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254B1 -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254B1
KR102152254B1 KR1020180078423A KR20180078423A KR102152254B1 KR 102152254 B1 KR102152254 B1 KR 102152254B1 KR 1020180078423 A KR1020180078423 A KR 1020180078423A KR 20180078423 A KR20180078423 A KR 20180078423A KR 102152254 B1 KR102152254 B1 KR 102152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power
saving mode
sig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132A (ko
Inventor
지인철
정우빈
Original Assignee
지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인철 filed Critical 지인철
Priority to KR1020180078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입력장치(키보드/마우스)와 컴퓨터 본체(PC) 및 전원 키(Power Key)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자체적으로 최적의 절전을 구현하도록 한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장치 및 PC 본체와 연동하여 입력신호 및 절전 모드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USB 허브, USB 허브를 통해 입력장치의 입력신호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PC 본체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를 수신하며, 입력장치의 입력신호 유무와 PC 본체의 절전 모드 신호 및 전원 키(Power Key)를 조합하여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USB 호스트(Host) 및 USB 호스트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를 모니터에 구비시켜, 모니터 독립적으로 절전을 구현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Control apparatus for power-saving i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장치(키보드/마우스)와 컴퓨터 본체(PC) 및 전원 키(Power Key)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자체적으로 최적의 절전을 구현하도록 한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톱 컴퓨터와 휴대용 컴퓨터 등의 컴퓨터에는 사용 시 연산 등을 수행하는 본체와 연산 결과 등을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모니터가 한 쌍으로 결합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컴퓨터는 현재 업무를 하는 회사는 물론 식당이나 가정에서도 적게는 한대에서 많게는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현재 가정이나 회사에서 컴퓨터 1대 없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할 정도로 컴퓨터는 이미 대중화되어있다.
컴퓨터는 사용자의 전원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는 데, 사용자는 사용시마다 컴퓨터의 전원을 켜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오프하는 것이 번거로워 사용 여부와는 무관하게 하루종일 컴퓨터를 켜놓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력 낭비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 컴퓨터에서는 절전 모드를 구비하고, 키보드 입력 등을 검출하여, 일정시간 동안 키보드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절전 기능을 수행하여 전력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다른 절전 방법으로서 조도 센서나 인체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조도 량이나 인체감지 유무에 따라 절전을 제어하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절전을 위한 별도의 기능을 설정하고, 절전을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컴퓨터 절전에 대한 종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본체로부터 모니터에 출력되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신호와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예를 들어, SMPS)의 신호출력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정확하게 오프 모드(off mode)를 감지하고, 오프 모드 감지 시 모든 신호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최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통신부, 절전정책정보에 따라 절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어부, 기준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절전 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고, 컴퓨터는 절전 모드 동작을 관리하는 절전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절전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모니터와 컴퓨터 시스템이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 명령 인터페이스(DDC-CI)를 통해서 서로 SCL(Serial Clock)과 SDA(Serial Data Line) 신호를 주고받아, 상기 모니터의 전력 오프에 따라 절전 모드 조작 이벤트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절전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해제에 따라 절전 모드 해제 이벤트로 모니터를 절전 해제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3089호(2016.05.2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84057호(2012.07.2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30212호(2013.11.11. 등록)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 및 종래기술은 컴퓨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인 모니터의 절전을 제어하는 것이고, 디스플레이 자체적으로 본체와는 무관하게 절전을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언급한 <특허문헌 1> 은 모니터 자체적으로 절전 구현은 가능하나, 본체로부터 모니터에 인가되는 신호만을 이용하므로, 본체로부터 모니터에 동일한 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모니터에서 본체 비사용으로 감지하여 자체 절전 구현이 불가능하여, 최적의 모니터 절전 구현이라고 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은 센서 설치에 따른 추가 비용이 소요되고, 절전을 위한 별도의 기능을 설정하는 방식은 기능 설정을 위해 사용자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입력장치(키보드/마우스)와 컴퓨터 본체(PC) 및 전원 키(Power Key)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자체적으로 최적의 절전을 구현하도록 한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는 입력장치 및 PC 본체와 연동하여 입력신호 및 절전 모드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USB 허브; 상기 USB 허브를 통해 입력장치의 입력신호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PC 본체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를 수신하며, 입력장치의 입력신호 유무와 PC 본체의 절전 모드 신호 및 전원 키(Power Key)를 조합하여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USB 호스트(Host); 및 상기 USB 호스트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SB 호스트는 입력장치와 연동하여 입력신호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PC 본체와 연동하여 PC 본체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키보드/마우스 감지부; 상기 키보드/마우스 감지부에서 감지한 입력신호 유무와 PC 본체의 절전 모드 신호 및 전원 키(Power Key)를 조합하여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절전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장치는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보드/마우스 감지부는 입력장치의 입력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키보드의 입력이 존재하거나 마우스의 일정 부분 이상의 움직임과 