만, 제1 플립플롭(10)의 출력(Q)는 0 레벨이므로, 제1 AND 게이트(13)의 출력은 0 레벨로 되어, 이 출력이 제2 플립플롭(15)의 클럭 단자 CL에 입력된다. 그 때문에, 제2 플립플롭(15)의 출력(Q)는 0 레벨로 되어, 이 출력(Q)와 VGA 커넥터(9)로부터의 HS(수평 동기신호)가 제2 AND 게이트(16)에 입력되고, 그 결과 0 레벨의 출력이 제3 플립플롭(17)의 클럭단자 CL에 입력된다.
그 결과, 제3 플립플롭(17)의 출력(Q)는 0 레벨로 되므로, 제2 트랜지스터(18) 및 제3 릴레이 mg3의 코일(19)은 동작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3 릴레이 mg3의 a 접점(20)은 절단 상태로 되고, 제3 릴레이 mg3의 b 접점(23)은 접속 상태로 되므로, 절전제어부(21)는, 제3 릴레이 mg3의 b 접점(23)을 통해 전원 생성부(7)로부터 전원 공급을 공급받는 상태로 된다.
이 초기 동작에서는, 제3 플립플롭(17)으로부터 출력된 0 레벨의 절전 복귀신호(25)가 절전제어부(21)에 입력된다.
계속해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 스위치(2)가 투입되고나서 통전모드로 되기까지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전제어부(21)가, 제3 릴레이 mg3의 b 접점(23)을 통해 전원생성부(7)로부터의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는 상태에서 전원스위치(2)가 투입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릴레이 mg2의 b 접점(4)은 폐쇄되므로, 교류 입력단자(1)로부터 공급되는교류전원에 의해 제1 릴레이 mg1의 코일(3)이 동작하고, 이에 따라 제1 릴레이 mg1의 a 접점(5)이 폐쇄되고, 교류 입력단자(1)로부터의 교류전원이 정류기(6)를 통해 전원생성부(7)에 공급되어, 전원생성부(7)에서는 각종 제어 전원이 생성된다.
전원생성부(7)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전원은, 표시부·표시 제어부(8), 표시 모드·파라미터 설정 어부(24)에 공급됨과 함께, 제3 릴레이 mg3의 b 접점(23) 및 역류 방지 다이오드(22)를 통해 절전제어부(21)에 공급되어,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한 표시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여기서, 절전제어부(21)로부터 전원 온 시의 리셋신호가 송출되어, 각종 레지스터류의 세트, 리셋, 및 초기값 설정 등이 행해진다.
컴퓨터 본체(200)(도 2 참조)로부터 VGA 커넥터(9)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 R, G, B, 수평 동기신호(HS), 및 수직 동기신호(VS)가 공급되면, 절전제어부(21)는, 수평 동기신호(HS) 및 수직 동기신호(VS)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 이행할지 통전모드를 계속할지의 판정을 행하고, 또한 절전 복귀신호(25)의 레벨이,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의 복귀를 지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절전 복귀신호(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0 레벨이므로, 절전제어부(21)는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의 복귀가 아니라고 판정하여, 표시 모드를 결정하고, 표시 모드·파라미터 설정 제어부(24)를 통하여 표시부·표시 제어부(8)에 최적 표시 파라미터를 송출한다.
표시부·표시 제어부(8)에는, VGA 커넥터(9)로부터 비디오 신호, 동기신호가 공급되고 있고, 표시 모드·파라미터 설정 제어부(24)로부터 송출된 최적의 표시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표시부·표시 제어부(8)는 화상표시를 행한다.
