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638A - 선박 예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예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638A
KR20050006638A KR1020030046523A KR20030046523A KR20050006638A KR 20050006638 A KR20050006638 A KR 20050006638A KR 1020030046523 A KR1020030046523 A KR 1020030046523A KR 20030046523 A KR20030046523 A KR 20030046523A KR 20050006638 A KR20050006638 A KR 20050006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ooring line
fairlead
stern
t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961B1 (ko
Inventor
주광일
Original Assignee
탱크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탱크테크 (주) filed Critical 탱크테크 (주)
Priority to KR10-2003-004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9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0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정박 또는 견인에 이용되는 예인장치의 계선줄(로프 또는 체인)이 고정부이(strong point)를 관통하여 페어리드(Fair lead)에 끼워지도록 개량하여 하나의 페어리드가 비상견인장치(ETS)와 접안장치(ESP) 모두가 공유할 수 있도록 구조를 단순화로 선미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선박 예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선박의 선미에 계선줄을 안내하는 하나의 페어리드(30)만이 고정되고, 상기 페어리드(30)의 배면부에는 접안장치(20)의 고정부이(23)와 비상견인장치(10)가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이(23)의 내측 중앙부에는 구멍(232)이 형성되어 비상견인장치(10)의 계선줄(12)이 고정부이(23)의 구멍(232)을 통과한 채 페어리드(30)의 구멍(32)으로 끼워지도록 되고, 상기 고정부이(23)의 일측에는 접안장치(20)의 계선줄(22)을 보관하는 박스(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임.

Description

선박 예인장치{Towing system}
본 발명은 선박 예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박 또는 견인에 이용되는 예인장치의 계선줄(로프 또는 체인)이 고정부이(strong point)를 관통하여 페어리드(Fair lead)의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개량하여 하나의 페어리드가 비상견인장치(ETS)와 접안장치(ESP) 모두가 공유할 수 있도록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서 선미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선박 예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선박은 닻(anchor)과 닻 체인(anchor chain)을 이용하여 해상에 정박 또는 계선줄(로프)를 이용하여 안벽이나 해상에 떠 있는 선착장(dolphin)이나 고정부이에 매는 방법으로 계선하고 있다.
그리고 선박 예인장치는 견인장치(10)(Emergency towing system, ETS)와 접안장치(20)(Escoring pull back, ESP)가 있다.
상기 견인장치(10)는 선미에 설치되어 항해중 선박의 고장 등의 이유로 선박 견인시 이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용 선박에 연결되는 계선줄을 보관 및 되감기 위한 드럼(13:drum), 상기 계선줄(12)을 안내하는 페어리드(11), 상기 계선줄과 체인을 보관하는 박스(14)로 구성되고, 상기 계선줄(12)은 체인이 구비된 별도의 견인 페넌트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선미에 설치되어 선박을 항구나 터미날에 접안시키는 접안장치(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인선(tug boat)과 연결되어 선박의 방향 등을 조정하여 안전하게 항구나 터미날에 접안 할 수 있도록 접안용 계선줄(22), 상기 계선줄(22)을 고정하는 고정부이(23), 상기 고정부이(23)와 동일선상에 나란히 설치되어 계선줄(22)을 안내하도록 된 페어리드(21)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 페어리드(11,21)는 선박 정박시 또는 견인시 계선줄을 와인딩 및 리와인딩 시 가이드 역할을 하고, 고정부이(23:strong point)는 계선줄을 매거나 또는 미리 끝에 고리를 만든 계선줄을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원통형 말뚝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페어리드에는 계선줄에 부착되는 걸고리 및 소켓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선박의 갑판에 고정되며, 상기 페어리드의 내측에는 계선줄(12,22)에 고정된 걸고리 또는 소켓 등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 및 직경으로 되는 구멍(11a,21a)을 뚫어 배로부터 계선줄이나 그 외의 로프를 배 밖으로 내 보낼때 로프의 마모 및 꺽임을 방지하고 있다.
