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219A -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219A
KR20050001219A KR1020030042794A KR20030042794A KR20050001219A KR 20050001219 A KR20050001219 A KR 20050001219A KR 1020030042794 A KR1020030042794 A KR 1020030042794A KR 20030042794 A KR20030042794 A KR 20030042794A KR 20050001219 A KR20050001219 A KR 20050001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oxide
metal
oxide film
reaction chamber
re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황기현
신원식
이현덕
고창현
남석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1219A/ko
Publication of KR20050001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21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40Oxides
    • C23C16/403Oxides of aluminium, magnesium or beryll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40Oxides
    • C23C16/405Oxides of refractory metals or ytt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7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 H01L21/0217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the material containing aluminium, e.g. Al2O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7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 H01L21/0218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the material containing hafnium, e.g. Hf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01L21/022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deposition by cyclic CVD, e.g. ALD, ALE, pulsed CV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Abstract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을 포함하는 반응 챔버에 금속 반응물을 주입하여 상기 기판 상에 금속 반응물을 화학흡착시킨다. 상기 반응 챔버를 불활성 가스로 1차 퍼징하여 물리흡착된 금속 반응물을 제거한다. 상기 반응 챔버에 300∼500 Ng(노르말 그램) 농도의 오존 산화제를 주입하여 상기 화학흡착된 금속 반응물과 오존 산화제를 반응시켜 원자층 단위의 금속 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반응 챔버를 불활성 가스로 2차 퍼징하여 물리흡착된 반응물을 제거한다. 상기 금속 반응물은 TMA 또는tBuHf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막은 알루미뮴 산화막(Al2O3)또는 하프니움 산화막(HfO2)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존 농도를 300∼500 Ng(노르말 그램)으로 높여줌으로써 금속 산화막 내의 불순물을 감소시키고 금속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a metal oxide using a atomic layer deposition}
본 발명은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기판 상에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흔히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다. 상기 화학기상증착법은 기체상태의 화합물을 분해한 후,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반도체 기판 상에 박막이나 에피층을 증착하는 방법이다. 금속 산화막 형성시에는 금속의 소스 가스와 산화제를 고온으로 열분해하여 반도체 기판 상에 금속 산화물을 증착시킨다. 그런데, 상기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열적 손상을 줄 염려가 있고, 금속 산화물의 조성이 복합한 경우 조성을 조절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원자층 증착법(ALD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ALD법은 화학기상증착법에 비하여 우수한 단차 피복성을 얻을 수 있고 저온 공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ALD법은 열분해(pyrolysis)가 아닌 각 반응물의 주기적 공급을 통한 화학적 치환(chemical exchange)으로 반응물(reactant)을 분해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상기 원자층 증착법으로 금속 산화막을 형성할 경우에도 산화제의 공정 조건에 따라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금속 산화막 내부의 불순물의 양, 금속 산화막의 조성비, 및 금속 산화막의 단차 피복성 등이 많은 변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원자층 증착법으로 금속 산화막을 형성할 때 산화제의 공정 조건을 변경시켜 금속산화막의 특성을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할 때 산화제의 공정 조건을 변경하여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금속 산화막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방법에 이용된 원자층 박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금속 산화막을 형성할 때 오존 농도에 따른 금속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금속 산화막을 형성할 때 오존 농도에 따른 금속 산화막의 누설 전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라 금속 산화막을 형성할 때 오존 농도에 따른 금속 산화막의 엑스피에스(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그래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을 포함하는 반응 챔버에 금속 반응물을 주입하여 상기 기판 상에 금속 반응물을 화학흡착시킨다. 상기 반응 챔버를 불활성 가스로 1차 퍼징하여 물리흡착된 금속 반응물을 제거한다. 상기 반응 챔버에 300∼500 Ng(노르말 그램) 농도의 오존 산화제를 주입하여 상기 화학흡착된 금속 반응물과 오존 산화제를 반응시켜 원자층 단위의 금속 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반응 챔버를 불활성 가스로 2차 퍼징하여 물리흡착된 반응물을 제거한다.
상기 금속 반응물은 TMA 또는tBuHf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막은 알루미뮴 산화막(Al2O3)또는 하프니움 산화막(HfO2)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반응물의 주입 단계부터 불활성 가스의 2차 퍼징까지 상기 반응 챔버의 온도는 100∼40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반응물의 주입 단계부터 상기 불활성 가스의 2차 퍼지하는 단계를 복수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하여 금속 산화막을 형성할 때 오존 농도를 300∼500 Ng(노르말 그램)으로 높여줌으로써 금속 산화막 내의 불순물을 감소시키고 금속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방법에 이용된 원자층 박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에 이용되는 원자층 박막 형성 장치는 외부의 히터(도시 안함)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는 반응 챔버(11)와, 반도체 기판(15), 예컨대 실리콘 기판이 놓이도록 상기 반응 챔버(11)의 바닥에 설치된 서셉터(susceptor; 13)와, 반응 가스들이 상기 반응 챔버(11) 내부로 주입되도록 상기 서셉터(13) 상부에 설치된 샤워 헤드(shower head; 17)와, 상기 반응 챔버(1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 챔버(11)와 연결된 진공펌프(19)를 구비한다.
