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116A - 방역 장치 프레임 및 그러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 - Google Patents

방역 장치 프레임 및 그러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116A
KR20050000116A KR1020030040695A KR20030040695A KR20050000116A KR 20050000116 A KR20050000116 A KR 20050000116A KR 1020030040695 A KR1020030040695 A KR 1020030040695A KR 20030040695 A KR20030040695 A KR 20030040695A KR 20050000116 A KR20050000116 A KR 20050000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radle
frame
stock solu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치도
이길희
Original Assignee
박치도
이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치도, 이길희 filed Critical 박치도
Priority to KR102003004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0116A/ko
Publication of KR2005000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6Spillways; Devices for dissipation of energy, e.g. for reducing eddies also for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역 장치의 프레임은, (1) 약제 분사 수단이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거치대와, (2) 상기 거치대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유지 부재와, (3) 상기 거치대와 상기 유지 부재가 서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절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거치대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그러한 유지 부재와 거치대가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다. 그리고 유지 부재가 거치대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앵커 볼트 등을 사용하여 지면에 고정하던 종래의 프레임에 비해서 설치가 훨씬 용이해지고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유지 부재 위에 무게를 가지는 소정의 중량재 예를 들어 모래 주머니 등을 놓아둠으로써 더욱더 거치대의 자세 유지를 효율적으로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방역 장치 프레임 및 그러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Disinfection Apparatus Frame and Disinf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역 장치 프레임 및 그러한 프레임을 구비하는 방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지지대에 거치하여 소독 약품을 차량을 향해 분사함으로써 차량을 소독할 수 있는 방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느 지역이 전염병 등으로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그 지역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모든 사람이나 차량은 소독하여야 한다. 보통 사람은 방역복을 착용하거나 간단한 분사식 소독 장치로 소독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차량은 그러한 방식으로 소독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차량의 양측면에 지지대를 세워 그 지지대에 거치된 분사 수단에 의해 소독약을 차량으로 분사하여 차량을 소독하게된다.
종래의 지지대는 땅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앵커 볼트 구조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앵커 볼트 구조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바닥을 뚫어야 했기 때문에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많은 장비를 필요로 하였으며, 도로 파손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방역 장치의 지지대에 거치되어 소독약을 분사하는 분사 수단이 지지대와 지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거치되고 소독약이 역류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소독약 분사 작업을 종료한 후에도 분사 수단으로부터 소독약이 유출되어 버려 소독약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야기되었었다.
그리고 소독약을 공급하는 펌프의 구조는 동파 방지를 할 수 없는 구조여서 겨울철에 사용하는 경우 탱크와 밸브 등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여 소독약을 이송해 주는 이송 라인은 일체형 "ㄷ"자형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이동 내지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고, 동파 방지에도 적합하지 않은 구조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차량 방역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고, 소독약 분사를 종료한 후에 소독약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 방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동파 방지가 가능하고 분해 및 설치가 용이한 이송 라인 즉 차량 방역 장치의 양측 지지대의 분사 수단을 연결하는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독약제와 물을 혼합하고 공급하는 펌프의 신규한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펌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역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역 장치의 거치대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의 절첩부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역 장치의 거치대가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의 절첩부의 부분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 부재의 모식도이고, 도 4b는 보호 부재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역 장치 프레임의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체크 밸브 및 체크 박스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펌프 흡입 수단의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e는 펌프 하우징의 사시도 및 절첩 순서도.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호 부재의 평면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보호 부재가 권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c는 도 9a 및 도 9c에 도시된 보호 부재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관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역 장치에 사용되는 소독 객체 접근 감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방역 장치 2a, 2b: 프레임
10: 거치대 20: 분사대
30: 유지 부재 40: 절첩부
50: 펌프 수단 60: 모래주머니
70: 경고 수단 100: 와이어 로프
150: 보호 부재 200: 전선
250: 호스 300: 체크 박스
350: 체크 밸브 700: 흡입 수단
800: 펌프 하우징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방역 장치의 프레임은, (1) 약제 분사 수단이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거치대와, (2) 상기 거치대가 세워진 상태로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유지 부재와, (3) 상기 거치대와 상기 유지 부재가 서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절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을 구비하는 방역 장치는 거치대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그러한 유지 부재와 거치대가 서로에 대해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다. 즉 방역을 위해 설치할 때에는 거치대를 세우고 운반이나 보관을 할 때에는 거치대를 접으면 된다.
