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745A -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745A
KR20050005745A KR1020040005741A KR20040005741A KR20050005745A KR 20050005745 A KR20050005745 A KR 20050005745A KR 1020040005741 A KR1020040005741 A KR 1020040005741A KR 20040005741 A KR20040005741 A KR 20040005741A KR 20050005745 A KR20050005745 A KR 20050005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onnector
crimp
proximal end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853B1 (ko
Inventor
밀러제프리
워리치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피텔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텔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피텔 유.에스.에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0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7Crimping, i.e.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성 외부 재킷을 구비한 광섬유 케이블을 종결하기 위한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축방향 보어를 구비한 크림프 삽입체 및 커넥터 플러그를 포함한다. 삽입체의 말단 단부는 커넥터 플러그의 기단 단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삽입체 보어의 제 1 부분은 케이블 재킷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삽입체 보어의 제 2 부분은 케이블의 비재킷형 단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삽입체는 삽입체 보어의 제 1 및 제 2 부분에 대응하는 그 외주상의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위치에서 크림핑될 때 변형된다. 따라서, 외부 재킷 및 비재킷형 케이블의 단부는 결합된 삽입체 및 커넥터 플러그에 관한 축방향 이동으로부터 구속된다.

Description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Optical fiber cable connector system}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을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5,455,880(1995년 10월 3일)은 폴리머 코팅 유리 광 섬유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를 개시한다. 특허된 커넥터는 축방향 보어를 가지는 커넥터 플러그와, 축방향 보어를 가지는 크림프 링을 포함하며, 이 축방향 보어는 대경부와 소경부를 가진다. 크림프 링상의 슬리브는 링의 보어의 소경부를 형성하고, 슬리브는 플러그의 일(기단) 단부에서 커넥터 플러그내의 보어에 수용되도록 치수설정되어 있다.
외부 재킷, 클래드 코어 및 중간 버퍼층을 가지는 광섬유 케이블은 재킷형 세그먼트 및 비재킷형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케이블의 일 단부에서 부분적으로 벗겨져 있다. 케이블의 벗겨진 단부는 대경부를 통해 삽입되고, 그후, 크림프 링 보어의 소경부를 통해 재킷형 세그먼트가 실질적으로 대경부 내에 배치되고 비재킷형 세그먼트가 사전결정된 길이 만큼 직경감소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할때까지 삽입된다.
크림프 링은 그 슬리브를 비재킷형 케이블 세그먼트상으로 크림핑함으로써 광섬유 케이블에 고정되며, 비재킷 세그먼트는 플러그의 기단 단부에서 커넥터 플러그내의 보어내에 삽입된다. 크림프 링의 슬리브가 플러그의 기단 단부에 수용되고나서, 플러그의 대향(말단) 단부에 있은 플러그 보어로부터 소정 길이의 비재킷 세그먼트가 연장한다. 플러그의 기단 단부를 둘러싸는 크림프 링상의 환형 플랜지는 그후 플러그에 링을 고정하도록 크림핑된다. 마지막으로, 플러그의 말단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비재킷형 케이블 세그먼트의 길이는 분기되고, 커넥터가 다른 정합 커넥터내로 삽입될 준비가 된다.
