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947A -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947A
KR20050006947A KR1020030046938A KR20030046938A KR20050006947A KR 20050006947 A KR20050006947 A KR 20050006947A KR 1020030046938 A KR1020030046938 A KR 1020030046938A KR 20030046938 A KR20030046938 A KR 20030046938A KR 20050006947 A KR20050006947 A KR 20050006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age
consumables
cycles
amount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6947A/ko
Publication of KR2005000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94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19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consumables, e.g. ink, toner,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9Restricting the usage of resources, e.g. usage or user levels, credit limit, consumables, special fo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89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ink level as input for printer mode selection or for prediction of remaining printing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주기 및 주기횟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주기 단위로 소모재의 사용량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상기 사용주기 단위의 소모재 사용량 중 상기 주기횟수에 해당하는 사용주기 동안의 소모재의 사용량에 대한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소모재의 잔존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과 상기 잔존 사용량에 기초하여 소모재의 사용 가능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최근의 인쇄장치의 사용상태를 반영하여, 현재의 소모재의 잔여 사용량에 대한 사용 가능한 잔여 기간을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MANAGEMENT METHOD OF EXPENDABLES OF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인쇄장치에 사용되는 소모재의 사용 가능한 잔여기간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컴퓨터용 프린터(Printer), 복사기 및 팩시밀리 등으로 대별되는 인쇄장치는 컴퓨터나, 광스캐너 및 공중전화망(PSTN)으로부터의 프린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를 인쇄용지 등의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인쇄장치는 그 인쇄방식에 따라 크게 도트방식의 인쇄장치, 잉크젯 방식의 인쇄장치 및 레이저 방식의 인쇄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인쇄장치는 공통적으로 그 사용량이 다하는 경우 교환해 주어야 하는 다양한 소모재(또는 교환품)을 사용한다. 예컨대, 잉크젯 방식의 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 카트리지나, 레이저 방식의 프린터에 사용되는 토너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레이저 방식의 프린터에 사용되는 감광기, 전사기 및 현상기 등의 부품 또한 일정 사용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그 수명이 다하여 교체가 요구된다.
이러한 인쇄장치에 사용되는 소모재의 관리에 있어서는 소모재를 적시에 교체하여 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현재 소모재의 사용량 및 잔여 사용량을 체크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다양한 방법이 개시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의 인쇄장치의 사용상태를 반영하여, 현재의 소모재의 잔여 사용량에 대한 사용 가능한 잔여 기간을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소모재 사용량의 저장 과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에서 사용주기 단위로 저장된 소모재의 사용량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산출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1 : 인쇄부
12 : 사용량 검출부 13 : 데이터 저장부
14 : 디스플레이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주기 및 주기횟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주기 단위로 소모재의 사용량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상기 사용주기 단위의 소모재 사용량 중 상기 주기횟수에 해당하는 사용주기 동안의 소모재의 사용량에 대한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소모재의 잔존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과 상기 잔존 사용량에 기초하여 소모재의 사용 가능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주기는 24시( 時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주기횟수에 해당하는 사용주기는 상기 주기횟수에 해당하는 최근의 사용주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모재의 잔존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소모재의 총사용가능량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주기 단위로 저장된 소모재의 사용량을 합산하여 누적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총사용가능향과 상기 누적 사용량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잔존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소모재의 사용량이 저장된 사용주기의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사용주기의 횟수와 상기 주기횟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사용주기의 