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080A -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080A
KR20050003080A KR1020030043208A KR20030043208A KR20050003080A KR 20050003080 A KR20050003080 A KR 20050003080A KR 1020030043208 A KR1020030043208 A KR 1020030043208A KR 20030043208 A KR20030043208 A KR 20030043208A KR 20050003080 A KR20050003080 A KR 2005000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heteroaryl
aryl
cycloalky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105B1 (ko
Inventor
이용섭
이재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43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10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74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며 약리학적으로 유용 가능성이 있는 하기 화학식 1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 (3,4-dihydroquinazoline) 유도체 및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리그나드 시약 (Grignard reagent), 알킬리튬, 아릴리튬, 알킬나트륨, 아릴나트륨 또는 금속 엔올레이트 (metal enloate) 등과 같은 탄소 친핵체 (carbon nucleophile)와 카보디이미드 (carbodiimide)의 부가 반응 및 연속적인 고리화 반응에 의해 하기 화학식 1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n, R1, R2, R3및 R4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중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3,4-Dihydroquinazol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탄소-탄소 결합을 통하여 퀴나졸린의 2-위치에 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기 등이 치환된 다양한 3,4-디히드로퀴나졸린(3,4-dihydroquinazoline) 유도체 및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3,4-디히드로퀴나졸린(3,4-dihydroquinazoline)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퀴나졸린 (quinazoline) 계열의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는 진정, 진통, 이뇨, 항고혈압, 항생, 항암 효과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져 의약품 개발에 있어 중요한 헤테로고리 화합물로 인식되어 유기합성 및 약품화학의 중요한 목표 화합물이 되고 있다 [Jhone, S. 등,Progress In Drug Research 26, Birkauser Verlag, Basel (1982), pp. 259-341; Brown, D. J.,The Chemistry of Heterocyclic Compounds, J. Wiley & Sons, New York (1996); Boschelli, D. H.,Drugs Future,1999, 24, pp. 515-537; Dumas, J.,Expert Opin. Therapeut. Pat. 11,(2001), pp. 405-429.].
따라서, 현재까지 퀴나졸린 계열의 화합물들의 다양한 합성방법들이 보고되었다. 그 중,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는 주로 몰리나 (Molina, P)의 카보디이미드 (carbodiimide)를 이용한 방법에 의하여 합성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민, 알코올, 티올과 같은 헤테로원자성 친핵체 (heteroatomic nucleophile)와 카보디이미드의 부가 반응 및 연속적인 전자고리화 (electrocyclization)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Molina, P. 등,Synthesis, 1998, pp. 283-287; Saito, T. 등,Tetrahedron Lett., 1996,37, pp. 209-212.].
그러나, 위 공지의 방법은 헤테로원자 (heteroatom)만을 친핵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퀴나졸린의 2번 위치에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티올기 등 헤테로원자만이 치환된 제한된 구조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의 제조만이 보고되었으며, 알킬이나 아릴기 등 탄소 친핵체 (carbon nucleophile)가 도입된 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의 합성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헤테로원자성 친핵체 대신, 다양한 탄소 친핵체를 이용한 탄소-탄소 결합을 통하여 퀴나졸린의 2-위치에 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기 등이 치환된 다양한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의 효과적인 제조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여 다양한 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중간체로서 유용한 3,4-디히드로퀴나놀린 유도체, 그의 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져 의약품의 중간체로 이용될 수 있는 하기 화학식 1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및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n은 1, 2, 3 또는 4이고,
R1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게노,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히드록시, (C1-C6)알콕시, (C3-C6)시클로알콕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옥시, (C1-C6)티오알콕시, (C3-C6)시클로티오알콕시, 티오(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옥시, 니트로, -NR5R6(여기서, R5및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2-C6)알케닐, (C4-C6)시클로알케닐 또는 (C2-C6)알키닐임), -N(C=X)R7(여기서,X는 산소 또는 황이며, R7는수소,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 -S(=O)2NR8R9(여기서, R8및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2-C6)알케닐, (C4-C6)시클로알케닐 또는 (C2-C6)알키닐임), 히드라지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이고,
R2는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1-C6)알콕시알킬, (C3-C6)시클로알콕시알킬, (C1-C6)알케닐,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및 헤테로아릴, -CHR10R11(여기서, R10및 R11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6)알콕시카르보닐, 니트로 또는 시아노임) 또는 -C(=O)R12(여기서, R12는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이고,
R3는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1-C6)알콕시알킬, (C3-C6)시클로알콕시알킬, 또는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4는 -C(=X)OR13(여기서, X는 산소 또는 황이며, R13은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페닐고리에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벤질임), 니트로, 시아노, -C(=X)(CH2)nNR14R15(여기서,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n은 0~4이며, R14와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의 염으로는 예를 들어 충분히 염기성인 본 발명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의 산부가 염, 예컨대 무기 또는 유기 산(예,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구연산, 말레산, 주석산, 푸마르산, 메탄술폰산 또는 4-톨루엔술폰산)과의 단일산 부가염 또는 이중산 부가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탄소 친핵체와 하기 화학식 2의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R2MgX
R2M
상기 식에서,
n, R1, R2, R3및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X는 할로겐이고,
M은 리튬 또는 나트륨이다.