'880 특허의 커넥터는 광섬유 케이블과의 조립을 위해 두 번의 별개의 크림핑 작업을 필요로한다. 제 1 크림핑 작업은 케이블의 비재킷형 세그먼트에 링을 고정하기 위해 크림프 링 슬리브상에 수행되고, 제 2 크림프 작업은 링을 플러그 커넥터에 고착하기 위해 환형 크림프 링 플랜지상에 수행된다. 따라서, 조립된 커넥터의 외측으로 케이블의 탈피된 단부를 당기는 경향의 소정의 힘이 링의 크림핑된 슬리브에 케이블의 비재킷형(즉, 직경 감소) 세그먼트를 주로 통해 지향된다. 따라서, 커넥터는 극도의 온도 변화와 조합된 케이블 응력이 커넥터에 관한 종결된 케이블의 인출 또는 "피스톤운동"을 초래할 수 있는 유해 환경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미국 특허 5,923,805(1999년 7월 13일)는 약 25미크론(㎛) 두께 미만의 플루오로폴리머 클래딩을 가지는 그 직경이 약 1.0밀리미터(mm)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플라스틱 코어를 가지는 섬유 케이블을 종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련한다. 이 섬유는 일반적으로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0.5mm 두께 층 같은 보호성 불투명 재료로 재킷형성된다. 커넥터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 내에는 금속성 가이드튜브가 유지되고, 케이블 재킷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 부분은 안내 튜브를 통해 삽입된다. 안내 튜브는 케이블 둘레에 크림핑되어 인장력이 케이블에 인가될 때,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케이블이 인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현재, 특히, 다양한 표준 및 악세사리 자동차 장비가 멀티미디어 광섬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협력하도록 적용되는 자동차 산업에서, 플라스틱 광섬유 케이블에 대한 강한 수요가 존재한다. 매체 배향 시스템 전달 또는 "MOST"라 공지된 네트워크는 자동차 분야를 위해 최적화된다. 현재, 약 20 국제 차량 제조업자와 50 이상의 부품 공급자가 MOST 기술을 실행하기 위해 적용 및 연구하고 있다.
MOST 네트워크 구조는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같은 공통 장치들을 위한 비교적 낮은 비용의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동시에, 이는 통합 셀룰러 기술, 디지털 라디오 수신기, GPS 항법 모듈, 보안 시스템, CD 교환기, 음성 인식 및 작동 시스템, 비디오 디스플레이등 같은 보다 지능적인 장치를 가능하게 하며, 이들 각각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다른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이들 특징 및 기능을 결정한다. 따라서, 제어 메카니즘은 MOST 장비 차량의 운전자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다양한 서브시스템의 불필요한 불화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론적인 내용은 인터넷 웹사이트 <www.mostcooperation.com> 참조.
MOST 표준은 연계된 케이블에 의해 수반되는 광섬유의 특정 유형에 무관하게 광 섬유 케이블 커넥터의 플러그 또는 "노우즈"와 정합 커넥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하학적 형상 펙터를 지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 있는, 상술한 웹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Physical Layer, Rev 1.0(2001/02)의 MOST재원 참조.
현용 MOST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1000㎛ 직경 코어를 가지는 전체 플라스틱 광학섬유 케이블을 사용한다. 그러나, 자동차 분야의 개발은 플라스틱 코어 광섬유의 환경적 제약 및 광학적 대역폭을 억제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예로서, OFS Fitel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HCS(R) 섬유 같은 폴리머 클래드 순수 실리카 코어 광섬유는 플라스틱 코어 섬유에 대한 유가치한 대체품이며, MOST 네트워크를 위한 미래의 광학적 및 환경적 요구조건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폴리머 클래드/실리카 코어 또는 모든 플라스틱 광 섬유 케이블 중 어느 한쪽을 위한 신뢰성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MOST 및 다른 출현하는 광섬유 네트워크의 현재 및 미래의 대역폭 및 환경적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커넥터 시스템이 매우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보호성 외부 재킷을 구비한 광섬유 케이블의 단부를 종결하기 위한 커넥터 시스템은 제 1 축을 가지는 커넥터 플러그와, 커넥터 플러그의 기단 단부와 말단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된 축방향 보어를 포함한다. 크림프 삽입체는 제 2 축과 삽입체의 기단 단부와 말단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된 축방향 보어를 구비한다. 삽입체의 말단 단부는 커넥터 플러그의 기단 단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삽입체의 보어의 제 1 부분은 삽입체의 기단 단부에서 개방되며, 케이블의 외부 재킷의 외경에 대응하는 제 1 직경을 갖는다. 삽입체의 보어의 제 2 부분은 케이블의 비재킷형 단부에 대응하는 제 2 직경을 갖는다. 크림프삽입체는 삽입체 보어의 제 1 및 제 2 부분에 대응하는 그 외주상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적용되는 크림프력에 응답하여 변형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따라서, 케이블의 외부 재킷 및 비재킷 단부는 결합된 삽입체 및 커넥터 플러그에 관하여 축방향 운동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 첨부 청구항 및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의 설명을 참조하라.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종결된 두 개의 광섬유 케이블을 수납하는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종결 이전의 광섬유 케이블의 단부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크림프 삽입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플러그의 기단 단부에 결합된 이후의 도 3의 크림프 삽입체의 단면도.