횟수가 상기 주기횟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검출된 사용주기의 횟수에 해당하는 사용주기 동안의 소모재의 사용량에 대한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정의 경고횟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가 상기 설정된 경고횟수보다 작은 경우, 경고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인쇄장치에 인쇄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처리장치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인쇄부(11)와, 인쇄부(11)의 구동시 소모재의 사용량을 검출하기 위한 사용량 검출부(12)와, 사용량 검출부(12)에 의해 검출된 소모재의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3)와, 디스플레이부(14)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인쇄부(11)는 인쇄장치에 있어서 실질적인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가 레이저 방식의 프린터인 경우, 토너, 감광기, 전사기, 현상기 및 정착기 등을 포함하며, 잉크젯 프린터인 경우 그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쇄부(11)의 구성은 기 공지된 일반적인 구성에 해당하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량 검출부(12)는 인쇄부(11)의 구송시 소모재의 사용량을 감지한다. 예컨대, 소모재가 레이저 방식의 프린터의 토너인 경우 토너의 무게 등의 물리적인 량에 기초하여 토너의 사용량을 검출하거나, 인쇄데이터에 포함된 도트(Dot) 수에 기초하여 인쇄시 사용되는 토너의 량을 예측하여 토너의 사용량을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소모재가 감광기, 전사기, 현상기 및 정착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소모재의 사용량으로 인쇄매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상기 부품들이 롤러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그 회전수에 기초하여 소모재의 사용량을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수신되는 인쇄데이터에 응답하여 인쇄부(11)를 제어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량 검출부(12)로부터 검출된 소모재의 사용량을 데이터 저장부(13)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0)는 기 설정된 사용주기에 따라 사용주기 단위로 소모재의 사용량을 데이터 저장부(13)에 저장하고, 기 설정된 주기횟수에 기초하여 인쇄장치의 최근의 사용상태가 반영된 소모재의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어부(10)는 산출된 소모재의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소모재의 사용량이 데이터 저장부(13)에 저장되는 과정을,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량이 검출되는 소모재로 레이저 방식의 인쇄장치의 토너와, 감광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며, 토너는 물리적인 사용량을 그 사용량으로, 감광기는 인쇄매수를 그 사용량으로 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먼저, 인쇄장치로 인쇄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0)는 인쇄부(11)를 제어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한다(S10). 이 때, 사용량 검출부(12)는 인쇄작업 중 소모재의 사용량을 검출한다(S11). 그런 다음, 제어부(10)는 현 사용주기에 대한 사용량 테이블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S12), 현 사용주기에 대한 사용량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 현 사용주기에 대한 사용량 테이블에 기 저장된 소모재의 사용량과 현재의 인쇄작업 중 사용량 검출부(12)에 의해 검출된 소모재의 사용량을 합산하여 저장한다(S13). 반면, 현 사용주기에 대한 사용량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현 사용주기에 대한 사용량 테이블을 생성하고(S14), 현재의 인쇄작업 중 사용량 검출부(12)에 의해 검출된 소모재의 사용량을 저장한다(S15).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어부(10)는 소모재의 사용량을 사용주기 단위로 사용량 테이블을 작성하여 데이터 저장부(13)에 저장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소모재의 사용량이 사용주기 단위로 저장된 사용량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사용주기를 24시( 時 ), 즉, 1일( 日 )로 하는 것을 일예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모재 관리방법에 있어서의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의 산출은 사용자의 선택이나, 제어부(10)가 일정 주기로 체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사용주기 및 주기횟수가 설정된 상태에서(S20), 사용자의 선택이나 기 설정된 체크 주기가 도래한 경우, 제어부(10)는 데이터 저장부(13)에 저장된 사용주기의 횟수와 기 설정된 주기횟수를 비교한다(S21).
여기서, 데이터 저장부(13)에 저장된 사용주기의 횟수가 주기횟수 이상인 경우, 제어부(10)는 최근의 주기횟수 동안의 소모재의 누적 사용량을 산출한다(S22).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 회의 사용주기 동안의 소모재의 사용량에 대한 사용량 테이블이 작성되고, 주기횟수가 10회인 경우, 제어부(10)는 최근의 주기횟수 동안의 소모재의 누적 사용량, 즉, 제2번째 사용주기에서부터 제11번째 사용주기까지의 소모재의 누적 사용량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0)는 산출된 누적 사용량을 주기횟수로 나누어, 소모재의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한다(S22).
그런 다음, 제어부(10)는 현재 남아 있는 소모재의 잔존 사용량을 산출한다(S24). 소모재의 잔존 사용량은 소모재의 총사용가능량과, 현재 사용량 테이블에 사용주기 단위로 저장된 소모재의 전체 사용량을 합산한 누적 사용량과의 차에 의해 산출된다. 여기서, 소모재의 총사용가능량은 소모재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나 제조자에 의해 기 설정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10)는 산출된 소모재의 잔여 사용량을 산출된 일 사용주기당 평균 사용량으로 나누어, 소모재에 대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산출한다(S28).
