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749A -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749A
KR20050005749A KR1020040021241A KR20040021241A KR20050005749A KR 20050005749 A KR20050005749 A KR 20050005749A KR 1020040021241 A KR1020040021241 A KR 1020040021241A KR 20040021241 A KR20040021241 A KR 20040021241A KR 20050005749 A KR20050005749 A KR 20050005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ed
recording medium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6547B1 (ko
Inventor
가와마에오사무
호시자와다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925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322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36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9690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0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5Status of the record carrier, e.g. space bit maps, flags indicating a formatting status or a write permi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Abstract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 단위에 따라 할당된 기록/미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한다.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기록 매체에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다시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형 광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의 기록/미기록의 영역 관리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광 디스크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광 디스크에서는,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나, 파이널라이즈(기록 종료 시에 그 이상 세션의 추가를 할 수 없도록, 추가 기록의 금지를 지정하여 클로즈 세션(픽스)을 행함)일 때에, 기록/미기록의 영역을 판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록/미기록의 영역을 관리하는 정보는 중요하다. 이 때문에, 일본 특개평10-112166호 공보(제4-5페이지 [0019]∼[0030] 도 7)에는, 스페이스 비트 맵을 이용하여 미기록 블록의 맵을 작성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히 CD-R이나 DVD-R과 같은 추기형 기록 디스크라고 하는 1회만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는, 한번밖에 기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기록/미기록의 영역 관리는 중요하다.
추기형 디스크는 기록막으로서 유기 색소를 이용하고 있으며,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광을 흡수하여 발열하여, 기판이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결과, 변형된 부분은 변형되지 않은 부분보다 반사율이 저하한다. 따라서, 이 반사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정보의 판독을 행하고 있다. 기록에 의해 기판이 변형되면 원상태로는 복원되지 않기 때문에, 1회만 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추기형의 디스크에서는, 기록이 완료된 영역과 미기록의 영역을 관리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어디에 배치하는지 미리 정하고나서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금후, 광 디스크의 대용량화에 의해,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량도 증가하고, 특히 PC 용도의 경우에는, 파일의 크기도 다양하기 때문에, 기록이 완료된 영역의 관리가 복잡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일본 특개평6-119127호 공보(제2-3페이지 [0002]∼[0006], [0009] 도 1-2)에서는, 전원 투입시 또는 디스크 교환 시에, 그 추기형 광 디스크의 기록/미기록 영역의 체크를 행하여, 그 체크 결과를 RAM에 기억해 두고, 광 디스크에의 기입 후에는 그 기입 상태에 대응하여 RAM의 내용을 갱신하는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광 디스크는 랜덤 액세스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으며, 기록하는 영역을 예를 들면 내주부터 기록하도록 하는 규정을 하지 않아도, 디스크 상의 어떤 영역에도 랜덤하게 액세스하여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개평10-112166호 공보에서는, 구체적인 영역의 관리 정보를 보존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일본 특개평6-119127호 공보에서는, 구체적인 영역의 관리 정보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디스크의 용량이 커지면, 관리하는 영역의 수가 방대하게 되어, 관리 정보를 위한 큰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1회밖에 기록할 수 없는 기록 매체에서는, 관리용 영역의 소모도 과제가 된다. 또한 관리 정보는 중요하므로 높은 신뢰성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어떠한 관리 정보의 구성으로 영역의 관리를 행할지에 의해, 판독 속도나 신뢰성에 영향을 받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기록/미기록 영역과, 그 관리 맵의 내용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데이터의 기록 영역과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추기형의 광 디스크 상에 기록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디스크 상의 기록이 완료된 데이터에 덮어쓰기하는 것에 의해 식별 정보를 부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비특허 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한 LDC 부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한 기록 블록의 구성에 대하여, 덮어쓰기에 의해, 특정한 버스트 에러를 발생시킨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의 a, 도 8의 b는 도 7에 도시한 버스트 에러를 도 6에 도시한 LDC 구성 상에 도시한 도면.
도 9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내용이 변경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과 갱신 플래그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과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배치에 의한 관리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의 a, 도 12의 b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기록하는 타이밍이 상이한 장치에 의해 기록이 행해진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갱신 타이밍 플래그를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과 동시에 기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의 a, 도 14의 b는 기록이 완료된 영역에 대하여, (4)(6)(7)을 추가 기록한 경우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5의 a, 도 15의 b, 도 15의 c, 도 15의 d 및 도 15의 e는 기록 데이터를 인코드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식별 데이터의 일부에 기록 방향 식별용의 신호를 포함시킨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동기용 데이터의 일부에 기록 방향 식별용의 신호를 포함시킨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기록 방향 플래그의 설정 방법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디스크 식별 기호를 구비한 기록 매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디스크 식별 기호를 기억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3 : 입출력 I/F
705 : 버퍼
706 : 디스크
1001 :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기록 매체 상의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를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기록 매체 상에 다시 기록하도록 하였다.
