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911A -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911A
KR20050003911A KR1020030045439A KR20030045439A KR20050003911A KR 20050003911 A KR20050003911 A KR 20050003911A KR 1020030045439 A KR1020030045439 A KR 1020030045439A KR 20030045439 A KR20030045439 A KR 20030045439A KR 20050003911 A KR20050003911 A KR 20050003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user
information
composition
s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꼬
Priority to KR102003004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3911A/ko
Publication of KR2005000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9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Abstract

작곡의 문외한인 일반인이 기존의 음악을 커트 앤 페이스트(cut & paste)하여 작곡할 수 있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거쳐 실시간으로 컴퓨터 작곡 소프트웨어(ASP)를 통해 전자악보를 생성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 정보, 음원 모듈에 대한 정보, 악보/소절에 대한 정보, 음악/노래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상품으로 판매할 상품의 사용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 상기 ASP 형태로 제공되는 음원 뱅크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음원을 선택하고 페이스트하여 작곡 악보를 생성하는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 사용자들의 선곡정보 및 구매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의 선호도를 분석 표시하는 선호도 분석 수단 및 사용자가 주문한 음악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고 이에 상응하는 가격을 관리하는 주문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음악 분야에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라 하여도 ASP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곡을 자유롭게 작사, 작곡하여 사용자의 수익을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composition data }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작곡 소프트웨어인 ASP(Application Service Program)을 이용하여 작곡한 악보와 음악을 관리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곡의 문외한인 일반인이 기존의 음악을 커트 앤 페이스트(cut & paste)하여 작곡한 악보와 음악을 관리할 수 있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악활동은 작곡(작사), 연주, 감상의 3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도 작곡 및 작사는 가장 근원적인 활동이다. 이러한 작곡 및 작사의 주체는 특정한 개인이며 작곡자의 개성과 사상이 반영되고 표현의 독창성이 요구된다. 또한, 작곡을 위해서는 자기의 표현에 어울리는 주제를 완성하여 그것을 전개시켜 전체의 구성을 정하기 위해 음악적 논리에 따른 음에 대한 사고가 요구되므로, 음악적 법칙에 따른 음의 구성기술이 필요하여 전문적인 작곡 교육을 받은 사람만이 작곡을 할 수 있었다.
또, 작곡자가 되거나 가수가 되기 위해서는 작곡을 하고 그 음악을 평가받아 인정이 되어야 가수나 작곡자가 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작곡자나 가수지망자들은 특정 장소까지 가거나 특정인(예를 들어, 음악 작곡자 등)들을 만나 평가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곡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악보를 구해서 그 악보위에 작곡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의 대중화와 함께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취득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인터넷의 사용의 편리함이 개선됨에 따라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또한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어 사용할 수 있게되어 인터넷의 보급은 날로 확장되고 있다
컴퓨터기술의 발달과 인터넷기술의 활용에 의해,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여 음악을 작곡하고, 그 음악을 평가하여 새로이 작곡자와 가수로 데뷔할 수 있는 온라인공간을 제공하고, 또한 작곡자들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악보를 입력하고 음원 모듈을 제공해 주는 작곡 소프트웨어인 ASP를 이용해서 곡을 완성하면, 자동적으로 저작권협회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을 하고 사용자들이 그 음악을 듣고 평가를 내릴 수 있으며 가수들은 그 음악을 이용해서 노래를 부르고 그 노래를 등록해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웹을 이용한 음악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음악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0-58995호(웹을 이용한 음악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동 2001-88951(데이터합성을 통한 노래구현 시스템 및 그 응용), 동 2001-91206호(인터넷을 이용한 가요창작방법), 동 2002-57748호(인터넷을 통한 작사 및 작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111555호에 있어서는 컴퓨터 음악 작곡 프로그램을 이용한 게임 및 음악연주 게임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공보에 개시된 컴퓨터 음악 작곡 프로그램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컴퓨터 음악 작곡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전자악보 생성을 위한 각종 입력버튼(1)중에서 새 파일을 선택하면 오선지(전자보표 : 2)가 그려진 캔버스가 표시되고 음표, 쉼표 등과 같은 전자음표와 음악기호들을 선택한 후에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오선지 위에 음표들을 입력한다. 우선, 선택된 음표의 속성(길이, 모양)과 현재 마우스의 좌표를 음표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로 계산해서 음의 높이를 결정한 뒤 음표형식을 저장하는 클래스에 대입하고, 현재 저장되어 있는 음표 클래스의 정보를 이용해서 음표의 이미지와 길이를 결정한 후에 캔버스에 출력하게 되고, 입력된 음표를 임의의 클래스 형식 파일 스트림을 이용하여 저장하게 된다.
