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07Y1 -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 Google Patents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07Y1
KR200497807Y1 KR2020220001900U KR20220001900U KR200497807Y1 KR 200497807 Y1 KR200497807 Y1 KR 200497807Y1 KR 2020220001900 U KR2020220001900 U KR 2020220001900U KR 20220001900 U KR20220001900 U KR 20220001900U KR 200497807 Y1 KR200497807 Y1 KR 200497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finger
hanger
restoration spr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255U (ko
Inventor
남재현
손한수
Original Assignee
다이후쿠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후쿠코리아 (주) filed Critical 다이후쿠코리아 (주)
Priority to KR2020220001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07Y1/ko
Publication of KR20240000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에 적용할 수 있는 멀티 핑거 푸셔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는,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에 설치되어 운반행거에 의하여 운반되는 자동차 부품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 고정하는 푸셔로서, 운반행거의 행거프레임에 행거브라켓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실린더로부터 부터 상방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너트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실린더로부터 부터 하방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외측에 제1복원스프링이 마련되고 하단에는 축이음부가 결합되어 축이음부가 상승하면 함께 상승하여 상기 제1복원스프링이 압축되고 축이음부가 하강하면 함께 하강하여 상기 제1복원스프링이 복원되는 가동축과, 상기 축이음부 하면에 부착되는 원판이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과 스페이서에 의하여 일정간격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판이고, 하부원판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가동축과 축이음부가 상승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된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핑거하부와 상기 상부원판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핑거상부와 상기 핑거하부와 핑거상부 사이에 형성된 턱을 가지며 핑거상부는 외부에 제2복원스프링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원판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핑거하부는 상기 하부원판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하단이 눌리면 상기 턱이 상기 제2복원스프링을 상방으로 압축하는 다수의 핑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MULTIFINGERS PUSHER FOR TRANSPORT HANGER IN AUTOMOTIVE ASSEMBLING LINE}
본 고안은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푸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크기나 형상이 다른 다(多)차종의 부품에 적용할 수 있고 운반행거에 실려 있는 부품이 주행시 상하 및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재 포인트에 정확하게 안착시켜 안착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자동차 생산 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 자동차 부품(이하, 단순히 '부품'이라고 함)을 이송하는 데는 운반행거를 사용한다. 운반행거는 HID(High Efficiency Inductive Power Distribution Technology)라 불리는 무선 급전(給電) 기술을 이용하는 물품 반송차에 매달려 부품을 이송한다. HID 물품 반송차는 공중에 설치된 레일(223)의 일측에 유도선(221)을 설치하고 감속모터(213)에 연결된 대차프레임(215)에 픽업코일(217)을 설치하여 감속모터(213)가 유도전력을 받고 대차프레임(215)과 함께 레일(223)을 주행한다. 감속모터(213)에는 레일(223) 상면에 접하여 주행하는 주행롤러(211)가 마련되고 레일 상하의 주행면에는 대차프레임(215)과 연결된 가이드롤러(219)가 설치된다. 운반행거는 HID 물품 반송차의 대차프레임(215) 하단에 결합되어 대차프레임(215)과 함께 이동하면서 자동차 부품(PT1)을 자동차 조립 라인을 따라 이송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행거는 레일방향 행거프레임(201)과 직교방향 행거프레임(205)을 구비하고, 행거프레임(201,205)에는 힌지(22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행거아암(207)이 설치되며, 행거아암(207)의 선단에는 부품(PT1)을 파지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attachment)(209)가 마련된다. 행거아암(207)은 별도의 행거아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구동한다.