본 발명에 따른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하기의 반응식 1에 의거하여 설명하겠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중간체인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D)은 공지의 방법 (Wang, F.,Tetrahedron Lett.,1997,38, pp. 8651-8654)을 응용하여 합성이 가능한데, 먼저 출발 물질인 메틸 2-니트로신나메이트 (A, methyl 2-nitrocinnamate)를 70℃의 바람직한 온도에서 SnCl2로 처리하여 니트로기를 아민기로 환원한다.
일반적으로 카보디이미드는 이미노포스포란 (iminophosphoranes)과 헤테로큐물렌(heterocumulenes: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티오이소시아네이트)의 아자-위티그 (aza-Wittig) 반응으로 합성하나 [Wamhoff, H. 등,Adv. Hetercycl. Chem.,1995,64, pp. 159; Molina, P. 등,Synthesis, 1994, pp. 1197-1217.], 페닐고리가 3개인 이미노포스포란 (iminophosphoranes)의 제조보다는 요소형태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이 실온조건에서 정량적인 수득율로 얻어져 반응조건이 간편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요소형태의 화합물로부터 카보디이미드를 합성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얻어진 아민 화합물 (B)을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또는 벤젠, 바람직하게는 벤젠 용매를 사용하고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phenyl isocyanate)를 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요소(urea)형태의 생성물 (C)을 용이하게 얻었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urea) 화합물은 디브로모트리페닐포스핀 (dibromotriphenylphosphine)과 트리에틸아민을 이용한 탈수화 과정을 통해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D)을 용이하게 제조하였다. 이 공정에서,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다른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티오시아네이트들을 사용하면 디히드로퀴나졸린의 3번 위치에 다양한 치환체를 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D)을 적당한 용매에 녹인 후 이 용액에 탄소 친핵체를 첨가하여, 중간체 화합물 (E)의 1,4-부가 반응을 통하여 최종생성물인 3,4-디히드로퀴나졸린 (F)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카보디이미드 기의 높은 반응성 때문에 동일 분자에 존재하는 다른 작용기인 카르보닐기와의 부반응이 거의 없이 카보디이미드 기에 대한 선택적인 부가 반응과 이의 연속적인 고리화 반응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생성물이 제조된다.
이러한 반응에서, 카보디이미드 화합물과 탄소 친핵체와의 반응은 아세토니트릴, 에테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THF)과 같은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하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를 사용한다.
또한,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부반응을 고려하여 -78℃ 내지 0℃의 반응 온도 및 30분 내지 1시간의 반응 온도가 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탄소 친핵체로서 화학식 3의 R2MgX을 사용할 경우 반응 온도 -78℃에서 약 30분 동안 반응을 완결하고, 화학식 4의 R2M을 탄소 친핵체로서 사용할 경우 약 30분 동안 -78℃에서 0℃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반응을 완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탄소 친핵체는 상업적 구입이 용이한 그리그나드 시약 (Grignard reagents), 알킬리튬, 아릴리튬, 알킬나트륨 또는 아릴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 엔올레이트(metal enolate)를 직접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메틸 2-아미노신나메이즈 (B)의 제조
메틸 2-니트로신나메트 (A, 0.202 g, 0.975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에 녹이고 SnCl2·2H2O (1.11 g, 4.87 mmol)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70℃에서 60분 동안 가열하고, 반응이 종결되면 상온으로 식혔다.