저장된 음표파일을 읽어 올 때도 파일 스트림을 이용해서 악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작곡된 파일을 미디(MIDI : Music Instrument Digital Interface)형식의 파일로 저장하면 미디 음을 출력하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게임시스템에서도 이렇게 작곡된 음악파일을 미디 음악으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폰의 벨소리가 미디(MIDI)에 의한 음악 소리로 구현되고 있으며, 이렇게 구현된 다양한 벨소리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 ASP를 이용하여 전문적인 작곡자에 의한 작곡만이 가능할 뿐, 작곡에 대한 기본 지식없는 일반인이 활용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음성합성 기술의 발달에 따라 문자로 입력된 정보가 사람의 음성으로 바뀌는 기술이 실용화되고, 미디(MID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악보정보를 분석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기술이 발달되고 있지만, 작곡 자체에 관해서는 일반인의 접근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의 벨소리도 미리 제작되어 있는 노래에서 단순히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자신의 감정에 맞는 곡을 작곡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ASP를 이용하여 누구든지 자신의 감정에 맞는 작곡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자신이 실시간으로 음악을 작곡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휴대폰에 의해 감상할 수 있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인터넷 사용자들로 하여금 순위를 평가할 수 있게 하고, 또 작곡된 곡의 사용에 따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의한 컴퓨터 음악작곡 프로그램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SP를 이용한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한 이용자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용자 시스템을 활용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생성부의 구체적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홈 페이지에 등록된 순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따른 작곡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통신 인터페이스부 32 : 메모리부
33 :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34 : 제어부
35 : 악보 생성부 36 : 노래 생성부
100 : 사용자 시스템 200 : 웹서버
210 : 데이터 베이스 300 : 네트워크
400 : ASP 서버 500 : 저작권 관리 서버
600 : 휴대폰 700 : 입력부
800 : 출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거쳐 실시간으로 컴퓨터 작곡 소프트웨어(ASP)를 통해 전자악보를 생성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 정보, 음원 모듈에 대한 정보, 악보/소절에 대한 정보, 음악/노래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상품으로 판매할 상품의 사용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 상기 ASP 형태로 제공되는 음원 뱅크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음원을 선택하고 페이스트하여 작곡 악보를 생성하는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 사용자들의 선곡정보 및 구매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의 선호도를 분석 표시하는 선호도 분석 수단 및 사용자가 주문한 음악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고 이에 상응하는 가격을 관리하는 주문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개인 휴대전화 등에 있어서 벨소리, 캐릭터 벨 또는 컬러링으로의 사용을 관리하는 모바일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작곡 및 작사 데이터에서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다수의 작곡 및 작사 데이터의 일부마다 소정의 마디를 커트하거나 한 개의 곡의 전체 마디를 선택하는 커트수단과 상기 커트수단에 의해 커트 또는 선택된 소정의 마디나 소정의 마디를 작곡 또는 편곡한 마디를 편집하여 페이스트하는 페이스트 수단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은 편집된 악보의 리듬, 멜로디, 반주, 효과음을 가공하는 가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커트 수단은 작곡 및 작사된 악보에서 적어도 1마디를 커트하고, 상기 페이스트 수단은 상기 커트 수단에서 커트 또는 선택된 마디에 대응하여 편집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리듬팩, 멜로디팩, 반주팩, 사운드팩을 저장하고, 상기 가공수단은 상기 리듬팩, 멜로디팩, 반주팩, 사운드팩에 따라 상기 페이스트 수단에 의해 편집된 악보를 가공하여 출력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공수단에서 출력된 악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거쳐 실시간으로 컴퓨터 작곡 소프트웨어(ASP)를 통해 전자악보를 생성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상기 사용자의 작곡을 지원하는 ASP 시스템 및 기존의 작사, 작곡 등의 저작권과 상기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따라 작곡된 음악에 대한 저작권을 관리하는 저작권 관리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회원 정보, 음원 모듈에 대한 정보, 악보/소절에 대한 정보, 음악/노래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상품으로 판매할 상품의 사용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 상기 ASP 형태로 제공되는 음원 뱅크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음원을 커트하고 