도 5는 조립체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종결된 광섬유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를 도시하는, 도 4에서와 같은 조립된 플러그 및 삽입체의 단면도.
도 6은 크림프 삽입체의 외주상에 작용하는 한 쌍의 크림프 조오를 도시하는 도 5의 6-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2, 14 : 종결부
16, 18 : 광섬유 케이블 22 : 코어
24 : 클래딩 26 : 버퍼층
28 : 재킷 30 : 삽입체
42 : 리브 50 : 커넥터 플러그
52 : 보어 56 : 기단 단부
도 1은 한 쌍의 종결부(12, 14)를 수납하는 커넥터 본체(10)를 도시한다. 종결부(12, 14)는 정합 커넥터(미도시)와 연계된 장치와의 결합을 위해 두 개의 광섬유 케이블(16, 18)의 단면을 면하게 하도록 기능한다. 커넥터 본체(10)는 예로서, 커넥터 하우징이 일반적으로 한 쌍의 케이블 종결부를 포함하는 MOST 네트워크를 위해 지정된 재원에 따라 치수설정 및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래치 핑거가 정합 커낵터내의 포획부와 결합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10)의 측벽상에 형성되어 케이블(16, 18)의 단면이 정합 커넥터와 연계된 장치와 적절한 정렬로 유지되는 것을 보증할 수도 있다.
도 2는 종결 이전의 광섬유 케이블(20)의 단부를 도시한다. 예로서, 케이블(20)은 실리카 코어(22) 둘레의 클래딩으로서 기능하는 경질 폴리머 코팅(24)을 구비한 실리카 코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플라스틱 코팅이 일반적으로 클래딩(24) 둘레에 제공되어 버퍼층(26)을 형성한다. 버퍼층(26)은 코어 클래딩(24)에 인가되는 힘을 감소시키고 변형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있은 J. Hecht의 "Understanding Fiber Optics(Prentice Hall(3판, 1999) 152-53쪽)" 참조.
예로서 폴리염화비닐(PVC)로 이루어진 외부 재킷(28)은 클래딩된 섬유 코어(22) 및 중간 버퍼층(26)을 보호식으로 둘러싼다. 종결 이전에, 케이블 재킷(28)의 결정된 길이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추가로 후술될 바와 같이, 케이블(20)의 단부로부터 제거된다. 버퍼층(26)의 길이는 도 2에서와 같이 노출된 상태로 남겨질 수 있으며, 주변 버퍼층(26) 없이 노출된 클래딩된 섬유 코어(22)의 원하는 길이(L)를 남겨둘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크림프 삽입체(30)의 단면도이다. 삽입체(30)는 실질적인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예로서, 알루미늄 또는 다른 만나게되는 환경 온도 범위에 대하여 비교적 작은 팽창 계수를 가지는 금속이나 금속 합금으로 형성된다. 예로서, MOST 재원은 -40℃와 +85℃ 사이의 범위의 온도에서 신뢰성있는 부품 성능을 요구한다.
