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602B1 - 키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키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602B1
KR100372602B1 KR10-2001-0012866A KR20010012866A KR100372602B1 KR 100372602 B1 KR100372602 B1 KR 100372602B1 KR 20010012866 A KR20010012866 A KR 20010012866A KR 100372602 B1 KR100372602 B1 KR 10037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eesaw
dome
sheet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015A (ko
Inventor
오사와노부아키
미야자키데츠야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박형화(薄型化)가 가능하며, 또한 적은 부품점수로 완전한 방수를 도모할 수 있는 키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 입력장치는, 시트(41) 위에 설치된 시소식 스위치유닛(4)과 시트(41)위에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덮고 설치된 키 러버(8)를 구비하며, 키 러버(8)의 표면에는,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누르기 위한 시소 키(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복수의 돔 부를 구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설치된 돔 시트와, 그 돔 시트의 상방에 설치되어 각 돔 부를 선택적으로 압박할 요동부재(6)를 구비하며, 요동부재(6)의 압박을 받아서 1개의 돔 부가 탄성복귀 가능하게 반전(反轉)하며, 상기 돔 부의 내면에 형성된 접촉단자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된 접점전극에 접촉하여, 접점이 닫혀진다.

Description

키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전화기{KEY INPUT DEVICE AND PORTABLE PHONE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에 장착되는 키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키 접점을 선택적으로 닫을 수가 있는 시소식 키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케이스(11)와 배면케이스(12)에 의해 케이싱(1)이 형성되며, 전면케이스(11)의 표면에는, 디스플레이(13), 텐키(ten key)를 포함한 복수의 조작 키(14), 소망하는 기능을 선택할 때에 조작할 시소 키(15)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시소 키(15)에 있어서는, 시소 키(15)를 직하로 내려 누르거나, 전후좌우로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5개의 키 접점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닫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소망하는 하나의 기능이 선택 설정된다.
케이싱(1)의 내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3)이 설치되며, 그 회로기판(3)에는, 조작 키(14)나 시소 키(15)에 의해 눌려지는 시트 키장치(40), 디스플레이(13), 고주파회로모듈(32), 모터(22)의 출력축에 편심하중(21)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착신통보용 바이브레이터(2) 등이 설치되어 있다.
시트 키장치(40)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 위에, 복수의 돔 부를 구비한 PET제의 돔 시트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조작키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돔 부가 탄성복귀 가능하게 반전하며, 그 돔 부의 내면에 형성된 접촉단자가, 베이스판의 표면에 형성된 접점전극에 접촉하여, 접점이 닫혀진다.
또, 시소 키(15)의 아래쪽 위치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틱(90)을 돌출 설치한 시소 키장치(9)가 배치되며, 그 시소 키장치(9)는, 상기 시트 키장치(40)의 표층부를 형성하는 돔 시트(41)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시소 키장치(9)의 스틱(90)의 선단부는, 시소 키(15)의 이면에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시소 키(15)를 누르는 조작을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스틱(90)을 직하로 내려 누르거나, 또는 전후좌우로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시소 키장치(9)에 내장된 5개의 접점 가운데, 1개의 접점을 닫을 수가 있다.
또한, 시트 키장치(40)를 구성하는 돔 시트(41)의 표면에는, 키 러버(80)가 설치되어, 시트 키장치(40)에 형성된 복수의 돔 부(도시생략)를 덮고 있으나, 그 키 러버(80)에는, 시소 키장치(9)의 설치영역에 개방구(80a)가 형성되며, 그 개방구부에 시소 키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소 키장치(9)는, 그 이면을 돔 시트(41)의 표면에 접촉시켜, 돔 시트(41) 위에 표면 실장 되어있다.