상기 샤워 헤드(17)는 서로 분리된 2개의 가스주입관(gas inlet; A 및 B)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샤워 헤드(17)에는 금속 반응물, 불활성 가스 및 산화제가 주입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반응물은 트리메틸 알루미늄(Al(CH3)3: TMA)이나 tBuHf를 이용하고, 상기 불활성 가스는 질소 가스나 아르곤 가스이며, 상기 산화제는 고농도의 오존 산화제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 반응물 및 불활성 가스(inert gas)는 상기 가스주입관(A)을 통하여 반응 챔버(11)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산화제는 상기 가스주입관(B)을 통하여 반응 챔버(11) 내부로 주입된다. 상기 금속 반응물과 산화제의 가스관을 다르게 한 것은 하나의 가스관(A 또는 B) 내에서 반응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금속 반응물 및 상기 불활성 가스는 각각 제1 밸브(V1) 및 제2 밸브(V2)에 의하여 반응 챔버(11) 내부로의 주입이 제어되고, 상기 산화제는 제3 밸브(V3)에 의하여 상기 반응 챔버(11) 내부로의 주입이 제어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반응 챔버(도 1의 11)에 기판(15)을 로딩시킨 후 히터(도시 안됨) 및 펌프(19)를 이용하여 반응 챔버(11)를 100∼400℃, 바람직하게는 300∼350℃의 공정온도와 1∼10,000mTorr의 공정 압력으로 유지한다(스텝 23). 상기 공정 온도와 공정 압력은 후속의 공정에서 계속 유지되는 공정 온도와 공정 압력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공정 온도와 공정 압력을 변경시킬 수 도 있다.
이어서, 상기 공정 온도와 공정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반응 챔버(11)에 제1 밸브(V1)를 오픈시켜 금속 반응물, 예컨대 트리메틸 알루미늄(Al(CH3)3: TMA)이나 tBuHf(Hf-[O-C-(CH3)3]4)을 가스 라인(A) 및 샤워 헤드(17)를 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5) 표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시간, 예컨대 1m초∼10초 동안 주입한다(스텝 25). 이렇게 되면, 반도체 기판(15) 상에 금속 반응물이 물리흡착 및 화학흡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반도체 기판(15) 상에는 금속 반응물을 구성하는 금속 원자는 화학흡착되고, 그 외의 물질들은 물리 흡착된다.
다음에, 상기 공정온도와 공정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반응 챔버(11)에 선택적으로 제2 밸브(V2)를 오픈시켜 불활성 가스, 예컨대 아르곤을 0.1∼100초 동안 퍼지한다(스텝 27). 이렇게 되면, 기판(15) 상에 물리 증착된 금속 반응물이 제거되어 반도체 기판(15) 상에 금속 반응물의 금속 원자가 화학흡착된다.
다음에, 금속 반응물중 금속 원자가 화학흡착된 반도체 기판을 포함하는 반응 챔버(11)에 300∼500 Ng(노르말 그램) 농도의 오존 산화제를 주입한다(스텝 29). 이렇게 되면, 오존은 금속 반응물의 금속 원자,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하프니움에 화학적으로 흡착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 기판(15) 상에는 금속 반응물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원자 또는 하프니움 원자와 오존의 반응에 의하여 원자층 단위의 알루미늄 산화막이나 하프니움 산화막, 즉 금속 산화막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오존 산화제를 300∼500 Ng(노르말 그램) 농도의 고농도로 주입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 산화막, 즉 알루미늄 산화막이나 하프니움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공정온도 및 공정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반응 챔버(11)를 불활성 가스로 0.1∼100초 동안 2차 퍼지하여 불필요한 반응물들을 제거한다(스텝 31). 계속하여, 상기 형성된 알루미늄 산화막의 두께가 적정 두께인지를 확인하고(스텝 33), 필요에 따라 스텝 23에서 스텝 33의 단계를 사이클적으로 반복한다.
