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023A -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023A
KR20050003023A KR1020030043149A KR20030043149A KR20050003023A KR 20050003023 A KR20050003023 A KR 20050003023A KR 1020030043149 A KR1020030043149 A KR 1020030043149A KR 20030043149 A KR20030043149 A KR 20030043149A KR 20050003023 A KR20050003023 A KR 20050003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ower electrode
memory device
nitride film
semiconducto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4115B1 (ko
Inventor
김남경
염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4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1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65Electrodes comprising a noble metal or a noble metal oxide, e.g. platinum (Pt), ruthenium (Ru), ruthenium dioxide (RuO2), iridium (Ir), iridium dioxide (Ir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하부구조가 형성된 반도체기판상에 질화막을 일정 두께로 형성하고, 소정의 하부전극 패턴으로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질화막 패턴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상기 질화막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접촉층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전극 형성용 이리듐을 증착하고 하부전극 형성영역에만 남도록 에치백하는 단계, 플라즈마 상태에서 산화처리를 행하여 상기 이리듐막상에 이리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전극 형성용 백금을 증착하고 상기 하부전극 형성영역에만 남도록 에치백하는 단계, 기판 전면에 강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강유전체막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CMP에 의한 평탄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질화막을 사용하여 안정된 플러그를 유지할 수 있고, 깨끗한 백금전극 표면을 형성하여 기생 커패시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하부전극끼리 연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화막 증착과 식각을 통해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이리듐, 이리듐 산화막 및 백금막을 증착하고 에치백하여 우수한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발중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서 MTP(merged top plate)구조는 제4층 층간절연막의 평탄화가 필요하다. 이 층간절연막의 평탄화를 위해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를 적용할 때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우선, 하부전극인 백금 박막이 무르기(soft) 때문에 CMP패드가 닿는 부위에 결정립계면이 찢겨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하고, 백금 표면에 스크래치 등 많은 손상을 유발시킨다. 둘째로, 하부전극 패터닝 과정에서 백금전극위에 증착된 타이나이트라이드 제거과정에서 백금이 급격하게 손실된다. 세째로, 층간절연막으로 산화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백금전극 표면에 매우 얇게 산화막이 존재하여 기생 커패시터를 형성하여 강유전체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열화시킨다. 네째로, 노블(noble) 금속은 식각이 잘 되지 않으므로 하부전극 패터닝 과정에서 식각 기울기가 완만해져 하부전극 밑바닥이 인접한 셀과 붙게 되어 페일(fail)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CMP에 의한 평탄화 문제를 해결하고, 질화막을 사용하여 안정된 플러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깨끗한 백금전극 표면을 형성하여 기생 커패시터의 발생을 방지하고, 인접한 하부전극끼리 연결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a 내지 도1i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순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자분리층 2 : 게이트
3 : 게이트 스페이서 4 : 제1층간절연막
5 : 비트라인 6 : 제2층간절연막
7 : 텅스텐 플러그 8 : 베리어 메탈층
9 : 질화막 10 : 접촉층
11 : 이리듐막 12 : 이리듐 산화막
13 : 백금막 14 : 강유전체막
15 : 상부전극 16,18 : 층간절연막
17,19 : 금속배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하부구조가 형성된 반도체기판상에 질화막을 일정 두께로 형성하고, 소정의 하부전극 패턴으로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질화막 패턴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상기 질화막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접촉층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전극 형성용 이리듐을 증착하고 하부전극 형성영역에만 남도록 에치백하는 단계, 플라즈마 상태에서 산화처리를 행하여 상기 이리듐막상에 이리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전극 형성용 백금을 증착하고 상기 하부전극 형성영역에만 남도록 에치백하는 단계, 기판 전면에 강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강유전체막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a 내지 도1i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을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a는 플러그까지 형성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통상적인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공정을 통해 소자분리층(1), 게이트(2), 게이트 스페이서(3), 제1층간절연막(4), 비트라인(5), 제2층간절연막(6), 텅스텐 플러그(7) 및 TiN 베리어 메탈층(8)을 형성한 것이다.
다음에 도1b를 참조하면, 상기 형성된 제2층간절연막(6) 및 텅스텐 플러그 상부에 질화막(9)을 일정 두께 (~250nm)로 형성하고 소정의 하부전극 패턴으로 패터닝한다. 이때, 질화막 패턴의 기울기를 급격하게(steep) 식각한다. 질화막으로는 Si3N4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질화막의 스트레스 완화 및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알루미나 등과 같은 접촉층(10)을 상기 질화막 패턴(9)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형성한다. 알루미나 박막은 1~5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나 박막 형성시 O2, N2O, H2O, H2O2등의 산화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전극 형성용 이리듐(11)을 증착한 후, 하부전극 형성부위에만 남도록 에치백한다.