크림프 삽입체(30)는 예로서, 약 0.59in(15.0mm)의 전체 길이(M), 기단 단부(32) 및 말단 단부(34)를 갖는다. 또한, 삽입체(30)는 예로서, 0.12in(3.0mm)의 전체 외경(N)을 갖는다. 삽입체(30)는 그 축(A) 둘레에 중심설정된 보어(36)를 가지며, 보어(36)의 제 1 직경부(D1)는 삽입체의 기단 단부(32)에서 개방하고, 그 통상적인 값이 예로서, 약 0.08in(2.0mm)인 케이블 재킷(28)(도 2)의 외경을 수용하도록 치수설정된다.
또한, 크림프 삽입체 보어(36)는 삽입체의 말단 단부(34)와 제 1 직경부(D1)중간에 제 2 직경 감소부(D2)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직경 감소부(D2)의 직경은 그 일반적인 값이 예로서, 약 0.015in(0.4mm)인 케이블(20)(도 2)의 코어(22)위의 클래딩(24)의 외경에 대응한다. 보어 부분(D2)의 축방향 길이는 예로서, 약 0.06in(1.6mm)이다. 제 1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0)의 단부로부터 외부 재킷(28)을 벗겨낼 때, 클래드 코어의 노출된 길이(L)에 관하여 비교적 짧은 길이의 버퍼층(26)만 남겨지게 하는 것을 요구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래드 코어의 노출된 길이(L)는 케이블(20)의 "비재킷형 단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보어 부분(D2)은 버퍼층(26)의 외경에 대응하며, 버퍼층(26)의 충분한 길이가 케이블 재킷(28)이 케이블 단부(도 2)로부터 제거될 때 노출된 상태로 남겨지고, 그래서, 버퍼층(26)이 후술될 바와 같이 케이블 종결 동안 전체적으로 또는 실질적인 전체적으로 보어 부분(D2)내에서 연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버퍼층(26)의 노출 단부 및 클래드 코어의 결정된 노출 길이 양자 모두는 케이블(20)의 비재킷형 단부를 형성한다. 이때, 보어 부분(D2)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예로서, 약 0.020in(0.5mm)이다. 보어 부분(D2)의 축방향 길이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약 0.06in(1.6mm)으로 남아 있는다.
제 1 환형 크림프 집중기 도는 링(38)이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삽입체의 기단 단부(32)에서 크림프 삽입체(30)의 원주상에 형성된다. 제 2 환형 크림프 링(40)은 삽입체내의 보어 부분(D2)의 중앙 영역을 둘러싸도록 삽입체의 원주상에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환형 리브(42)가 도 3에 좌측을향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의 말단 단부(34)와 보어 부분(D2) 사이에서 크림프 삽입체(30)의 원주상에 형성된다. 리브(42)는 두 부분이 후술된 바와 같이 조립될 때, 커넥터 플러그와 삽입체 사이에 견고한 결합부를 형성하도록 기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에 결합되기 이전의, 실질적인 원통형 커넥터 플러그(50)(때때로, "페룰 노우즈"라 지칭)와 축방향 정렬 상태의 도 3의 크림프 삽입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노우즈 또는 플러그(50)는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General Electric Company(US)로부터 입수할 수 있은 한가지 이런 재료가 "UItem"이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된다.
