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693A -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693A
KR20050000693A KR1020030041176A KR20030041176A KR20050000693A KR 20050000693 A KR20050000693 A KR 20050000693A KR 1020030041176 A KR1020030041176 A KR 1020030041176A KR 20030041176 A KR20030041176 A KR 20030041176A KR 20050000693 A KR20050000693 A KR 20050000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parts
external preparation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선주
Original Assignee
(주)한국스티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스티펠 filed Critical (주)한국스티펠
Priority to KR102003004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0693A/ko
Publication of KR2005000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6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프레드니카르베이트(prednicarbate) 0.1∼1.0 중량부, 젖산(lactic acid) 1∼10 중량부 및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sodium pyrrolidone carboxylate, NaPCA) 1∼6 중량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피부 수분 증가율이 뛰어나 피부 보습 효과가 높아 피부의 건조를 개선하는 효능이 뛰어나고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 이를 함유하는 로션, 크림 등을 제조함으로써 접촉 피부염, 습진, 아토피 피부염, 어린선, 건선, 건피증, 급만성 습진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TOPICAL MEDICINE}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이 있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프레드니카르베이트(prednicarbate) 0.1∼1.0 중량부, 젖산(lactic acid) 1∼10 중량부 및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sodium pyrrolidone carboxylate, NaPCA) 1∼6 중량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항염증 효능이 있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건조는 겨울철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피부에 수분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약10% 이하)를 말한다. 건조 피부와 관련되는 질환으로 아토피 피부염, 어린선, 건피증, 만성 습진이 있으며, 전신 질환으로 만성 신부전증, 당뇨병 환자들에게서 건조 피부가 호발하고, 그 외에 림프종, 간질환, 갑상선 질환, 중추 신경경색증과도 연관되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건조 피부가 형성되면 피부 표면의 방어 기능이 소실되고 외부로부터의 자극 물질이나 항원의 투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침입물에대하여 피부가 거부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피부의 거부 반응은 각질층 성분의 대다수를 구성하는 케라티노사이트(kerationocyte)라는 각화 세포가 랑게르한스(Langerhans),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등의 세포를 활성화시키게 되고, 이들 세포가 생성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에 의해 염증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사이토카인은 염증 세포를 자극하여 모으는 작용을 하고, 특히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를 자극시켜 피부의 상층을 중심으로 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습진 반응을 형성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피부의 건조를 일으키는 주 요인은 피부에 있는 각질층의 손상에 기인한다. 피부에 있는 각질 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는 기저 세포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하는 특징적인 세포서,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 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 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각질 세포는 천연 보습 인자와 세포간 지방질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습제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또한, 피부가 건조해질 경우, 홍반, 부종, 가려움 등의 피부 자극 및 염증이 유발된다. 이러한 스트레스원에 의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 만 아니라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의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접촉 피부염이란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습진이라고 좁게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 피부염의 임상 양상은 습진 이외에도 괴사 병변, 여드름성 병변, 두드러기성 병변, 다형 홍반, 색소 침착, 육아종성 병변등이 나타날 수 있다. 원발성 자극 피부염을 일으키는 데는 물질의 종류가 가장 중요하지만 이들이 피부에 침투하기 위하여는 여러 요인이 관여한다. 즉, 각질층의 상태, 푸부 부위, 나이, 환경요인(온도, 습도), 등이 중요하고 일부 물질에 있어서는 모낭을 통한 침투도 중요한 관여 요소가 된다. 특히 습도의 역활은 특히 강조되어 왔는데 습도가 35∼40% 이하로 떨어질 경우 각질층이 건조해져 세제 등 자극 물질에 대한 투과도 증가로 병변 발생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다. 작업장의 습도가 낮게 유지되는 반도체 생산업체 종사자들의 피부는 자극 물질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어 왔다. 자극성 접촉 피부염의 첫 증상은 소양증이며, 이후 경미한 홍반, 인설,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과거력이 있거나 현태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경우 이들 자극 물질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어 있다.
종래 피부 건조와 관련된 접촉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어린선, 건선, 건피증, 급만성 습진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제로서 스테로이드 제제가 있다.스테로이드 제제는 소염 작용과 면역 억제 작용이 있으며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나 장기간 바르면 피부가 위축될 수 있으며, 피부 색소가 적어지고 세균이 감염되기 쉬우며, 피부가 엷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적절한 효능을 가지고 있고 장기간 사용될 수 있는 스테로이드가 프레드니카르베이트이다. 그러나 프레드니카르베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로서 피부 보습 효과 및 항염증 효과에 있어서 최적의 효능을 발휘하는 피부 외용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건조 및 이로 인한 염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나며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도록 조합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1∼1.0 중량부, 젖산 1∼10 중량부 및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 1∼6 중량부로 이루어진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2∼0.3 중량부, 젖산 1∼6 중량부 및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 2∼6 중량부로 이루어진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레드니카르베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물질로서, 접촉 피부염, 습진, 아토피 피부염, 어린선, 건선, 건피증, 급만성 습진에 대하여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프레드니카르베이트는 동일한 작용을 가지고 있고, 종래 사용되어 오던 스테로이드계 화합물인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효능이 뛰어나다.