또한, 픽업과 기록에 수반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 상의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를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며, 또한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갱신 플래그를 불휘발성 메모리 내에 설정하여, 기록이 완료된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기록이 종료했을 때에 갱신 플래그를 리세트하도록 하였다.
또한, 픽업에 의해 기록 매체 상의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를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특정한 위치에 오류 데이터를 발생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작은 미기록 영역이 발생한 경우에도, 기록 방향을 나타내는 플래그에 의해, 미기록 영역을 검출하기 쉽게 하였다. 또한, 기록이 완료된 영역의 위치의 정보를 기록하는 타이밍에 대응한 플래그를 설정함으로써,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의 정보의 정밀도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또, 구체적인 발명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 단위에 따라 할당된 기록/미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다시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
픽업, 기록에 수반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 및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픽업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 단위에 따라 할당된 기록/미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록 장치.
픽업, 기록에 수반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 및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픽업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 단위에 따라 할당된 기록/미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특정한 위치에 오류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기록 장치.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다시 기록하고, 갱신된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
픽업, 기록에 수반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 및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갱신된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
기록 영역에 대하여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기록되고, 상기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다시 기록되며, 갱신된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추기형 디스크에의 데이터의 기록에 있어서, 디스크 전면을 검출하지 않고, 기록/미기록의 영역을 알 수 있으며, 관리를 행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갱신된 정보를 디스크 상에 기록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함으로써, 비록, 전원이 꺼지는 일이 발생해도, 디스크 상에 기록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이 정확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플래그 대신에 기록이 완료된 데이터를 덮어쓰기하여 특정한 위치에 에러를 발생시킴으로써, 플래그와 마찬가지로 정보를 가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갱신 타이밍이 상이한 장치마다, 갱신 타이밍 룰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고, 관리 정보와 함께 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어떠한 갱신 룰로 관리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인지를 알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기록/미기록 영역과, 그 관리 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상단은 디스크 상의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데, 사선으로 표시된 영역(1), (2), (4), (7), (8), (9), (10), (11), (14), (15)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기록이 완료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사선 표시가 없는 영역의 (3), (5), (6), (12), (13), (16)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미기록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디스크 상에 할당된 어드레스가 증가해 가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가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기록이 진행해가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는, 하나의 기록 단위를 64kB(킬로바이트)하고 있다.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은, 디스크 상의 기록 가능한 영역에 대하여 기록/미기록을 예를 들면 "1" 또는 "0"으로 하고, 1 비트로 할당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록 가능한 영역에 대하여, 기록/미기록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기록 단위마다 비트를 할당하여, 기록/미기록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식별용 맵을 스페이스 비트 맵으로 한다. 용량 25GB(기가 바이트)의 기록 영역에 대하여, 64kB 단위로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약 400000비트 즉 약 50kB(킬로 바이트)의 식별용 맵 영역이 필요하게 된다.
도 2의 하단은 상기의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디스크 상의 기록 가능한 영역에 대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할당된 사이즈의 파일이다. 이 파일의 일부분이 도 2의 상단에 도시한 기록 영역의 기록/미기록에 대응하여 할당되어 있다.