행거아암(207)은 힌지(22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부품을 약간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서 파지한다. 어태치먼트(209)는 이송 중 운반되는 부품이 운반행거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운반행거의 프레임이나 아암에 부품(part)를 고정하거나 잠금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어태치먼트(209)에 의하여 고정되거나 잠금된 부품도 운반행거에 이송 중에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송 중인 부품이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할 경우 이송 후 부품을 이재 포인트에 정확히 안착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운반 행거에는 어태치먼트(209)와 함께, 행거아암(207)이 힌지(22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부품을 약간 상방으로 밀어 올릴 때, 부품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 주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자동차의 부품은 부품의 종류나 차종에 따라 형상이 다양하고 다양한 형태의 굴곡부를 갖는다. 따라서, 부품의 1개 지점만 고정하여서는 부품 이송시 부품이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상하 또는 좌우의 유동이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부품 이송시 유동이 발생할 경우, 부품이 이재 지점에 도착한 후 이재 포인트에 정확히 안착시키기 어려워 안착 불량률이 커지고 생산 속도를 떨어 뜨린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3701호(등록일자 : 2012.07.02)
본 고안은 상술한 HID 물품 반송차의 운반행거에 의한 자동차 생산 라인 부품 이송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운반행거의 아암이 부품을 잡아 약간 상방으로 밀어 파지할때 부품의 다수 지점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적절한 힘으로 눌러 주어, 운반행거에 의한 부품(part)의 이송 중 부품이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부품을 이재 지점에 이송한 후 이재 포인트에 정확히 안착시켜 안착 불량률을 줄이고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부품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이송 중인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제1과제 및 제2과제는,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에 설치되어 운반행거에 의하여 운반되는 자동차 부품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 고정하는 푸셔로서, 운반행거의 행거프레임에 행거브라켓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실린더로부터 부터 상방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너트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실린더로부터 부터 하방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외측에 제1복원스프링이 마련되고 하단에는 축이음부가 결합되어 축이음부가 상승하면 함께 상승하여 상기 제1복원스프링이 압축되고 축이음부가 하강하면 함께 하강하여 상기 제1복원스프링이 복원되는 가동축와, 상기 축이음부 하면에 부착되는 원판이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과 스페이서에 의하여 일정간격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판이고, 하부원판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가동축과 축이음부가 상승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된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핑거하부와 상기 상부원판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핑거상부와 상기 핑거하부와 핑거상부 사이에 형성된 턱을 가지며 핑거상부는 외부에 제2복원스프링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원판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핑거하부는 상기 하부원판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하단이 눌리면 상기 턱이 상기 제2복원스프링을 상방으로 압축하는 다수의 핑거 포함하는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하부원판 하면에는 우레탄, 실리콘 또는 고무 가운데 선택된 재질로 된 탄성패드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을 운반행거의 행거프레임에 설치할 경우, 부품이 행거아암에 의하여 상승할 때 제1복원스프링 및 제2복원스프링에 의하여 부품 상면에 다수의 핑거와 하부원판(또는 탄성패드)의 하방 압력이 작용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부품을 상방에서 고정한다.
또한, 운반행거에 의한 부품(part)의 이송 중 큰 흔들림이나 충격은 제1복원스프링(59)이 흡수하고 작은 흔들림이나 충격은 제2복원스프링이 흡수하므로, 부품이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재 포인트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재 포인트에 정확히 안착시켜 안착 불량률을 줄이고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력이 작은 제2복원스프링에는 직접 접촉에 의하여 부품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압축력이 분산 전달되어 흡수되는 반면, 압축력이 큰 제1복원스프링에는 탄성패드를 통하여 부품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압력이 전달되어 흡수되고, 상방 파지 지점에서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HID 물품 반송차의 운반행거에 의한 부품 운송 방법을 보여주는 자동차 생산 라인의 운반행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가 행거 브라켓에 의해 행거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가 행거 브라켓에 의해 행거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생산 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로부터 부품 접촉부만을 분리하여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품 접촉부의 하부원판을 분리하여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부품 접촉부의 탄성패드를 분리하여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부품 접촉부의 축이음부를 분리하여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부품 접촉부의 하부원판을 분리하여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부품 접촉부의 스페이서를 분리하여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부품 접촉부의 핑거를 분리하여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부품 접촉부의 제2복원스프링을 분리하여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의 가동축에 대한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의 제1복원스프링에 대한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의 실린더에 대한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의 축가이드에 대한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의 베어링 부싱에 대한 평면도와 정면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부품을 충격을 흡수하면서 푸싱(pushing)하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를 HID 물품 반송차의 운반행거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는 HID 물품 반송차의 운반행거의 레일방향 행거프레임(201) 또는 직교방향 행거프레임(205)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운반행거의 레임방향 행거프레임(201)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는, 운반행거의 행거프레임(201,205)에 행거브라켓(203)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실린더(61)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를 행거프레임(201)에 설치하기 위하여, 실린더(61)의 일측에는 볼트공(71)이 형성된 취부판(69)을 부착하고, 행거브라켓(203)과 볼트(b5, b6)을 사용하여 취부판(69)을 레일방향 행거프레임(201)에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실린더(61)의 높이는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는,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에 설치되어 운반행거에 의하여 운반되는 자동차 부품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 고정하지만, 실린더(61)의 높이는 고정된다.