이처럼 선박의 선미에는 상기한 견인장치(10)와 접안장치(20)를 모두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들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적당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선미에 서로 형태와 모양은 동일하면서도 서로 다른 기능과 목적을 갖는 각각의 패어리드 즉, 견인용 페어리드(11)와 접안용 페어리드(21)가 중복 설치되므로 이로 인해 선미 구조가 다소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 수행하기 위해 선미에 설치되는 페어리드를 단일화하여 상기 페어리드를 비상견인장치와 접안장치의 계선줄이 선택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하고, 비상견인장치와 접안장치의 고정부이 및 페어리드를 동일 직선상에 나란하게 설치하여 비상견인장치의 계선줄이 고정부이를 관통한 채 페어리드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조의 단순화를 꾀함과 동시에 설치 공간도 작게 차지하여 선미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페어리드를 하나만 설치하고 이들 모두가 동일선상에 나란하게 설치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두 가지 목적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설계자 및 사용자에게 공간확보의 추가 이익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2는 종래 선박 예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선박 예인장치의 일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선박 예인장치의 평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견인장치(Emergency towing system:ETS)
11a,21a,32,232: 구멍 11,21,30: 페어리드(Fair lead)
12,22: 계선줄 13 : 드럼
14, 24 : 박스 20 : 접안장치(Escoring pull back:ESP)
23 : 고정부이(strong point)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미에 선박 견인 및 접안을 위한 예인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선박의 선미에 계선줄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된 하나의 페어리드(30)만이 고정되고, 상기 페어리드(30)의 배면부에는 접안장치(20)의 고정부이(23)와 비상견인장치(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이(23)의 내측 중앙부에는 소정의 크기로 뚫려지는 구멍(232)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232)으로 비상견인장치(10)의 계선줄(12)이 고정부이(23)의 구멍(232)을 통과한 채 페어리드(30)의 구멍(32)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이(23)의 일측에는 접안장치(20)의 계선줄(22)을 보관하는 박스(24)가 갑판 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계선줄(12,22)은 섬유로프(fiber rope)로 형성하여 기존의 강제 로프보다 중량도 가볍고, 취급도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고정부이에 형성되는 구멍(232)은 계선줄이 자유롭게 풀고 감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되고, 상기 구멍(232)의 한쪽면에는 별도의 스토퍼(234)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상기 스토퍼(234)가 계선줄(12)의 양쪽 선단에 고정되는 걸고리(17) 및 소켓(18)가 빠져나갈 수 없도록 지지하는 멈춤 작용을 하도록 구성하여 계선줄이 과도하게 풀리거나 감겨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견인장치(1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정부이(23)의 구멍(232)과 페어리드(30)의 구멍(32)으로 계선줄을 관통시키면 페어리드(30)는 선박 견인을 위해 풀고 감게되는 계선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활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접안장치(20)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박스(24)에 보관된 계선줄(22) 한끝단을 고정부이(23)에 고정시킨 다음 타측단을 페어리드(30) 구멍(32)으로 관통되도록 끼워 넣으면 페어리드(30)는 접안용 계선줄을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미에 하나의 페어리드(30)만을 설치하여 이를 서로 공유하게 하더라도 각각의 견인장치(10)와 접안장치(20)는 동시에 운용되지 않으므로 선미에 상호 간섭을 일으키는 일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이(23)와 비상견인장치(10)가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하여 상기 비상견인장치(10)의 계선줄(12)이 고정부이(23)의 구멍(232)을 경유하여 페어리드(30)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있어 비상견인장치(10)의 계선줄은 어떠한 간섭이나 장애없이도 와인딩 및 리와인딩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이(23)의 구멍(232)에는 계선줄(12)이 완전히 풀리거나 감겨지더라도 그 계선줄의 선단으로결합되는 걸고리(17) 및 소켓(18)은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과도하게 계선줄(12)이 풀리거나 감겨지는 것을 제한하는 멈춤기능을 병행할 수 있게 되어 계선줄(12)이 과도하게 감기거나 풀리는 것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계선줄은 강재로프가 아닌 섬유로프로 구성하고 체인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기존의 강제 로프를 이용하였을 보다 중량도 