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133A - 다방향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133A
KR20050007133A KR1020040051620A KR20040051620A KR20050007133A KR 20050007133 A KR20050007133 A KR 20050007133A KR 1020040051620 A KR1020040051620 A KR 1020040051620A KR 20040051620 A KR20040051620 A KR 20040051620A KR 20050007133 A KR20050007133 A KR 20050007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witch
movable contact
operating bod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914B1 (ko
Inventor
사사끼모또나리
오오바히로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7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7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push or pull action on the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 H01H2205/024Means to facilitate positioning
    • H01H2205/028Protuberances on substrate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다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이 가능하여 검출 방향의 분해능력을 많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는, 제 1 가압에 의해 클릭감을 수반하여 제 1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스위치 (3, 5) 와, 더 많이 눌리는 제 2 가압에 의해 클릭감을 수반하여 제 2 신호를 송출하는 제 2 스위치 (4, 6) 로 이루어지고, 조작체 (8) 가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 경사전도 방향에 대응한 제 1 접점부 (11) 및 제 2 점접부 (9b) 가 접촉하여 경사전도 방향의 신호를 송출하는 동시에 조작체 (8) 의 요동축 (8b) 의 하면이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1 스위치 (3, 5) 를 동작시키고, 다시 동일 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됨으로써 제 2 스위치 (4, 6) 를 동작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다방향 입력장치{MUITI-DIRECTIONAL INPUT DEVICE}
본 발명은, 각종 전기기기 및 차량탑재용 전기기기 등에 사용되며, 조작부의 경사전도 및 가압 조작 등에 의해 다방향 조작되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로는, 케이스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체와, 그 중앙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푸시 버튼을 가지며, 조작체의 양 요동 방향 하방으로 요동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대칭인 2곳에 한 쪽 2개씩의 조작 스트로크가 다른 4개의 주변 푸시 스위치와, 푸시 버튼 하방으로 중앙 푸시 스위치를 배치한 복합형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03460호 참조).
이하,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구조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각 스위치의 배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케이스 (51) 는 절연수지 등에 의해 직사각형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케이스 (51) 바닥면의 모서리부 4곳에는 제 1 주변 푸시 스위치 (52) ∼제 4 주변 푸시 스위치 (55) 가, 그리고 중앙에는 중앙 푸시 스위치 (56)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주변 푸시 스위치 (52) ∼제 4 주변 푸시 스위치 (55) 및 중앙 푸시 스위치 (56) 는, 각각 케이스 (51) 에 인서트 성형된 고정접점 (도시 생략) 과, 이 고정접점 상에 대향되어 배치된 금속 박판제의 원형 돔형 가동접점 (52A∼55A, 56A) 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방으로부터 구동체 (52B∼55B, 65) 로 가압됨으로써 가동접점 (52A∼55A, 56A) 이 클릭감을 수반하여 탄성 반전되어 온/오프하는 것이다.
구동체 (52B∼55B) 는 고무 등의 탄성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이 구동체 (52B∼55B) 를 사이에 두고 가동접점 (52A∼55A) 을 가압함으로써 큰 가압 조작 스트로크로 동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체 (52B, 53B 및 54B, 55B) 는연결되어 있지만 각각이 독립하여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체 (52B, 53B) 는 구동체 (54B, 55B) 보다도 단단한 탄성절연재로 형성되어, 동일한 가압력에 대한 압축변형량이 작게 되어 있다. 또, 구동체 (65) 는 강성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51) 의 상면에는 구동체 (52B∼55B, 65) 가 관통하는 구멍 (66A) 을 갖는 금속 커버 (66) 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절연수지제의 조작체 (57) 및 푸시 버튼 (67) 이 요동 및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도시하지 않은 조작 손잡이가 도 6의 앞측으로 경사전도 조작된 경우에는, 조작체 (57) 의 하부가 앞측에 배치된 제 1 주변 푸시 스위치 (52) 및 제 3 주변 푸시 스위치 (54) 의 각 구동체 (52B, 54B) 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 경우, 구동체 (52B, 54B) 는 자체가 압축변형하면서 하방의 가동접점 (52A, 54A) 을 하방으로 누르지만, 구동체 (52B) 는 구동체 (54B) 보다도 단단한 탄성절연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체 (52B) 가 하방의 가동접점 (52A) 을 누르는 힘이 구동체 (54B) 가 가동접점 (54A) 을 누르는 힘보다도 커져, 제일 먼저 제 1 주변 푸시 스위치 (52) 가 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다시 조작 손잡이에 가하는 힘을 증가시키면, 제 1 주변 푸시 스위치 (52) 의 온에 계속하여 구동체 (54B) 도 더욱 압축 변형하여 제 3 주변 푸시 스위치 (54) 가 온이 된다.