페이스트하여 작곡 악보를 생성하는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 사용자들의 선곡정보 및 구매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의 선호도를 분석 표시하는 선호도 분석 수단,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개인 휴대전화 등에 있어서 벨소리, 캐릭터 벨 또는 컬러링으로의 사용을 관리하는 모바일 관리 수단 및 사용자가 주문한 음악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고 이에 상응하는 가격을 관리하는 주문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SP를 이용한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100)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개인용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개인이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취득할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 시스템이고, (200)은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Client)를 지원하며 음악 작곡 및 ASP(Application Service Program)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Web Server)이고, (300)은 다수의 사용자 시스템(100)과 웹 서버(200)와 사이의 정보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또, (40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시스템(100)의 사용자의 작곡을 지원하는 ASP 서버이고, (500)은 기존의 작사, 작곡 등의 저작권과 본 발명에 따라 작곡된 음악에 대한 저작권을 관리하는 서버이며, (600)은 사용자의 휴대전화 또는 PC이다.
웹 서버(200)는 악보에 관한 정보 등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210), 데이터베이스부(210)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수단(220), 음악 저작권 협회의 홈페이지로 링크시키는 저작권 홈페이지 연결 수단(230), ASP 서버에서 지원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 시스템(100)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SP지원 수단(240), ASP 형태로 제공되는 음원 뱅크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음원을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커트하고 페이스트한 음원에 대해서 별도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커트 앤 페이스트(cut & paste) 수단(250), 사용자들의 선곡정보 및 구매 정보와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노래의 감상 후에 하는 선호도 투표 결과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각 각의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의 선호도를 분석 표시하는 선호도 분석 수단(260),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개인 휴대전화 등에 있어서 벨소리, 캐릭터 벨 또는 컬러링으로의 사용을 관리하는 모바일관리 수단(270), 사용자가 주문한 음악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고 이에 상응하는 가격을 관리하는 주문 관리 수단(280)을 구비한다.
또, 데이터베이스부(210)는 회원 정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1), 음원 모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음원 모듈 데이터베이스(212), 악보/소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악보/소절 데이터베이스(213), 음악/노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음악/노래 데이터베이스(214),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상품으로 판매할 상품의 사용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상품판매 데이터베이스(215) 등을 구비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곡하는 기술적 수단에 대해 도 3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한 이용자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용자 시스템을 활용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생성부의 구체적인 블럭도이다.
도 3에 있어서, (700)은 통상의 키보드, 마우스, 전자펜 등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시스템(100)에 사용자의 작곡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이며, (800)은 사용자가 작곡한 악보를 표시하기 위한 CRT,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수단 및 작곡한 악보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등의 음성출력 수단을 구비한 출력부이다.
또한, 사용자 시스템(100)은 웹서버(200)와 사용자 시스템(100)을 유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1), 웹서버(200)에서 공급된 ASP, 사용자가 작곡 및 편곡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2), 사용자 시스템(100)과 입력부(700)및 출력부(800)와의 통신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3), 통신 인터페이스부(31), 메모리부(32)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3)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34), ASP 서비스에 따라서 웹서버(200)의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250)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입력부(700)를 통해 입력한 작곡 및 편집 정보에 따른 악보를 생성하는 악보 생성부(35) 및 악보 생성부(35)에서 생성된 악보에 대응하는 노래를 생성하는 노래 생성부(36)를 구비한다.