가볍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취급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인장치는, 선박 견인 및 정박을 위한 계선줄을 안내하는 페어리드를 선미에 하나만 설치하여 이를 서로 공유하더라도 고유의 목적과 기능을 기존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어 설계자 및 사용자에게는 공간 확보의 추가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비상견인장치와 접안장치의 고정부이 및 페어리드를 동일 직선상에 일렬로 나란히 설치하여 비상견인장치의 계선줄이 고정부이를 관통한 채 페어리드에 끼워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공간도 작게 차지하여 선미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작용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선미에 선박 견인 및 접안을 위한 예인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선박의 선미에 계선줄을 안내하는 하나의 페어리드(30)만이 고정되고, 상기 페어리드(30)의 배면부에는 접안장치(20)의 고정부이(23)와 비상견인장치(10)가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이(23)의 내측 중앙부에는 구멍(232)이 형성되어 비상견인장치(10)의 계선줄(12)이 고정부이(23)의 구멍(232)을 통과한 채 페어리드(30)의 구멍(32)으로 끼워지도록 되고, 상기 고정부이(23)의 일측에 접안장치(20)의 계선줄(22)을 보관하는 박스(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예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이(23)에 형성되는 구멍(232)은 계선줄이 자유롭게 풀고 감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되고, 상기 구멍(232)의 한쪽면에는 별도의 스토퍼(234)를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234)가 계선줄(12)의 양쪽 선단에 고정되는 걸고리(17) 및 소켓(18)은 빠져나갈 수 없도록 지지하는 멈춤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예인장치.
KR10-2003-0046523A 2003-07-09 2003-07-09 선박 예인장치 KR10049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523A KR100497961B1 (ko) 2003-07-09 2003-07-09 선박 예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523A KR100497961B1 (ko) 2003-07-09 2003-07-09 선박 예인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805U Division KR200332003Y1 (ko) 2003-07-23 2003-07-23 선박 예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638A true KR20050006638A (ko) 2005-01-17
KR100497961B1 KR100497961B1 (ko) 2005-07-01

Family

ID=3722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523A KR100497961B1 (ko) 2003-07-09 2003-07-09 선박 예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3695B2 (en) 2007-07-12 2011-11-08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Time delay output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998B1 (ko) 2021-10-25 2023-03-20 구차진 스토리지 박스와 스트롱 포인트가 통합된 선박예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3695B2 (en) 2007-07-12 2011-11-08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Time delay output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961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5106B (zh) 紧急停船系统和方法
AU2007312200B2 (en) Traction system for operating lines, in particular mooring and/or production lines, of a floating production unit
WO2007109197A2 (en) Anchoring system and method
CN113386902B (zh) 一种船舶的泊系方法、泊系系统及船舶
KR101702516B1 (ko) 앵커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0497961B1 (ko) 선박 예인장치
KR200332003Y1 (ko) 선박 예인장치
KR100516140B1 (ko) 선박 예인장치
KR100516141B1 (ko) 선박 예인장치
KR102036976B1 (ko) 비상용 예항장치
KR200335213Y1 (ko) 선박 예인장치
KR200328378Y1 (ko) 선박 예인장치
WO2004050470A2 (en) Mooring windlass/winch system
EP3841007B1 (en) Mooring tensioning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longitudinal cross tension of a mooring system
US6019058A (en) Looped mooring line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170140449A (ko) 선박용 토윙후크
JP6949690B2 (ja) 浮体係留方法および浮体
KR102420927B1 (ko) 무어링 윈치
KR101551795B1 (ko) 선박의 앵커링 장치
RU2009067C1 (ru) Способ заведения подъемных кана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подводного объекта
KR20230047770A (ko) 무어링 체인 견인용 체인 핸들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