도 1과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핑거 푸셔는, 상기 실린더(61)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실린더(61)로부터 부터 상방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너트(n)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실린더(61)로부터 부터 하방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외측에 제1복원스프링(59)이 마련되고 하단에는 축이음부(15)가 결합되어 축이음부(15)가 상승하면 함께 상승하여 상기 제1복원스프링(59)이 압축되고 축이음부(15)가 하강하면 함께 하강하여 상기 제1복원스프링(59)이 복원되는 가동축(51)을 더 포함한다.
도 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축(1)을 마찰 없이 왕복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61) 내부에는 베어링 부싱(83)을 더 마련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중공부에는 상하단에 스냅링홈(67)을 형성하고, 스냅링홈(67)사이에 베어링 부싱(83)을 마련한 후 스탭링홈에 스냅링(89)을 체결할 수 있다. 도면에는 2개의 베어링 부싱(83)을 마련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상기 베이링 부싱(83)은 오일리스 베어링 부싱일 수 있다.
실리더(61)의 상부로 노출된 가동축(51)의 부분에는 너트(n)를 체결하기 이전에 상부 노출부에는, 하부로부터 완충링(85)과 와셔(y2)와 축가이드(73)와 와셔(y3)를 차례로 더 마련할 수 있다. 이들은 가동축(51)에 고정되어 가동축(51)과 함께 승강한다.
도 12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축(51)은 상단의 나사부(55)와 나사부보다 지름이 큰 중간의 축본체(53)와 하단의 연결부(57)로 구성될 수 있다. 축가이드(73)는 수평부(75)와 수평부(75)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77)로 이뤄지고, 수평부(75)에는 축공(79)이 형성되어 가동축(51)의 나사부(55)에 결합된다.
실린더(61)의 하단에는 제1복원스프링(59)의 실린더 내부로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는 와셔(y1)를 더 부착할 수 있다. 이 와셔(y1)의 내경은 제1복원스프링(59)을 차단하지만, 가동축(51)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이다.
도 13,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축이음부(15)에 상승 압력이 작용하면, 제1복원스프링(59)은 압축되고 가동축(51)과 여기에 고정된 완충링(85), 와셔(y2,y3), 축가이드(51) 및 너트(n)는 상승하면서, 제1복원스프링(59)에 의한 비교적 큰 충격이나 진동의 흡수가 이뤄지고 하방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부품을 안정적으로 눌러준다. 이때, 축가이드(73)는 가동축(51)이 축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전후로 움직이는 피칭(pitching) 및 요잉(yawing)을 막아준다.
도 7 및 도 도 1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이음부(15)는 후술하는 하부원판(1)에 볼트체결되는 플랜지(27)와 가동축(5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슬리브(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축연결부(15)의 슬리브(25)에는 핀공(19)을 형성하고 가동축(51)의 하단 연결부(57)에도 대응하는 핀공을 형성하여 핀결합할 수 있다. 축열결부(15)의 플랜지(27)에는 하부원판(1)과 볼트결합하기 위하여 탭(2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생산 라인 운반행거로부터 멀티 핑거 푸셔의 부품 접촉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부품 접촉부는 상기 가동축(51)과 연결되어, 운반행거에 부품 적재시, 가동축(51)을 상방으로 밀어 부품에 제1복원스프링(59)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게 하고, 이를 통해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면서 부품을 안정적으로 잡아준다.