그리고 유지 부재가 거치대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앵커 볼트 등을 사용하여 지면에 고정하던 종래의 프레임에 비해서 설치가 훨씬 용이해지고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유지 부재 위에 무게를 가지는 소정의 중량재 예를 들어 모래 주머니 등을 놓아둠으로써 더욱더 거치대의 자세 유지를 효율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한 방역 장치의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안내 슬롯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안내 슬롯을 따라 안내되도록 배치되는 봉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측판을 관통하며 상기 거치대를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와 상기 봉 부재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프레임에 의하면, 거치대가 유지 부재에 대해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거치대를 세우기만 하면 거치대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고, 접을 때에는 봉 부재를 눌러서 봉 부재를 슬롯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켜 거치대를 접으면 되므로 거치대의 절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한데, 이 방역 장치는 (1) 약제 분사 수단이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거치대와 상기 유지 부재가 서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절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2)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분사 수단과, (3) 약제를 공급하는 펌프 수단과, (4) 상기 펌프 수단과 분사 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분사 수단으로 약제를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이 방역 장치는 전술한 방역 장치 프레임을 구비하므로 전술한 효과가 역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방역 장치는, 상기 프레임이 서로에 대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이며,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프레임의 거치대에 거치되는 분사 수단으로 약제를 이송하는 추가 이송 수단과, 추가이송 수단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역 장치에 의하면 양쪽에서 약품을 분사하여 소독함으로써 소독 효과를 고양시킬 수 있고, 하나의 펌프 수단을 사용하여 양쪽의 프레임에 제공되는 분사 수단으로 약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방역 장치는 상기 추가 이송 수단에 발열 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발열 수단이 제공되면 겨울철에 이송 수단 예를 들어 파이프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방역 장치는, 상기 보호 부재를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파이프 부재는 서로에 대해 나사 결합하여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보호 부재를 복수 개의 파이프 편이 연결되어 권취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 부재를 채용하면, 보호 부재를 권취하여 그 부피를 감소시켜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하고, 보관도 용이한 이점이 제공된다.
종래에는 보호 부재를 "ㄷ"자형 채널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차량이 지나갈 때 파손될 우려가 높았고, 장대한 길이로 인해 운반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보호 부재에 의하면 보호 부재가 여러 개의 부품으로 분할되고, 이들 각각이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는 와이어 로프가 통과하는 링부를 포함하며, 이 와이어 로프에는 장력 조절 수단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호 부재를 더욱 견고하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 수단은 보온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겨울철에 펌프가 동파되어 방역 장치를 가동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역 장치는, 상기 펌프 수단이 내장되는 절첩 가능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하우징을 구비하면 펌프가 겨울철에 동파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절첩 가능하므로 이동이나 보관에 매우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역 장치는 약품 원액과 희석 용매를 혼합하여 펌프로 공급하는 신규한 흡입 수단도 개시하는데, 이 흡입 수단은, 희석 용매가 흡입되는 희석 용매 흡입관과, 희석 용매가 흡입될 때 사이폰 효과에 의해 약품 원액이 흡입되도록 되어 있는 약품 원액 흡입관과, 약품 원액 흡입관에 제공되는 약품 원액 흡입량 조절 밸브와, 약품 원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와, 체크 밸브와 펌프의 사이에 제공되는 출수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약품과 희석 용매를 섞은 후 이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구조에 비해서 탱크의 크기를 저감시킬 수 있고, 약품 원액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약제의 농도 조절도 가능하다.