디스크 상에 다시 데이터가 기록되면, 소정의 타이밍으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디스크 상에 보존하는 것에 의해, 실제로 디스크의 기록/미기록 영역을 스캔하지 않고, 맵의 판독에 의해 기록/미기록 영역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파이널라이즈 처리로 미기록의 영역에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 미기록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통상의 기록 동작에서도, 예를 들면 어드레스가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미기록 영역을 매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속하여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와같이 연속하여 재생하는 데이터에 적합한 기록 영역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로서, 참조 부호 701은 호스트 I/F이고, 참조 부호 702는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장치, 참조 부호 703은 입출력 I/F, 참조 부호 704는 기록 재생을 위한 신호 처리 회로, 참조 부호 705는 신호 처리에 이용되는 버퍼, 참조 부호 706은 광 디스크, 참조 부호 707은 시스템 제어 회로, 참조 부호 708은 불휘발성 메모리, 참조 부호 709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호스트 I/F(701)는 예를 들면 PC 등 데이터의 입출력의 요구를 함으로써, 디스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소정의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소정의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요구를 한다. 입출력 I/F(703)에서는, 기록을 위한 데이터를 수취하거나, 재생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이들의 제어를 위한 커맨드의 입출력을 행한다. 신호 처리 회로(704)에서는, 기록시에는 기록 포맷에 따라 데이터에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거나, 변조를 행하거나 하여 인코드 처리를 행하고, 재생시에는 복조나 오류 정정 등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시에는, 데이터를 일단 저장하기 위한 버퍼(705)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디스크(706) 상에는 (도시 생략) 광 픽업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되고, 기록/미기록의 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디스크의 내주부터 기록하는 규정을 설정하면, 기록/미기록의 영역이 혼재하지는 않으며, 기록이 완료된 최종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만으로, 그 내측은 기록이 완료된 영역이고, 외측은 미기록 영역인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은 규정을 설정하는 것은, 편리한 사용성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재기입형의 광 디스크에서는, 몇번이나 덮어쓰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데이터를 남기고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고, 덮어쓰기해 가면, 기록 가능한 영역이 랜덤하게 분산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제어와, 동일한 제어 방법으로 추기형의 디스크의 관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면, 시스템 제어가 어느 정도, 공통화할 수 있어, 간략화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재기입형뿐만 아니라 추기형의 광 디스크라도, 랜덤한 기록을 허용하여 기록 재생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록/미기록의 영역의 관리가 중요하며, 관리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만약, 디스크의 전면을 모두 검출하여 기록/미기록의 영역 판별을 행하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 그 때문에, 지금까지 기재한 바와 같은 기록/미기록의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맵을 이용하여, 매회 디스크 전면을 스캔하지 않고, 기록/미기록의 영역 판별 영역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호스트 I/F(701)는,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논리적인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기록을 행한다. 통상적으로는, 호스트 PC라도 논리 어드레스에 의해, 기록/미기록을 파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기재하는 기록/미기록 관리 맵은 기록 매체의 기록/미기록 영역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과는 서로 다르다. 기록 매체의 기록/미기록 영역은 드라이브측에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호스트 PC측이 파악하고 있는 기록/미기록의 정보 외에 기록 매체 상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 별도의 영역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그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물리적인 어드레스에 대응한 기록/미기록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시스템 제어 회로(707)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한다. 디스크(706) 상에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이 기록되어 있고, 그것을 판독하여 불휘발성 메모리(708)에 저장한다.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갱신은, 이 불휘발성 메모리(708) 상에서 행해지며, 소정의 타이밍으로 디스크 상에 기록된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만약 전원이 꺼져도 내용이 소거되지 않기 때문에, 비록 디스크에 최신의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이 기록 매체에 기록되기 전에 전원이 꺼져도,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내용은 유지된다. 물론,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은, 버퍼 메모리(705) 상에 저장해도 된다. 디스크에의 기입은,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이 갱신될 때마다 기입해도 되지만, 추기형 디스크의 경우에는, 관리용의 영역이 대량으로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디스크에의 기입은 디스크 추출 시 또는 전원 OFF 상태로 하며, 맵이 갱신된 경우에는, 불휘발성 메모리(708)를 재기입함으로써 디스크에의 기입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은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버퍼 메모리(705)에 저장하고, 갱신되었을 때에만 불휘발성 메모리(708)를 이용하도록 하면 불휘발성 메모리에 재기입 횟수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최신의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이 디스크 상에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갱신 플래그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해 둠으로써, 디스크 상의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이 최신의 것인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즉, 갱신 플래그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내용이 일부라도 변경된 경우에는 플래그 비트를 설정하여, 디스크에의 기록이 종료했을 때에 플래그 비트를 복귀하도록 하면, 최신의 맵의 기록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쉽다.
도 19는 디스크 상에 디스크 식별 기호와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기록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록형 광 디스크(1900)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관리 영역(302)과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1904)을 구비한다. 데이터 기록 영역(1904)에 데이터를 기록해 가면, 소정의 타이밍으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관리 영역(1902) 내의 소정의 장소에 참조 부호 1903과 같이 기록한다. 또한, 디스크의 소정의 영역에는 디스크 식별 기호 1905가 미리 기록되어 있고, 디스크를 개별로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식별 기호가 디스크 제조 시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기재했지만, 본 기호는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 할당되어, 디스크 상의 특정한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도 20은, 도 19에서 도시한 디스크 식별 기호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함으로써, 갱신 플래그가 설정된 상태대로 전원이 꺼져도, 그 동안에 상이한 디스크가 삽입된 경우에, 디스크 식별 기호에 따라 상이한 디스크인 것을 판별할 수 있고,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이 상이한 것을 미리 인식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디스크가 상이한 것을 표시장치(709)에 표시하고, 또는 전원이 꺼지기 전의 상태까지 들어 있던 디스크 식별 기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바른 디스크로 교환할 수 있다. 디스크 식별 기호는, 미리 제조 시에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ID와 같은 것을 이용해도 되고, 기록 재생 장치(702)에 의해, 임의로 할당된 디스크 식별용 번호, 사용자가 붙인 이름 등을 이용해도 된다.