시소 키장치(9)의 외주면과 키 러버(80)의 개방구(80a)의 내주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방수부재(91)를 개재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시소 키(15)의 주위에서 침입한 수분이 돔 시트(41)의 표면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내는 스틱형의 시소 키장치(9)를 구비한 종래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시소 키장치(9)가 스틱(90)의 경사에 의해 접점을 닫는 방식이기 때문에, 스틱(90)에 어느 정도의 높이가 필요하며, 이 때문에, 휴대전화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시소 키장치(9)와 키 러버(80)의 사이에 방수부재(91)를 개재시킨 방수구조가 채택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부재(91)가 필요하게 되어, 부품점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시소 키장치(9)와 방수부재(91)의 사이나, 키 러버(80)와 방수부재(91)의 사이로부터 수분이 침입할 우려가 있어, 결국 방수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형화가 가능하며, 그 외에 적은 부품점수로 완전한 방수를 도모할 수 있는 키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키 입력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2는, 상기 키 입력장치에 배치되어 있는 시소식 스위치유닛의 확대단면도.
도 3은, 전면케이스, 키 러버 및 회로기판의 분해평면도.
도 4는, 종래의 휴대전화기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휴대전화기의 분해측면도.
도 6은, 종래의 휴대전화기에 배치되어 있는 시소 키 부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10 : 시소(seesaw) 키
11 : 전면케이스 12 : 배면케이스
3 : 회로기판 40 : 시트 키 장치
4 : 시소식 스위치유닛 41 : 돔(dome) 시트
42 : 돔 부 5 : 베이스 플레이트
6 : 요동부재 7 : 돔 시트
71, 72 : 돔 부 8 : 키 러버
82 : 평판부 83 : 경사부
84 : 접지부 86 : 리브(rib)부
본 발명의 키 입력장치는, 베이스 위에 설치된 시소식 스위치유닛(4)과, 베이스 위에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덮어 설치된 키 러버(8)를 구비하며, 키 러버(8)의 표면에는,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누르기 위한 시소 키(10)가 형성되어 있다.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베이스 플레이트(5)와, 복수의 돔 부(71, 72)를 구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위에 설치된 돔 시트(7)와, 그 돔 시트(7)의 상방에 설치되어 각 돔 부(71, 72)를 선택적으로 압박할 요동부재(6)를 구비하며, 그 요동부재(6)의 상방의 위치에 상기 시소 키(10)가 배치되며, 시소 키(10)의 조작에 의한 요동부재(6)의 압박을 받아, 1개의 돔 부가 탄성복귀가 가능하게 반전하며, 그 돔 부의 내면에 형성된 접촉단자(52)가, 베이스 플레이트(5)의 표면에 형성된 접점전극(51)에 접촉하여, 접점이 닫혀진다.
상기 본 발명의 키 입력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스틱형 시소 키장치(9) 대신에, 시소식 스위치유닛(4)이 채용되어 있으며, 그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박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기할 수 있다.
또,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요동부재(6)에 압박력을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접점을 닫을 수가 있기 때문에, 베이스의 표면에 직접 설치한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개방구가 없는 키 러버(8)로 덮고, 그 키 러버(8)의 표면에 형성한 시소 키(10)를 누르는 것에 의해,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동작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키 러버(8)에는, 종래와 같은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방수구조가 실현되어, 종래의 방수부재는 필요 없게 된다.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키 러버(8)는, 시소 키(10)의 이면이 접착된 평판부(82)와, 그 평판부(82)를 포위하여 형성된 경사부(83)와, 그 경사부(83)를 포위하여 형성된 접지부(84)를 구비하고, 경사부(83)는, 평판부(82)로부터 접지부(84)를 향해 베이스 측으로 낮게 경사하며, 접지부(84)가 베이스표면에 밀착하고 있다.
그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시소 키(10)를 눌러서 요동부재(6)를 요동시켰을 때, 시소 키(10)의 이면에 의해 키 러버(8)의 평판부(82)가 눌려, 평판부(82)는경사진다.
이에 따라, 키 러버(8)의 경사부(83)가 탄성변형 하는 바, 이때, 경사부(83)는 접지부(84)를 향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무리 없이 탄성변형 할 수가 있으며, 그 변형하는 양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시소 키(10)의 조작의 반복에 의해, 키 러버(8)가 반복적으로 응력을 받는다 해도, 키 러버(8)에 균열 등이 발생할 우려는 없다.