그리고 약품 원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도 구비하므로, 펌프 작동 종료 후 희석 용매와 약품 원액이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거치대에 제공되는 반사 시트 또는 경광등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야간에 방역 장치로 접근하는 방역 대상체에게 방역 장치의 존재를 경고하고 방역에 대비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수단은 이중관 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중관 구조를 채택하면 이송 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약제의 이송 속도를 높여서 보다 빨리 방역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 이중관 구조의 이송 수단에 발열 수단을 제공하여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역 장치는, 펌프 수단으로 약제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 역류가 방지되어 펌프 작동이 종료한 후에 분사대로부터 약제가 누수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약제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역 장치는, 양 단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진동 부재와, 상기 진동 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시키는 이격 부재와, 상기 진동 부재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펌프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포함하는 소독 객체 접근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독 객체 접근 감지 장치에 의하면, 이격 부재에 의해 진동 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진동 부재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광센서를 사용하는 접근 감지 장치에 비해 오동작의 발생 빈도를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고 설치 비용도 저렴하게 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역 장치는, 상기 보호 부재를 복수 개의 파이프편이 연결되어 권취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 부재를 채용하면, 보호 부재를 권취하여 그 부피를 감소시켜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키거나 보관할 수있게 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방역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역 장치(1)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2a, 2b)과, 펌프 수단(50)을 포함한다. 각각의 프레임(2a, 2b)은 거치대(10)와, 거치대(10)에 거치되는 약제 분사대(20)과, 거치대(10)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30)와, 거치대(10)와 유지 부재(30)를 절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절첩부(40)를 포함한다. 유지 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모양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거치대(10)가 세워졌을 때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어도 관계없다. 다만, 거치대(10)의 상태를 보다 더 확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유지 부재(30) 위에 어느 정도 무게를 가지는 요소인 중량재 예를 들어, 모래 주머니(60) 등을 놓아 유지 효과를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역 장치(1)에는 경고 수단이 제공되는데 도 1에는 경광등(70)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야간에 방역 장치(1)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해서 방역 장치(1)가 설치되어 있음을 경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경광등(70) 이외에 거치대(10)에 반사판 등을 부착하여 야간에 경고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경광등(70)은 자석식으로 프레임(2a, 2b)에 부착할 수도 있고, 나사로 결합하여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펌프 수단(50)으로부터 약제 분사대(20)까지는 약제가 이송되는 이송 호스(55)가 제공되는데, 프레임(2a, 2b) 사이에는 이송 호스(55)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 부재(150)가 제공된다. 이 보호 부재(150)의 내측에 이송 호스(55)가 삽입된다. 펌프 수단(50)은 차량의 진행 방향의 상류측에 배설되어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방역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면 이 신호를 받아 작동되고,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면 작동을 멈추도록 구성된다.
도 4a에는 펌프 수단(50)으로부터 더 이격되어 있는 프레임(2a)측으로 약제를 이송하는 이송 호스(55)와 보호 부재(150)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에는 도 1의 선A-A를 따라 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호 부재(150)의 내부에는 내부관(53)이 지나간다. 내부관(53) 내측에는 겨울철에 보호 부재(150) 등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발열 수단(57)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호 부재(150)에는 링부(170)를 부착하여 와이어 로프(100)가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링부(170)는 보호 부재(15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고, 별체로 형성된 후 보호 부재(150)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와이어 로프(100)의 단부들은 한 쌍의 앵커(110)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지만, 앵커(110) 사이에는 와이어 로프(1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수단(400)이 제공되어 와이어 로프(1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호 부재(150)를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나사 결합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나사 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부품으로 보호 부재(150)를 구성하면 운반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고, 파손의 우려도 훨씬 저감된다. 보호 부재(150)는 두께가 대략 2 mm인 스테인레스스틸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절첩부(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거치대(10)가 세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거치대(10)가 접혀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절첩부(40)는 서로 대향하며 각각 슬롯(42)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측판(47a, 47b)과, 측판(47a, 47b)을 연결하는 밑판(49)과, 측판(47a, 47b)을 관통하는 핀 부재(41)와, 상기 슬롯(42)을 따라 안내되도록 배치되는 봉 부재(45)와, 상기 핀 부재(41)과 봉 부재(45)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43)를 포함한다.