여기서, 표시 장치(709)는 기록 재생 장치(702)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일례로서 기재했지만, 이것은 반드시 본 구성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호스트 PC 측에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호스트 I/F(701)에 대하여, 디스크가 상이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호스트 PC 측에서 표시하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타이밍으로는, 예를 들면 디스크가 추출될 때나 전원을 끌 때에는, 최신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고, 이 밖에도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내용이 변경된 경우, 즉 갱신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크에 기록하도록 한다. 단, 너무 빈번하게 기록을 행하면,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내용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운 기록은 행하지 않는다. 또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상이한 영역에 복수회 반복하여 기록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디스크에 이 이상 기입을 금지하는 파이널라이즈 동작으로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소정의 위치에 기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디스크가 삽입되었을 때에, 디스크의 전면을 스캔하지 않고,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판독함으로써, 기록/미기록의 영역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3은 데이터의 기록 영역과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기록형의 광 디스크 상에 기록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재기입형 광 디스크(300)는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관리 영역(302)과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304)을 구비한다. 데이터 기록 영역(304)에 데이터를 기록해 가면, 디스크 상에는 참조 부호 301과 같이 기록되며, 소정의 타이밍으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관리 영역(302) 내의 소정의 장소에 참조 부호 303과 같이 기록한다.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리 영역(302) 내의 별도의 영역에 복수회 반복하여 기록해도 되며, 관리 영역을 또 다른 장소에 형성해도 된다. 만약 관리 영역이 가득하게 된 경우에는, 데이터 기록 영역(304)의 일부를 관리 영역으로서 대용해도 된다.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갱신 플래그를 이용하지 않고, 기록이 완료된 데이터에 덮어쓰기하여 기록 데이터에 에러를 발생시킴으로써, 갱신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예이다. 디스크(1000) 상의 관리 영역(1002)에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이 기록되어 있다.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갱신되어 있고, 오래된 순서로 n-3, n-2, n-1로 되어 있다. 추기형 기록 디스크에서는, 기록이 완료된 데이터에 거듭 레이저를 조사하면, 즉 덮어쓰기하면, 추기형 광 디스크의 경우에는, 기록막의 특성이 변화하여 데이터가 파괴되어, 베이스에 기록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게 된다. 재기입형 광 디스크의 경우에도 별도의 관련이 없는 데이터가 기록되어짐에 따라, 그 부분이 에러가 된다. 따라서, 디스크가 삽입되었을 때, 갱신 플래그를 이용하는 대신에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의 n-2를 덮어쓰기에 의해, 데이터를 파괴한다. 이에 의해, 맵이 갱신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이 다시 갱신되었을 때에,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의 n을 기록한다.
새로운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의 n-1은 이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남겨 두도록 한다. 덮어쓰기는, 디스크 삽입시가 아니라,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이 갱신되는 타이밍으로, 우선은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의 n-2에의 덮어쓰기를 행하고,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의 n이 정확하게 최후까지 기록되어 있으면, 정상적으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의 기입이 완료된 것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갱신 플래그를 이용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의 기입이 완료된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디스크가 사용되고나서, 기입 및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불휘발성 메모리 내의 정보를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디스크 상에 1개의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만약 디스크 상에 기입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과 상이해도, 불휘발성 메모리 내의 정보를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001)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도 5는, Optical Disc System for Digital Video Recording(Jpn. J. Appl. Phys. Vol. 39(2000) Pt.1, No.2B Fig.2)에 기재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의 블록 구성 예이다. 사용자 데이터는 64kB의 데이터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인코드되며,LDC(long Distance Code)라고 하는 부호화와, BIS(Burst Indicator Subcode)라고 하는 어드레스 정보와 서브 코드를 합하여, 496 바이트×155 바이트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록 데이터는 태선으로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의 순으로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이 데이터 구성으로 디스크 상에 기록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DC 부호화는 RS(리드 솔로몬) 부호에 의해, 216개의 데이터에, 32개의 패리티가 부가되어 248 바이트×152 바이트의 구성이 된다. 이것을 2 블록 합한 것으로 LDC 데이터는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기록 블록의 구성에 대하여, 덮어쓰기에 의해, 특정한 버스트 에러를 발생시킨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 사선 부분은 버스트 에러를 나타낸다. 이 에러 위치를 미리 정해 둠으로써, 자연스럽게 발생한 에러와, 덮어쓰기에 의해 고의로 만든 에러를 구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 개소에 버스트 에러를 발생시키고 있지만 물론, 버스트 길이나 에러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버스트 길이에 관해서는, 이 시스템으로 이용되는 변조측에서 발생하는 최장의 연속 패턴보다도 긴 버스트 에러이면, 오류 패턴인 것이 인식되기 쉬워진다.