마찬가지로, 조작 손잡이가 도 6의 상면측으로 경사전도 조작된 경우는, 제 2 주변 스위치 (53) 와 제 4 주변 스위치 (55) 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조작 손잡이를 경사전도 조작시킬 때, 제 1 주변 스위치 (52) 와 제 3 주변 스위치 (54), 또는 제 2 주변 스위치 (53) 와 제 4 주변 스위치 (55) 를 다른 조작 스트로크에서 클릭감을 수반하여 2단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동작으로서, 조작 손잡이를 중앙 위치에서 하방으로 가압 조작한 경우에는, 푸시 버튼 (67) 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구동체 (65) 가 중앙 푸시 스위치 (56) 의 가동접점 (56A) 을 가압함으로써 클릭감을 수반하여 탄성 반전함으로써 중앙 푸시 스위치 (56) 가 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조작부를 경사전도 조작 또는 가압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구성에서는, 케이스 바닥면의 모서리부 4곳에 형성된 제 1 주변 푸시 스위치∼제 4 주변 푸시 스위치의 4개 스위치의 가압 조작에 의해 경사전도 방향을 검출을 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폭 방향 크기가 커져 소형화하기가 어렵고, 케이스의 모서리부 4곳 및 중앙에 각각 금속 박판제 원형 돔형 가동접점을 다수 배치하여야만 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하고, 조립이 번잡해지며, 저비용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조작체의 경사전도 방향은 2방향으로밖에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상하좌우 4방향이나 8방향과 같은 다방향 (4방향 이상) 의 경사전도 조작이 불가능하여, 검출 방향의 분해능력을 많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방향의 경사전도조작이 가능하여 검출 방향의 분해능력을 많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다방향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 경사전도 조작시의 제 1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 경사전도 조작시의 제 2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각 스위치의 배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하우징 1a:수납부
1b:제 1 바닥면부 1c:제 2 바닥면부
2:공통 접점 3:제 1 고정접점 (제 1 스위치)
4:제 2 고정접점 (제 2 스위치) 5:제 1 가동접점 (제 1 스위치)
6:제 2 가동접점 (제 2 스위치) 7:시트부재
8:조작체 8a:베이스부
8b:요동축 9:접점판
9a:아암부 9b:제 2 접점부
9c:접속돌기 9d:구동부
10:덮개체 10a:삽입통과구멍
11:제 1 접점부 11a:접속단자
12:어스판 21:하우징
21a:수납부 28:조작체
28a:베이스부 28b:조작축
29:접점판 29a:아암부
29b:제 2 접점부 30 덮개체
31:제 1 접점부 33:고무부재
33a:구동돌기 34:복귀용 스프링
35:접속단자 36:외부단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 내에 승강 및 요동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상기 수납부를 덮는 덮개체와, 이 덮개체의 이면측에 형성된 제 1 접점부 및 상기 조작체의 상면측에 형성된 제 2 접점부로 형성된 복수의 경사전도 방향 검출 스위치부와, 상기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측에 배치된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는, 제 1 가압에 의해 클릭감을 수반하여 제 1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스위치와, 더 많이 눌리는 제 2 가압에 의해 클릭감을 수반하여 제 2 신호를 송출하는 제 2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체가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 경사전도 방향에 대응한 상기 제 1 접점부 및 제 2 접점부가 접촉하여 경사전도 방향의 신호를 송출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이 상기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1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다시 동일 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됨으로써 상기 제 2 스위치를 동작시키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는, 반전 가능한 돔형의 대소 2장의 금속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가동접점과, 상기 수납부의 내(內)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동접점의 둘레가장자리부와 접속하는 제 1 고정접점 및 하면에 이간하여 배치된 제 2 고정접점과, 상기 제 1 가동접점의둘레가장자리부와 접속하는 공통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접점을 상하 2단으로 겹쳐 배치하고, 제 1 가압에 의한 상기 제 1 가동접점의 반전시에는 그 제 1 가동접점이 그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제 2 가동접점과 접속되고, 그 제 2 가동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고정접점이 상기 공통 접점과 접속되며, 또한 제 2 가압에 의해 상기 제 2 가동접점이 반전하고 그 제 2 가동접점이 그 하면에 배치된 상기 제 2 고정접점과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 2 고정접점이 상기 공통 접점과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을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여, 상기 조작체의 상면측에 형성된 제 2 접점부와 상기 요동축의 하면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킨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1 가동접점의 상면과 상기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을 맞닿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가동접점의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조작체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경사전도 방향 신호에 더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방향으로 상기 조작체가 약간 경사전도되었다고 판정하고, 상기 경사전도 방향 신호에 더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방향으로 상기 조작체가 많이 경사전도되었다고 판정하고, 상기 경사전도 방향 신호가 없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조작체가 가압 조작되었다고 판정하는 알고리즘의 판정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조작체 경사전도 조작시의 제 1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조작체의 추가적인 경사전도시의 제 2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하우징 (1)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내부에 수납부 (1a) 를 갖는 상면 개구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약 8각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측 바닥면에는 단차를 갖는 제 1 및 제 2 바닥면부 (1b, 