커넥터 플러그(50)는 플러그 축(B) 둘레에 중심설정된 보어(52)를 갖는다. 보어(52)의 제 1 부분(54)은 플러그의 기단 단부(56)에서 개방하고, 제 1 보어 부분은 예로서, 공지된 초음파 가열 및 조립 기술을 사용하여 크림프 삽입체가 보어 부분(54)내로 축방향으로 가압될 때, 플러그(50)가 크림프 삽입체의 말단 단부(34)를 수용 및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직경을 갖는다. 이런 조립 절차를 사용할 때, 플러그의 기단 단부에서의 제 1 보어 부분(54)의 초기(냉간) 직경은 삽입체(30)의 말단 단부상의 리브(42)의 외경 보다 다소 작다. 대안적으로, 보어 부분(54) 및 리브(42)의 직경은 사전 가열 단계 없이 커넥터 플러그와 크림프 삽입체 사이의 축방향 "억지 끼워맞춤"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플러그(50)의 전체 축방향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0.44in(11.15mm)이고, 제 1 보어 부분(54)의 통상적인 축방향 길이는 예로서, 약 0.2in(5.0mm)이다. 플러그의 말단 단부(58)는 예로서, 약 0.115in(2.913mm)의 직경을 가지고, 말단 단부(58)에서의 벽(60)은 케이블(20)(도 2)의 노출된 클래딩된 코어의 길이(L)의 자유 단부의 통과를 겨우 허용하기에 충분한 직경의 중앙 개구(62)를 갖는다. 커넥터 플러그의 말단 단부(58)에서의 중앙 개구(62)의 일반적인 직경은 200㎛ 코어를 가지는 OFS Fitel의 HCS 섬유를 수반하는 응용을 위해 약 0.009in(0.230mm)이다.
도 5는 케이블(20)의 벗겨진 단부가 조립체를 통해 삽입되어 조립체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종결된 이후의 조립된 커넥터 플러그(50) 및 크림프 삽입체(30)의 단면도이다. 조립된 커넥터 플러그 및 크림프 삽입체는 또한 "커넥터 페룰" 유니트라 규정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클래딩(24)을 가지는 섬유 코어(22)의 길이(L)가 삽입체내의 제 2 직경 보어 부분(D2)을 통해, 그리고, 커넥터 플러그(50)내의 보어(52)를 통해 플러그 단부벽(60)내의 중앙 개구(62)로부터의 출구까지 삽입체의 기단 단부(32)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압축력(F)이 동시에 삽입체(30)상의 두 크림프 링(38, 40)의 원주상에 동시에 인가된다. 힘(F)은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면 육각 크림프 조오(70, 72)의 세트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오(70, 72)는 삽입체(30)상의 크림프 링(38, 40) 양자 모두상에 동시에 크림프력을 작용하도록 축방향으로 충분한 폭을 갖는다. 따라서, 단일 크림핑 작업에 의해, 케이블 재킷(28)은 크림핑되어 삽입체의 기단 단부(32)에서 제 1 링(38) 아래에 능동적으로 유지되며, 케이블의 노출된 클래딩된 코어의 일부는 크림핑되어 제 2 링(40) 아래의 보어 부분(D2)내에 능동적으로 유지된다. 케이블 종결 프로세스는 클리빙 및필요시 종래의 방식으로 플러그 단부벽내의 개구(62)로부터 나오는 클래딩된 코어의 자유 단부를 연마함으로써 완결된다. 예로서, OFS Fitel로부터 입수할 수 있은 유형 CT-2 같은 상업적으로 가용한 클리브 공구가 플러그 단부벽(60)과 실질적으로 표면 일치하는 깔끔한 섬유 단부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조립된 커넥터 플러그(50) 및 삽입체(30)에 의해 각각 종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이 그후 도 1의 하우징(10) 같은 커넥터 하우징내에 지지될 수 있으며, 그래서, 케이블의 단부면이 정합 커넥터 또는 소켓과 연계된 다른 케이블 또는 광학적 장치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림프 삽입체(30) 및 커넥터 플러그(50)는 예비조립된 커넥터 페룰 유니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환경에서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종결하기 위해 소요되는 장비 및 시간 양자 모두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커넥터 시스템은 MOST이든 다른 네트워크 분야이든 모든 광섬유 케이블들 및 유리 코어/폴리머 클래드 광섬유 케이블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시스템은 공지된 것들에 한하여 다른 크림핑 기술에 의해 달성될 수 없는 종결된 케이블을 위한 유지도를 제공한다.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자동화된 케이블 종결 절차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소수의 단계들을 수반하고, 따라서, 단위체당 제조 비용을 최소화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술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범주 및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있으며, 본 발명이 하기의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이런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10)