포화된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수용액으로 용액을 약한 염기성이되게 한 후, 미세한 진흙층 (celite)으로 여과하였다. 물층을 에틸 아세테트로 3번 추출하고 모아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관 크로마토그라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의 생성물 (B)을 90%의 수율로 얻었다:1H-NMR [300 MHz, CDCl3] δ 7.86 (d,J= 15.9 Hz, 1H, -CH=CH-CO2Me), 7.40 (d,J= 7.5 Hz, 1H, aromatic), 7.19 (t,J= 7.2 Hz, 1H, aromatic), 6.78 (t,J= 7.8 Hz, 1H, aromatic), 6.72 (d,J= 7.5 Hz, 1H, aromatic), 6.38 (d,J= 15.9 Hz, 1H, -CH=CH-CO2Me) 4.02 (s, 2H, -NH 2 ), 3.82 (s, 3H, -OCH 3 );13C-NMR [300 MHz, CDCl3] δ 168.0, 145.9, 140.6, 131.6, 128.3, 120.1, 119.2, 117.9, 117.0, 51.9.
<실시예 2>
메틸 3-[2-(3-페닐우레이도)페닐]아크릴레이트 (C)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화합물 (B, 0.60 mmol)을 벤젠 (5.0 ml)에 녹이고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1.20 mmol)를 상온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고 생성된 고체 화합물을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 생성물 (C)을 90%의 수율로 얻었다:1H-NMR [300 MHz, DMSO] δ8.94 (s, 1H, -NH-CO-) 8.49 (s, 1H, -NH-CO-) 7.89 (d,J= 15.9 Hz, 1H, -CH=CH-CO2Me), 7.76(d,J= 7.8 Hz, 2H, aromatic), 7.46 (d,J= 8.4 Hz, 2H, aromatic) 7.39 (t,J= 8.1 Hz, 1H, aromatic), 7.28 (t,J= 7.8 Hz, 2H, aromatic) 7.12 (t,J= 7.5 Hz, 1H, aromatic) 6.97 (t,J= 7.8 Hz, 1H, aromatic), 6.58 (d,J= 15.3 Hz, 1H, -CH=CH-CO2Me), 3.73 (s, 3H, -OCH 3 );13C-NMR [300 MHz, DMSO] δ167.4, 153.5, 140.5, 140.3, 138.5, 131.4, 129.5, 127.8, 126.8, 124.6, 124.4, 122.7, 119.5, 118.9, 52.2.
<실시예 3>
메틸 3-[2-(페닐이미노메틸렌아미노)페닐]아크릴레이트 (D)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화합물 (C, 10 mmol)와 트리에틸아민 (30 mmol)을 디클로로메탄 (30.0 ml)에 녹인 용액에 디브로모트리페닐포스핀 (15 mmol)을 0℃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3번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sodium sulfate)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관 크로마토그라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20:1)로 정제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인 카보디이미드 생성물 (D)을 75%의 수율로 얻었다:1H-NMR [300 MHz, CDCl3] δ 8.18 (d,J= 16.2 Hz, 1H, -CH=CH-CO2Me), 7.56 (d,J= 7.8 Hz, 1H, aromatic), 7.36-7.29 (m, 3H, aromatic), 7.25 (d,J= 7.8 Hz, 1H, aromatic), 7.20-7.13 (m, 4H, aromatic), 6.52 (d,J= 16.2 Hz, 1H, -CH=CH-CO2Me), 3.80 (s, 3H, -OCH 3 );13C-NMR [300 MHz, CDCl3] δ 167.5, 140.5, 138.4, 138.0, 134.3, 131.3, 129.8, 129.0, 127.8, 126.1, 126.0, 125.9, 124.6, 119.6, 52.0.
<실시예 4>
4-메톡시카르보닐메틸-2,3-디페닐-3,4-디히드로퀴나졸린 (1)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D,0.911g, 3.27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50.0 ml)에 녹이고 -78℃에서 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 (3.0 M 용액, 2.62 ml, 7.58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반응이 종결된 후, 포화된 염화암모니아 수용액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번 추출하였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관 크로마토그라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고체인 흰색의 표제 화합물 (1)을 80%의 수율로 얻었다:1H NMR [300 MHz, CDCl3] δ 7.77-7.74 (m, 2H, aromatic), 7.50 (d,J= 7.2 Hz, 1H, aromatic), 7.31 (t,J= 7.8 Hz, 1H, aromatic), 7.24-7.21 (m, 3H, aromatic), 7.15-7.03 (m, 4H, aromatic), 6.96 (d,J= 7.8 Hz, 2H, aromatic), 6.90 (t,J= 7.2 Hz, 1H, aromatic), 5.38 (t,J= 7.2 Hz, 1H, -CH2-CH-N-), 3.67 (s, 3H, -OCH 3 ), 2.89 (dd,J= 8.1 Hz and 14.8 Hz, 1H, -CO-CH 2 -), 2.69 (dd,J=6.6 Hz and 15.1 Hz, 1H, -CO-CH 2 -);13C NMR [75 MHz, CDCl3] δ 171.5, 154.9, 145.4, 142.1, 136.3, 130.4, 130.0, 129.2, 128.9, 128.5, 126.5, 126.3, 125.3, 125.1, 124.4, 123.6, 59.4, 52.1, 40.8.