젖산과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은 통상적으로 약제 제조시에 습윤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젖산과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은 프레드니카르베이트와 함께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항염증 효능을 제공하고, 제형을 용이하게 하는데 필수적인 성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1∼1.0 중량부를 사용할 경우, 젖산 1 중량부 이하 및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 0.1 중량부 이하를 사용하면 피부 보습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젖산 10 중량부 이상 및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 10 중량부 이상을 사용하면 피부 보습 보습 효과는 뛰어나지만 프레드니카르베이트와의 약제학적인 조합이 용이하지 못하여 제형화에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피부 건조와 관련되는 접촉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어린선, 건선, 건피증, 급만성 습진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나고, 항염증 효능이 뛰어나 상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 효과 및 항염증 효능을 제공하는 피부 외용제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드니카르베이트, 젖산 및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용액상(디-피롤리딘카르본산 나트륨액, 젖산, 카르보머 940, 수산화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methyl 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propyl paraben) 및 유기 용액상(스테아릴알코올 및 세테아레스 20(Promulgen G),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 100 스테아레이트, 세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경질 유동 파라핀, 젖산 미리스틸)을 각각 75℃에서 가열하였다. 가열한 상기 수용액상과 유기용액상을 혼합하고, 75℃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에멀젼 형태로 만들었다. 35℃에서 상기 에멀젼에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25 g을 첨가하였다. 적량의 무수 에탄올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로오션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의 조성
성분명 함량(g)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25
디-피롤리돈카르본산 나트륨액 2.60
젖산 5.01
카르보머 940 0.50
스테아릴알코올 및세테아레스 20 2.16
글리세릴 아테아레이트 및 피이지 100 스테아레이트 1.42
세틸 알코올 0.59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3.92
경질 유동 파라핀 9.52
젖산 미리스틸 0.80
수산화나트륨 적량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6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4
정제수 적량
<실시예 2>
하기 표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용액상(디-피롤리딘카르본산 나트륨액, 젖산, 카르보머 940, 수산화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methyl 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propyl paraben) 및 유기 용액상(스테아릴알코올 및 세테아레스 20(Promulgen G),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피이지 1000 모노 스테아레이트, 세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경질 유동 파라핀, 백색 소프트 파라핀, 젖산 미리스틸,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롤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각각 75℃에서 가열하였다. 가열한 상기 수용액상과 유기용액상을 혼합하고, 75℃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에멀젼 형태로 만들었다. 35℃에서 상기 에멀젼에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25 g을 첨가하였다. 적량의 무수 에탄올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의 조성
성분명 함량(g)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25
디-피롤리돈카르본산 나트륨액 2.60
젖산 5.01
카르보머 940 0.50
스테아릴알코올 및 세테아레스 20 2.16
글리세릴 아테아레이트 및 피이지 1000 모노스테아레이트 2.5
세틸 알코올 0.59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7.5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3.92
경질 유동 파라핀 6
백색 소프트 파라핀 15
젖산 미리스틸 0.80
수산화나트륨 적량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6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4
글리세롤 4
폴리비닐피롤리돈 1
정제수 적량
<비교 실시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용액상 81.34% 및 유기용액상 18.41%,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25%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피부 외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용액상 78.34% 및 유기용액상 21.41%,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2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피부 외용제로 로오션을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용액상 78.14% 및 유기 용액상 21.61%,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2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피부 외용제로 로오션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의 피부 수분 보유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대한 피부 수분 보유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부 보습력 효과는 20∼30 대 200 명을 대상으로 4 개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각 조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피부 외용제와 비교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제제를 주고, 매일 2 회 1 개월 동안 얼굴 및 전박부 부위에 도포하게 하면서 도포 시작 전 항온 및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코이노미터(corneometer CM 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사,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보유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0∼30 대 연령의 피시험자에게 30분 이상 항온항습실에서 휴식을 취하게 한 후, 상기 코이노미터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의 도포전 측정 평균값으로 기재하였다.
그런 후, 각질층의 수분 증발량이 많은 상태를 만들기 위해 SDS를 처리한 후 1 시간 경과 후 상기 코이노미터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의 SDS 처리 후 측정 평균값으로 기재하였다.
다시 팔하박부 안쪽에 4 x 4cm2의 구획을 설정한 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피부 외용제와 비교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제제를 각각 2㎍/cm2의 두께로 도포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코이노미터를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의 경과한 시간에 따라 도포 후 측정 평균값으로 기재하였다.
또한, 무처리군으로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피부 외용제 또는 비교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피부 외용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시료 도포전 측정 평균값 SDS 처리 후 측정 평균값 도포 후 측정 평균값
1 시간 후 1일 후 2일 후 4일 후 6일 후
실시예 1 9.18 15.81 14.56 12.54 11.96 11.43 10.56
실시예 2 9.17 15.82 14.50 12.55 12.00 11.44 10.8
비교 실시예 1 8.95 15.68 15.01 13.53 13.29 12.54 12.27
비교 실시예 2 8.99 15.54 14.87 13.37 13.12 13.01 12.73
비교 실시예 3 8.98 15.55 14.88 13.36 13.12 13.00 12.74
무처리군 9.07 15.73 15.68 14.97 14.61 14.23 13.89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대한 피부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분 수분 보유능은 20∼30 대 200 명을 대상으로 4 개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20∼30 대 200명의 피시험자 성인 남녀에게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된 임상인 각질층의 수분증발량이 많은 상태를 만들기 위해 SDS 5% 로 처리한 후 30분 이상 항온 및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휴식을 취하고, 각질층 수분 증발량 측정장치(Tewameter, Courage + Khazaka electronics Gambh사, Germany)를 이용하여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의 도포전 측정 평균값에 기재하였다.