도 8의 a, 도 8의 b는, 도 7에 도시한 버스트 에러를 도 6에 도시한 LDC 구성 상에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8의 a, 도 8의 b는 각각의 LDC에, 덮어쓰기에 의해 특정한 에러를 발생시킴으로써, 한 쪽의 LDC에 버스트 에러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러를 분산시켜 배치하는 것에 의해,오류 위치의 검출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으며, 갱신 플래그와 동일한 역할을 나타내는 특정한 오류 위치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발생시킨 에러를 패리티부만으로 함으로써, 실제로 이용하는 데이터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 RS 부호로는, 16개까지의 오류 위치를 독립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그 외에 오류가 없으면, 하나의 열(세로 방향)에 16까지의 에러를 발생시켜도 된다. 그 때문에, 몇개의 에러 위치를 조합하여, 특정한 오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적인 에러인, 버스트 에러를 발생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에러라도 되며, 그것이 복수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만약 갱신 플래그를 이용한 갱신을 행하지 않아도, 대략적인 기록/미기록 영역의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그 부근을 액세스하여 기록/미기록의 판별을 행하면 되며, 디스크 전면의 검출을 행하는 것보다, 판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서 설명한 갱신 플래그를 이용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갱신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갱신을 디스크 추출 시로 했을 때의 처리로서는, 단계 907의 디스크 추출 명령으로부터의 흐름으로 되기 때문에, 여기부터 설명한다. 호스트측으로부터 디스크 추출 명령을 받으면(단계 907), 데이터의 기록이 있어,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908). 갱신할 필요가 없으면 그대로 디스크를 토출하여 종료한다. 갱신할 필요가 있으면 갱신 플래그를 "1"로 세트한다(단계909). 갱신 플래그는, 전원이 OFF가 된 상태에서도 꺼지지 않으면, 어디에 기록되어도 무방하지만, 추기형 디스크에서는 영역의 감소를 수반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불휘발성 메모리 내로 한다. 최신의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디스크 상에 기록한다(단계 910). 그리고 갱신 플래그를 "0"으로 리세트하고(단계 911), 디스크의 추출을 종료한다.
이어서 전원 투입시를 생각한다. 통상은 동일한 디스크이면, 전원 ON 상태로 한 후(단계 901), 디스크 상의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판독한다(단계 912). 이어서, 갱신 플래그를 확인하고(단계 902), "0"이면 전회(前回)의 디스크 추출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을 나타내므로, 특별히 아무것도 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갱신 플래그가 리세트되지 않고 "1"인 경우에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디스크 상에 기록하고 있는 도중에 문제점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디스크 상의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과 불휘발성 메모리 상의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비교하여, 상이하면 불휘발성 메모리 상의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에 의해, 판독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갱신한다(단계 903). 그 후, 갱신 플래그를 리세트 "0"으로 하여(단계 904), 통상의 상태로 되돌아간다(단계 905, 906). 여기부터 앞으로는 통상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흐름으로 처리를 행함으로써,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이 정상적으로 갱신되어 디스크 상에 기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특정한 위치에 배치하지 않고, 예를 들면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영역(806) 내의 빈 영역에 배치하도록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참조 부호 800은 광 디스크, 참조 부호 801은 관리 영역, 참조 부호 802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 위치 파일, 참조 부호 803은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1, 참조 부호 804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2, 참조 부호 805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3이다. 도 11과 같이 랜덤하게 관리 맵의 배치로 한 경우에는, 최신 파일이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지 나타내기 위해,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영역(801)에 배치하도록 한다. 이 경우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위해 특정한 영역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확보할 수 있다. 특히, PC 상에서 비교적 용량이 적은 파일을 취급하는 경우 등, 빈번하게 재기입을 행하는 경우에는, 특정한 관리 영역을 확보하지 않기 때문에, 유효하다. 또,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 위치 파일(802)은, 최신 위치 정보가 최후부 또는 선두부에 배치하도록 되어 있고, 그에 따라 어느 것이 최신 정보인지 알 수 있다. 물론,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 및,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 위치 파일(802)은 복수회 기록하는 것에 의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2의 a, 도 12의 b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기록하는 타이밍이 상이한 장치에 의해, 기록이 행해진 예를 도시한 것이다. 장치 A에서는, 갱신 타이밍 A로 갱신하고, 장치 B에서는 갱신 타이밍 B로 갱신한다. 예를 들면, 장치 A가 영상이나 음악을 기록하는 AV 기기인 경우에는, 갱신 타이밍는 전원을 OFF 상태로 할 때나, 디스크를 추출할 때에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갱신한다. 또한, 장치 B가 데이터를 기록하는 PC(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장치의 경우에는,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기록하고 나서, 소정 블록 수의 데이터를 기록했을 때나, 소정시간 경과했을 때, 미기록의 영역의 수에 변화가 발생했을 때에,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갱신한다. 