1c)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바닥면부 (1b) 는 수납부 (1a) 의 외주쪽으로 대략 고리형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제 2 바닥면부 (1c) 는 이 내측에 대략 원형으로 오목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바닥면부 (1b) 에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공통 접점 (2) 이 그 일부를 표출시킨 상태로 대향한 위치에 한 쌍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바닥면부 (1c) 에는 그 외주쪽에 마찬가지로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고정접점 (3) 이 그 일부를 표출시킨 상태로 대향한 위치에 한 쌍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대향한 한 쌍의 제 1 고정접점 (3) 의 중앙에는 마찬가지로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고정접점 (4) 이 그 일부를 표출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고정접점 (3) 과 제 2 고정접점 (4) 은 상기 제 2 바닥면부 (1c) 에 대략 동일한 표면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3, 4) 에 대하여 공통 접점 (2) 은 약간 높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제 1 바닥면부 (1b) 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통 접점 (2) 과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3, 4) 은 하우징 (1) 내에서 도시하지 않는 외부단자와 도통되어 있어, 이 외부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기기 등으로 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바닥면부 (1b) 의 공통 접점 (2) 의 상면에는 도전성의 반전 가능한 돔형 금속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가동접점 (5) 이, 그 둘레가장자리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동접점 (5) 의 돔형으로 팽창돌출된 정상부의 이면은, 제 2 바닥면부 (1c) 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제 2 가동접점 (6) 의 돔형으로 팽창돌출된 정상부와 대향한 상태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가동접점 (5) 의 정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좌굴 반전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면이 제 2 가동접점 (6) 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바닥면부 (1c) 에는 마찬가지로 도전성의 반전 가능한 돔형 금속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가동접점 (6) 이, 그 둘레가장자리부가 제 1 고정접점 (3) 의 상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또한, 제 2 가동접점 (6) 의 돔형으로 팽창돌출된 정상부의 이면은, 제 2 바닥면부 (1c) 의 중앙에 배치된 제 2 고정접점 (4) 과 대향한 상태로 일정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가동접점 (5) 을 사이에 두고 제 2 가동접점 (6) 의 정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좌굴 반전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제 2 고정접점 (4) 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가동접점 (5) 과 제 2 가동접점 (6) 은, 외경이 다른 대소 2장의원형 돔형 금속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바닥면부 (1b) 에 배치된 제 1 가동접점 (5) 이 상기 제 2 바닥면부 (1c) 에 배치된 제 2 가동접점 (6) 의 상면측을 덮도록, 원형 돔의 정상부를 상하 방향으로 일치시켜 서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공통 접점 (2) 과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3, 4) 은 각각 전기적으로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시트 부재 (7) 는 한 면에 점착재를 갖는 수지성 시트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개구부를 갖는 원고리형으로 형성되며, 이 고리형부에 의해 상기 제 2 가동접점 (6) 의 상면 둘레가장자리부와 제 2 바닥면부 (1c) 의 둘레가장자리부를 접착시켜 제 2 가동접점 (6) 을 수납부 (1a) 내에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가동접점 (5) 과 공통 접점 (2) 및 제 1 고정접점 (3) (제 2 가동접점 (6) 을 포함) 으로 가압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1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가동접점 (6) 과 공통 접점 (2) (제 1 가동접점 (5) 을 포함) 및 제 2 고정접점 (4) 으로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2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다.
조작체 (8)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된 대략 원반형 베이스부 (8a) 와, 이 베이스부 (8a) 의 중앙에 돌출하여 형성된 요동축 (8b) 과, 이 베이스부 (8a) 에 인서트 성형 등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판 (9) 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체 (8) 는 후술하는 덮개체 (10) 의 삽입통과구멍 (10a) 으로부터 요동축 (8b) 이 돌출된 상태이며,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요동 동작 및 승강 동작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접점판 (9) 에는, 상기 베이스부 (8a) 의 외주부에서 외방으로 연장돌출된 아암부 (9a) 의 선단부 상면측에, 조작체 (8) 의 요동시에 후술하는 덮개체 (10) 의 이면측에 형성된 제 1 접점부 (11) 와 접촉 이간되는 제 2 접점부 (9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아암부 (9a) 의 근원 근방에는,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초기 상태시에 후술하는 덮개체 (10) 의 이면측에 형성된 어스판 (12) 과 접속하는 접속돌기 (9c)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요동축 (8b) 의 하면측에는 요동축 (8b) 의 외형을 따라 하측으로 돔형으로 팽창돌출되어 형성되며, 요동축 (8b) 의 요동 및 승강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접점 (5, 6) 을 가압하여 반전 동작시키는 구동부 (9d)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구동부 (9d) 는 제 1 가동접점 (5) 의 돔형으로 팽창돌출된 중앙부 상면과 맞닿아 있으며, 조작체 (8) 는 이 제 1 가동접점 (5) 이 갖는 스프링 파워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로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지지되어 조작체 (8) 의 요동축 (8b) 중심과 제 1 가동접점 (5) 의 정상부와 제 2 가동접점 (6) 의 정상부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으로 정렬 배치되게 되어 있다.