  1. 외부 재킷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의 단부를 종결시키기 위한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축, 기단 단부, 상기 제 1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단 단부에 대향한 말단 단부 및 그 말단 단부와 기단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된 축방향 보어를 구비하는 커넥터 플러그, 및
    제 2 축, 기단 단부, 상기 제 2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단 단부에 대향한 말단 단부 및 그 말단 단부와 기단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된 축방향 보어를 구비하는 크림프 삽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크림프 삽입체의 상기 말단 단부는 상기 커넥터 플러그의 상기 기단 단부에 결합되도록 형성 및 치수설정되고,
    상기 크림프 삽입체내의 상기 축방향 보어의 제 1 부분은 상기 삽입체의 상기 기단 단부에서 개방하며,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상기 외부 재킷의 외경에 대응하는 제 1 직경을 가지고,
    상기 크림프 삽입체의 상기 축방향 보어의 제 2 부분은 상기 케이블의 비재킷형 단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제 2 직경을 가지며,
    상기 크림프 삽입체는 (i)상기 외부 재킷 및 (ii) 상기 케이블의 상기 비재킷형 단부 양자 모두가 상기 결합된 삽입체 및 커넥터 플러그에 관하여 축방향 이동이 억제되도록 상기 삽입체내의 축방향 보어의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에 대응하는 삽입체의 외주상에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인가되는 크림프력에 응답하여 변형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삽입체는 금속성 재료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재료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삽입체의 상기 말단 단부는 상기 커넥터 플러그의 상기 기단 단부에서 상기 커넥터 플러그내의 축방향 보어내로의 삽입을 위해 치수설정 및 배열되고,
    상기 삽입체는 커넥터 플러그내에 삽입되었을 때 견고한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삽입체의 말단 단부를 향해 그 원주상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브를 가지는 커넥터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삽입체는 크림핑 조오의 공통 세트로부터의 외부적 크림핑력의 적용을 위해 그 원주상에 형성된둘 이상의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크림프 링을 가지는 커넥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삽입체의 실질적인 상기 기단 단부에 제 1 크림프 링이 형성되고, 상기 크림프 삽입체내의 축방향 보어의 상기 제 2 부분의 중앙 영역을 둘러싸도록하는 위치에 제 2 크림프 링이 형성되는 커넥터 시스템.
  8. 광섬유 케이블 및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적어도 외부 재킷과 클래드 코어를 가지는 소정 길이의 광섬유 케이블과,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종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 및 상기 외부 커넥터 도는 소켓에 관해 동작하도록 상기 커넥터 페룰 유니트를 지지하기 위한 커넥터 하우징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및 커넥터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각각 종결된 두 개의 소정 길이의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외부 커넥터 또는 소켓에 관해 동작하도록 상기 소정길이의 케이블들과 연계된 페룰 유니트를 지지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광섬유 케이블 및 커넥터 조립체.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은 폴리머 클래딩을 가지는 실리카 코어를 구비하는 광섬유 케이블 및 커넥터 조립체.