계속해서, 통전모드로부터 절전모드로의 전환시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컴퓨터 본체(200)(도 2 참조)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상 컴퓨터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 컴퓨터 본체(200)로부터의 수평 동기신호, 수직 동기신호의 쌍방의 신호 송출을 정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도 2 참조)에 대하여 통전모드로부터 절전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본체(200)로부터의 절전모드로의 전환의 지시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쌍방의 신호 송출의 정지에 의한 것으로 한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동기신호 또는 수직 동기신호 중 어느 한 쪽의 신호 송출의 정지에 의해 절전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에는, 컴퓨터 본체로부터 절전모드로의 전환의 지시를 받으면, 디스플레이장치측에서는 전원공급부로부터 표시부·표시 제어부에의 전원공급은 정지시키지만, 전원공급부는 온 상태에서 정류기, 전원 생성부를 통해 표시 모드·파라미터 설정 제어부나 절전제어부에 전원을 계속 공급한다. 그 상태에서, 수평 동기신호·수직 동기신호의 검출 동작으로 들어가, 컴퓨터 본체로부터 통전모드로의 복귀의 지시가 전송되어 오는 것을 대기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절전제어부(21)는, 컴퓨터 본체(100)로부터의 수평 동기신호·수직 동기신호의 공급이 정지한 것을 검출하면, 컴퓨터 본체로부터 절전모드로의 전환의 지시를 받은 것으로 판정하여, *PSCL 신호를 절전종료 판정회로(140)의 제1 플립플롭(10)의 세트단자(S)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제1 플립플롭(10)의 출력(Q)는 1 레벨로 변화하고, 그 결과 제1 트랜지스터(12)는 온 상태로 되고, 제2 릴레이 mg2의 코일(11)이 동작 상태로 됨으로써 제2 릴레이 mg2의 b 접점(4)이 개방된다.
그 결과, 제1 릴레이 mg1의 코일(3)이 비동작 상태로 되고, 제1 릴레이 mg1의 a 접점(5)이 개방되어 정류기(6) 이후의 회로에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절전모드로 이행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제로로 된다.
여기서, 제1 플립플롭(10)의 출력(Q)는 1 레벨로 되므로, 제1 AND 게이트(13)는, 컴퓨터 본체로부터 VGA 커넥터(9)를 통하여 수직 동기신호(VS)가 전송되어 온 경우에, 그 수직 동기신호(VS)를 통과시켜 제2 플립플롭(15)의 클럭 단자 CL에 입력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의 복귀의 지시가 컴퓨터 본체로부터 오지 않는 한 상기의 상태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의 복귀 시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컴퓨터 본체(200)(도 2 참조)가, 어떠한 이벤트, 예를 들면 키보드에 의한 입력 조작이나 마우스에 의한 포인팅 조작 등을 검출하면, 컴퓨터 본체(200)로부터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쌍방을 송출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하여,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의 복귀를 지시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에는, 절전제어부가 컴퓨터 본체로부터의 통전모드로의 복귀의 지시를 검출하면,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의 복귀라고 판정하여, 통전모드로의 복귀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절전제어부(21)에는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VGA 커넥터(9)에 수평 동기신호(HS), 수직 동기신호(VS)가 입력되어도, 절전제어부(21)는 동작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절전종료 판정회로(140)가,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의 복귀인지의 여부를 절전제어부(21)를 대신하여 판정하여, 통전모드로의 복귀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절전제어부(21)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VGA 커넥터(9)에 컴퓨터 본체로부터의 수평 동기신호(HS), 수직 동기신호(VS)가 입력되면, 이 때의 제1 플립플롭(10)의 출력(Q)는 1 레벨로 유지되므로, 절전종료 판정회로(140)의 제1 AND 게이트(13)는 수직 동기신호(VS)를 통과시켜, 제2 플립플롭(15)의 클럭 단자 CL에 출력한다. 그 결과, 제2 플립플롭(15)의 출력(Q)는 1 레벨로 변화하여, 제2 AND 게이트(16)에 입력된다. 제2 AND 게이트(16)에는 수평 동기신호(HS)도 입력되어 있으므로, 제2 AND 게이트(16)의 출력은 제3 플립플롭(17)의 클럭단자 CL에 입력되어, 제3 플립플롭(17)의 출력(Q)을 1 레벨로 변화시킨다. 제3 플립플롭(17)의 출력(Q)에 의해 제2 트랜지스터(18)가 온으로 되고, 제3 릴레이 mg3의 코일(19)이 동작 상태로 되어 제3 릴레이 mg3의 b 접점(23)이 개방되고, 제3 릴레이 mg3의 a 접점(20)을 폐쇄한다. 여기서, 제3 플립플롭(17)의 출력(Q)는 절전 복귀신호(25)로서 절전제어부(21)에도 입력되어 있고, 후술하는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의 복귀 시에 판정신호로서 이용된다.
이렇게 해서, 제3 릴레이 mg3의 a 접점(20)이 폐쇄된 것에 의해, 절전제어부(21)에는, 컴퓨터 본체로부터 VGA 커넥터(9)를 통하여 +5V의 보조 전원이 공급되어, 절전제어부(21)는 온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제3 릴레이 mg3의 b 접점(23)이 개방된 것과, 역류 방지 다이오드(22)의 존재에 의해, +5V의 보조 전원은 절전제어부(21)에만 공급된다.