이것은, AV용의 장치인 경우에는, 돌연히 드라이브의 전원이 꺼지는 일이 거의 없고, 전원을 OFF 상태로 한 후에,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갱신하고나서, 드라이브의 전원을 OFF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러나, PC 용도의 드라이브에서는, 이상 동작에 의해 갑자기 전원이 꺼지는 경우가 있는데, 어느 정도, 실제의 기록/미기록 영역과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과의 불일치를 인정해야한다. 그 때문에, 소정의 블록 수를 기록했을 때나,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갱신하도록 한다. 또한, 어느 정도의 불일치를 인정하기 때문에, 재기동시에는, 마지막으로 기록한 영역 부근을 검색하여, 기록/미기록 영역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갱신 타이밍가 상이한 장치에 의해,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어떤 갱신 타이밍의 룰로 기록을 행했는지가, 중요한 정보가 된다. 따라서 갱신 타이밍의 룰에 대응한 플래그를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과 아울러 디스크에 기록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3은 갱신 타이밍 플래그를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과 함께 기록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서는 갱신 타이밍가 2 종류인 경우를 예로 도시했지만, 종류에 따라 플래그용의 비트를 할당하면 된다. 이러한 플래그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한번 기록한 디스크를, 별도의 장치에서 판독하는 경우에, 어떠한 갱신 타이밍에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기록한 디스크인지 판별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갱신 타이밍 A에 대응하는 플래그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록/미기록 영역과 기록/미기록영역 관리 맵이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투입시나 디스크 삽입시의 구동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갱신 타이밍 B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기록한 영역 부근을 검색하여, 기록/미기록 영역을 확인하여 구동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도 13에서 도시한 플래그의 배치는 일례로서,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12에서는, 갱신 타이밍의 한 종류의 룰을 하나의 갱신 타이밍에서서 도시했지만, 각각의 갱신 타이밍마다 플래그를 할당하여, 어떠한 갱신 타이밍에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갱신했는지 판별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원 OFF 상태일 때의 갱신 플래그 "1"과, 디스크 추출 시의 갱신 플래그 "2"와, 소정의 블럭수 기록했을 때의 갱신 플래그 "3"…의 식으로, 갱신 타이밍마다 상이한 플래그를 할당하여,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도 14의 a, 도 14의 b는 (1)(2)(3)(8)(9)…로 기록이 완료된 영역에 대하여, (4)(6)(7)을 추가 기록한 경우의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기록이 완료된 영역(1)(2)(3)에 대하여, 기록 방향 a로 기록 영역(4)에 기록을 행하고, 기록이 완료된 영역(9)…에 대하여, 기록 방향 b로 기록 영역(7)(6)에 기록을 행한 결과,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록이 완료된 영역이 된다. 그 결과, 상기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의 기록이 완료된 영역이 연결되지 않고, 그 사이에 간극이 남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두개의 기록 영역의 사이에 남은 미기록 영역은 매우 작은 것이기 때문에, 스캔을 행함으로써 미기록 영역을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작게 남은 미기록 영역을 검출 가능하도록 추가 기록된 데이터의 일부에 식별용 신호를 포함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적어도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블록 수는, 기록 방향을 바꾸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5의 a, 도 15의 b, 도 15의 c, 도 15의 d, 도 15의 e는 기록 데이터를 인코드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처리의 흐름은, 도 11에 도시한 기록 블록의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 데이터(2801)(도 15의 a)에 식별 데이터(2802)를 부가하고(도 15의 b), 패리티(2803)를 부가함으로써 오류 정정 부호화한다(도 15의 c). 오류 정정 부호화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변조를 행하여 변조 데이터(2804)로 하고(도 15의 d), 동기용 데이터(2805)를 부가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형식으로 한다(도 15의 e).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식별 데이터(2802)의 일부에 식별용의 신호를 포함시킨 일례이다. 식별 데이터(2802)는 섹터 정보(2901)와 섹터 번호(290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섹터 정보(2901)는 그 섹터에 관한 부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섹터 번호(2902)는 기록 매체 상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에 상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섹터 정보(2901) 중에 기록 방향을 나타내는, 기록 방향 플래그(2903)를 포함하여 섹터 정보를 구성한다. 기록 방향 플래그(2903)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인접하여 기록하는 경우에, 이전의 기록이 완료된 영역과 연결되는 영역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 방향 a인지, 이후의 기록이 완료된 영역과 연결되는 영역에 기록을 행하는 기록 방향 b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기록할 때마다 갱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기록하고나서 이후에 추가로 기록된 영역과 그 방향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기록 방향 플래그를 이용함으로써, 2개의 영역 사이에 작은 미기록 영역이남아도, 그 영역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시한 식별 데이터(2802)는, 도 11에서의 서브 코드에 상당한다.