또, 조작체 (8) 의 상면측에 형성된 접점판 (9) 의 제 2 접점부 (9b) 와 요동축 (8b) 하면의 구동부 (9d) 는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고, 제 2 접점부 (9b) 가 제 1 가동접점 (5) 을 사이에 두고 공통 접점 (2) 과 도통되게 되어, 경사전도 방향 검출 스위치부와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공통 접점의 공유화를 꾀하고 있다.
덮개체 (10)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 (1) 의 외형과 동일하게 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8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1) 의 상면 개구에 수납부 (1a) 를 덮개로 닫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덮개체 (10) 의 중앙에는 삽입통과구멍 (10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통과구멍 (10a) 에 조작체 (8) 의 요동축 (8b) 이 요동 및 승강 가능하게 삽입통과되어 있다. 또한, 이 덮개체 (1O) 의 삽입통과구멍 (1Oa) 의 내주 이면측에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어스판 (12) 이 인서트 성형 등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어스판 (12) 에 조작체 (8) 의 상면측에 형성된 접속돌기 (9c) 가 맞닿아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체 (10) 의 외주 근방의 하면측에는 8각형의 각 변에 대응한 위치에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점부 (11)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접점부 (11) 는, 조작체 (8) 의 요동시에 이 조작체 (8) 에 형성된 접점판 (9) 의 제 2 접점부 (9b) 와 접촉 이간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체 (8) 의 각 경사전도 방향 (예를 들어 8방향)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각각의 제 1 접점부 (11) 와 제 2 접점부 (9b) 가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되어, 경사전도 방향이 검출된다. 또, 제 1 접점부 (11) 에는 하우징 (1) 의 외방으로 도출되는 접속단자 (11a) 가 형성되어 있어, 이 접속단자 (11a) 를 사이에 두고 외부의 전자기기 등으로 경사전도 방향 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덮개체 (10) 의 이면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 1 접점부 (11) 와 조작체 (8) 의 상면측에 형성된 접점판 (9) 의 제 2 접점부 (9b) 에 의해, 복수의경사전도 방향 검출 스위치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서는 경사전도 방향 검출 스위치부인 제 1 및 제 2 접점부 (11, 9b) 는 이간되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또,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인 제 1 스위치 (제 1 가동접점 (5) 과 제 1 고정접점 (3) ) 및 제 2 스위치 (제 2 가동접점 (6) 과 제 2 고정접점 (4) ) 도 이간되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 (8) 의 요동축 (8b) 이 1방향 (이 경우, 도면의 오른쪽방향) 으로 약간 경사전도 조작되면, 조작체 (8) 는 요동되어 도시 좌측의 덮개체 (10) 의 이면측 대응위치에 형성된 하나의 제 1 접점부 (11) 와, 조작체 (8) 의 접점판 (9) 의 제 2 접점부 (9b) 가 접촉하여 도통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요동축 (8b) 하면의 구동부 (9d) 가 제 1 가동접점 (5) 을 가압하여 눌러 내려 제 1 가동접점 (5) 이 반전하여 1단째 스위치의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하측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가동접점 (6) 과 맞닿아 도통되게 된다.
이 때, 경사전도 방향의 검출신호가 공통 접점 (2), 제 1 가동접점 (5), 접점판 (9), 제 1, 제 2 접점부 (11, 9b), 접속단자 (11a) 를 통하여 외부의 전기기기 등으로 송출되게 된다. 또, 동시에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1 스위치가, 공통 접점 (2), 제 1 가동접점 (5), 제 2 가동접점 (6), 제 1 고정접점 (3) 을 통하여 도통되고 클릭감을 수반하여 1단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외부의 전기기기 등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로써, 다방향 입력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조작체 (8) 가 경사전도된 방향 및 1단째의 경사전도 조작이 검출된다.
다음에, 이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 (8) 의 요동축 (8b) 이 동일 방향으로 더 많이 경사전도 조작되면, 조작체 (8) 는 더 오른쪽 방향으로 요동되어 도시 좌측의 덮개체 (10) 의 이면측 대응위치에 형성된 하나의 제 1 접점부 (11) 와, 조작체 (8) 의 접점판 (9) 의 제 2 접점부 (9b) 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요동축 (8b) 의 하면의 구동부 (9d) 가 제 1 가동접점 (5) 을 더 가압하여 밀어 내르기 때문에, 제 1 가동접점 (5) 에 맞닿아 있는 제 2 가동접점 (6) 이 가압됨으로써 반전하여 2단째 스위치의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하측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고정접점 (4) 과 맞닿아 도통되게 된다.
이 때, 경사전도 방향의 검출신호를 송출한 상태로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2 스위치가 공통 접점 (2), 제 1 가동접점 (5), 제 2 가동접점 (6), 제 2 고정접점 (4) 을 통하여 도통되고, 클릭감을 수반하여 2단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외부의 전기기기 등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로써, 다방향 입력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조작체 (8) 가 경사전도된 방향 및 2단째의 경사전도 조작이 검출된다.