지속적인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절전 해제 신호를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키보드의 입력이 존재하지 않고 마우스의 일정 부분 이하의 움직임이나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적인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절전 신호를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방법은 (a) 절전 모드 제어부에서 전원 키의 신호를 감지하여 오프 모드(off mode)가 감지되면 오프 모드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b)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에서 PC 본체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하여, PC 본체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면 절전 모드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c)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에서 입력장치의 신호 존재 유무를 검출하여,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으면 절전 모드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d)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에서 절전 모드 실행 시 전원 키가 온 상태로 조작되거나 PC 본체로부터 절전 해제 신호가 발생하거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입력장치의 입력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키보드의 입력이 존재하지 않고 마우스가 일정 부분 이하로 움직이고 지속적인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으면 절전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장치(키보드/마우스)와 컴퓨터 본체(PC) 및 전원 키(Power Key)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자체적으로 최적의 절전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PC 본체(100), 디스플레이 장치인 모니터(200), 입력장치(300) 및 전원 키(Power Key)(40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장치(300)는 컴퓨터 사용자가 조작하는 장치로서, 키보드(310)와 마우스(320)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200)는 상기 PC 본체(100)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니터(200)는 입력장치(300) 및 PC 본체(100)와 연동하여 입력신호 및 절전 모드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USB 허브(Hub)(250), 상기 USB 허브(250)를 통해 입력장치(300)의 입력신호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PC 본체(100)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를 수신하며, 입력장치(300)의 입력신호 유무와 PC 본체(100)의 절전 모드 신호 및 전원 키(Power Key)를 조합하여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USB 호스트(Host)(260), 상기 USB 호스트(26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USB 호스트(260)는 상기 USB 허브(250)를 통해 입력신호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PC 본체(100)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키보드/마우스 감지부(210), 상기 키보드/마우스 감지부(210)에서 감지한 입력신호 유무와 PC 본체(100)의 절전 모드 신호 및 전원 키(Power Key)(400) 신호를 조합하여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절전 모드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니터(200)와 PC 본체(100)와 입력장치(300) 및 전원 키(400)를 연결한다. 통상, 컴퓨터 시스템에서 PC 본체(100)는 모니터(200)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이 되며, 전원 키(400)는 모니터(200)에 자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입력장치(300)는 PC 본체(100)와 연결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PC 본체(100)와 모니터(200)에 동시에 입력장치(300)가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이 모니터(200)와 PC 본체(100) 및 입력장치(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모니터(200) 내의 USB 허브(250)는 PC 본체(100)로부터 USB 절전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USB 호스트(260)에 전달한다.
상기 USB 호스트(260) 내의 키보드/마우스 감지부(210)는 상기 USB 허브(250)를 통해 절전 모드 신호가 수신되면, 절전 모드 제어부(220)에 이를 전달한다.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절전 모드 신호에 따라 전원 제어부(230)에 전원 차단을 위한 전원 차단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230)는 전원 차단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2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PC 본체(100)와 연동하여 모니터(200) 자체적으로 절전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키보드/마우스 감지부(210)는 PC 본체(100)를 통해 전달되는 USB 절전 모드 신호도 감지하지만, 이와 동시에 입력장치(300)의 입력신호 존재 유무도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즉, 상기 USB 허브(250)를 통해 상기 입력장치(300)의 입력 유무를 감지하는 도중에 입력장치(300)의 키보드(310)로부터 키 입력이 감지되거나, 마우스(320)의 움직임이 일정 부분 이상감지되거나 지속적으로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마우스 조작 신호가 발생하면, 절전 해제 신호를 절전 모드 제어부(220)에 전달한다.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절전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즉시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전원 제어부(230)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부(240) 및 기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300)의 입력 유무를 감지하는 도중에 입력장치(300)의 키보드(310)로부터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고, 마우스(320)의 움직임이 일정 부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PC 본체(100)로부터 USB 절전 모드 신호가 도래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절전 신호를 발생하여 절전 모드 제어부(220)에 전달한다. 상기 마우스(320)의 움직임이 일정 부분 이상 감지되지 않을 때는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일정 부분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절전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마우스(320)의 움직임을 감지할 때 일정 부분 이상의 움직임과 지속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는 이유는, 키보드/마우스에 의해 절전 모드에서 매우 미세한 마우스(320)의 움직임에도 절전 모드가 해제되어 절전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 부분 이상의 움직임과 지속적인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절전 신호가 발생하면, 전원 제어부(230)에 전원 차단을 위한 전원 차단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230)는 전원 차단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2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PC 본체(100)와 연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모니터(200) 자체적으로 절전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모니터(200)는 상기 PC 본체(100) 및 입력장치(300)와 연동하여 절전 모드 제어를 수행하는 것과 무관하게, 전원 키(400)의 조작에 따라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전원 키(400)가 오프(off)로 조작되면,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즉시 전원 차단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원을 차단한다.