KR1020040005741A 2003-06-26 2004-01-29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KR100970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06,413 2003-06-26
US10/606,413 US6860645B2 (en) 2003-06-26 2003-06-26 Optical fiber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strain relie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745A true KR20050005745A (ko) 2005-01-14
KR100970853B1 KR100970853B1 (ko) 2010-07-20

Family

ID=3341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741A KR100970853B1 (ko) 2003-06-26 2004-01-29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60645B2 (ko)
EP (1) EP1491925B1 (ko)
JP (1) JP4077431B2 (ko)
KR (1) KR100970853B1 (ko)
DE (1) DE6030386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7726B2 (en) 2001-02-22 2006-08-08 Genentech, Inc. Anti-interferon-α antibodies
JP2008003203A (ja) * 2006-06-21 2008-01-10 Oki Electric Cable Co Ltd Hpcf型難燃耐熱光ファイバ心線及びその光ファイバコード。
DE102007054747B4 (de) * 2007-11-16 2022-05-1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Lichtleitkabel-Kontakt, Lichtleitkabel-Verbinder sowie konfektioniertes Lichtleitkabel
US7712973B2 (en) * 2008-09-04 2010-05-11 Fibersource, Inc. Fiber optic connector
US8337093B2 (en) * 2009-09-30 2012-12-25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8801297B2 (en) 2012-08-24 2014-08-12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systems for blind mating multi-optical fiber connector modules
US9086547B2 (en) 2012-08-28 2015-07-2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ulti-optical fiber connector module having a cover comprising unfilled plastic having deformable features formed therein, and a method
US9002168B2 (en) 2012-09-17 2015-04-0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leave holder, an assembly, and methods for cleaving ends of optical fibers and securing them to a multi-optical fiber connector module
US8768116B2 (en) 2012-09-28 2014-07-0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Optical cross-connect assembly and method
CN104941873B (zh) * 2015-07-10 2017-03-29 江苏永鼎股份有限公司 一种隐形光缆施工用胶水涂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837A (en) * 1975-01-03 1976-12-28 Amp Incorporated Light transmitting fiber bundle connector
GB2069170A (en) 1980-02-13 1981-08-19 Staeng Ltd Crimp sleeve, especially for optical fibre cables
US5131063A (en) 1990-11-16 1992-07-14 Amp Incorporated Crimp and cleave assembly of an optical connector
US5455880A (en) * 1993-12-01 1995-10-03 Spectran Specialty Optics Co. Optical fiber cable connector assembly
US5671310A (en) * 1995-11-16 1997-09-23 Tai Jin Mold Mfg. Co., Ltd. Optical fiber connector having an adjustable engaging extent
US5732175A (en) * 1997-01-31 1998-03-24 Litecom, Inc. Connecting system for fiber optic termination
US5862289A (en) * 1997-02-18 1999-01-19 Amphenol Corporation Adhesiveless fiber optic connector,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fiber optic cable to an adhesiveless fiber optic connector
US6390688B1 (en) 2000-05-05 2002-05-21 Hubbell Incorporated Strain relief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 and method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853B1 (ko) 2010-07-20
EP1491925B1 (en) 2006-03-08
US6860645B2 (en) 2005-03-01
JP4077431B2 (ja) 2008-04-16
DE60303864T2 (de) 2006-08-17
DE60303864D1 (de) 2006-05-04
EP1491925A1 (en) 2004-12-29
JP2005018075A (ja) 2005-01-20
US20040264880A1 (en) 200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6859B2 (en) Cable termin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connectors
EP2193395B1 (en) Strain-relief assemblies and methods for a field-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US6419402B1 (en) Fiber optic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JP4292238B2 (ja) 光ファイバプラグと光ファイバレセプタクルの組立体
US5862282A (en) Optical connector plug and optical connector
US20060263011A1 (en) Hybrid optical/electrical connector and adapter
GB2448935A (en) Optical fibre connector
US20100272397A1 (en) Optical connector
EP2068183A1 (en) Field-installable optical splice
US6722790B2 (en) Contoured internal stub crimp backbone
KR100970853B1 (ko)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US6604867B2 (en) Fiber optic connector
KR100890859B1 (ko) 광플럭어댑터
JP3530434B2 (ja) 光学用フェルールおよび接着剤無しにファイバを設置する方法
JP3404340B2 (ja) クィック接続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3938912B2 (ja) 光プラグ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H09113746A (ja) オプティカルファイバケーブル接続具
EP0024959B1 (en) Connector for optical waveguides
WO2020107395A1 (en) Fiber optic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EP0201944B1 (en) Connector for terminating an optical fibre
US9022667B2 (en) Pin and socket terminus assemblies for terminating optical cables
JPH0442804Y2 (ko)
JPS5936211A (ja) 光コネクタ
JPH0532802Y2 (ko)
JP2006053283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