즉,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절전종료 판정회로(140)는, 통전모드로의 복귀라고 판정한 경우에, 전원공급부(110)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보조 전원에 의해 절전제어부(21)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절전제어부(21)는, 보조 전원에 의해 온 상태로 복귀된 경우에,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 복귀할지의 여부를 재차 판정하여,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10)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고, 절전모드를 계속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보조 전원에 의한 온 상태로의 복귀를 취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절전제어부(21)는, 제2 플립플롭(15), 제3 플립플롭(17)으로 구성되는 절전종료 판정회로(140)에 의한 판정이 옳은 판정이 아닌 경우에, 절전종료 판정회로(140)를 리셋하여 절전제어부(21)의 온 상태로의 복귀를 취소하기 위한 *REPS(리셋 파워 세이브)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3 플립플롭(17)의 출력(Q)가 1 레벨이라도, 절전제어부(21)에 의해 수평 동기신호·수직 동기신호를 검출한 후, 소정의 기간, 일정 레벨의 수평 동기신호·수직 동기신호가 안정적으로 공급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절전제어부(21)는 *REPS 신호를 송출한다. *REPS 신호를 받은 절전종료 판정회로(140)에서는, OR 게이트(14)의 출력에 의해 제2 플립플롭(15) 및 제3 플립플롭(17)이 리셋되고, 제2 트랜지스터(18)가 오프로 되고, 제3 릴레이 mg3의 코일(19)이 비동작 상태로 되어, 제3 릴레이 mg3의 b 접점(23)이 폐쇄되고, 제3 릴레이 mg3의 a 접점(20)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절전제어부(21)의 온 상태로의 복귀는 취소된다.
한편, 절전제어부(21)는, 수평 동기신호·수직 동기신호가 소정의 기간, 안정적으로 공급되면,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의 완전한 복귀를 행해야 된다고 판정하여, 절전모드의 종료를 의미하는 *PSEND 신호를 절전종료 판정회로(140)로 송출한다.
*PSEND 신호가 제1 플립플롭(10)의 리셋단자(R)에 입력되면, 제1 플립플롭(10)의 출력(Q)는 0 레벨로 되며, 그 결과 제1 트랜지스터(12)는 오프 상태로 되고, 제2 릴레이 mg2의 코일(11)은 비동작 상태로 됨으로써 제2 릴레이 mg2의 b 접점(4)이 폐쇄되고, 제1 릴레이 mg1의 a 접점(5)이 폐쇄되어 통전모드로 되며, 정류기(6)를 통해 교류전원이 전원생성부(7)에 공급되어, 전원생성부(7)에서는 각종 제어전원이 생성된다.
이 제어전원은, 표시부·표시제어부(8), 표시 모드·파라미터 설정 제어부(24), 제3 릴레이 mg3의 b 접점(23), 및 역류방지 다이오드(22)를 통해 절전제어부(21)에 공급되어,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한 표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절전제어부(21)로부터 전원 온 시의 리셋신호가 송출되어, 레지스터류의 세트, 리셋, 및 초기값의 설정이 행해진다.
*PSEND 신호는 또한, OR 게이트(14)를 통해 제3 플립플롭(17)의 리셋단자(R)에 입력되어, 제3 플립플롭(17)의 출력(Q)는 0 레벨로 된다. 그 결과, 제2 트랜지스터(18)가 오프 상태로 되고, 제3 릴레이 mg3의 코일(19)이 비동작 상태로 되어 제3 릴레이 mg3의 b 접점(23)이 폐쇄되고, 제3 릴레이 mg3의 a 접점(20)은 개방된다. 그 결과, 컴퓨터 본체로부터 VGA 커넥터(9)를 통한 절전제어부(21)에의 +5V의 보조전원의 공급은 차단된다.
이렇게 해서, 다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의한 화상표시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절전종료 판정회로(140)가 절전제어부(21)를 대신하여 통전모드로의 복귀의 지시를 검출하므로, 절전모드 시에는 절전제어부(21)에의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절전모드 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소비전력은 종래의 방식보다도 대폭 감소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절전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절전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절전 제어장치(330)는, 컴퓨터 본체(200)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표시부(320)와, 표시부(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10)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의, 절전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절전제어부(340)와, 절전종료 판정회로(350)를 구비하고 있다.