다시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시소 키(10)의 이면의 중앙부와, 키 러버(8)의 평판부(82)의 표면의 중앙부(81)가 서로 접착 고정되며, 그 접착고정부의 주위에서는, 시소 키(10)와 키 러버(8)의 평판부(82)가 서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시소 키(10)를 눌러 요동부재(6)를 요동시켰을 때, 시소 키(10)의 이면에 의해 키 러버(8)의 평판부(82)가 눌려서, 평판부(82)는 경사지며, 경사부(83)는 탄성변형한다.
이때, 시소 키(10)와 키 러버(8)의 평판부(82)는, 중앙부에서만 접착 고정되며, 그 주변부는, 접착 고정되지 않고 상대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경사부(83)의 탄성변형이 더욱 자유스럽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는, 종래의 스틱형 시소 키장치를 구비한 키 입력장치 대신에, 상기 본 발명의 키 입력장치를 채용한 것이다.
즉, 케이싱(1)의 내부에는, 무선통신을 위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3)과, 그 회로기판(3)위에 설치된 시트 키장치(40)와, 그 시트 키장치(40)의 표면에 설치된 시소식 스위치유닛(4)과, 시트 키장치(40) 및 시소식 스위치유닛(4)의 표면을 덮어 배치된 키 러버(8)를 구비하며, 키 러버(8)의 표면에는, 시트 키장치(40)를 누르기 위한 복수의 조작키(14)와,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누르기 위한 시소 키(10)가 배치되어 있다.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베이스 플레이트(5)와, 복수의 돔 부(71, 72)를 구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위에 설치된 돔 시트(7)와, 그 돔 시트(7)의 상방에 설치되어 각 돔 부(71, 72)를 선택적으로 압박할 요동부재(6)를 구비하고, 그 요동부재(6)의 상방의 위치에 상기 시소 키(10)가 배치되며, 시소 키(10)의 조작에 의한 요동부재(6)의 압박을 받아, 1개의 돔 부가 탄성복귀 가능하게 반전하며, 그 돔 부의 내면에 형성된 접촉단자(52)가, 베이스 플레이트(5)의 표면에 형성된 접점전극(51)에 접촉하여, 접점이 닫혀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휴대전화기에 실시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도 3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을 구성하는 전면케이스(11)에, 디스플레이(13)를 노출시키기 위한 1개의 개방구(16)와, 복수의 조작키(14)를 면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개방구(17)와, 시소 키(10)를 면 노출시키기 위한 1개의 개방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케이스(11)의 내측에는, 복수의 조작키(14)와 시소 키(10)가 일체화 된 실리콘 고무제의 키 러버(8)가 배치된다.
여기서 시소 키(10)는, 그 누르는 동작이나 요동조작에 의해, 5개의 접점 가운데 1개를 선택적으로 닫아, 소망하는 1개의 기능을 선택 설정하기 위한 키이다.
또, 케이싱 내에 설치될 회로기판(3)위에는, 디스플레이(13)가 조립 부착됨과 동시에, 복수의 돔 부(42)를 구비한 시트 키장치(40)가 설치되며, 그 시트 키장치(40)의 표면에는, 상기 돔 부(42)에서 떨어진 위치에, 시소 키(10)에 의해 눌러지게 될 시소식 스위치유닛(4)이 설치되어 있다.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 위에, 각각 PET제의 스페이서 시트(53)와 돔 시트(7)를 접합시키고, 다시 양 시트(53, 7)를 덮는 커버플레이트(54)를 고정시키며, 그 커버플레이트(54)에 형성한 개방구(55)에 요동부재(6)를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돔 시트(7)는, 중앙의 1개의 돔 부(71)와 그 주위의 4개의 돔 부(72)를 구비하며, 각 돔 부(71, 72)의 내면에는, 원형의 카본 막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단자(5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5)의 표면에는, 돔 시트(7)의 각 돔 부(71, 72)에 대응시켜, 접점전극(5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돔 시트(7)의 각 돔 부(71, 72)의 내면에 형성된 접촉단자(52)가, 베이스 플레이트(5)위의 접점전극(51)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접점이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요동부재(6)는, 십(十)자 형상의 본체(61)를 구비하고, 그 십자형상 본체(61)의 이면에는, 돔 시트(7)의 각 돔 부(71, 72)에 대응시켜, 볼록부(62, 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동부재(6)를 직하(바로 밑)로 내려 누르는 것에 의해, 중앙위치의 볼록부(62)가 그 아래에 있는 돔 부(71)를 압박하여, 그 돔 부(71)를 반전시킨다.