슬롯(42)은 측판(47a, 47b)의 후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부재(43)는 측판(47a, 47b)의 어느 한쪽에만 제공될 수도 있고, 측판(47a, 47b)의 양쪽에 모두 제공될 수도 있다. 밑판(49)은 유지 부재(30)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봉 부재(45)를 아래로 밀면 봉 부재(45)는 슬롯(42)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거치대(10)가 절첩 가능한 상태로 되는데, 이 상태에서 거치대(10)를 접으면 된다. 거치대(10)가 접히면 도 3에 도시된 상태가 되는데 거치대(10)를 접은 후에 봉 부재(45)를 놓으면 봉 부재(45)는 탄성 부재(43)의 복원력에 의해 슬롯(42)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도3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거치대(10)를 세우기 위해서는 거치대(10)를 세우기만 하면 된다. 거치대(10)를 세우면 봉 부재(45)는 슬롯(42)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봉 부재(45)가 아래쪽으로 슬롯(42)을 따라 이동하다가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거치대(10)가 세워지면 봉 부재(45)는 탄성 부재(43)의 복원력에 의해서 슬롯(42)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해서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절첩부(40)를 제공하면, 프레임(2a, 2b)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훨씬 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매우 편리하고, 유지 수단(30)을 거치대(10)와 훨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곳에나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방역 장치의 활용도가 높아진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의 보다 상세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중 왼쪽에 있는 것의 사시도인데, 이것은 펌프 수단(50)으로부터 약제를 이송 호스(55)에 의해 이송받아 이를 각각의 분사대(20)로 보내어 약제를 분사하게 한다. 도 5에는 세 개의 분사대(20)이 거치되어 있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분사대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결정되며 본 발명의 본질적 요소가 아니다.
도 6에는 이송 호스(55)로부터 각각의 분사대(20)로 약제를 분배하는 분배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5에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송 호스(55)는 체크 밸브 박스(300)에 연결되고, 체크 밸브 박스(300)는 분사대(20)의 개수에 상응하는 연결구를 구비하고 이 각각의 연결구에 체크 밸브(350)가 체결된다. 체크 밸브(350)에는 각각의 분사대(20)로 연장하는 호스(250)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호스(250)의 타단부는 각각 분사대(20)의 유입구에 연결된다. 체크 밸브(350)는 분사대(20)로의 약제 이동만 허용하고 펌프 수단(50)측으로의 역류는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약제 이송 호스(55)에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350)을 제공하면, 분사대(20)측으로 공급된 약제가 분사를 종료한 후에도 역류하지 않기 때문에 분사 종료 후에 분사대(20)로부터 약제가 새지 않게 되므로, 약제의 절약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분사대(20)을 지면에 대해 대략 평행하도록 거치대(10)에 거치함으로써 분사 종료 후에 약제가 중력에 의해 약제가 누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품 원액과 희석 수단 예를 들어 물을 혼합하여 공급하는 펌프 흡입부의 신규한 구성이 제공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신규한 흡입 수단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흡입 수단(700)은 케이스(750)와, 약품 원액 흡입관(705)과, 약품 원액 흡입량 조절 수단(710)과, 체크 밸브(720)와, 희석 용매 흡입관(740)과, 커플링 수단(730)과, 출수관(760)을 포함한다.
약품 원액 흡입량 조절 수단(710)은 소형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품 원액이 흡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크 밸브(720)는 약품 원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펌프 작동종료 후 희석 용매와 약품 원액이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출수관(760)은 펌프의 흡입관측에 체결된다.
이러한 흡입 수단의 구성에 의하면, 펌프 수단(50)이 가동되어 물이 흡입될 때에 약제가 함께 유입되어 이송 수단으로 이송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희석 용매와 약품 원액을 미리 혼합하여 탱크에 저장하고 이를 흡입하는 종래의 흡입 수단과 달리 대형의 탱크가 필요치 않으면서도 지속적으로 약품 원액과 희석 용매를 혼합하여 분사대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펌프를 내장시켜 겨울철에 펌프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신규한 펌프 하우징도 제안한다.
도 8a 내지 도 8e에는 펌프 수단(50)의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800)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800)의 하면 부분은 개방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이중 경첩을 사용하여 하우징(800)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팩트하게 접힐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800)은 상면(810)과, 전면(830)과, 측면(850) 그리고 후면(870)을 포함한다. 후면(870)은 전면(830)에 대향하도록, 상면(810)과 측면(850)에 연결되어 있다.
상면(810)은 좌상면(810a)과 우상면(810b)로 구성되어 있는데, 좌상면(810a)은 좌측면(850a)와, 우상면(810b)은 우측면(850b)와 이중 경첩(890)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면(810)은 일종의 덮개 역할을 한다.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각면의 모서리 부분의 이중 경첩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전면(830)은 좌전면(830a)과 우전면(830b)로 구성되어 있는데, 좌전면(830a)과 우전면(830b)는 이중 경첩(820)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중 경첩(820)은 좌전면(830a)과 우전면(830b)이 외측으로 절첩되도록 배치된다.