상기 부품 접촉부는, 상기 축이음부(15)뿐만 아니라, 하부원판(1)과 상부원판(29)과다수의 핑거(41)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 접촉부는 탄성패드(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원판(1)은, 상기 축이음부(15) 하면에 부착되는 원판이고 가장자리를 따라 핑거(41)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3)이 형성된다. 하부원판(1)에는 스페이서(37)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탭(5), 탄성패드(11)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탭(7), 축이음부(15)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탭(9)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원판(29)은, 상기 하부원판(1)과 스페이서(37)에 의하여 일정간격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판이고, 하부원판(15)의 관통공(3)에 대응되는 관통공(33)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가동축(51)과 축이음부(15)가 상승할 수 있는 중공부(31)가 형성된다. 상부원판(29)에는 스페이서(37)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탭(3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핑거(41)는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갯수가 상기 하부원판(1) 및 상부원판(29)에 탄성적으로 상방으로 밀릴 수 있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하부원판(1)의 관통공(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핑거하부(43)와 상기 상부원판(29)의 관통공(3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핑거상부(47)와 상기 핑거하부(43)와 핑거상부(47) 사이에 형성된 턱(45)을 가진다. 상기 핑커(41)의 핑거상부(47)는 외부에 제2복원스프링(49)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원판(29)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핑거하부(43)는 상기 하부원판(1)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핑거(41) 하단이 상방으로 눌리면, 핑거상부(47)는 상부원판(29)의 관통공(33)을 따라 상승하고 핑거하부(43)는 하부원판(1)의 관통공(33)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턱(45)이 상기 제2복원스프링(49)을 상방으로 압축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핑거(41)는 하부원판(1) 및 상부원판(29)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갯수(실시 예에서는 12개)로 설치되어, 다양한 형상의 부품에 적용하더라도 적어도 몇개의 핑거(41)가 항상 부품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작은 충격이나 진동 등은 핑거(41)에 의하여 압축되는 제2복원스프링(49)이 모두 흡수하면서 부품을 눌러줄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을 안정적으로 운반행거의 정위치에 유지하면서 부품을 이송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원판(1) 하면에는 우레탄,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된 탄성패드(1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복원스프링이 수축할 정도의 충격이나 진동은 모두 탄성패드(11)를 통하여 가동축(51)에 전달된다. 따라서, 탄성패드(11)는 부품의 표면에 스크래치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한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의 사용 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아암(207)과 어태치먼트(209)에 의하여 이송할 부품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부품(PT1)이 약간 상승하면, 탄성패드(11)와 핑거(41)들 가운데 적어도 1개 이상은 부품 상면과 접촉하여 상방의 압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제1복원스프링(59) 및 제2복원스프링(49)에 의하여 부품 상면에 다수의 핑거와 하부원판(1) 또는 탄성패드(11)의 하방 압력이 작용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부품을 상방에서 고정하게 되고 이송 과정에서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는 많은 갯수의 핑거(41)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형상이 각각 PT1(도 17), PT2(도 18) 또는 PT3(도 19)와 같이 다른 경우에도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차종 또는 다종류의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반행거에 의한 부품(PT1, PT2, PT3)의 이송 중 큰 흔들림이나 충격은 제1복원스프링(59)이 흡수하고 작은 흔들림이나 충격은 제2복원스프링(49)이 흡수하므로, 부품이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재 포인트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재 포인트에 정확히 안착시켜 안착 불량률을 줄이고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력이 작은 제2복원스프링(49)에는 직접 접촉에 의하여 부품(PT1, PT2, PT3)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압축력이 분산 전달되어 흡수되는 반면, 압축력이 큰 제1복원스프링(59)에는 탄성패드를 통하여 부품(PT1, PT2, PT3)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압력이 전달되어 흡수되고, 상방 파지 지점에서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1 : 하부원판
3 : 관통공