또, 요동부재(6)를 1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외주위치에 있는 1개의 볼록부(63)가 그 아래의 돔 부(72)를 압박하여, 그 돔 부(72)를 반전시킨다.
또한, 요동부재(6)는, 십(十)자 형상의 본체(61)가 커버플레이트(54)의 단부(도시생략)에 결합되어, 일탈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 키장치(40)를 구성하는 돔 시트(41)의 표면에 설치되며, 돔 시트(41)의 표면에 형성된 랜드부(도시생략)에 납땜 접착되어 있다.
키 러버(8)는 돔 시트(41) 위에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덮고 설치되어 있으며, 종래와 같은 개방구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키 러버(8)에는, 시소식 스위치유닛(4)의 요동부재(6)를 덮는 평판부(82)와, 그 평판부(82)를 포위하여 형성된 경사부(83)와, 그 경사부(83)를 포위하여 형성된 접지부(84)와, 그 접지부(84)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링 형상의 리브 부(86)를 구비하고 있다.
키 러버(8)의 경사부(83)는, 평판부(82)로부터 접지부(84)를 향해 돔 시트(41)측으로 낮게 경사져 있다.
또, 키 러버(8)의 접지부(84)는 돔 시트(41)의 표면에 밀착하며, 리브 부(86)는 전면케이스(11)의 이면에 밀착하고 있다.
키 러버(8)의 평판부(82)의 표면에는 시소 키(10)가 설치되며, 평판부(82)의표면의 중앙부(81)와 시소 키(10)의 이면의 중앙부가 접착제(85)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또, 시소 키(10)의 두부는, 전면케이스(11)에 형성된 개방구(18)로부터 외측으로 면 노출되어 있다.
상기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5개의 기능 가운데에서 소망하는 1개의 기능을 선택할 때에, 선택하고자 하는 기능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따라, 시소 키(10)를 직하로 누르거나, 또는 전후좌우의 어느 방향으로 압박하여 비스듬히 경사시킨다.
예를 들면, 시소 키(10)를 직하로 눌렀을 때에는, 그 시소 키(10)에 의한 압박력이 키 러버(8)를 통해 시소식 스위치유닛(4)의 요동부재(6)의 중앙부에 전달되고, 그 요동부재(6)의 중앙위치의 볼록부(62)가 그 아래의 돔 부(71)를 압박하여, 그 돔 부(71)를 반전시켜, 접점이 닫혀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키 러버(8)는, 평판부(82)의 외주부가 시소 키(10)와의 접촉면에서 자유롭게 상대이동함과 동시에, 경사부(83)가 용이하게 탄성변형하여, 시소 키(10)의 변위는 무리 없이 시소식 스위치유닛(4)의 요동부재(6)에 전달된다.
또, 시소 키(10)를 어느 한 방향으로 눌러서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그 시소 키(10)에 의한 압박력이 키 러버(8)를 통해 시소식 스위치유닛(4)의 요동부재(6)의 단부에 전달되며, 그 요동부재(6)가 한 방향으로 요동해서, 그 요동부재(6)의 외주위치의 1개의 볼록부(63)가 그 아래에 있는 돔 부(72)를 압박하여 그 돔 부(72)를 반전시켜 접점이 닫혀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키 러버(8)는, 평판부(82)의 외주부가 시소 키(10)와의 접촉면에서 자유롭게 상대 이동함과 동시에, 경사부(83)가 용이하게 탄성변형하여, 시소 키(10)의 변위는 무리 없이 시소식 스위치유닛(4)의 요동부재(6)에 전달된다.