절전제어부(340)는,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310)가 온 상태에 있는 통전모드와, 전원공급부(310)가 오프 상태에 있는 절전모드와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이고, 절전종료 판정회로(350)는, 컴퓨터 본체(200)로부터 공급되는 주변 기기용의 보조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어,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 복귀할지의 여부를 절전제어부(340)를 대신하여 판정하여,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적어도 절전제어부(340)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이 절전종료 판정회로(350)는, 절전제어부(340)보다도 적은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절전제어부(340) 및 절전종료 판정회로(35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의 절전제어부(130) 및 절전종료 판정회로(14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절전종료 판정회로를 구동하는 컴퓨터 본체로부터의 주변 기기용의 보조전원으로서, VGA 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보조전원의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USB 커넥터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커넥터 등의 인터페이스로부터 보조전원을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제1 릴레이 mg1, 제2 릴레이 mg2, 및 제3 릴레이 mg3으로서, 코일과 접점을 갖는 기계식 릴레이를 이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기계식 릴레이를 이용하는 대신에, 사이리스터, 포토커플러 등의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해도 된다. 제1 플립플롭(10), 제3 플립플롭(17)의 출력(Q)는 TTL 논리 출력으로서, 반도체 스위치의 제어단자를 직접, 또는 레벨변환에 의해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 플립플롭(10), 제3 플립플롭(17)으로부터의 TTL 논리 출력을 이용하여 정류기(6)를 직접 온·오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절전종료 판정회로는, 절전모드로부터 통전모드로 복귀할 때에, 절전제어부만을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장치 전체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Claims (3)

  1. 컴퓨터 본체에 접속되어 화상표시를 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신호에 포함되는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가 온 상태에 있는 통전모드와, 해당 전원공급부가 오프 상태에 있는 절전모드와의 전환을 제어하는 절전제어부와,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주변 기기용의 보조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절전모드로부터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적어도 상기 절전제어부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해당 절전제어부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절전종료 판정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종료 판정회로는,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절전제어부를 상기 보조 전원에 의해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고,
    상기 절전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원에 의해서 온 상태로 복귀된 경우에,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절전모드로부터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지의 여부를 재차 판정하여,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고, 상기 절전모드를 계속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해당 보조 전원에 의한 온 상태로의 복귀를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가 온 상태에 있는 통전모드와, 상기 전원공급부가 오프 상태에 있는 절전모드와의 전환을 제어하는 절전 제어장치로서,
    상기 화상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통전모드와 상기 절전모드와의 전환을 제어하는 절전제어부와,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주변 기기용의 보조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절전모드로부터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지의 여부를 상기 절전제어부를 대신하여 판정하여, 상기 통전모드로 복귀할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적어도 상기 절전제어부를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상기 절전제어부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절전종료 판정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 제어장치.
KR1020047017761A 2002-06-25 2002-06-25 디스플레이장치 및 절전 제어장치 KR100561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6360 WO2004001716A1 (ja) 2002-06-25 2002-06-25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節電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386A true KR20050007386A (ko) 2005-01-17
KR100561158B1 KR100561158B1 (ko) 2006-03-15

Family

ID=2980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761A KR100561158B1 (ko) 2002-06-25 2002-06-25 디스플레이장치 및 절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22250B2 (ko)
EP (1) EP1517294A4 (ko)
JP (1) JP3983763B2 (ko)
KR (1) KR100561158B1 (ko)
CN (1) CN100367344C (ko)
WO (1) WO2004001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3981A (en) 1998-06-24 2000-11-07 Amkor Technology, Inc. Plastic integrated circuit package and method and leadframe for making the package
JP2005049651A (ja) * 2003-07-29 2005-02-24 Iiyama Corp 表示装置
CN100410672C (zh) * 2004-06-16 2008-08-13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信号输出装置及其操作方法
KR100636508B1 (ko) * 2004-11-11 2006-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차지펌프 회로와 이를 이용한 직류 변환장치
TWI249350B (en) * 2004-12-30 2006-02-11 Tatung Co Ltd Control circuit and method thereof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display device
US7633560B1 (en) * 2005-08-30 2009-12-15 American Megatrends,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terminating a video signal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erminating device
WO2007043264A1 (ja) * 2005-10-14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