좌측면(850a)과 우측면(850b)는 상면(810) 및 전면(830)과는 달리, 두 부분으로 되어 있지 않고 하나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에는 펌프를 하우징(800) 내부에 넣기 위해서 상면(810)을 개방할 때 좌상면(810)을 개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c에는 하우징(800)을 운반이나 보관을 위한 절첩을 시행함에 있어 좌상면(810a)과 우상면(810)을 모두 개방했을 때, 하우징(800)의 하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측면(850a)과 우측면(850b)은 각각 인접하는 전면(830)과 후면(870)의 구성 요소와 내측으로 절첩되는 이중 경첩(840)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8c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면(830)과 후면(870)을 접으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경첩(840)을 중심으로 절첩되기 시작한다. 계속 절첩하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00)이 컴팩트한 작은 크기로 된다. 이러한 하우징(800)은 소정의 운반 수단 예를 들어 작은 가방 등에 수납하면 되므로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하우징(800)의 내부에 보온재(도시되지 않음) 등을 제공함으로써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을 더욱더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거치대(10) 위에 추가적인 거치대를 체결함으로써 높이가 높은 트럭 등도 용이하게 소독할 수 있는 방역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호 부재의 일례가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에 의한 보호 부재(900)는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분사대(2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관 구조로 하여 분사 속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외측관(20)과 내측관(27) 사이에서 약제가 이동하여 분사되므로 외측관 한 개만을 사용할 때보다 분사 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한 소독 객체 접근 감지 수단도 제공되는데, 이러한 접근 감지 수단의 일례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감지 수단은 양 단부가 고정되는 와이어 로프(1110)와, 와이어 로프(111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시켜주는 이격 부재(1200)와,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1300)와, 와이어 로프 장력 조절 수단(1400)과, 센서(1300)와 펌프 수단(50)을 연결하는 선(1500)을 포함한다.
소독 객체가 지나가면서 와이어 로프(1110)를 밟으면 센서(1300)가 이로 인한 진동을 감지하고 선(1500)을 통해 감지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펌프 수단(50)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한다. 이격 부재(1200)가 와이어 로프(1110)를 지면으로 이격시킴으로 인해 오작동을 방지하고, 센서(1300)가 확실하게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 본 발명이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수정 내지 변경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섭된다는 점이 명백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거치대와 유지 부재가 절첩부에 의해 결합되며, 유지 부재가 거치대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역 장치의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해지며 그 설치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어느 곳이나 편리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앵커 볼트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구성이 아니므로 설치에 별도의 공구나 장비가 필요한 것도 아니다.
그리고 보호 부재를 분해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역시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제공하며, 보호 부재를 와이어 로프와 장력 조절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간편하고 견고하게 보호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수단과 분사 수단 사이에 약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분사 종료시에 약제가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이송 수단을 이중관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약제 이송 속도를 높여 방역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펌프 흡입 방식을 사이폰 인젝터를 사용해서 물을 흡입하면서 약제를 함께 흡입하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탱크의 크기를 저감시켜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방역 장치의 프레임에 있어서,
    (1) 약제 분사 수단이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거치대와,
    (2) 상기 거치대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유지 부재와,
    (3) 상기 거치대와 상기 유지 부재가 서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절첩부를 포함하는, 방역 장치의 프레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안내 슬롯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안내 슬롯을 따라 안내되도록 배치되는 봉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측판을 관통하며 상기 거치대를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와 상기 봉 부재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방역 장치의 프레임.
  3. (1) 약제 분사 수단이 거치되도록 되어 있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를 지면에 대해 유지 가능하도록 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거치대와 상기 유지 부재가 서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절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2)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분사 수단과,
    (3) 약제를 공급하는 펌프 수단과,
    (4) 상기 펌프 수단과 분사 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분사 수단으로 약제를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에 대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이며,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프레임의 거치대에 거치되는 분사 수단으로 약제를 이송하는 추가 이송 수단과, 추가 이송 수단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방역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이송 수단에는 발열 수단이 제공되는, 방역 장치.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파이프 부재는 서로에 대해 나사 결합하여 연결되는, 방역 장치.