반면, S21 단계에서, 저장된 사용주기의 횟수가 주기횟수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10)는 저장된 소모재의 전체 누적 사용량과, 저장된 사용주기의 횟수에 기초하여 일 사용주기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한다. 즉, 주기횟수가 10회이고, 5회의 사용주기 동안의 소모재의 사용량에 대한 사용량 테이블이 작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는 5회 사용주기 동안의 소모재의 전체 사용량을 산출하고(S26), 산출된 소모재의 전체 사용량을 5로 나누어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게 된다(S27). 그런 다음, S24 단계 및 S25 단계를 통해 소모재에 대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산출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소모재의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가 산출된 경우, 제어부(10)는 산출된 잔여사용주기의 횟수와 기 설정된 경고횟수를 비교한다(S28). 여기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가 경고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0)는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표시한다(S30). 반면,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가 경고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교체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와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표시한다(S29). 여기서, 경고횟수는 각 소모재의 교환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토너나 잉크카트리지 등과 같이 사용자가 구입 및 교체하기 용이한 소모재의 경우, 2 ~ 3일의 여유를 두고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감광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구입이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아 서비스를 요청하여야 할 경우에는 더 많은 시간적 여유를 두고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나 경고 메시지가 인쇄장치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가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인쇄테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프린터인 경우, 프린터의 제어부가 연결된 컴퓨터나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에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프린터와 연결된 컴퓨터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소모재의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나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사용주기 및 주기횟수를 설정하고, 사용주기 단위로 소모재의 사용량을 검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주기 단위의 소모재 사용량 중 주기횟수에 해당하는 사용주기 동안의 소모재의 사용량에 대한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고, 소모재의 잔존 사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과 잔존 사용량에 기초하여 소모재의 사용 가능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산출함으로써, 인쇄장치의 최근 사용상태가 반영된 소모재의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산출하여, 보다 정확한 소모재의 사용 가능기간 및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의 인쇄장치의 사용상태를 반영하여, 현재의 소모재의 잔여 사용량에 대한 사용 가능한 잔여 기간을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8)

  1.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주기 및 주기횟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주기 단위로 소모재의 사용량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상기 사용주기 단위의 소모재 사용량 중 상기 주기횟수에 해당하는 사용주기 동안의 소모재의 사용량에 대한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소모재의 잔존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과 상기 잔존 사용량에 기초하여 소모재의 사용 가능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주기는 24시( 時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주기횟수에 해당하는 사용주기는 상기 주기횟수에 해당하는 최근의 사용주기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재의 잔존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소모재의 총사용가능량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주기 단위로 저장된 소모재의 사용량을 합산하여 누적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총사용가능향과 상기 누적 사용량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잔존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소모재의 사용량이 저장된 사용주기의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사용주기의 횟수와 상기 주기횟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사용주기의 횟수가 상기 주기횟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검출된 사용주기의 횟수에 해당하는 사용주기 동안의 소모재의 사용량에 대한 일 사용주기 당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소정의 경고횟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가 상기 설정된 경고횟수보다 작은 경우, 경고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인쇄장치에 인쇄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처리장치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잔여 사용주기의 횟수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KR1020030046938A 2003-07-10 2003-07-10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KR20050006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938A KR20050006947A (ko) 2003-07-10 2003-07-10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938A KR20050006947A (ko) 2003-07-10 2003-07-10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947A true KR20050006947A (ko) 2005-01-17

Family

ID=3722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938A KR20050006947A (ko) 2003-07-10 2003-07-10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694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879A (ja) * 1992-05-18 1993-12-03 Ricoh Co Ltd プリンタ装置
JPH086444A (ja) * 1994-06-23 1996-01-1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8221480A (ja) * 1995-02-17 1996-08-30 Fuji Xerox Co Ltd 保守管理装置
KR0177099B1 (ko) * 1996-06-24 1999-04-01 김광호 화상 형성장치의 상태메세지 출력방법
KR20040051163A (ko) * 2002-12-12 200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교체시기 경고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879A (ja) * 1992-05-18 1993-12-03 Ricoh Co Ltd プリンタ装置
JPH086444A (ja) * 1994-06-23 1996-01-1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8221480A (ja) * 1995-02-17 1996-08-30 Fuji Xerox Co Ltd 保守管理装置
KR0177099B1 (ko) * 1996-06-24 1999-04-01 김광호 화상 형성장치의 상태메세지 출력방법
KR20040051163A (ko) * 2002-12-12 200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교체시기 경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542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consumable item lifetimes for peripheral units
JP493388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4380965B2 (ja) 印刷媒体カートリッジの容量を識別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519449B2 (en) Network printer system
US80647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output setting method of consumed status of consumable item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050693A (ja) 消耗品の状態に基づいて色域を調整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5850583A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status messages i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90016294A (ko) 화상형성장치와,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방법
JP2004287442A (ja) トナーレベルの推定方法
KR20050006947A (ko) 인쇄장치의 소모재 관리방법
JP3557853B2 (ja) 印刷装置
EP3077900B1 (en) Network printer system
US7063469B2 (en) Image output apparatus for providing stable operation
JP4513405B2 (ja) ステータス監視装置、ステータス監視方法、およびステータス監視プログラム
US7102770B2 (en) System and methods for smoothing sensed toner levels
JP2013094962A (ja) 画像形成装置、消耗品切れ警告方法及びサーバ装置
KR100662912B1 (ko) 화상형성장치의 카트리지정보 출력장치
JP2005121931A (ja) 印刷装置
KR100472448B1 (ko) 소모품 교체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040051163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교체시기 경고방법
JP4108064B2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方法
JP200134387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720355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70066085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의 교체시기통지방법
JP2001350374A (ja)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管理装置、画像形成装置管理装置ホストコンピュータ、画像形成装置の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