KR101416250B1 (ko) * 2007-10-09 2014-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202007018449U1 (de) * 2007-11-02 2008-10-02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Elektronisches Gerät, Computer und Anordnung
CN101436040B (zh) * 2007-11-14 2011-09-1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省电功能的投影设备及其控制电路与方法
CN101551988B (zh) * 2008-03-31 2011-09-21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器在dpms模式运作的方法
CN101571743B (zh) * 2008-04-30 2012-01-25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主板与其显卡的电源管理方法
CN101685603B (zh) * 2008-09-24 2011-06-22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极低耗电显示控制电路与相关方法
KR20100035428A (ko) * 2008-09-26 2010-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10194811A (ja) * 2009-02-24 2010-09-09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用コントローラーおよび印刷装置
TWI455087B (zh) * 2009-11-03 2014-10-01 Mstar Semiconductor Inc 低耗電顯示控制方法與相關顯示控制器
CN102054462B (zh) * 2009-11-05 2013-08-14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低耗电显示控制方法与相关显示控制器
KR101175674B1 (ko) * 2010-01-12 2012-08-22 김창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20120015890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134314B2 (en) * 2011-11-30 2018-11-20 Intel Corporation Reducing power for 3D workloads
CN102946503A (zh) * 2012-10-26 2013-02-27 合肥移瑞通信技术有限公司 模拟摄像头输出单场vga数字视频数据实现方法
JP6110122B2 (ja) * 2012-12-07 2017-04-05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集積回路装置、パネル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ドライバ
CN104348631B (zh) * 2013-07-26 2018-09-18 明泰科技股份有限公司 受电装置、供电系统与操作模式的选择方法
CN106569572B (zh) * 2015-10-09 2019-11-22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主板及具有该主板的电脑控制系统
KR102152254B1 (ko) * 2018-07-05 2020-09-04 지인철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216B1 (ko) * 1993-03-31 1995-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절약장치
JPH07306665A (ja) 1994-05-16 1995-11-21 Hitachi Ltd 表示装置用簡易形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方式
KR970003439B1 (ko) * 1994-05-19 1997-03-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전원 제어회로
KR100234423B1 (ko) * 1995-12-05 1999-12-15 윤종용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21252B1 (ko) * 1997-06-16 200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출력상태 제어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11282445A (ja) 1998-03-31 1999-10-15 Nec Home Electron Ltd 表示装置
JPH11296265A (ja) * 1998-04-15 1999-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スイッチ監視回路
JP4215333B2 (ja) 1999-02-26 2009-01-28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のオフモードからの復帰方法
US6191504B1 (en) * 1999-09-22 2001-02-20 Sony Corporation Of Japan System and method for reduced standby power consumption in a display device
US7000127B2 (en) * 2002-04-30 2006-02-14 Dell Products L.P. Power saving circuit for display system
US7031463B2 (en) * 2003-02-14 2006-04-18 Arris International, Inc. Resistive feed rail generation in a power supply
JP2005018740A (ja) * 2003-06-23 2005-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電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158B1 (ko) 2006-03-15
EP1517294A1 (en) 2005-03-23
CN100367344C (zh) 2008-02-06
JPWO2004001716A1 (ja) 2005-10-27
WO2004001716A1 (ja) 2003-12-31
US20050086552A1 (en) 2005-04-21
US7222250B2 (en) 2007-05-22
CN1628336A (zh) 2005-06-15
JP3983763B2 (ja) 2007-09-26
EP1517294A4 (en)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15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절전 제어장치
US6005559A (en) Display apparatus with a power conserving display
US7490253B2 (en) Display device with power saving mode based on detected illuminance
KR19980044732A (ko)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dpms 모드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2010003542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4163732B2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7719528B2 (en) Portable compu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755842B1 (ko)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와,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0303484B1 (ko) 전원 절전회로
KR100357145B1 (ko) 컴퓨터 시스템의 디피엠/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0075534A (ko)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KR100296351B1 (ko) 모니터전원유무에따른pc하이버네이션장치및방법
KR100195619B1 (ko) 컴퓨터 영상표시장치의 전원관리모드 전환방법
KR19990069472A (ko) 유에스비 보드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약회로 및 절약방법
KR100195618B1 (ko) 컴퓨터 영상표시장치의 전원관리모드 전환방법
KR20000002552U (ko) 모니터 전원 제어 회로
KR200172522Y1 (ko)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디피엠에스 모드 표시장치
KR19990055731A (ko) 모니터 자체 절전모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83620A (ko) 모니터의 절전장치
KR20010038875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절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9980036412A (ko) 외부센서를 이용한 dpms 구동장치
KR970008513B1 (ko) X 터미널의 절전장치
KR19980022758U (ko) 절전형 모니터
KR20050115527A (ko) 모니터 전원스위치를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61769A (ko) 모니터의 전원 절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