<실시예 5>
4-메톡시카르보닐메틸-2-비스(메톡시카르보닐)메틸-3-페닐-3.4-디히드로퀴나졸린 (6)의 제조
나트륨 하이드리드 (NaH) (728 mg, 3.03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8.0 ml)에 녹이고 디메틸 말로네이트 (0.289 ml, 2.53 mmol)를 0℃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수소 가스가 나오는 것을 확인한 후, 형성된 나트륨 엔올레이트 (sodium enolate, 1.06 mmol)를 -78℃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녹인 카보디이미드 (D, 294 mg, 1.06 mmol)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포화된 염화 암모니아 수용액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번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킨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관 크로마토그라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3:1)로 정제하여 고체인 흰색의 표제 화합물 (6)을 60%의 수율로 얻었다:1H NMR [300 MHz, CDCl3] δ 7.35-7.23 (m, 5H, aromatic), 7.14-7.03 (m, 4H, aromatic), 5.27 (dd,J= 5.1 Hz and 9.0 Hz, 1H, -CH2-CH-N-), 3.70 (s, 3H, -OCH 3 ), 3.43 (s, 6H,CH 3 O-CO-CH-CO-OCH 3 ), 3.10 (dd,J= 5.1 Hz and 16.3 Hz, 1H, -CO-CH 2 -), 2.87 (dd,J= 9.0 Hz and 15.9 Hz, 1H, -CO-CH 2 -);13C NMR [75 MHz, CDCl3] δ 170.9, 168.9, 157.4, 144.7, 133.3, 131.7, 129.4, 129.3, 128.2, 126.0, 125.8, 124.3, 124.1, 116.4, 59.4, 52.2, 51.3, 39.4.
상기 실시예 4, 5 및 다른 탄소 친핵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생성물의 반응조건, 수득율 및 물리·광화학적 성질은 하기 표 1 및 1a에 정리하였다.
기존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는 카보디이미드에 아민, 알코올, 티올등과 같은 헤테로원자성 친핵체의 부가 반응과 연속적인 전자고리화 반응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3,4-디히드로퀴나졸린의 2번 위치에 헤테로원자만이 도입된 3,4-디히드로퀴나졸린이 제조되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헤테로원자 친핵체 대신, 다양한 탄소 친핵체를 사용함으로써 유기 합성에서 가장 중요한 반응인 탄소-탄소 결합을 통하여 퀴나졸린의 2-위치에 다양한 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기를 가진 신규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의 제조가 가능하여졌다. 또한, 출발 물질로 다양한 니트로신나메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티오시아네이트를 출발 물질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생성물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작용기의 화학적 변화를 통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3,4-디히드로퀴나졸린의 제조에도 본 발명의 방법을 응용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그의 염.
    <화학식 1>
    상기식에서,
    n은 1, 2, 3 또는 4이고,
    R1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게노,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히드록시, (C1-C6)알콕시, (C3-C6)시클로알콕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옥시, (C1-C6)티오알콕시, (C3-C6)시클로티오알콕시, 티오(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옥시, 니트로, -NR5R6(여기서, R5및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2-C6)알케닐, (C4-C6)시클로알케닐 또는 (C2-C6)알키닐임), -N(C=X)R7(여기서,X는 산소 또는 황이며, R7는수소,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 -S(=O)2NR8R9(여기서, R8및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2-C6)알케닐, (C4-C6)시클로알케닐 또는 (C2-C6)알키닐임), 히드라지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이고,
    R2는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1-C6)알콕시알킬, (C3-C6)시클로알콕시알킬, (C1-C6)알케닐,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및 헤테로아릴, -CHR10R11(여기서, R10및 R11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6)알콕시카르보닐, 니트로 또는 시아노임) 또는 -C(=O)R12(여기서, R12는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이고,
    R3는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1-C6)알콕시알킬, (C3-C6)시클로알콕시알킬, 또는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4는 -C(=X)OR13(여기서, X는 산소 또는 황이며, R13은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페닐고리에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벤질임), 니트로, 시아노, -C(=X)(CH2)nNR14R15(여기서,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n은 0~4이며, R14와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임의의 치환기를 가진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메톡시 또는 히드록시이고,
    R2는 페닐, 에틸, 부틸, 비닐, 3-부테닐, 2-비스(메톡시카르보닐)메틸, 시아노(메톡시카르보닐)메틸, 페닐옥소메틸 또는 (3,4-디벤질)페닐옥소메틸이며,
    R3이 페닐이고,
    R4가 메톡시카르보닐, 페닐아세트아미도 또는 [4-(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노인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그의 염.