이어서 도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리듐과 후에 증착될 백금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라즈마 상태에서 산화처리를 행하여 이리듐막(11)상에 이리듐 산화막(12)을 1~500Å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이리듐 산화막 형성시 반응가스로는 O2, N2O, H2O, H2O2등의 산화가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에너지는10~2000watt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100~700℃ 범위로 한다.
다음에 도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전극 형성용 백금(13)을 증착하고 하부전극 형성부위에만 남도록 에치백한다.
이어서 도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전면에 강유전체막(14)을 형성하고, 그 위에 상부전극(15)을 형성한다. 상기 강유전체막(14)은 SrBi2Ta2O9(SBT), SrBi2(Ta1-x,Nbx)2O9(SBTN), Bi4Ti3O12(BIT), (Bi1-xLax)Ti3O12(BLT), (Pb,Zr)TiO3(PZT)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증착 방식으로는 ALD, CVD, PVD, 스핀 코팅, LSMCD(liquid source mixed chemical deposition)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막 형성시 페롭스카이트 핵 성장방법으로는 RTA(rapid thermal anneal)를 이용하며, 그 온도범위는 400~900℃ 범위로 한다. RTA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열 상승(thermal ramp-up)속도는 80~250℃ 로 한다. 열처리 반응가스로는 O2, N2O, N2, Ar, Ne, Kr, Xe, H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핵 생성 및 성장 공정은 2단계 RTA공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2단계 RTA공정은 1단계는 300~500℃, 2단계는 500~800℃ 온도에서 수행한다. 상기 상부전극(15)은 Pt, Ir, IrOx, Ru, RuOx, W, TiN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1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진식각공정을 통해 커패시터를 패터닝하고, 산화막을 증착하여 층간절연막(16)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1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층간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후, 금속 공정을 수행하여 금속배선(17)을 형성하고, 기판 전면에층간절연막(18)을 형성한 다음, 제2층 금속배선(19)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CMP에 의한 평탄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질화막을 사용하여 안정된 플러그를 유지할 수 있고, 깨끗한 백금전극 표면을 형성하여 기생 커패시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하부전극끼리 연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층간절연막 및 안정된 플러그 제조공정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소정의 하부구조가 형성된 반도체기판상에 질화막을 일정 두께로 형성하고, 소정의 하부전극 패턴으로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질화막 패턴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상기 질화막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접촉층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전극 형성용 이리듐을 증착하고 하부전극 형성영역에만 남도록 에치백하는 단계,
    플라즈마 상태에서 산화처리를 행하여 상기 이리듐막상에 이리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하부전극 형성용 백금을 증착하고 상기 하부전극 형성영역에만 남도록 에치백하는 단계,
    기판 전면에 강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강유전체막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하부구조는 소자분리층, 게이트, 게이트 스페이서, 층간절연막, 비트라인, 텅스텐 플러그 및 베리어 메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 패터닝시 질화막 패턴의 기울기를 급격하게(steep)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층은 알루미나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접촉층은 1~5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리듐 산화막은 1~5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리듐 산화막 형성시 반응가스로 O2, N2O, H2O, H2O2등의 산화가스를 이용하고, 반응온도는 100~700℃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은 Pt, Ir, IrOx, Ru, RuOx, W, TiN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30043149A 2003-06-30 2003-06-30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10095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149A KR100954115B1 (ko) 2003-06-30 2003-06-30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149A KR100954115B1 (ko) 2003-06-30 2003-06-30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023A true KR20050003023A (ko) 2005-01-10
KR100954115B1 KR100954115B1 (ko) 2010-04-23

Family

ID=3721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149A KR100954115B1 (ko) 2003-06-30 2003-06-30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1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0246A1 (de) 1996-09-30 1998-04-02 Siemens Ag Halbleiteranordnung mit geschützter Barriere für eine Stapelzelle
JP2002151657A (ja) * 2000-11-08 2002-05-24 Sanyo Electric Co Ltd 誘電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68200A (ja) * 2001-06-08 2002-12-20 Sony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00481867B1 (ko) * 2002-11-11 2005-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유전체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115B1 (ko) 201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4372A (ko) 수소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US754763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2001005138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erroelectric memory
KR100954115B1 (ko)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20010004369A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326255B1 (ko) 이리듐 및 산화이리듐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는 캐패시터콘택 확산방지막을 구비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 방법
KR100545702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확산방지막 형성 방법
KR100629692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596844B1 (ko)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KR101016963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58136B1 (ko) 산화이리듐 확산방지막을 구비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04364A (ko) 막 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100399892B1 (ko) 강유전체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101016959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761378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05124A (ko) 수소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20050064788A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20020058570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09400A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041185A (ko) 하부전극이 절연막에 의해 분리된 구조를 갖는강유전체메모리소자의 제조 방법
KR20010004306A (ko) 에스비티엔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20042310A (ko) 점착성을 개선할 수 있는 강유전체 커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KR20030023142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10004360A (ko) 캐패시터의 단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20020006086A (ko) 알루미나 스퍼터링 증착을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