  7.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와이어 로프가 통과하는 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
  8.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수단은 펌프가 내장되는 절첩 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
  9.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수단은, 희석 용매가 흡입되는 희석 용매 흡입관과, 희석 용매가 흡입될 때 사이폰 효과에 의해 약품 원액이 흡입되도록 되어 있는 약품 원액 흡입관과, 약품 원액 흡입관에 제공되는 약품 원액 흡입량 조절 밸브와, 약품 원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와, 체크 밸브와 펌프의 사이에 제공되는 출수관을 더 포함하는, 방역 장치.
  10.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반사 시트 또는 경광등을 더 포함하는, 방역 장치.
  11.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는, 안내 슬롯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안내 슬롯을 따라 안내되도록 배치되는 봉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측판을 관통하며 상기 거치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와 상기 봉 부재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방역 장치의 프레임.
  12.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은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고, 발열 수단이 제공되는, 방역 장치의 프레임.
  13.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펌프 수단으로의 약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방역 장치.
  14.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양 단부가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진동 부재와, 상기 진동 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시키는 이격 부재와, 상기 진동 부재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펌프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포함하는 소독 객체 접근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방역 장치.
  15.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복수 개의 파이프편이 연결되어 구성되며, 권취 가능한, 방역 장치.
KR1020030040695A 2003-06-23 2003-06-23 방역 장치 프레임 및 그러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 KR20050000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695A KR20050000116A (ko) 2003-06-23 2003-06-23 방역 장치 프레임 및 그러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695A KR20050000116A (ko) 2003-06-23 2003-06-23 방역 장치 프레임 및 그러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116A true KR20050000116A (ko) 2005-01-03

Family

ID=3721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695A KR20050000116A (ko) 2003-06-23 2003-06-23 방역 장치 프레임 및 그러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01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174A (ko) 2015-08-11 2017-02-21 (주)이지인스트루먼트 자동방역시스템
CN110140706A (zh) * 2019-06-05 2019-08-20 沈阳农业大学 农药田间小区试验精量自动喷雾机
KR102245376B1 (ko) * 2020-09-17 2021-04-28 신기택 출구식 분사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US11470138B2 (en) 2004-04-30 2022-10-11 DISH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ulti-bitrate content stream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0138B2 (en) 2004-04-30 2022-10-11 DISH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ulti-bitrate content streaming
US11677798B2 (en) 2004-04-30 2023-06-13 DISH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ulti-bitrate content streaming
US11991234B2 (en) 2004-04-30 2024-05-21 DISH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ulti-bitrate content streaming
KR20170019174A (ko) 2015-08-11 2017-02-21 (주)이지인스트루먼트 자동방역시스템
CN110140706A (zh) * 2019-06-05 2019-08-20 沈阳农业大学 农药田间小区试验精量自动喷雾机
KR102245376B1 (ko) * 2020-09-17 2021-04-28 신기택 출구식 분사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25666U (zh) 一种多旋翼植保无人机
KR20050000116A (ko) 방역 장치 프레임 및 그러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역 장치
KR20220000279U (ko) 이동식 터널 세정기
KR101762929B1 (ko) 무인 방제기
US5960650A (en) Dyeing machine with cloth conveyer means
CA2848763C (en) Bulkhead assembly for vhp unit with removable diffuser
KR101157641B1 (ko) 고주파를 이용한 연무 소독 장치
CA2894071A1 (en) Remote fueling station with fuel pump enclosure
KR101626557B1 (ko) 약액살포장치
KR20110079395A (ko) 차량의 무동력 자동방역장치
KR20190110325A (ko) 방역 소독장치
US5154499A (en) Medical/surgical fluid delivery device with multi-functional handle
CN112191415A (zh) 一种喷嘴可调式液体喷洒器
KR200451246Y1 (ko) 광역살포기의 차량운반시 고정장치
KR101507351B1 (ko) 웨이퍼 이송용 비히클 청소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청소 시스템
US20220370673A1 (en) Disinfection chambers and tunnels
CN217311264U (zh) 一种船舶防疫消毒装置
KR20110002793U (ko) 약제 분무장치
KR102477668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102534769B1 (ko) 승용형 멀티 방역 장치
KR200453324Y1 (ko) 광역살포기의 송풍구 받침장치
CN213228791U (zh) 一种纺织纱线用助剂运输装置
KR20210112890A (ko) 하수관로를 방역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KR102356064B1 (ko)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CN214564889U (zh) 一种多层隔断式畜禽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