이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단째 경사전도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경사전도된 접점판 (9) 보다 약간 낮아지도록 하우징 바닥면부 (1b) 를 형성하여 도피부로 하고 있다. 이로써 서로 맞닿는 일이 없어 클릭감에 대한 영향이 없다.
또, 조작체 (8) 의 조작축 (8b) 을 다른 복수의 경사전도 방향으로 경사전도시킨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이 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시는 하지 않으나 도 1의 상태로부터 조작체 (8) 가 하방향으로 약간 가압 조작되면 조작체 (8) 는 접점판 (9) 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눌려 내려가, 덮개체 (10) 의 이면측에 형성된 제 1 접점부 (11) 와, 조작체 (8) 의 접점판 (9) 의 제 2 접점부 (9b) 가 이간된 상태로 요동축 (8b) 하면의 구동부 (9d) 가 제 1 가동접점 (5) 을 가압하여 눌러 내리기 때문에, 제 1 가동접점 (5) 이 반전하여 1단째 스위치의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하측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가동접점 (6) 과 맞닿아 도통되게 된다.
이 때, 경사전도 방향의 검출신호는 오프인 상태로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1 스위치가 공통 접점 (2), 제 1 가동접점 (5), 제 2 가동접점 (6), 제 1 고정접점 (3) 을 통하여 도통되고, 클릭감을 수반하여 1단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외부의 전기기기 등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로써, 다방향 입력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조작체 (8) 의 1단째의 가압 조작이 검출된다.
다음에, 이 상태로부터, 조작체 (8) 가 하방향으로 더 많이 가압 조작되면, 조작체 (8) 는 하방향으로 더 요동되어 요동축 (8b) 의 하면의 구동부 (9d) 가 제 1 가동접점 (5) 을 더 가압하여 눌러 내리기 때문에, 제 1 가동접점 (5) 에 맞닿아 있는 제 2 가동접점 (6) 이 가압됨으로써 반전하여 2단째 스위치의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하측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고정접점 (4) 과 맞닿아 도통되게 된다.
이 때, 경사전도 방향의 검출신호는 오프인 상태로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2 스위치가 공통 접점 (2), 제 1 가동접점 (5), 제 2 가동접점 (6), 제 2 고정접점 (4) 을 통하여 도통되고, 클릭감을 수반하여 2단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외부의 전기기기 등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로써, 다방향 입력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조작체 (8) 의 2단째의 가압 조작이 검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도시하지 않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단자가 접속되고, 어느 한 방향의 경사전도 방향의 검출신호에 더하여 제 1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해당 방향으로 조작체 (8) 가 약간 경사전도되었다고 판정하고, 또 경사전도 방향의 검출신호에 더하여 제 2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해당 방향으로 조작체 (8) 가 많이 경사전도되었다고 판정하며, 또한 경사전도 방향의 검출신호가 없고 (오프 상태), 제 1 또는 제 2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조작체 (8) 가 가압 조작되었다고 판정하는 알고리즘의 판정수단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에서는 통상은 제 1 또는 제 2 스위치의 조작신호의 입력 유무를 감시해 두면 되고, 어느 하나의 입력이 있었다는 것을 검출하였을 때만 어느 쪽 방향의 경사전도 신호가 입력된 것인지 검출하면 된다. 그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서의 제어 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간이한 구조로 조작체 (8) 의 다방향 경사전도 조작과 경사전도 2단 조작 및 가압 조작의 판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는 제 1 가압에 의해 클릭감을 수반하여 제 1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스위치와, 더 많이 가압되는 제 2 가압에 의해 클릭감을 수반하여 제 2 신호를 송출하는 제 2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작체 (8) 가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에는 경사전도 방향에 대응한 제 1 접점부 (11) 및 제 2 접점부 (9b) 가 접촉하여 경사전도 방향의 신호를 송출하는 동시에 조작체 (8) 의 요동축 (8b) 의 하면이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1 스위치 (제 1 가동접점 (5), 제 1 고정접점 (3) ) 를 동작시켜 동일방향으로 더 많이 경사전도 조작됨으로써 제 2 스위치 (제 2 가동접점 (6), 제 2 고정접점 (4) ) 를 동작시키도록 하여, 경사전도 방향 검출 스위치부를 조작체 (8) 와 하우징 (1) 의 덮개체 (10) 사이에 배치한 제 1 및 제 2 접점부 (11, 9b) 로 구성하고,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를 조작체 (8) 의 요동축 (8b) 의 하면측에 배치한 클릭감을 수반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스위치부의 부품 수의 삭감을 도모하며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클릭감을 갖는 경사전도 2단 조작의 다방향 입력장치가 얻어지게 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가동접점 (5, 6) 을 상하 2단으로 겹쳐 배치하여, 제 1 가압에 의한 제 1 가동접점 (5) 의 반전시에는 제 1 가동접점 (5) 이 그 내측에 배치된 제 2 가동접점 (6) 과 접속되고, 제 2 가동접점 (6) 을 개재시켜 제 1 고정접점 (3) 이 공통 접점 (2) 과 접속되고, 또한 제 2 가압에 의해 제 2 가동접점 (6) 이반전되어 제 2 가동접점 (6) 이 그 하면에 배치된 제 2 고정접점 (4) 과 접속됨으로써 제 2 고정접점 (4) 이 공통 접점 (2) 과 접속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박형화가 용이해진다. 