다음에 도 4에 따라 악보 생성부(35)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시스템(100)을 통해 웹서버(200)와 접속한다. 이러한 접속은 통상의 인터넷 서비스망인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한다.
이후, 데이터베이스부(210)내에 저장된 악보/소절 데이터 베이스(213) 및 음악/노래 데이터베이스(214)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개의 가요 등의 곡명을 선택하고, 도 4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4개의 곡 중에서 원하는 마디만 출력부(8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조작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입력부(700)의 입력수단을 통해 도 4(a)의 1번째 마디, 도 4(b)의 2번째 마디, 도 4(c)의 3번째 마디, 도 4(d)의 4번째 마디만 각각 선택하여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보를 생성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a) 내지 도 4(d)에서 각각 하나의 마디만을 선택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원하는 감정에 따라 각각의 선택곡에서 2마디, 3마디, … 등의 마디를 임의로 선택하여 작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베이스부(210)내에 저장된 악보/소절 데이터 베이스(213) 및 음악/노래 데이터베이스(214)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개의 가요 등의 곡명을 선택하여 그 중의 원하는 일부의 마디를 선택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음악/노래 데이터베이스(214)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한 개의 가요의 곡명을 선택하여 그 가요의 멜로디 전체를 가져와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멜로디는 성악의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250)의 지원에 의해 생성된 악보는 데이터 베이스부(210)에 저장된 리듬팩, 멜로디팩, 반주팩, 사운드팩을 활용하여 노래 생성부(36)에서 노래를 생성하게 된다.
한 개의 곡에서 멜로디 전체를 선택하고, 리듬, 반주, 사운드를 변형하여 노래 생성부(36)에서 노래가 생성되는 경우를 리믹스(remix) 기법이라고 한다.
다음에, 도 5에 따라 노래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 생성부(36)는 악보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된 악보, 미디 명령 해석부(361), 사운드 효과 처리부(362), 노랫말 발음 변환부(363), 리듬 생성부(364), 운율 형성부(365) 및 합성부(366)로 구성된다.
악보 생성부(35)에 의해 형성된 악보는 노랫말 데이터와 리듬 데이터 및 악기정보 데이터 등이 포함되는 전자 데이터 파일로 표현한 형태이다. 이러한 악보 데이터에는 도 4(e)에 표시된 가사에 대해 사용자가 작사를 하여 노랫말을 바꿀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일부의 마디를 직접 작곡하거나 편곡하여 새로운 멜로디를 형성할 수도 있다. 기존의 멜로디와 일부의 마디를 직접 작곡하거나 편곡한 멜로디를 사용하고 리듬, 반주, 사운드를 변형하여 노래 생성부(36)에서 노래가 생성되는 경우를 리메이크(remake) 기법이라고 한다.
악보 내에 포함된 악기정보 데이터는 미디(MIDI) 명령어 해석부(361)로 전달되고, 악보의 노랫말 데이터는 노랫말 발음 변환부(363)에서 음성정보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 악보의 리듬정보는 리듬 생성부(364)에서 해석되어 노랫말의 길이 또는 높낮이 정보 데이터로 형성된다.
노랫말 발음 변환부(363)에서 변환된 음성정보 데이터와 리듬 생성부(364)에서 생성된 노랫말의 길이 또는 높낮이 정보 데이터는 운율 형성부(365)에 입력되어 노랫말에 해당되는 운율데이터로 변환된다.
또한, 노래에 에코 등과 같이 특별한 사운드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운드 효과 처리부(362)에서는 악보에 표기된 정보를 사운드 효과 처리한다.
다음에, 합성부(366)에서는 미디(MIDI) 명령 해석부(361), 사운드효과 처리부(362), 운율 형성부(365)에서 각각 형성된 데이터를 합성하여 노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노래 데이터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3)를 경유하여 출력부(8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악보 생성부(35) 및 노래 생성부(36)은 웹서버(200)에서 사용자 시스템에 다운받아 사용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ASP를 이용한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 6 내지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홈 페이지에 등록된 순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다수의 사용자는 원하는 작곡을 하거나 또는 원하는 음악을 듣기 위해 다수의 사용자 시스템(100) 또는 휴대폰(600)을 통해 네트워크(300)를 거쳐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웹브라우저(Web Browser)를 실행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면, 서비스 업체의 웹 서버(200)에 연결되어 관리자의 웹 페이지가 표시된다(S10).