다시 팔하박부 안쪽에 4 x 4cm2의 구획을 설정한 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피부 외용제와 비교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제제를 각각 2㎍/cm2의 두께로 도포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각질층 수분 증발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의 경과한 시간에 따라 도포 후측정 평균값으로 기재하였다.
또한, 자구적인 회복력에 대한 비교를 위해 SDS를 처리한 후, 시료를 적용치 않은 무처리군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시료 도포전 측정 평균값 도포 후 측정 평균값
30분 1 일 2 일 4 일 6 일
실시예 1 70 86 84 80 79 76
실시예 2 71 86 85 81 80 77
비교실시예 1 69 77 71 70 68 65
비교실시예 2 71 80 78 75 74 73
비교실시예 3 69 77 72 70 67 64
무처리군 70 72 71 70 68 67
상기 표 3 및 표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으로 제조한 피부 외용제의 경우 피부 보습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의 항염증 효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의 항염증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카라기난 발 부종법(Carrageenan foot edema)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SD 계 생쥐의 뒷발에 선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제제를 30mg/kg 용량으로 복강 투여하였다. 상기 SD계 생쥐의 뒷발을 물이 든 수조에 넣고 증가된 물의 높이(H1)를 구함으로써 생쥐의 발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1 시간 경과 후, 0.1% 카리기난 용액 0.5㎖를 생쥐의 뒷발바닥에 주입하여 염증을 유발하였다.
카리기난을 투여하고 4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증가된 물의 높이(H2)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V 처리군(H2-H1)을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제제 대신에 비교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제제를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V 처리군을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제제를 투여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V 대조군을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V 처리군과 △V 대조군을 이용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시료 농도 억제율(%)
실시예 1 30mg/kg 34 ±7
실시예 2 30mg/kg 32 ±7
비교 실시예 1 30mg/kg 56 ±7
비교 실시예 2 30mg/kg 67 ±7
비교 실시예 3 30mg/kg 60 ±7
상기 표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으로 된 피부 외용제의 경우 항염증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피부 수분 보유능이 뛰어나 피부의 건조를 개선하는 효능이 뛰어나고,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 접촉 피부염, 습진, 아토피 피부염, 어린선, 건선, 건피증, 급만성 습진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1∼1.0 중량부, 젖산 1∼10 중량부 및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 1∼6 중량부로 이루어진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가 프레드니카르베이트 0.2∼0.3 중량부, 젖산 1∼6 중량부 및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액 2∼6 중량부로 이루어진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가 접촉 피부염, 습진, 아토피 피부염, 어린선, 건선, 건피증 또는 급만성 습진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향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피부 외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로션.
  5.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피부 외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크림.
KR1020030041176A 2003-06-24 2003-06-24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 KR20050000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176A KR20050000693A (ko) 2003-06-24 2003-06-24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176A KR20050000693A (ko) 2003-06-24 2003-06-24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693A true KR20050000693A (ko) 2005-01-06

Family

ID=3721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176A KR20050000693A (ko) 2003-06-24 2003-06-24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06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1009C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use
PT101092A (pt) Processo decontrolo das rugas e/ou da atrofia da pele com a utilizacao do acido salicilico
CA2212127A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skin irritation
JP2011500597A (ja) 皮膚病又は皮膚病変の治療方法及び組成物
EP3677265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leep disorders
WO2012002730A2 (ko)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JP2010520232A (ja) 玄参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組成物及びその皮膚保湿化粧料としての用途
KR20210107560A (ko) 콜히친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소양증 치료용 조성물
KR101477959B1 (ko)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US3663716A (en) Method of treating acne with benzyl alcohol
US11878008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JP2572730B2 (ja) 皮膚化粧料
EP0436010A1 (en) Skin composition to repair the efffects of photoaging
GB1567496A (en) Anti-inflammatory topical compositions
JPS6360910A (ja) 皮膚外用剤
JPS63203625A (ja) 5α−リダクタ−ゼ阻害剤
KR20050000693A (ko)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 피부 외용제
US7514070B2 (en) Method for exfoliating skin
JPH11302167A (ja) ウフェナマート外用剤
WO2016060298A1 (ko)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73714B1 (ko) 각화막 형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4102B1 (ko) 백자인 추출물 함유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EP1240895B1 (en) Use of alkyl 3-(N-alkylacetamino)propionate derivatives as moisturizing agents
JPH08165244A (ja) 皮膚疾患治療剤
JPH05221834A (ja) 白髪の防止及び白髪黒色化用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