아울러 모니터(200)는 상기 PC 본체(100) 및 입력장치(300)와 연동하여 절전 모드 제어를 수행하는 것과 무관하게, 전원 키(400)가 온(on) 상태로 조작되면,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즉시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230)에서 오프 모드 뿐만 아니라 절전 모드에서도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모니터(200)는 절전 동작 시 0.1W 미만의 전력만을 소비하게 되므로, 모니터(200) 자체적으로 초절전 구현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모니터(200)의 절전 모드 제어부(220)에서 전원 키(400)의 신호를 감지하여 오프 모드(off mode)가 감지되면 오프 모드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01, S102, S109), (b)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220)에서 PC 본체(100)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하여, PC 본체(100)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면 절전 모드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03, S104, S109), (c)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220)에서 입력장치(300)의 신호 존재 유무를 검출하여,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으면 절전 모드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05, S106, S109), (d)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220)에서 절전 모드 실행 시 전원 키(400)가 온 상태로 조작되거나 PC 본체(100)로부터 절전 해제 신호가 발생하거나 입력장치(300)를 통해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07, S10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니터(200)와 PC 본체(100)와 입력장치(300) 및 전원 키(400)가 연결된 상태에서, 단계 S101에서 모니터(200) 내의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키보드/마우스 감지부(210)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 또는 절전 해제 신호가 발생하는지, 전원 키(400)에 의해 오프 모드가 요청되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전원 키(400)가 오프(off)로 조작되면, 단계 S102에서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즉시 전원 차단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전원 차단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전원 제어부(230)는 단계 S109에서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전원 키(400)가 오프로 동작되지 않고 온 상태이면, 단계 S103으로 이동하여 PC 본체(100)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검출한다. 상기 절전 모드 신호를 검출한 결과, PC 본체(100)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면, 단계 S104로 이동하여,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즉시 전원 차단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전원 차단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전원 제어부(230)는 단계 S109에서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원을 차단한다. 즉, PC 본체(100)와 연동하여 모니터(200) 자체적으로 절전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상기 단계 S103의 절전 모드 신호를 검출한 결과 PC 본체(100)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계 S105로 이동하여 키보드/마우스 감지부(210)를 이용하여 입력장치(300)의 입력신호 존재 유무도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상기 입력장치(300)의 입력 유무를 감지하는 도중에 입력장치(300)의 키보드(310)로부터 키 입력이 감지되거나, 마우스(320)의 움직임이 일정 부분 이상감지되거나 지속적으로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마우스 조작 신호가 발생하면, 단계 S107로 이동하여 정상 모드로 판단하고, 전원 제어부(230)에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단계 S108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부(240) 및 기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절전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300)의 입력 유무를 감지하는 도중에 입력장치(300)의 키보드(310)로부터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고, 마우스(320)의 움직임이 일정 부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PC 본체(100)로부터 USB 절전 모드 신호가 도래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절전 신호를 발생하여 절전 모드 제어부(220)에 전달한다. 상기 마우스(320)의 움직임이 일정 부분 이상 감지되지 않을 때는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일정 부분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절전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마우스(320)의 움직임을 감지할 때 일정 부분 이상의 움직임과 지속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는 이유는, 키보드/마우스에 의해 절전 모드에서 매우 미세한 마우스(320)의 움직임에도 절전 모드가 해제되어 절전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 부분 이상의 움직임과 지속적인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절전 신호가 발생하면, 단계 S106으로 이동하여 전원 제어부(230)에 전원 차단을 위한 전원 차단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230)는 전원 차단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109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PC 본체(100)와 연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모니터(200) 자체적으로 절전을 구현하게 된다.