또, 공통 접점 (2) 을 외측에 배치된 제 1 가동접점 (5) 의 둘레가장자리부와 접속시킴으로써 수납부 (1a) 에 배치하는 접점 패턴의 우회를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실시예에서는, 경사전도 방향 스위치부의 공통 접점과 2단 가압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를 공통의 하우징 (1) 에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2단 가압형 푸시 버튼 스위치를 하나의 케이스 내에 수납된 독립된 스위치로 형성하여 하우징 (1) 내에 수용해서 하나의 다방향 입력장치로 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 상기한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조작체의 복귀 스프링을 별도로 형성한 점과, 공통 접점 (2) 의 도통경로가 약간 상이하다는 점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체 (28) 는, 합성수지제 베이스부 (28a) 와, 이 베이스부 (28a) 에 인서트 성형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판 (29) 과, 베이스부 (28a) 의 중앙에 돌출하여 형성되며 승강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 조작축 (28b) 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축 (28b) 은 승강시에는 단독으로 동작 가능하게 되고, 경사전도시에는 조작체 (28) 의 베이스부 (28a) 와 함께 동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축 (28b) 의 하면측에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고무부재 (33)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무부재 (33) 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축 (28b) 이 상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또한, 고무부재 (33) 는 하우징 (21) 의 수납부 (21a) 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제 1 가동접점 (5) 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작축 (28b) 의 가압과 함께 고무부재 (33) 의 구동돌출부 (33a) 가 제 1 가동접점 (5) 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접점판 (29) 의 아암부 (29a) 의 선단부 상면측에는 제 2 접점부 (29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접점부 (29b) 가 덮개체 (30) 의 하면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 1 접점부 (31) 에 맞닿아 도통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제 2 접점부 (29b) 의 하면측, 즉 접점판 (29) 의 아암부 (29a) 의 하면측에는 금속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용 스프링 (34) 의 일단이 걸어맞춰져 있고, 이 복귀용 스프링 (34) 에 의해 조작체 (28) 가 상방으로 탄성지지되고 제 1 및 제 2 접점부 (31, 29b) 가 서로 맞닿아 도통하게 되어 있다.
또, 복귀용 스프링 (34) 의 타단은 하우징 (21) 의 수납부 (21a) 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공통 접점 (2) 에 맞닿아 있고, 이 복귀용 스프링 (34) 을 통하여 공통 접점 (2) 과 제 2 접점부 (29b) 가 도통되어 있다.
또한, 제 1 접점부 (31) 로부터는 접속단자 (35) 가 도출되어 하우징 (21) 의 바닥면 외방으로 연장설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공통 접점 (2),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3, 4) 으로부터는 외부단자 (36) 가 도출되어 하우징 (21) 의 바닥면 외방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으로는, 조작체 (28) 가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되는 경우에는, 경사전도되는 방향에 대응한 제 1 및 제 2 접점부 (31, 29b) 가 도통 상태로부터 이간되어 비도통 상태가 되며, 이 상태를 검출하여 경사전도 조작시의 경사전도 방향 신호를 외부의 전기기기로 송출하게 되어 있다.
또, 이 때 동시에 조작축 (28b) 의 경사전도에 따라 고무부재 (33) 의 구동돌출부 (33a) 가 제 1 가동접점 (5) 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어 제 1 가동접점 (5) 이 반전하여 제 2 가동접점 (6) 에 맞닿음으로써, 공통 접점 (2) 과 제 1 고정접점 (3) 이 제 1 및 제 2 가동접점 (5, 6) 을 통하여 도통되고, 1단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외부의 전기기기 등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로써, 다방향 입력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조작체 (28) 가 경사전도된 방향 및 1단째의 경사전도 조작이 검출된다.
이 상태에서 같은 방향으로 더 많이 경사전도 조작한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접점부 (31, 29b) 가 이간되어 비도통 상태인 상태에서 추가적인 조작축 (28b) 의 경사전도에 수반하여 고무부재 (33) 가 밀려 내려가, 제 1 가동접점 (5) 을 사이에 두고 제 2 가동접점 (6) 이 가압되고 반전하여 제 2 고정접점 (4) 에 맞닿음으로써 공통 접점 (2) 과 제 2 고정접점 (4) 이 제 1 및 제 2 가동접점 (5, 6) 을 통하여 도통되고, 2단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외부의 전기기기 등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로써, 다방향 입력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조작체 (28) 가 경사전도된 방향 및 2단째의 경사전도 조작이 검출된다.