5,7,9 : 탭
11 : 탄성패드
13 : 볼트공
15 : 축이음부
17 : 축공
19 : 핀공
21 : 탭
25 : 슬리브
27 : 플랜지
29 : 상부원판
31 : 중공부
33 : 관통공
35 : 탭
37 : 스페이서
39 : 탭
41 : 핑거
43 : 핑거하부
45 : 턱
47 : 핑거상부
49 : 제2복원스프링
51 : 가동축
53 : 축본체
55 : 나사부
57 : 연결부
59 : 제1복원스프링
61 : 실린더
63 : 실린더 본체
65 : 중공부
67 : 스냅링홈
69 : 취부판
71 : 볼트공
73 : 축가이드
75 : 수평부
77 : 가이드부
79 : 축공
83 : 베어링부싱
85 : 완충링
89 : 스냅링
b1~b6 : 볼트
n : 너트
y1~y3 : 와셔
PT1,PT2,PT3 : 부품

Claims (2)

  1.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에 설치되어 운반행거에 의하여 운반되는 자동차 부품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 고정하는 푸셔로서,
    운반행거의 행거프레임에 행거브라켓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실린더로부터 부터 상방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너트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실린더로부터 부터 하방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외측에 제1복원스프링이 마련되고 하단에는 축이음부가 결합되어 축이음부가 상승하면 함께 상승하여 상기 제1복원스프링이 압축되고 축이음부가 하강하면 함께 하강하여 상기 제1복원스프링이 복원되는 가동축;
    상기 축이음부 하면에 부착되는 원판이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판;
    상기 하부원판과 스페이서에 의하여 일정간격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판이고, 하부원판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가동축과 축이음부가 상승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된 상부원판; 및
    상기 하부원판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핑거하부와 상기 상부원판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핑거상부와 상기 핑거하부와 핑거상부 사이에 형성된 턱을 가지며 핑거상부는 외부에 제2복원스프링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원판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핑거하부는 상기 하부원판의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하단이 눌리면 상기 턱이 상기 제2복원스프링을 상방으로 압축하는 다수의 핑거;를 포함하는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원판 하면에는 우레탄, 실리콘 또는 고무 가운데 선택된 재질로 된 탄성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KR2020220001900U 2022-08-03 2022-08-03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KR200497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900U KR200497807Y1 (ko) 2022-08-03 2022-08-03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900U KR200497807Y1 (ko) 2022-08-03 2022-08-03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255U KR20240000255U (ko) 2024-02-14
KR200497807Y1 true KR200497807Y1 (ko) 2024-03-05

Family

ID=8985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900U KR200497807Y1 (ko) 2022-08-03 2022-08-03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07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623B1 (ko) * 2008-10-16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용 행거 장치
KR101163701B1 (ko) 2010-08-25 2012-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255U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53130B2 (en) Full side bearing bearing-type railway truck bogie
US3211112A (en) Lateral snubbing device
CN103661468A (zh) 转向架及其轴箱悬挂定位装置
CN106184269A (zh) 中央牵引装置、转向架及轨道车辆
KR200497807Y1 (ko)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RU2348556C1 (ru) Амор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KR102017100B1 (ko) 저진동 가이드 결합체가 구비된 오버헤드 호이스트 트랜스포트
CN103241257B (zh) 轨道车辆用抗侧滚扭杆横向弹性定位方法及弹性推力垫
CN103459242B (zh) 车体和动力装置的结合方法以及结合设备
CN114746331B (zh) 车辆的悬架装置的组装方法、组装装置以及混流生产线
KR20100114780A (ko) 철도차량의 대차 연결 장치
CN208812918U (zh) 轿车非独立后悬架
CN105059307A (zh) 铁路货车自调高装置
KR19990071643A (ko) 레일운송차량
CN210133119U (zh) 抗侧滚扭杆上的刚度可调的横向弹性止档
CN213413784U (zh) 一种悬挂装置及转向架
CN205088534U (zh) 偏置式轨道减振器
CN211642161U (zh) 一种用于轨道巡检机器人的悬挂系统
CN208896799U (zh) 一种agv底盘缓冲机构
CN107310589B (zh) 一种轨道车辆转向架及其侧架
CN206708295U (zh) 一种柴油发动机减震装置
CN110371157A (zh) 轨道车辆及其制动组件
CN219154625U (zh) 一种agv运输车减震装置
CN213731625U (zh) 一种汽车检测用升降调节装置
RU2428340C1 (ru) Амор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леж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