웹서버(200)는 표시된 웹 페이지에 나타난 영역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의 각각의 로그인 단계를 거친다. 즉,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가를 판단한다(S11). 이 때, 사용자가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경우이면, 즉 회원이 아니면 소정의 양식을 통해 회원 등록을 받고,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 번호, 전화 번호, 개인 휴대 전화 번호, 주소, 전자 우편의 주소 등의 정보를 웹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부(210)의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업체에서 제공하는 CP 계약에 동의하는가 확인한다(S12). 스텝 S12에서 사용자가 저작권 사용권의 이양, 저작료의 합의 등에 관한 CP계약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1로 되돌아가고, CP 계약에 동의하면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사용자가 CP 계약에 동의함에 따라 웹서버(200)에 CP등록을 하고, 사용자가 ASP 지원 수단(240) 및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250)을 활용할 수있도록 처리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모듈 데이버 베이스(212), 악보/소절 데이터 베이스(213)와 악보 생성부(35) 및 노래 생성부(36)를 이용하여 노래 제작(작곡)을 실행한다(S14). 사용자가 작곡한 노래는 음악/노래 데이터 베이스(214)에 저장되고, 저작권 홈페이지연결 수단(230)을 통해 저작권 관리 서버(500)에 연결된다. 즉,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시스템(100)을 사용하여 작곡한 음악/노래는 저작권 관리 서버(500)에서 저작권으로 저장되어 관리된다. 또, 사용자가 작곡한 곡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홈페이지에 등록되고, 선호도 분석 수단(260)에 의해 다른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라 그 순위가 결정된다.
또한, 스텝 S14에서 제작된 노래는 모바일 관리 수단(270)에 의해 휴대폰(600)의 벨소리, 컬러링으로 사용되거나 MP3 등 압축파일로 하여 인터넷상에서 유통되도록 데이터 베이스부(210)에 저장된다.
다음에, 데이터 베이부(2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작곡/음악 데이터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된다(S15). 즉, 다른 사용자의 상품 주문시, 주문관리 수단(280)에 의해 판매 대행이 개시된다. 그 후, 판매 이익금에 대해 음원 사용료 및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소정의 수수료를 제외하고 작곡 당사자에게 저작료를 지급하는 수익 배분이 실행되며, 상품(작곡/음악, 벨소리, 컬러링 또는 MP3 등 압축파일)의 판매에 대해서는 상품 판매 데이터베이스(215)에 저장된다(S16).
그 후,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CP 계약상의 계약이 만기되었는가 판단하고(S17), 계약이 만기되지 않았으면 스텝S14로 되돌아가 사용자의 노래 제작이 계속 실행되며, 계약이 만기 종료되었으면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기능은 종료된다.
다음에 도 8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따른 작곡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따른 작곡을 실행하기 위한 노래제작의 스텝S14에 있어서, 도 4(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부(210)에 저장된 다수의 작곡 및 작사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선택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노래의 작곡을 선택하거나 또는 다수의 작곡 및 작사 데이터의 일부를 다수개로 선택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입력부(70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25)의 지원하에서 악보생성부(35)는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개의 작곡 및 작사 데이터의 일부마다 소정의 마디를, 예를 들어 도 4(a)에서는 1번째 마디, 도 4(b)에서는 2번째 마디, 도 4(c)에서는 3번째 마디, 도 4(d)에서는 4번째 마디를 커트하고, 도 4(a) 내지 도 4(d)에서 각각 커트된 마디를 편집하여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트된 악보가 작성된다.
다음에,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250)에 의해 페이스트된 악보에 대해 멜로디 리스트가 표시되고(S20), 표시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멜로디를선택한다(S21).