도 17은, 도 16의 기록 방향 플래그를 동기용 데이터에 포함시켰을 때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동기용 데이터(2805)는, 프레임 정보(3001)와 동기 신호(300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프레임 정보(3001)는, 그 프레임에 포함되는 부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동기 신호(3002)는, 그 신호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복호하는 단위를 구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이다. 프레임 정보(3001)에, 기록 방향 플래그(2903)를 포함시킴으로써, 도 16에서 도시한 예와 마찬가지로, 2개의 영역사이에 작은 미기록 영역이 남아도, 그 영역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전술한 기록 방향 플래그의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기록할 때에 기록하려는 어드레스에 대하여, 어드레스 N-1이 기록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1302). 이어서 어드레스 N+1이 기록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1303). 이에 의해, 어드레스의 감소 방향으로 기록하는 경우와 어드레스의 증가 방향으로 기록하는 경우와의 판별을 할 수 있다. 어드레스의 증가 방향으로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록 방향 플래그를 1로 하고(단계 3101), 어드레스의 감소 방향으로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록 방향 플래그를 2로 한다(단계 3102). 기록이 완료된 영역에 인접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드레스 N-1도 N+1도 기록이 완료되지 않으므로, 기록 방향 플래그를 0으로 하고(단계 3104), 어드레스 N-1도 N+1도 기록이 완료된 영역의 경우에는, 그 하나의 어드레스를 매립하는 것에 의해, 2개의 기록 영역이 연결되기 때문에, 기록 방향 플래그를 3으로 한다(단계 3103). 이 때는, 기록 방향 플래그는 1 또는 2이어도 된다. 이 기록 방향 플래그0 또는 3의 경우에는, 다시운 영역에 기록하거나, 또는 영역이 연결되기 때문에,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을 갱신한다(단계 1304). 이들 플래그를 부가한 후,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단계 1301). 여기서, 통상의 기록에서는 어드레스가 증가 방향이기 때문에, 기록 방향 플래그1과 0과 3은, 동일한 플래그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기록 방향 플래그1과 0과 3일 때에는 플래그를 설정하지 않고, 어드레스가 감소 방향인 기록 플래그2만, 플래그 비트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기록 방향 플래그를 설정으로 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기록/미기록 영역을 스캔하는 경우에도 착지한 어드레스의 기록된 방향을 알 수 있고, 미기록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기록 매체로서는, 1회만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서는, 기록/미기록 영역의 관리는 중요하지만, 재기입 가능한 기록 매체라도, 기록/미기록의 차이에 의해, 기록 특성을 바꾸는 경우에는, 기록/미기록의 영역의 관리는 유용하다. 또한,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를 드라이브로부터 지정하는 설명을 이용했지만, 호스트 I/F로부터의 지시에 의한 동작이라도 마찬가지의 제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매체에의 데이터의 기록에서, 디스크 전면을 검출하지 않고, 기록/미기록의 영역을 알 수 있으며, 기록/미기록의 영역 관리를 행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맵을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갱신된 정보를 디스크 상에 기록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구비함으로써, 이상에 의해 전원이 꺼지는 일이 발생해도, 디스크 상에 기록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이 정확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플래그 대신에 기록이 완료된 데이터를 덮어쓰기하여 특정한 위치에 에러를 발생시킴으로써, 플래그와 마찬가지로 정보를 가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와 같은 기록 방법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시스템 구성에서, 기록/미기록 영역 관리 맵 위치 파일을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하도록 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의 예로서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를 이용하여 기재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에의 기록이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를 드라이브로부터 지정하는 설명을 이용했지만, 호스트 I/F로부터의 지시에 의한 동작이라도 마찬가지의 제어가 가능하다.

Claims (14)

  1.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 단위에 따라 할당된 기록/미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다시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
  2. 픽업, 기록에 수반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 및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 단위에 따라 할당된 기록/미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갱신 플래그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 내에 설정하며, 상기 기록/미기록 영역의위치에 대응한 정보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기록이 종료했을 때에 상기 갱신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픽업, 기록에 수반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 및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 단위에 따라 할당된 기록/미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를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특정한 위치에 오류 데이터를 발생시켜,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위치의 오류 데이터는, 상기 기록 매체 상의 2세대 전의 기록/미기록 영역의 위치에 대응한 상기 스페이스 비트 맵 형식의 정보의 특정한 장소에 오류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6.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갱신된 타이밍의 종류(types)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몇몇의 타이밍에서 통합되어 하나의 플래그가 할당되고, 갱신된 타이밍에 대응한 플래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적어도 AV 기기의 타이밍과 PC용의 타이밍에 할당되어 있으며, 갱신된 타이밍에 대응한 플래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방법.