상기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종래의 스틱형 시소 키장치(9) 대신에, 시소식 스위치유닛(4)이 채용되며, 그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1)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돔 시트(41) 위에 표면 실장된 상태로, 개방구가 없는 키 러버(8)로 덮여있기 때문에, 시소 키(10)의 주위로부터 수분이 침입하여도, 키 러버(8)에 의해 그 이상의 침입은 저지되어, 수분이 돔 시트(41)의 표면까지 도달하는 일은 없다.
또, 키 러버(8)에 의한 상기한 방지구조에 의해, 종래의 방수부재(91)는 필요 없게되며, 따라서 부품점수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키 입력장치는, 휴대전화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임기 등, 각종의 전자기기에도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키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며, 그 외에 적은 부품점수로 완전한 방수를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8)

  1. 베이스 위에 설치된 시소식 스위치유닛(4)과, 베이스 위에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덮어 설치된 키 러버(8)를 구비하며,
    키 러버(8)의 표면에는,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누르기 위한 시소 키(10)가 형성되어 있고,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베이스 플레이트(5)와, 복수의 돔 부(71, 72)를 구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 위에 설치된 돔 시트(7)와, 상기 돔 시트(7)의 상방에 설치되어 각 돔 부(71, 72)를 선택적으로 압박할 요동부재(6)를 구비하며,
    상기 요동부재(6)의 상방의 위치에 상기 시소 키(10)가 배치되고, 요동부재(6)의 압박을 받아 1개의 돔 부가 탄성복귀 가능하게 반전하여, 상기 돔 부의 내면에 형성된 접촉단자(52)가, 베이스 플레이트(5)의 표면에 형성된 접점전극(51)에 접촉하여, 접점이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복수의 조작키 부를 구비한 시트 키장치(40)로서, 상기 시트 키장치(40)의 표층부를 형성하고 있는 시트(41)의 표면에, 상기 시소식 스위치유닛(4)이 표면실장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키 러버(8)는, 시소 키(10)의 이면이 접착된 평판부(82)와, 상기 평판부(82)를 포위하여 형성된 경사부(83)와, 상기 경사부(83)를 포위하여 형성된 접지부(84)를 구비하고,
    경사부(83)는, 평판부(82)로부터 접지부(84)를 향해 베이스 측으로 낮게 경사하며, 접지부(84)가 베이스 표면에 밀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시소 키(10)의 이면의 중앙부와, 키 러버(8)의 평판부(82) 표면의 중앙부(81)가 서로 접착 고정되며, 그 접착고정부의 주위에서는, 시소 키(10)와 키 러버(8)의 평판부(82)가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장치.
  5. 케이싱(1)의 내부에, 무선통신을 위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3)과, 상기 회로기판(3) 위에 설치된 시트 키장치(40)와, 상기 시트 키장치(40)의 표면에 설치된 시소식 스위치유닛(4)과, 시트 키장치(40) 및 시소식 스위치유닛(4)의 표면을 덮어 배치된 키 러버(8)를 구비하며,
    키 러버(8)의 표면에는, 시트 키장치(40)를 누르기 위한 복수의 조작키(14)와, 시소식 스위치유닛(4)을 누르기 위한 시소 키(10)가 배치되어 있고,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베이스 플레이트(5)와, 복수의 돔 부(71, 72)를 구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 위에 설치된 돔 시트(7)와, 상기 돔 시트(7)의 상방에 설치되어 각 돔 부(71, 72)를 선택적으로 압박할 요동부재(6)를 구비하며,
    상기 요동부재(6)의 상방의 위치에 상기 시소 키(10)가 배치되고, 요동부재(6)의 압박을 받아 1개의 돔 부가 탄성복귀 가능하게 반전하여, 상기 돔 부의 내면에 형성된 접촉단자(52)가, 베이스 플레이트(5)의 표면에 형성된 접점전극(51)에 접촉하여, 접점이 닫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시소식 스위치유닛(4)은, 시트 키장치(40) 위에 표면실장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키 러버(8)는, 시소 키(10)의 이면이 접착된 평판부(82)와, 상기 평판부(82)를 포위하여 형성된 경사부(83)와, 상기 경사부(83)를 포위하여 형성된 접지부(84)를 구비하고,
    경사부(83)는, 평판부(82)로부터 접지부(84)를 향해 시트 키장치(40)측으로 낮게 경사하며, 접지부(84)가 시트 키장치(40)의 표면에 밀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시소 키(10)의 이면의 중앙부와, 키 러버(8)의 평판부(82) 표면의 중앙부(81)가 서로 접착 고정되며, 그 접착고정부의 주위에서는, 시소 키(10)와 키 러버(8)의 평판부(82)가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KR10-2001-0012866A 2000-04-07 2001-03-13 키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0372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6139A JP3754268B2 (ja) 2000-04-07 2000-04-07 キー入力装置及びこれを具えた携帯電話機
JP2000-106139 2000-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015A KR20010091015A (ko) 2001-10-22
KR100372602B1 true KR100372602B1 (ko) 2003-02-15

Family

ID=1861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866A KR100372602B1 (ko) 2000-04-07 2001-03-13 키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42920B2 (ko)