그 후 멜로디의 추가가 필요한가 확인하고(S22), 멜로디의 추가가 필요한 경우 스텝 S21에서 선택된 멜로디를 저장한 후(S23), 스텝 S2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22에서 멜로디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스텝 S24로 진행한다.
다음에,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250)에 의해 페이스트된 악보에 대해 리듬 리스트가 표시되고(S24), 표시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리듬을 선택한다(S25). 그 후 선택된 리듬은 저장되고(S26), 스텝 S27로 진행한다.
다음에,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250)에 의해 페이스트된 악보에 대해 리듬이 저장되고, 반주(session)의 리스트가 표시되고(S27), 표시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반주를 선택한다(S28).
그 후 반주의 추가가 필요한가 확인하고(S29), 반주의 추가가 필요한 경우 스텝 S30에서 선택된 반주를 저장한 후(S30), 스텝 S27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 S29에서 멜로디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스텝 S31로 진행한다.
다음에,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250)에 의해 페이스트된 악보에 대해 반주가 저장되고, 효과음의 리스트가 표시되고(S31), 표시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음을 선택한다(S32).
그 후 효과음의 추가가 필요한가 확인하고(S33), 효과음의 추가가 필요한 경우 스텝 S34에서 선택된 효과음을 저장한 후(S34), 스텝 S31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 S33에서 효과음의 추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스텝 S35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행된 악보에 대해 노래 생성부(36)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리듬, 멜로디, 반주, 효과음을 가공하기 위해 스텝 S21, S25, S28, S32에서 선택된 멜로디, 효과음, 리듬, 반주는 합성부(366)에서 합성된다(S35).
이상의 과정을 통해 하나의 음악이 완성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메모리부(32)에 저장되고(S37), 출력부(800)에서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으로 출력된다(S38).
한편, 스텝 S36에서 하나의 음악으로 완성되지 않고, 즉 일부의 마디로만 작성된 경우 전체 곡의 완성을 위해 스텝 S20으로 되돌아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트 앤 페이스트로서 단순하게 커트된 작사를 페이스트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작곡한 악보에 사용자가 원하는 작사를 부가하여 작곡할 수 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완성한 곡을 출력부(800)에서 출력되는 과정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폰(600)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PC로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SP를 이용한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음악 분야에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라 하여도 ASP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곡을 자유롭게 작사, 작곡하여 사용자의 취미를 개발할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의 음원으로 사용된 원작 곡에 대한 저작권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음원을 사용하여 작곡한 곡에 대해서도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작곡한 곡에 대해 소정의 저작권 이용료를 지급함으로써, 사용자의 수익을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7)

  1.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거쳐 실시간으로 컴퓨터 작곡 소프트웨어(ASP)를 통해 전자악보를 생성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 정보, 음원 모듈에 대한 정보, 악보/소절에 대한 정보, 음악/노래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상품으로 판매할 상품의 사용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
    상기 ASP 형태로 제공되는 음원 뱅크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음원을 선택하고 페이스트하여 작곡 악보를 생성하는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
    사용자들의 선곡정보 및 구매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의 선호도를 분석 표시하는 선호도 분석 수단 및
    사용자가 주문한 음악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고 이에 상응하는 가격을 관리하는 주문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개인 휴대전화 등에 있어서 벨소리, 캐릭터 벨 또는 컬러링으로의 사용을 관리하는 모바일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작곡 및 작사 데이터에서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다수의 작곡 및 작사 데이터의 일부마다 소정의 마디를 커트하거나 한 개의 곡의 전체 마디를 선택하는 커트수단과
    상기 커트수단에 의해 커트 또는 선택된 소정의 마디나 소정의 마디를 작곡 또는 편곡한 마디를 편집하여 페이스트하는 페이스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은 편집된 악보의 리듬, 멜로디, 반주, 효과음을 가공하는 가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커트 수단은 작곡 및 작사된 악보에서 적어도 1마디를 커트하고,
    상기 페이스트 수단은 상기 커트 수단에서 커트 또는 선택된 마디에 대응하여 편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리듬팩, 멜로디팩, 반주팩, 사운드팩을 저장하고,
    상기 가공수단은 상기 리듬팩, 멜로디팩, 반주팩, 사운드팩에 따라 상기 페이스트 수단에 의해 편집된 악보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수단에서 출력된 악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악보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7.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거쳐 실시간으로 컴퓨터 작곡 소프트웨어(ASP)를 통해 전자악보를 생성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상기 사용자의 작곡을 지원하는 ASP 시스템 및