이상과 같은 금속 산화막의 공정 단계에서, 상기 오존 산화제의 농도를 높임에 따라 금속 산화막, 예컨대 알루미늄 산화막이나 하프니움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금속 산화막을 형성할 때 오존 농도에 따른 금속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금속 산화막으로 알루미늄 산화막을 형성한 경우이다. 도 3의 참조부호 a는 오존 농도를 180Ng(노르말 그램)으로 한 경우이고, 참조부호 b는 오존 농도를 300 Ng(노르말 그램)으로 한 경우이다. 도 3에 보듯이 오존의 농도를 300Ng로 할 때 최소 커패시턴스(Cmin) 및 항복 전압(BV)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TMA와 오존의 반응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오존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알루미늄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도 3의 그래프에서는 오존의 농도를 300Ng일 때 알루미늄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나타냈으나, 알루미늄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은 오존의 농도를 300Ng이상 500Ng 이하에서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금속 산화막을 형성할 때 오존 농도에 따른 금속 산화막의 누설 전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금속 산화막으로 하프니움 산화막을 형성한 경우이다. 도 4에서 참조부호 a는 오존 농도를 180Ng(노르말 그램)으로 한 경우이고, 참조부호 b는 오존 농도를 300 Ng(노르말 그램)으로 한 경우이다. 도 4에 보듯이 하프니움 산화막의 경우에도 오존 농도를 300Ng로 늘려주면 누설 전류 특성이 향상된다. 특히, 도 4의 그래프에서는 오존의 농도를 최소 300Ng일 때 하프니움산화막의 누설 전류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나타냈으나, 하프니움 산화막의 누설 전류 특성은 오존의 농도를 300Ng이상 500Ng 이하에서 향상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라 금속 산화막을 형성할 때 오존 농도에 따른 금속 산화막의 엑스피에스(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내지 도 5c는 금속 산화막으로 하프니움 산화막을 형성한 경우의 XPS 그래프이다. X축은 결합 에너지(eV)를 나타내며, Y축은 임의 단위(arbitrary unit)의 강도(intensity)를 나타낸다. 도 5a는 C 1s 피크이며, 도 5b는 O 1s 피크이며, 도 5c는 Hf 4f 피크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참조부호 a는 오존 농도를 180Ng(노르말 그램), 유량을 360sccm으로 한 경우이고, 참조부호 b는 오존 농도를 180 Ng(노르말 그램), 유량을 720sccm으로 한 경우이고, 참조부호 c는 오존 농도를 300Ng(노르말 그램), 유량을 360sccm으로 한 경우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보듯이, 하프니움 산화막의 경우에 오존의 유량과 농도를 높이면 C(탄소)의 함량이 줄어들며, Hf-O의 결합(bonding)이 많아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하여 금속 산화막을 형성할 때 오존 농도를 300∼500 Ng(노르말 그램)으로 높여줌으로써 금속 산화막 내의 불순물이 감소하고, 금속 산화막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반도체 기판을 포함하는 반응 챔버에 금속 반응물을 주입하여 상기 기판 상에 금속 반응물을 화학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 챔버를 불활성 가스로 1차 퍼징하여 물리흡착된 금속 반응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반응 챔버에 300∼500 Ng(노르말 그램) 농도의 오존 산화제를 주입하여 상기 화학흡착된 금속 반응물과 오존 산화제를 반응시켜 원자층 단위의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 챔버를 불활성 가스로 2차 퍼징하여 물리흡착된 반응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의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반응물은 TMA 또는tBuH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의 형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막은 Al2O3또는 Hf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반응물의 주입 단계부터 불활성 가스의 2차 퍼징까지 상기 반응 챔버의 온도는 100∼400℃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반응물의 주입 단계부터 상기 불활성 가스의 2차 퍼지하는 단계를 복수회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
KR1020030042794A 2003-06-27 2003-06-27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 KR20050001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794A KR20050001219A (ko) 2003-06-27 2003-06-27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794A KR20050001219A (ko) 2003-06-27 2003-06-27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219A true KR20050001219A (ko) 2005-01-06

Family

ID=3721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794A KR20050001219A (ko) 2003-06-27 2003-06-27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12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274B1 (ko) 코발트 막 증착 방법
KR102026826B1 (ko) 배치 반응기에서의 순환적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퇴적
US7972978B2 (en) Pretreatment processes within a batch ALD reactor
KR100584996B1 (ko) 산화하프늄과 산화알루미늄이 혼합된 유전막을 갖는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7166541B2 (en) Method of forming dielectric layer using plasma 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technique
US20050123690A1 (en) Atomic layer deposition method of depositing an oxide on a substrate
KR20070082245A (ko)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루테늄 막 증착 방법 및고밀도 루테늄 층
KR20020044422A (ko) 원자층 증착 방법에 의한 박막 형성 방법
KR20010065160A (ko) 반도체 소자의 알루미늄 옥사이드 박막 형성 방법
US20170107614A1 (en) Multi-Step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for Silicon Nitride Film Formation
KR20010114050A (ko) 반도체 소자의 알루미늄 산화막 형성 방법
US20220139713A1 (en) Molybdenum deposition method
JP2007067119A (ja) 半導体製造装置
KR20180010323A (ko) 균일하고 컨포멀한 하이브리드 티타늄 산화물 필름들을 위한 증착 방법들
JP4348445B2 (ja) 二酸化ケイ素含有層を形成する原子層堆積方法
US8372746B2 (en) Electrode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WO2004044898A2 (en) Nitridation of high-k dielectrics
KR100584783B1 (ko) 복합막 형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게이트 구조물 및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20080064259A (ko) 개선된 금속 전구체 공급 및 퍼지 단계를 갖는 박막 증착방법
KR20050001219A (ko)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금속 산화막 형성 방법
KR100531464B1 (ko)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하프니움산화막 형성방법
US20050170665A1 (en) Method of forming a high dielectric film
KR100512938B1 (ko) 플라즈마 강화 순환 증착기술을 사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방법
KR100511914B1 (ko) 피이사이클 시브이디법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US20240047198A1 (en) Method of forming treated silicon-carbon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