다음에, 조작축 (28b) 이 하방향으로 약간 가압 조작되는 경우에는, 조작축 (28b) 은 밀려 내려가지만 베이스부 (28a) 는 움직이지 않아, 제 1 접점부 (31) 와 제 2 접점부 (29b) 가 도통된 상태에서 고무부재 (33) 의 구동돌출부 (33a) 가 제 1 가동접점 (5) 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어 제 1 가동접점 (5) 이 반전하고 제 2 가동접점 (6) 에 맞닿음으로써, 공통 접점 (2) 과 제 1 고정접점 (3) 이 제 1 및 제 2 가동접점 (5, 6) 을 통하여 도통되고 1단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외부의 전기기기 등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로써, 다방향 입력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조작체 (28) 의 1단째의 가압 조작이 검출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조작축 (28b) 이 하방향으로 더 많이 가압 조작되면, 제 1 접점부 (31) 와 제 2 접점부 (29b) 가 도통된 상태에서 고무부재 (33) 의 구동돌출부 (33a) 가 제 1 가동접점 (5) 의 상면을 더욱 가압하게 되어, 제 1 가동접점 (5) 을 사이에 두고 제 2 가동접점 (6) 이 반전하여 제 2 고정접점 (4) 에 맞닿음으로써, 공통 접점 (2) 과 제 2 고정접점 (4) 이 제 1 및 제 2 가동접점 (5, 6) 을 통하여 도통되고 2단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외부의 전기기기 등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로써, 다방향 입력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조작체 (28) 의 2단째의 가압 조작이 검출된다.
상기 실시예의 다방향 입력장치에서도, 어떤 한 방향의 경사전도 방향의 검출신호에 더하여 제 1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해당 방향으로 조작체 (28) 가 약간 경사전도되었다고 판정하고, 또 경사전도 방향의 검출신호에 더하여 제 2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해당 방향으로 조작체 (28) 가 많이 경사전도되었다고 판정하며, 또한 경사전도 방향의 검출신호가 없고 (온 상태), 제 1 또는 제 2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조작체 (28) 가 가압 조작되었다고 판정하는 알고리즘의 판정수단을 갖는 것이며, 간이한 구조로 조작체 (28) 의 다방향 경사전도 조작과 경사전도 2단 조작 및 가압 조작의 판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수납부 내에 승강 및 요동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상기 수납부를 덮는 덮개체와, 덮개체의 이면측에 형성된 제 1 접점부 및 조작체의 상면측에 형성된 제 2 접점부로 형성된 복수의 경사전도 방향 검출 스위치부와,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측에 배치된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는, 제 1 가압에 의해 클릭감을 수반하여 제 1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스위치와, 더 많이 눌리는 제 2 가압에 의해 클릭감을 수반하여 제 2 신호를 송출하는 제 2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조작체가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 경사전도 방향에 대응한 제 1 접점부 및 제 2 접점부가 접촉하여 경사전도 방향의 신호를 송출하는 동시에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이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1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다시 동일 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됨으로써 제 2 스위치를 동작시키도록 하여, 경사전도 방향 검출 스위치부를 조작체와 하우징의 덮개체 사이에 배치한 제 1 및 제 2 접점부로 구성하고,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를 조작체의 요동축 하면측에 배치한 클릭감을 수반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스위치부의 부품 수의 삭감을 도모하고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클릭을 갖는 경사전도 2단 조작의 다방향 입력장치가 얻어진다.
또,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는, 반전 가능한 돔형의 대소 2장의 금속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가동접점과, 수납부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되며 제 2 가동접점의 둘레가장자리부와 접속하는 제 1 고정접점 및 하면에 이간하여 배치된 제 2 고정접점과, 제 1 가동접점의 둘레가장자리부와 접속하는 공통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및 제 2 가동접점을 상하 2단으로 겹쳐 배치하고, 제 1 가압에 의한 제 1 가동접점의 반전시에는 제 1 가동접점이 그 내측에 배치된 제 2 가동접점과 접속되고, 제 2 가동접점을 사이에 두고 제 1 고정접점이 공통 접점과 접속되며, 또한 제 2 가압에 의해 제 2 가동접점이 반전하고 제 2 가동접점이 그 하면에 배치된 제 2 고정접점과 접속됨으로써 제 2 고정접점이 공통 접점과 접속되어,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장치 전체의 박형화가 용이해진다. 또, 공통 접점을 외측에 배치된 제 1 가동접점의 둘레가장자리부와 접속시킴으로써 수납부에 배치하는 접점 패턴의 우회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을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여, 조작체의 상면측에 형성된 제 2 접점부와 요동축의 하면을 전기적으로 도통시켰기 때문에, 경사전도 방향 검출 스위치부와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공통 접점의 공유화를 도모하여 구성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동접점의 상면과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을 맞닿게 하는 동시에 제 1 가동접점의 스프링 파워에 의해 조작체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였기 때문에,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부품 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경사전도 방향 신호에 더하여 제 1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방향으로 조작체가 약간 경사전도되었다고 판정하고, 경사전도 방향 신호에 더하여 제 2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방향으로 조작체가 많이 경사전도되었다고 판정하고, 경사전도 방향 신호가 없고 제 1 또는 제 2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조작체가 가압 조작되었다고 판정하는 알고리즘의 판정수단을 갖기 때문에, 간이한 구조로 조작체의 다방향의 경사전도 조작과 경사전도 2단 조작 및 가압 조작의 판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 내에 승강 및 요동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상기 수납부를 덮는 덮개체와, 이 덮개체의 이면측에 형성된 제 1 접점부 및 상기 조작체의 상면측에 형성된 제 2 접점부로 형성된 복수의 경사전도 방향 검출 스위치부와, 상기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측에 배치된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는, 제 1 가압에 의해 클릭감을 수반하여 제 1 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스위치와, 