  9. 픽업, 기록에 수반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 및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의 영역에 대하여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기록하여, 갱신된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몇몇의 타이밍에서 통합되어 하나의 플래그가 할당되고, 갱신된 타이밍에 대응한 플래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적어도 AV 기기의 타이밍과 PC용의 타이밍에 할당되고, 갱신된 타이밍에 대응한 플래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장치.
  12. 기록 영역에 대하여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기록하거나 또는 미기록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기록되고, 갱신된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몇몇의 타이밍에서 통합되어하나의 플래그가 할당되고, 갱신된 타이밍에 대응한 플래그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타이밍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는, 적어도 AV 기기의 타이밍과 PC용의 타이밍에 할당되고, 갱신된 타이밍에 대응한 플래그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
KR1020040021241A 2003-07-07 2004-03-29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KR100546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2561 2003-07-07
JP2003192561A JP2005032284A (ja) 2003-07-07 2003-07-07 情報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2004003606A JP2005196905A (ja) 2004-01-09 2004-01-09 記憶媒体、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JP-P-2004-00003606 2004-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749A true KR20050005749A (ko) 2005-01-14
KR100546547B1 KR100546547B1 (ko) 2006-01-26

Family

ID=3356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241A KR100546547B1 (ko) 2003-07-07 2004-03-29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007912A1 (ko)
KR (1) KR100546547B1 (ko)
CN (1) CN1577513A (ko)
TW (1) TW2005029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155B2 (ja) * 2004-06-15 2010-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イブ装置
JP4791286B2 (ja) * 2006-08-09 2011-10-12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および電子装置
MX2011010772A (es) * 2009-04-14 2011-10-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o de almacenamiento de informacion, aparato de grabacion y reproduccion y metodo de grabacion y reproduccion.
US10157002B2 (en) * 2010-08-26 2018-1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grating an encoded data slice based on an end-of-life memory level of a memory device
US10658205B2 (en) * 2017-09-28 2020-05-19 Asm Ip Holdings B.V. Chemical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 chemical to a reaction chamb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284A (ja) * 1986-10-21 1988-05-0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イスクフアイルアクセス方式
JPH0778984B2 (ja) * 1988-04-20 1995-08-23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
US5940355A (en) * 1996-03-29 1999-08-17 Cygnet Storage Solutions Data storage device including a transport mechanism for moving disk storage media between a plurality of removable magazines and a disk drive
JPH10112166A (ja) * 1996-10-04 1998-04-28 Sony Corp 光ディスクのファイナライゼーション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のファイナライゼーション装置
JP3855390B2 (ja) * 1997-09-16 2006-12-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ディスク状記録媒体
WO2002035529A2 (en) * 2000-10-27 2002-05-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JP3867038B2 (ja) * 2002-10-23 2007-01-10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装置と情報記録方法と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7513A (zh) 2005-02-09
KR100546547B1 (ko) 2006-01-26
TW200502932A (en) 2005-01-16
US20050007912A1 (en)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2028A (en) Method of data management using recorded flags to discriminate used allocation blocks and unwritten allocation blocks
KR100667746B1 (ko) 드라이브 정보가 기록된 정보저장 매체 및 그 기록 방법
JP4262611B2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装置
US6628602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1278495B1 (ko)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JP4769881B2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RU2005114052A (ru) Оптически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способ инициализации и способ повторной иницианизации
JP2005038452A (ja) 情報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KR20070070132A (ko) 정보 기록 매체 및 정보 기록 방법
KR100546547B1 (ko)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JP4821731B2 (ja) 光ディスク装置
US9021197B2 (en) Drive indicating mechanism for removable media
JP4713140B2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US20050122870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007323695A (ja) 書き換え型光ディスクの記録制御方法およびその記録再生用のドライブ装置
JP2009521069A (ja) データ・ファイルを取り出す装置及び方法
JP2005032284A (ja) 情報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2000040306A (ja) 書換可能な記録膜を用いた追記型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初期化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追記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初期化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追記装置
EP191893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onto and from recording medium and managing defective area in recording medium
JP2000040306A5 (ko)
JP2005196905A (ja) 記憶媒体、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CN101261869B (zh) 记录和/或再现装置
JP2006024298A (ja)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KR101439843B1 (ko)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KR100283245B1 (ko)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자료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지점 억세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