  3. 용매 하에서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탄소 친핵체와 하기 화학식 2의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의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R2MgX
    <화학식 4>
    R2M
    상기식에서,
    n, R1, R2, R3및 R4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M은 리튬 또는 나트륨이고,
    X는 할로겐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탄소 친핵체가 그리그나드 시약, 알킬리튬, 아릴리튬, 알킬나트륨, 아릴나트륨 및 금속 엔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78℃에서 30분 동안 용매 하에 화학식 3의 탄소 친핵체와 화학식 2의 카보디이미드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30분 동안 -78℃에서 0℃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용매 하에 화학식 4의 탄소 친핵체와 화학식 2의 카보디이미드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 방법.
KR10-2003-0043208A 2003-06-30 2003-06-30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97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208A KR100497105B1 (ko) 2003-06-30 2003-06-30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208A KR100497105B1 (ko) 2003-06-30 2003-06-30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080A true KR20050003080A (ko) 2005-01-10
KR100497105B1 KR100497105B1 (ko) 2005-06-23

Family

ID=3721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208A KR100497105B1 (ko) 2003-06-30 2003-06-30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91A2 (ko) * 2012-07-31 2014-02-06 보령제약 주식회사 신규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95B1 (ko) * 2007-01-05 2007-12-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91A2 (ko) * 2012-07-31 2014-02-06 보령제약 주식회사 신규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4021591A3 (ko) * 2012-07-31 2014-03-20 보령제약 주식회사 신규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105B1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1346B2 (ja) ハロゲン化環式化合物の合成方法
CS259894B2 (en) Method of substituted nicotinates preparation
EP3658552B1 (en) Process for preparing n-(5-((4-(4-((dimethylamino)methyl)-3-phenyl-1h-pyrazol-1-yl)pyrimidin-2-yl)amino)-4-methoxy-2-morpholinophenyl)acrylamide by reacting the corresponding amine with a 3-halo-propionyl chloride
HRP20030781A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4,6-diaminopyrimido[5,4-d]pyrimidines
EP1776367A1 (en) Synthesis of 6,7-dihydro-5h-imidazoý1,2-a¨imidazole-3-sulfonic acid amides
KR102174091B1 (ko) 입체 선택성이 우수한 이 작용성 유기 키랄 촉매 화합물을 이용한 나이트로 화합물로부터의 감마 락탐 유도체의 제조 방법
US10858353B2 (en) Intermediates useful for the synthesis of aminopyrimidi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eparing aminopyrimidine derivatives using the same
KR100497105B1 (ko) 3,4-디히드로퀴나졸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US6797828B1 (e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4(5)-amino-5(4)-carboxamidoimidazoles and intermediates thereof
US20050245750A1 (en) Process for preparing 1,3-benzodioxole-2-spirocycloalkane derivative
JPH0450315B2 (ko)
WO2022044033A1 (en) Quinolone compound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H0641135A (ja) イミダゾプテリジ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018185B1 (ja) キナゾリン誘導体又はその塩の製造方法
JP3253245B2 (ja) グアニジン誘導体の製造法、新規中間体およびその製造法
RU228263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3,5-дигидро-1,11-диметилфуро[2`,3`:3,4]циклогепта[c]изохинолин-5-она
JP3886751B2 (ja) グアニ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CN116751198A (zh) 含异硫脲片段的咪唑并六元氮杂化合物的制备方法
EA041485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аминопиримидина
CN107163062A (zh) 一种磺酰内酯化合物及其制备方法
JPWO2018105492A1 (ja) 3−(ピリジル−2−アミノ)プロピオニトリル及びその類縁体の製造方法
JP2018507229A (ja) ピペリジン−4−カルボチオアミド塩酸塩を調製する方法
Cież et al. Synthesis of novel, chiral, water-soluble isothiazole derivatives
JPS63216877A (ja) 含フツ素ピリミジン誘導体
JPH1077270A (ja) 2−(1−クロロビニル)ピリジ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