더 많이 가압되는 제 2 가압에 의해 클릭감을 수반하여 제 2 신호를 송출하는 제 2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체가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 경사전도 방향에 대응한 상기 제 1 접점부 및 제 2 접점부가 접촉하여 경사전도 방향의 신호를 송출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이 상기 2단 조작형 푸시 버튼 스위치부의 제 1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다시 동일 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됨으로써 상기 제 2 스위치를 동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는, 반전 가능한 돔형의 대소 2장의 금속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가동접점과, 상기 수납부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동접점의 둘레가장자리부와 접속하는 제 1 고정접점 및 하면에 이간하여 배치된 제 2 고정접점과, 상기 제 1 가동접점의 둘레가장자리부와 접속하는 공통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접점을상하 2단으로 겹쳐 배치하고, 제 1 가압에 의한 상기 제 1 가동접점의 반전시에는, 그 제 1 가동접점이 그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제 2 가동접점과 접속되고, 그 제 2 가동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고정접점이 상기 공통 접점과 접속되며, 또한 제 2 가압에 의해 상기 제 2 가동접점이 반전하고, 그 제 2 가동접점이 그 하면에 배치된 상기 제 2 고정접점과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 2 고정접점이 상기 공통 접점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을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하여, 상기 조작체의 상면측에 형성된 제 2 접점부와 상기 요동축의 하면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 스위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접점의 상면과 상기 조작체의 요동축의 하면을 맞닿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가동접점의 스프링 파워에 의해 상기 조작체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단째 경사전도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있어서, 경사전도된 제 2 접점부보다 낮아지도록 하우징 바닥면부에 도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전도 방향 신호에더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방향으로 상기 조작체가 약간 경사전도되었다고 판정하고, 상기 경사전도 방향 신호에 더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해당 방향으로 상기 조작체가 많이 경사전도되었다고 판정하고, 상기 경사전도 방향 신호가 없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조작체가 가압 조작되었다고 판정하는 알고리즘의 판정수단을 갖는 다방향 입력장치.
KR1020040051620A 2003-07-09 2004-07-02 다방향 입력장치 KR100568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4117 2003-07-09
JP2003194117A JP2005032486A (ja) 2003-07-09 2003-07-09 多方向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133A true KR20050007133A (ko) 2005-01-17
KR100568914B1 KR100568914B1 (ko) 2006-04-07

Family

ID=3420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620A KR100568914B1 (ko) 2003-07-09 2004-07-02 다방향 입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32486A (ko)
KR (1) KR100568914B1 (ko)
CN (1) CN1265412C (ko)
TW (1) TWI2422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8203B2 (ja) * 2005-02-18 2011-07-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
KR100714851B1 (ko) * 2005-08-19 2007-05-04 주식회사 센플러스 메탈돔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호인식방법
KR100925067B1 (ko) 2007-09-04 2009-11-04 이수호 2중 접점 스위치
JP5716135B2 (ja) 2012-06-12 2015-05-13 株式会社フジクラ 入力装置
WO2019198371A1 (ja) * 2018-04-11 2019-10-17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7670B2 (ja) 2000-01-18 2007-06-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1283690A (ja) 2000-03-29 2001-10-12 Hosiden Corp 多接点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8914B1 (ko) 2006-04-07
JP2005032486A (ja) 2005-02-03
TWI242226B (en) 2005-10-21
CN1577678A (zh) 2005-02-09
TW200515446A (en) 2005-05-01
CN1265412C (zh)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602B1 (ko) 키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US8541701B2 (en) Switch
JP4100879B2 (ja) 多方向入力装置
US6160225A (en) Multidirectional inputting apparatus
US20050224321A1 (en)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US20050011736A1 (en) Switch device
US7745744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US6703571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JP4152897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737901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0568914B1 (ko) 다방향 입력장치
US6809274B2 (en) Four-directional control switch
US20220246374A1 (en) Switching device
US20070151833A1 (en) Multi-direction switch
JP4330699B2 (ja) 多方向スイッチ
US7297881B2 (en) Composite switch
US6133538A (en) Keyswitch with rubber dome disposed within housing provided by the plunger
JP3994664B2 (ja) 複合スイッチ
JP3862481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5166333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10205691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4097213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H10154445A (ja) 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H09167026A (ja) 押し釦スイッチ構造
JP2003151404A (ja) 多方向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