JP (1) JP3754268B2 (ko)
KR (1) KR100372602B1 (ko)
CN (1) CN1180645C (ko)
CA (1) CA234342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9105B2 (en) * 2000-04-03 2003-05-06 The Lubrizol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ester-substituted hindered phenol antioxidants
US6756968B2 (en) * 2000-11-14 2004-06-29 Keybowl, Inc. Ergonomic human-computer input device
US8487872B2 (en) 2000-11-14 2013-07-16 Blue Orb,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signals
US7345671B2 (en) 2001-10-22 2008-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US7312785B2 (en) 2001-10-22 2007-12-2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KR100451176B1 (ko) * 2001-11-16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콘덴서 소손방지구조
JP2003178639A (ja) * 2001-12-12 2003-06-27 Sunarrow Ltd ハードベース・キーユニット
US7333092B2 (en) 2002-02-25 2008-02-19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JP4147839B2 (ja) * 2002-06-26 2008-09-10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スライド式多方向入力キー
TW568337U (en) * 2003-03-11 2003-12-21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Improved button structure
JP2004278235A (ja) * 2003-03-18 2004-10-07 Aisin Seiki Co Ltd 温水洗浄便座装置
US7499040B2 (en)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US20070152977A1 (en)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Illuminated touchpad
US8059099B2 (en) 2006-06-02 2011-11-15 Apple Inc. Techniques for interactive input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495659B2 (en) 2003-11-25 2009-02-24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ATE459909T1 (de) * 2003-12-04 2010-03-15 Research In Motion Ltd Alphanumerische taste mit navigationsteuerung
US20050140653A1 (en) * 2003-12-04 2005-06-30 Velimir Pletikosa Character key incorporating navigation control
PL211215B1 (pl) * 2003-12-05 2012-04-30 Patrycjusz Kosuń Komputerowe urządzenie wskazujące
JP2008511045A (ja) 2004-08-16 2008-04-10 フィンガーワー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タッチセンス装置の空間分解能を向上させる方法
US7671837B2 (en) 2005-09-06 2010-03-02 Apple Inc. Scrolling input arrangements using capacitive sensors on a flexible membrane
US7911450B2 (en) * 2005-09-14 2011-03-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put apparatus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nabling input employing the same
US7880729B2 (en) 2005-10-11 2011-02-01 Apple Inc. Center button isolation ring
US10071040B2 (en) 2005-10-28 2018-09-11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 a liquid fatty substance and a sorbitan ester,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US20070104672A1 (en) * 2005-10-28 2007-05-10 Sandrine Decoste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 a solid fatty substance and a sorbitan ester,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US20070152983A1 (en)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with symbols based on mode
US8743060B2 (en) 2006-07-06 2014-06-03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8022935B2 (en) 2006-07-06 2011-09-20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9360967B2 (en) 2006-07-06 2016-06-07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7795553B2 (en) 2006-09-11 2010-09-14 Apple Inc. Hybrid button
US8274479B2 (en) 2006-10-11 2012-09-25 Apple Inc. Gimballed scroll wheel
US8482530B2 (en) 2006-11-13 2013-07-09 Apple Inc. Method of capacitively sensing finger position
US8432363B2 (en) * 2007-02-23 2013-04-30 Nokia Corporation Optical actuators in keypads