    기존의 작사, 작곡 등의 저작권과 상기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따라 작곡된 음악에 대한 저작권을 관리하는 저작권 관리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회원 정보, 음원 모듈에 대한 정보, 악보/소절에 대한 정보, 음악/노래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상품으로 판매할 상품의 사용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
    상기 ASP 형태로 제공되는 음원 뱅크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음원을 커트하고 페이스트하여 작곡 악보를 생성하는 커트 앤 페이스트 수단,
    사용자들의 선곡정보 및 구매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작곡한 음악의 선호도를분석 표시하는 선호도 분석 수단,
    사용자가 작곡한 곡을 개인 휴대전화 등에 있어서 벨소리, 캐릭터 벨 또는 컬러링으로의 사용을 관리하는 모바일 관리 수단 및
    사용자가 주문한 음악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고 이에 상응하는 가격을 관리하는 주문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0030045439A 2003-07-04 2003-07-04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050003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439A KR20050003911A (ko) 2003-07-04 2003-07-04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439A KR20050003911A (ko) 2003-07-04 2003-07-04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11A true KR20050003911A (ko) 2005-01-12

Family

ID=3721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439A KR20050003911A (ko) 2003-07-04 2003-07-04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39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8405A1 (en) * 2005-05-02 2006-11-09 Silentmusicband Corp. Internet music composition application with pattern-combination method
KR100794194B1 (ko) * 2005-09-27 2008-01-11 신호준 음원 샘플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음원 샘플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20190109626A (ko) * 2018-02-27 2019-09-26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음원 평가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원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8405A1 (en) * 2005-05-02 2006-11-09 Silentmusicband Corp. Internet music composition application with pattern-combination method
US7792782B2 (en) 2005-05-02 2010-09-07 Silentmusicband Corp. Internet music composition application with pattern-combination method
KR100794194B1 (ko) * 2005-09-27 2008-01-11 신호준 음원 샘플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음원 샘플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20190109626A (ko) * 2018-02-27 2019-09-26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음원 평가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원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pinath The ringtone dialectic: Economy and cultural form
US6928261B2 (en) Music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realizing such method
US83118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ient voice building
US20100228791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sic Database And Method Of Forming Music Database
JP4625638B2 (ja) 表現生成方法,表現生成装置,表現生成システム
KR101482739B1 (ko) 음원 편곡 서비스 방법 및 음원 편곡 서비스 시스템
KR10050031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공동 작곡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사업방법
JP2006317792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66648A (ja) 歌唱音声の編集支援方法、および歌唱音声の編集支援装置
JP2008522212A (ja) 音響機器の個人設定情報管理方法
KR20050003911A (ko) 작곡 데이터 관리 시스템
JP2011133882A (ja) 音声付映像合成システム及び音声付映像合成方法
CN114974184A (zh) 音频制作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060118094A (ko) 작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0522005B1 (ko)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작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97136A (ja) 楽曲作成装置、音楽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421535B2 (ja) カラオケ演奏時に楽曲に関連した複数種類の情報サイトの各アドレスを近辺に無線通知するカラオケ装置
JP2002169552A (ja) 作曲支援装置および作曲支援方法、楽曲テンプレート・データ提供装置
JP2020204683A (ja) 電子出版物視聴覚システム、視聴覚用電子出版物作成プログラム、及び利用者端末用プログラム
JP4123814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再生方法
KR20010091206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요 창작방법
JP2003223178A (ja) 電子歌唱カード生成方法、受信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37662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신곡추가 방법
KR102344749B1 (ko) 온라인 상에서 음원 데이터를 이용한 노래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066601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편곡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