아울러 모니터(200)는 상기 PC 본체(100) 및 입력장치(300)와 연동하여 절전 모드 제어를 수행하는 것과 무관하게, 전원 키(400)가 온(on) 상태로 조작되면, 절전 모드 제어부(220)는 즉시 전원 공급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원을 공급하여 정상 상태로 복귀를 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230)에서 오프 모드 뿐만 아니라 절전 모드에서도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모니터(200)는 절전 동작 시 0.1W 미만의 전력만을 소비하게 되므로, 모니터(200) 자체적으로 초절전 구현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모니터) 자체적으로 절전을 구현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0: PC 본체
200: 모니터
210: 키보드/마우스 감지부
220: 절전 모드 제어부
230: 전원 제어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USB 허브(Hub)
260: USB 호스트
300: 입력장치
310: 키보드
320: 마우스
400: 전원 키(Power Key)

Claims (6)

  1. PC 본체와 모니터인 디스플레이기로 이루어진 컴퓨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기가 독립적으로 절전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모니터는,
    입력장치 및 PC 본체와 연동하여 입력신호 및 절전 모드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USB 허브;
    상기 USB 허브를 통해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어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어느 하나의 입력장치의 입력신호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PC 본체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를 수신하며, 입력장치의 입력신호 유무와 PC 본체의 절전 모드 신호 및 전원 키(Power Key)를 조합하여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USB 호스트(Host); 및
    상기 USB 호스트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상기 USB 호스트는 입력장치의 입력신호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PC 본체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키보드/마우스 감지부; 상기 키보드/마우스 감지부에서 감지한 입력신호 유무와 PC 본체의 절전 모드 신호 및 전원 키(Power Key)를 조합하여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절전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5. PC 본체와 모니터인 디스플레이기로 이루어진 컴퓨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기가 독립적으로 절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모니터 내의 절전 모드 제어부에서 전원 키의 신호를 감지하여 오프 모드(off mode)가 감지되면 오프 모드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b)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에서 PC 본체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하여, PC 본체로부터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면 절전 모드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c)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에서 컴퓨터 본체에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어느 하나의 입력장치의 신호 존재 유무를 검출하여, 입력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으면 절전 모드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전 모드 제어부에서 절전 모드 실행 시 전원 키가 온 상태로 조작되거나 PC 본체로부터 절전 해제 신호가 발생하거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방법.
  6. 삭제
KR1020180078423A 2018-07-05 2018-07-05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15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423A KR102152254B1 (ko) 2018-07-05 2018-07-05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423A KR102152254B1 (ko) 2018-07-05 2018-07-05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132A KR20200005132A (ko) 2020-01-15
KR102152254B1 true KR102152254B1 (ko) 2020-09-04

Family

ID=6915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423A KR102152254B1 (ko) 2018-07-05 2018-07-05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722B1 (ko) * 2022-04-11 2022-10-12 (주)주연테크 모니터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740A (ja) * 2001-10-04 2003-04-18 Nec Corp ハブの電源制御方式および方法
KR100794832B1 (ko) * 2006-05-02 2008-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668B1 (ko) * 1997-11-29 2001-03-02 전주범 Usb 모니터에 있어서 usb 구동전원 공급장치
KR100561158B1 (ko) * 2002-06-25 2006-03-1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디스플레이장치 및 절전 제어장치
KR101565616B1 (ko) * 2009-05-25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절전 방법
KR20120084057A (ko) 2011-01-19 2012-07-27 주식회사 영우씨엔아이 컴퓨터 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30212B1 (ko) 2012-12-27 2013-11-20 (주)대우루컴즈 모니터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3089B1 (ko) 2016-02-17 2016-05-20 주식회사주연테크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740A (ja) * 2001-10-04 2003-04-18 Nec Corp ハブの電源制御方式および方法
KR100794832B1 (ko) * 2006-05-02 2008-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132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936B1 (ko)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US9703349B2 (en) PC power monitoring
KR102187120B1 (ko) Pc 시스템의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17638B1 (ko)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방법
EA011564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апряжения питания элементов компьютерной системы в режиме ожидания
JPH11184577A (ja) 低電力消費モニタ待機システム
US20100185884A1 (en) Standby power saving system and computer power-on and power-off method thereof
JP4819353B2 (ja) 表示装置
KR102142086B1 (ko) 컴퓨터 연동을 통한 모니터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1256440A (zh) 计算机、遥控系统、计算机控制方法以及遥控方法
US6275947B1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to wake up or turn on computer via peripheral device
KR102152254B1 (ko)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7282A (ko) 컴퓨터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633297B1 (ko) 전자 디바이스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KR101833992B1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KR100743296B1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36873B1 (ko)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방법
US998365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power supply control unit control a supply state of a power sour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472887B1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5197310B2 (ja) 座標入力装置
JP2005267645A (ja) 無線マウス
KR100394005B1 (ko) 모니터의 전력 제어 방법
KR200263459Y1 (ko) 인터넷 및 컴퓨터 활용에 따른 소비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774715B1 (ko) 능동형 절전 제어 전원공급장치
KR101826184B1 (ko) 대기전력 절감기능을 갖는 대기전력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