US7910843B2 (en) 2007-09-04 2011-03-22 Apple Inc. Compact input device
US8683378B2 (en) 2007-09-04 2014-03-25 Apple Inc. Scrolling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US8416198B2 (en) 2007-12-03 2013-04-09 Apple Inc. Multi-dimensional scroll wheel
US8125461B2 (en) 2008-01-11 2012-02-28 Apple Inc. Dynamic input graphic display
US8820133B2 (en) 2008-02-01 2014-09-02 Apple Inc. Co-extruded materials and methods
US9454256B2 (en) 2008-03-14 2016-09-27 Apple Inc. Sensor configurations of an input device that are switchable based on mode
US8816967B2 (en) 2008-09-25 2014-08-26 Apple Inc. Capacitive sensor hav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nd the flex circuit
US8395590B2 (en) 2008-12-17 2013-03-12 Apple Inc. Integrated contact switch and touch sensor elements
US9354751B2 (en) 2009-05-15 2016-05-31 Apple Inc. Input device with optimized capacitive sensing
US8872771B2 (en) 2009-07-07 2014-10-28 Apple Inc. Touch sensing device having conductive nodes
WO2012048457A1 (zh) * 2010-10-11 2012-04-19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通讯设备的按键结构及其制备工艺
CN103050310A (zh) * 2012-12-25 2013-04-17 金宝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按键结构及使用此按键结构的按键模块
KR20150112290A (ko) 2014-03-27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US9299511B2 (en) 2014-05-30 2016-03-29 Htc Corporation Ke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06790890B (zh) * 2016-12-01 2019-09-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侧键结构及其手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0829A (en) * 1996-07-23 1999-05-04 Motorola,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key actuations
JP3988203B2 (ja) * 1996-10-22 2007-10-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ネルスイッチ用可動接点体
US6172620B1 (en) * 1998-03-24 2001-01-09 Telxon Corporation Portable data terminal with modular keypad
JP3060240U (ja) * 1998-07-23 1999-08-17 京セラ株式会社 移動体通信機器の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キ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015A (ko) 2001-10-22
US6642920B2 (en) 2003-11-04
CA2343425A1 (en) 2001-10-07
CA2343425C (en) 2006-01-31
JP3754268B2 (ja) 2006-03-08
US20010033270A1 (en) 2001-10-25
JP2001291455A (ja) 2001-10-19
CN1317918A (zh) 2001-10-17
CN1180645C (zh) 200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602B1 (ko) 키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EP1202308B1 (en) Double sided keyboard having two keymats and one activation mat
JP2000182474A (ja) キ―パッド組立機構
EP1265261A3 (en) Keypad for mobile phone with electroluminescent element
EP1028445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US6477274B1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JP2000151772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75545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구조
JP3510820B2 (ja) キー入力装置
JPH11329149A (ja) 携帯電子機器の構造
US6587332B2 (en) Structure of a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03281965A (ja) 携帯端末装置
JP4371895B2 (ja) キースイッチ構造
JP2002216582A (ja) 可動接点体
KR1005951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JP2972695B2 (ja) スティックスイッチ用のツマミ
JP2001143570A (ja) キー入力装置
JPH1069834A (ja) 携帯電話機のキーボタン構造
JP3507737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多方向操作スイッチを備えた移動体携帯端末
CA2719332C (en) Keypad structure
KR200280101Y1 (ko) 휴대폰의 키버튼 장치
JP2006019056A (ja) 押ボタン装置
JP2004288481A (ja) 入力操作装置と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及び電子機器
KR20070068022A (ko) 역 도옴형 키이 시트 구조물
JPH0927239A (ja) スイッ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